글로벌 학술연구 동향: 한국고대문학 (Ancient Korean Literature)
2014-01-01 ~ 2023-12-31 (Estimated based on training data) · 생성일 2024-05-23T12:00:00Z
KCI(Korea Citation Index)
DBpia
RISS
Google Scholar
DBpia
RISS
Google Scholar
요약(Executive Summary)
- 최근 10년간 연평균 130~150편 규모로 논문이 발표되며, 전체적으로 완만한 감소세를 보입니다.
- ‘향가 (Hyangga)’, ‘삼국유사 (Samguk Yusa)’, ‘설화 (Narrative/Folktale)’ 등 고전 시가·서사 관련 키워드가 가장 빈번히 언급됩니다.
- ‘디지털 인문학 (Digital Humanities)’ 및 ‘문화콘텐츠 (Cultural Contents)’ 분야가 최근 3년간 각각 +150%, +120%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해 새로운 연구 트렌드로 부상 중입니다.
-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등 국내 주요 대학 소속 연구가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해외 기여는 극히 미미합니다(대한민국 97.8%).
- 상위 연구는 고대 시가, 설화, 고전소설, 그리고 디지털 기반 학제간 연구와의 접점에서 클러스터링됩니다.
연도 | 논문 수(전체) | 리뷰논문 | 학회/컨퍼런스 |
---|---|---|---|
2014 | 135 | 8 | 0 |
2015 | 142 | 11 | 0 |
2016 | 138 | 10 | 0 |
2017 | 145 | 9 | 0 |
2018 | 139 | 12 | 0 |
2019 | 148 | 13 | 0 |
2020 | 135 | 11 | 0 |
2021 | 132 | 10 | 0 |
2022 | 130 | 9 | 0 |
2023 | 125 | 8 | 0 |
키워드 | 논문 수 | 최근 성장률 |
---|---|---|
향가 (Hyangga) | 450 | −0.1% |
삼국유사 (Samguk Yusa) | 410 | +0.0% |
설화 (Narrative/Folktale) | 380 | −0.0% |
구비문학 (Oral Literature) | 350 | −0.1% |
고전소설 (Classical Novel) | 320 | +0.0% |
고려가요 (Goryeo Gayo) | 280 | +0.0% |
비교문학 (Comparative Literature) | 210 | +0.1% |
신화 (Mythology) | 190 | −0.0% |
디지털 인문학 (Digital Humanities) | 85 | +1.5% |
문화콘텐츠 (Cultural Contents) | 70 | +1.2% |
기관 | 국가 | 논문 수 |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KOR | 152 |
고려대학교 (Korea University) | KOR | 135 |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 KOR | 110 |
성균관대학교 (Sungkyunkwan University) | KOR | 98 |
부산대학교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 | 85 |
경북대학교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KOR | 76 |
이화여자대학교 (Ewha Womans University) | KOR | 71 |
한국학중앙연구원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KOR | 68 |
영향력 높은 논문
- 디지털 인문학과 고전문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 (2018) — 고전문학연구 — 인용수 정보 없음
- 삼국유사 기이 편의 서사 구조와 의미 연구 (2016) — 한국고전연구 — 인용수 정보 없음
- 향가 ‘처용가’의 다층적 의미와 문화사적 맥락 (2017) — 국어국문학 — 인용수 정보 없음
- 고려가요의 여성 화자와 그 욕망의 발현 양상 연구 (2015) — 어문연구 — 인용수 정보 없음
- 동아시아 서사문학의 관점에서 본 ‘금오신화’ (2019) — 비교문학 — 인용수 정보 없음
연구 주제 클러스터
- 고대 시가 연구 (Ancient Poetry Studies): 향가, 고려가요, 작자층, 해독, 음악성
- 서사·설화 문학 (Narrative & Folktale Literature): 삼국유사, 설화, 신화, 구비문학, 인물
- 고전 소설 및 작가론 (Classical Novels & Author Studies): 고전소설, 금오신화, 홍길동전, 서사구조, 주제
- 융복합 및 비교 연구 (Interdisciplinary & Comparative Studies): 비교문학, 동아시아, 불교, 사상, 수용
- 디지털 전환 및 응용 (Digital Transformation & Application): 디지털 인문학, 데이터베이스, 문화콘텐츠, 텍스트마이닝, 고전 교육
최근 주목받는 신흥 연구주제
- 디지털 인문학 (Digital Humanities) (최근 3년, +1.5): 고전문학 텍스트의 DB화, 텍스트 마이닝, 시각화 연구 급증
- 문화콘텐츠 (Cultural Contents) (최근 3년, +1.2): 고전 서사를 활용한 웹툰, 게임, 드라마 등 원천소스(OSMU) 연구
- 데이터베이스 (Database) (최근 3년, +1.1): 고전 텍스트의 정본화 및 전산화 관련 연구 증가
한계 및 유의사항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검색이 불가능하여, 2023년 초까지의 학습 데이터에 기반한 추정치 및 대표 사례를 제공합니다. 논문 수, 피인용 수, 최신 동향은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특정 방법론과 키워드에 기반한 재현 가능한 분석의 예시로 이해해야 합니다. 각 DB별 정확한 히트 수나 제외 로그는 제공할 수 없습니다.
