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生路不熟
영상 중국어 학습 분석 결과
생성일시: 2025. 7. 13. 오후 5:02:51
📊 분석 통계:
• 총 자막 수: 2193개
• 분석 완료: 2193개
• 한어병음: 1406개
• 한글번역: 2193개
• YouTube URL: https://www.youtube.com/watch?v=-J3qSQ2z4Nc&t=48s
자막 #1 | 00:01:08,583 → 00:01:10,166
妈 -闺女你干啥呢
📝 한어병음
mā - guī nǚ nǐ gān shá ne
🇰🇷 한글번역
엄마: 딸, 뭐 하고 있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妈 mā 엄마 HSK1 闺女 guīnǚ 딸 (구어체) 干 gàn 하다 HSK3 啥 shá 무엇 (구어체)

📚 문법
- 问句 (의문문): "你干啥呢"는 구어체에서 "너 뭐 하고 있니?"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현재 행동이나 상태를 물어보는 문장입니다.
- "呢"는 진행형을 나타내는 조사로, 현재 진행 중인 동작이나 상태를 강조합니다.
자막 #2 | 00:01:10,375 → 00:01:11,041
吃饭没呀
📝 한어병음
chī fàn méi ya
🇰🇷 한글번역
밥 먹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吃 chī 먹다 HSK1 饭 fàn 밥, 식사 HSK1 没 méi 없다, 아직 ~하지 않다 HSK2 呀 ya 어기조사 (부드러운 어감을 나타냄) HSK4

📚 문법
- 어기조사 "呀": 문장 끝에 사용되어 부드러운 어감을 주거나, 상대방에게 친근하게 질문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吃饭没呀"라는 표현에서 "呀"가 사용되어 상대방에게 식사를 했는지 부드럽게 묻고 있습니다.
- "没"는 완료되지 않은 상태나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아직 식사를 했는지"를 묻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3 | 00:01:11,166 → 00:01:12,291
一帆正在做呢
📝 한어병음
yī fān zhèng zài zuò ne
🇰🇷 한글번역
일범은 지금 하고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帆 Yīfān (사람 이름) 고유명사 正在 zhèngzài 지금 ~하고 있다 HSK3 做 zuò 하다 HSK1 呢 ne ~하고 있다 (진행) HSK2

📚 문법
진행형: 중국어에서 동작이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主语 + 正在 + 동사 + 呢 (一帆은 지금 하고 있는 중이다)

"正在"와 "呢"를 함께 사용하여 동작이 현재 진행 중임을 강조합니다.
자막 #4 | 00:01:12,291 → 00:01:13,333
他做饭可好吃了
📝 한어병음
tā zuò fàn kě hǎo chī liǎo
🇰🇷 한글번역
그가 요리하는 음식은 정말 맛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HSK1 做饭 zuò fàn 요리하다 HSK3 可 kě 정말로 (강조) 好吃 hǎo chī 맛있다 HSK2

📚 문법
강조구문: "可...了"는 중국어에서 감탄이나 강조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可"는 "정말로"라는 뜻으로 사용되어, "정말 맛있다"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형태: 주어 + 可 + 형용사 + 了 (그는 요리를 정말 맛있게 한다)
자막 #5 | 00:01:13,750 → 00:01:15,041
他还会做饭呐
📝 한어병음
tā hái huì zuò fàn nà
🇰🇷 한글번역
그는 요리도 할 줄 알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还 hái 여전히, 아직도 HSK2 会 huì 할 수 있다, 능력이 있다 HSK2 做饭 zuò fàn 요리하다 HSK3 呢 ne ~하고 있다 (진행형) HSK1

📚 문법
진행형: 중국어에서 동작이나 상태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呢 (그는 아직도 요리하고 있다)

문장에서 "呐"는 "呢"의 구어체 표현으로, 동작의 지속성을 강조합니다.
자막 #6 | 00:01:15,458 → 00:01:18,041
那做饭好吃找个厨子得了呗
📝 한어병음
nà zuò fàn hǎo chī zhǎo gè chú zǐ dé liǎo bài
🇰🇷 한글번역
그럼 요리 잘하는 사람을 요리사로 고용하면 되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做饭 zuò fàn 요리하다 HSK3 好吃 hǎo chī 맛있다 HSK2 找 zhǎo 찾다 HSK2 厨子 chú zi 요리사 HSK4 得了 dé le 하면 된다 (구어체)

📚 문법
구어체 표현: "得了呗"는 "하면 된다"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을 제안하거나 해결책을 제시할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 "找个厨子得了呗"는 "요리사를 찾으면 된다"라는 의미로,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7 | 00:01:18,041 → 00:01:19,208
就知道围着灶台转
📝 한어병음
jiù zhī dào wéi zhe zào tái zhuǎn
🇰🇷 한글번역
맨날 부엌에서만 맴돌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知道 zhī dào 알다 HSK1 围 wéi 둘러싸다 HSK4 灶台 zào tái 조리대, 가스레인지 (일반적인 HSK 급수에 포함되지 않음) 转 zhuàn 돌다 HSK3

📚 문법
동사 중첩: "围着灶台转"에서 "转"은 동작을 반복하거나 계속함을 나타냅니다. 이는 어떤 행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을 강조합니다. "围着"는 "~을 둘러싸고"라는 의미로, 특정 장소나 대상을 중심으로 행동이 이루어짐을 나타냅니다.
자막 #8 | 00:01:19,208 → 00:01:20,666
两张火车票都整不明白
📝 한어병음
liǎng zhāng huǒ chē piào dōu zhěng bù míng bái
🇰🇷 한글번역
기차표 두 장 모두 이해하지 못하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两 liǎng 두, 둘 HSK2 张 zhāng 장 (종이, 표 등을 세는 단위) HSK3 火车票 huǒ chē piào 기차표 HSK4 整 zhěng 정리하다, 정돈하다 HSK5 明白 míng bái 이해하다 HSK3

📚 문법
부정문: "都"와 "不"의 조합은 모든 것을 부정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主语 + 都 + 不 + 동사 (두 장의 기차표를 모두 이해하지 못하다)
자막 #9 | 00:01:20,666 → 00:01:22,083
怎么混的啊在那儿
📝 한어병음
zěn me hùn de a zài nà ér
🇰🇷 한글번역
거기서 어떻게 지내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混 hùn 지내다, 살다 HSK4 的 de ~의 (구조조사) HSK1 那儿 nàr 거기 HSK2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원인을 묻는 의문사로, "어떻게"라는 뜻입니다. 주로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이나 상태에 대한 방법을 묻습니다.
예: 你怎么去学校?(너는 어떻게 학교에 가니?)
자막 #10 | 00:01:23,166 → 00:01:24,416
我叫万一帆
📝 한어병음
wǒ jiào wàn yī fān
🇰🇷 한글번역
저는 만일범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叫 jiào 부르다, 이름이 ~이다 HSK1 万 wàn 만 HSK3 一帆 yī fān (이름, 고유명사)

📚 문법
주어 + 叫 + 이름: 중국어에서 자신의 이름을 소개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주어 + 叫 + 이름 (나는 만일범이라고 합니다)
자막 #11 | 00:01:24,958 → 00:01:26,125
电话那头的
📝 한어병음
diàn huà nà tóu de
🇰🇷 한글번역
전화기 너머의
🎯 AI 분석 결과
🔍 어휘
电话 diànhuà 전화 HSK2 那 nà 저, 그 HSK1 头 tóu 끝, 쪽 HSK4 的 de ~의 (관형어를 만드는 조사) HSK1

📚 문법
관형어 구조: '的'는 명사 앞에서 관형어를 만들어주는 조사로, '전화 저쪽의'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명사 + 的 + 명사 (전화 저쪽의)
자막 #12 | 00:01:26,375 → 00:01:27,541
是我未来的岳父
📝 한어병음
shì wǒ wèi lái de yuè fù
🇰🇷 한글번역
제 미래의 장인어른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我 wǒ 나, 저 HSK1 未来 wèi lái 미래 HSK4 岳父 yuè fù 장인 HSK6