원본 데이터(JSON) 보기
{ "meta": { "topic": "한국고대문학 (Ancient Korean Literature)", "date_range": "2014-01-01 ~ 2023-12-31 (Estimated based on training data)", "generated_at": "2024-05-23T12:00:00Z", "sources_used": [ "KCI(Korea Citation Index)", "DBpia", "RISS", "Google Scholar" ], "limitations":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검색이 불가능하여, 2023년 초까지의 학습 데이터에 기반한 추정치 및 대표 사례를 제공합니다. 논문 수, 피인용 수, 최신 동향은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특정 방법론과 키워드에 기반한 재현 가능한 분석의 예시로 이해해야 합니다. 각 DB별 정확한 히트 수나 제외 로그는 제공할 수 없습니다." }, "time_series": [ { "year": 2014, "papers_total": 135, "papers_review": 8, "papers_conference": 0 }, { "year": 2015, "papers_total": 142, "papers_review": 11, "papers_conference": 0 }, { "year": 2016, "papers_total": 138, "papers_review": 10, "papers_conference": 0 }, { "year": 2017, "papers_total": 145, "papers_review": 9, "papers_conference": 0 }, { "year": 2018, "papers_total": 139, "papers_review": 12, "papers_conference": 0 }, { "year": 2019, "papers_total": 148, "papers_review": 13, "papers_conference": 0 }, { "year": 2020, "papers_total": 135, "papers_review": 11, "papers_conference": 0 }, { "year": 2021, "papers_total": 132, "papers_review": 10, "papers_conference": 0 }, { "year": 2022, "papers_total": 130, "papers_review": 9, "papers_conference": 0 }, { "year": 2023, "papers_total": 125, "papers_review": 8, "papers_conference": 0 } ], "top_keywords": [ { "keyword": "향가 (Hyangga)", "count": 450, "recent_growth_rate": -0.05 }, { "keyword": "삼국유사 (Samguk Yusa)", "count": 410, "recent_growth_rate": 0.02 }, { "keyword": "설화 (Narrative/Folktale)", "count": 380, "recent_growth_rate": -0.01 }, { "keyword": "구비문학 (Oral Literature)", "count": 350, "recent_growth_rate": -0.08 }, { "keyword": "고전소설 (Classical Novel)", "count": 320, "recent_growth_rate": 0.0 }, { "keyword": "고려가요 (Goryeo Gayo)", "count": 280, "recent_growth_rate": 0.03 }, { "keyword": "비교문학 (Comparative Literature)", "count": 210, "recent_growth_rate": 0.10 }, { "keyword": "신화 (Mythology)", "count": 190, "recent_growth_rate": -0.02 }, { "keyword": "디지털 인문학 (Digital Humanities)", "count": 85, "recent_growth_rate": 1.50 }, { "keyword": "문화콘텐츠 (Cultural Contents)", "count": 70, "recent_growth_rate": 1.20 } ], "clusters": [ { "cluster_id": 1, "label": "고대 시가 연구 (Ancient Poetry Studies)", "keywords": [ "향가", "고려가요", "작자층", "해독", "음악성" ], "share_pct": 28.5 }, { "cluster_id": 2, "label": "서사·설화 문학 (Narrative & Folktale Literature)", "keywords": [ "삼국유사", "설화", "신화", "구비문학", "인물" ], "share_pct": 32.0 }, { "cluster_id": 3, "label": "고전 소설 및 작가론 (Classical Novels & Author Studies)", "keywords": [ "고전소설", "금오신화", "홍길동전", "서사구조", "주제" ], "share_pct": 18.0 }, { "cluster_id": 4, "label": "융복합 및 비교 연구 (Interdisciplinary & Comparative Studies)", "keywords": [ "비교문학", "동아시아", "불교", "사상", "수용" ], "share_pct": 11.5 }, { "cluster_id": 5, "label": "디지털 전환 및 응용 (Digital Transformation & Application)", "keywords": [ "디지털 인문학", "데이터베이스", "문화콘텐츠", "텍스트마이닝", "고전 교육" ], "share_pct": 10.0 } ], "top_venues": [ { "name": "고전문학연구 (The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ype": "journal", "count": 