📚 문법
명사구: "未来的岳父"는 '미래의 장인'이라는 의미로, '的'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나 다른 명사와 결합하여 소유나 속성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是 + 명사 (그는 나의 미래의 장인이다)
자막 #13 | 00:01:27,541 → 00:01:28,958
你呢 到时候收拾好行李
📝 한어병음
nǐ ne dào shí hòu shōu shí hǎo xíng lǐ
🇰🇷 한글번역
그럼 그때 가방 잘 챙겨.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到时候 dào shí hòu 그때가 되면 HSK4 收拾 shōu shi 정리하다, 치우다 HSK4 行李 xíng lǐ 짐 HSK3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특정 행동을 하도록 지시하는 명령문입니다. "到时候"는 특정 시점을 나타내며, "收拾好"는 동작의 완성을 강조합니다.
형태: 주어 + 到时候 + 동사 + 결과보어 (너는 그때가 되면 짐을 잘 챙겨라)
자막 #14 | 00:01:28,958 → 00:01:30,583
直接下来 咱上车咱就走
📝 한어병음
zhí jiē xià lái zán shàng chē zán jiù zǒu
🇰🇷 한글번역
바로 내려와. 우리 차에 타고 바로 출발하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直接 zhíjiē 직접 HSK4 下来 xiàlái 내려오다 HSK3 咱 zán 우리 HSK5 上车 shàng chē 차에 타다 HSK2 走 zǒu 가다 HSK1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직접적인 행동을 요청하는 명령문입니다. "직접 내려와, 우리 차에 타고 가자"라는 의미로, 행동의 즉각적인 수행을 강조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상대방에게 즉각적인 행동을 요청)
자막 #15 | 00:01:30,583 → 00:01:31,458
那一帆呢
📝 한어병음
nà yī fān ne
🇰🇷 한글번역
그 배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 HSK1 一 yī 하나 HSK1 帆 fān 돛, 범선 HSK6 呢 ne ~는요? (문장 끝에 쓰여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의문문: "呢"는 문장 끝에 사용되어 의문을 나타내며, 주로 앞에서 언급된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질문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呢? (그 사람은 어디에 있나요?)
자막 #16 | 00:01:31,458 → 00:01:32,500
这车上有狗
📝 한어병음
zhè chē shàng yǒu gǒu
🇰🇷 한글번역
이 차에 개가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车 chē 차, 차량 HSK1 上 shàng 위, ~에 HSK1 有 yǒu 있다 HSK1 狗 gǒu 개 HSK2

📚 문법
존재문: 중국어에서 어떤 장소에 무엇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장소 + 有 + 존재하는 것 (이 차에 개가 있다)
자막 #17 | 00:01:32,500 → 00:01:33,541
没地坐他
📝 한어병음
méi dì zuò tā
🇰🇷 한글번역
앉을 자리가 없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HSK1 地 dì 땅, 자리 HSK1 坐 zuò 앉다 HSK1 他 tā 그 HSK1

📚 문법
주어 + 没 + 동사: 중국어에서 부정문을 만들 때 "没"를 사용하여 동작이나 상태의 부재를 나타냅니다.
예문: 没地坐 (앉을 자리가 없다)
자막 #18 | 00:01:33,541 → 00:01:35,208
干啥啊 你啊
📝 한어병음
gān shá a nǐ a
🇰🇷 한글번역
뭐 하는 거야, 너?
🎯 AI 분석 결과
🔍 어휘
干啥 gàn shá 무엇을 하다 (구어체) 你 nǐ 너 HSK1 啊 a ~하니?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의문, 감탄, 명령 등의 어감을 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는 상대방에게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묻는 의문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19 | 00:01:35,541 → 00:01:36,958
你不管怎么着你先见见
📝 한어병음
nǐ bù guǎn zěn me zhe nǐ xiān jiàn jiàn
🇰🇷 한글번역
어쨌든 일단 만나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不管 bù guǎn 상관하지 않다 HSK4 怎么着 zěnme zhe 어떻게든 (구어체) 先 xiān 먼저 HSK2 见 jiàn 만나다 HSK1

📚 문법
- 不管...: "상관하지 않다"라는 의미로, 뒤에 어떤 상황이나 조건이 오더라도 결과나 결정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 先: "먼저"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을 다른 행동보다 우선시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20 | 00:01:36,958 → 00:01:38,000
见啥啊
📝 한어병음
jiàn shá a
🇰🇷 한글번역
뭘 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见 jiàn 보다, 만나다 HSK1 啥 shá 무엇, 뭐 (구어체) HSK5

📚 문법
문장 구조: "见啥啊"는 "무엇을 보나요?" 또는 "뭘 봐요?"라는 의미로,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啥"는 "什么"의 구어체 표현으로, 질문을 할 때 사용됩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어감을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한 느낌을 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자막 #21 | 00:01:38,250 → 00:01:40,416
咱姑娘跟他处对象这不走岔道了吗
📝 한어병음
zán gū niáng gēn tā chù duì xiàng zhè bù zǒu chà dào liǎo ma
🇰🇷 한글번역
우리 딸이 그와 사귀는 게 잘못된 길로 가고 있는 거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 zán 우리 HSK5 姑娘 gūniang 아가씨, 소녀 HSK4 处对象 chǔ duìxiàng 사귀다, 연애하다 (비공식) 走岔道 zǒu chàdào 잘못된 길로 가다 (비유적 표현)

📚 문법
- 跟: '...와/과 함께'를 의미하는 전치사로, 여기서는 '그와 사귀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这: '이것'을 의미하는 대명사로, 문장에서는 상황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 了吗: '...했나요?'라는 의미의 의문문 형식으로, 문장의 끝에 붙어 상황이나 상태의 변화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은 "우리 아가씨가 그와 사귀는 것이 잘못된 길로 가는 것 아닌가요?"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22 | 00:01:40,916 → 00:01:41,958
您已偏航
📝 한어병음
nín yǐ piān háng
🇰🇷 한글번역
귀하의 항로가 변경되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您 nín 당신 HSK2 已 yǐ 이미 HSK4 偏航 piān háng 경로를 벗어나다 (비행, 항해 관련 용어)

📚 문법
주어 + 已 + 동사: '이미 ~했다'라는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예문에서 "您已偏航"은 "당신은 이미 경로를 벗어났습니다"라는 뜻으로, 어떤 상태가 이미 발생했음을 강조합니다.
자막 #23 | 00:01:41,958 → 00:01:44,208
正在为您重新规划路线
📝 한어병음
zhèng zài wèi nín zhòng xīn guī huà lù xiàn
🇰🇷 한글번역
경로를 다시 계획하고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正在 zhèngzài 지금 ~하고 있다 HSK3 为 wèi ~을 위해 HSK3 您 nín 당신(존칭) HSK2 重新 chóngxīn 다시 HSK4 规划 guīhuà 계획하다 HSK5 路线 lùxiàn 경로, 노선 HSK4

📚 문법
진행형: "正在"는 동작이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형태: 主语 + 正在 + 동사 + (목적어) (지금 경로를 다시 계획하고 있습니다)
자막 #24 | 00:01:44,208 → 00:01:45,541
请在前方调头
📝 한어병음
qǐng zài qián fāng tiáo tóu
🇰🇷 한글번역
앞에서 유턴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请 qǐng 부탁하다, 청하다 HSK1 前方 qián fāng 앞쪽, 전방 HSK3 调头 diào tóu 방향을 바꾸다, 유턴하다 HSK5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할 때 동사 앞에 "请"을 사용하여 공손함을 나타냅니다.
형태: 请 + 동사 + (목적어) (앞쪽에서 유턴해 주세요)
자막 #25 | 00:01:45,541 → 00:01:46,791
谁走岔道啊
📝 한어병음
shuí zǒu chà dào a
🇰🇷 한글번역
누가 길을 잘못 들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谁 shéi 누구 HSK2 走 zǒu 걷다, 가다 HSK1 岔道 chà dào 길을 잘못 들다, 샛길

📚 문법
의문문: "谁"는 '누구'라는 뜻으로, 주어를 묻는 의문문에서 사용됩니다.
형태: 谁 + 동사 + (목적어)? (누가 길을 잘못 들었니?)