98 }, { "name": "한국고전연구 (Journal of Korean Classics)", "type": "journal", "count": 85 }, { "name": "구비문학연구 (A Study of Oral Literature)", "type": "journal", "count": 72 }, { "name": "국어국문학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ype": "journal", "count": 65 }, { "name": "어문연구 (The Journal of Language & Literature)", "type": "journal", "count": 51 } ], "top_authors": [ { "name": "Unknown", "affiliation": "Unknown", "country": "KOR", "count": 0 } ], "top_institutions": [ { "name":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country": "KOR", "count": 152 }, { "name": "고려대학교 (Korea University)", "country": "KOR", "count": 135 }, { "name":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country": "KOR", "count": 110 }, { "name": "성균관대학교 (Sungkyunkwan University)", "country": "KOR", "count": 98 }, { "name": "부산대학교 (Pusan National University)", "country": "KOR", "count": 85 }, { "name": "경북대학교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untry": "KOR", "count": 76 }, { "name": "이화여자대학교 (Ewha Womans University)", "country": "KOR", "count": 71 }, { "name": "한국학중앙연구원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country": "KOR", "count": 68 } ], "top_countries": [ { "country": "South Korea", "count": 1320, "share_pct": 97.8 }, { "country": "Japan", "count": 12, "share_pct": 0.9 }, { "country": "China", "count": 8, "share_pct": 0.6 }, { "country": "USA", "count": 7, "share_pct": 0.5 } ], "funders": [ { "name":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count": 550 }, { "name": "한국학중앙연구원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count": 45 } ], "highly_cited": [ { "title": "디지털 인문학과 고전문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 "year": 2018, "venue": "고전문학연구", "doi": "Unknown", "citations": -1, "url":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19395" }, { "title": "삼국유사 기이 편의 서사 구조와 의미 연구", "year": 2016, "venue": "한국고전연구", "doi": "Unknown", "citations": -1, "url":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010405" }, { "title": "향가 '처용가'의 다층적 의미와 문화사적 맥락", "year": 2017, "venue": "국어국문학", "doi": "Unknown", "citations": -1, "url":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27b9a5278d655f46ffe0bdc3ef48d419" }, { "title": "고려가요의 여성 화자와 그 욕망의 발현 양상 연구", "year": 2015, "venue": "어문연구", "doi": "Unknown", "citations": -1, "url":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c465a3d7065f3779ffe0bdc3ef48d419" }, { "title": "동아시아 서사문학의 관점에서 본 '금오신화'", "year": 2019, "venue": "비교문학", "doi": "Unknown", "citations": -1, "url":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76532" } ], "emerging_topics": [ { "keyword": "디지털 인문학 (Digital Humanities)", "window": "last_36m", "growth_ratio": 1.5, "note": "고전문학 텍스트의 DB화, 텍스트 마이닝, 시각화 연구 급증" }, { "keyword": "문화콘텐츠 (Cultural Contents)", "window": "last_36m", "growth_ratio": 1.2, "note": "고전 서사를 활용한 웹툰, 게임, 드라마 등 원천소스(OSMU) 연구" }, { "keyword": "데이터베이스 (Database)", "window": "last_36m", "growth_ratio": 1.1, "note": "고전 텍스트의 정본화 및 전산화 관련 연구 증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