이 문장은 누가 길을 잘못 들었는지를 묻는 질문입니다. "岔道"는 길을 잘못 드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자막 #26 | 00:01:47,125 → 00:01:48,333
你走岔道了
📝 한어병음
nǐ zǒu chà dào liǎo
🇰🇷 한글번역
길을 잘못 들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走 zǒu 걷다, 가다 HSK1 岔道 chà dào 길을 잘못 들다, 길이 갈라지다 (HSK 비급수)

📚 문법
- 了 (le):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문장 끝에 위치하여 동작이 이미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주어 + 동사 + 了: 주어가 어떤 동작을 완료했음을 나타냅니다. (너는 길을 잘못 들었다)
자막 #27 | 00:01:49,208 → 00:01:50,541
这导哪去了啊
📝 한어병음
zhè dǎo nǎ qù liǎo a
🇰🇷 한글번역
이거 어디로 갔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导 dǎo 안내하다, 이끌다 HSK4 哪 nǎ 어디 HSK1 去了 qù le 갔다 HSK1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사를 사용하여 질문을 형성합니다.
형태: 의문사(哪) + 동사 + 목적어 (어디로 갔나요?)
이 문장은 "이것은 어디로 갔나요?"라는 의미로, '哪'는 장소나 방향을 묻는 의문사로 사용됩니다.
자막 #28 | 00:01:51,666 → 00:01:54,208
至于他为什么这么看不上我
📝 한어병음
zhì yú tā wèi shén me zhè me kàn bù shàng wǒ
🇰🇷 한글번역
그가 왜 나를 그렇게 무시하는지에 대해서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至于 zhì yú ~에 관해서는 HSK4 他 tā 그, 그 사람 HSK1 为什么 wèi shén me 왜 HSK2 这么 zhè me 이렇게 HSK3 看不上 kàn bu shàng 좋아하지 않다, 마음에 들지 않다 (비표준어)

📚 문법
至于(zhì yú): 중국어에서 어떤 주제나 사안에 대해 언급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至于 + 주제" 형태로 사용되어, 앞서 언급한 내용과 관련된 추가 정보를 제공할 때 쓰입니다. 예를 들어, "至于他为什么这么看不上我"는 "그가 왜 나를 이렇게 마음에 들어하지 않는지에 관해서는"이라는 의미로, 앞서 언급된 상황이나 맥락에 대한 추가 설명을 예고합니다.
자막 #29 | 00:01:54,500 → 00:01:56,666
这得从我三岁开始说起
📝 한어병음
zhè dé cóng wǒ sān suì kāi shǐ shuō qǐ
🇰🇷 한글번역
이 이야기는 내가 세 살 때부터 시작해야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得 děi ~해야 한다 HSK3 从 cóng ~부터 HSK2 开始 kāi shǐ 시작하다 HSK2 说起 shuō qǐ 말하기 시작하다 (특정 주제를 언급할 때 사용)

📚 문법
- 从...开始: "~부터 시작하다"라는 의미로, 시간이나 사건의 시작점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 说起: 어떤 주제나 이야기를 시작할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말하기 시작하다"라는 뜻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내가 세 살 때부터 이야기를 시작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30 | 00:01:59,000 → 00:02:01,000
如果世界是一座森林
📝 한어병음
rú guǒ shì jiè shì yī zuò sēn lín
🇰🇷 한글번역
만약 세상이 하나의 숲이라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如果 rúguǒ 만약 HSK3 世界 shìjiè 세계 HSK2 是 shì ~이다 HSK1 一座 yí zuò 한 개의 (산, 건물 등을 셀 때) HSK4 森林 sēnlín 숲, 삼림 HSK5

📚 문법
조건문: "如果"는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만약 ~라면"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주로 가정이나 조건을 제시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如果 + 조건 + (的话), 주어 + 동사 + 결과 (만약 세계가 숲이라면)
자막 #31 | 00:02:01,458 → 00:02:02,750
那每一只兔子
📝 한어병음
nà měi yī zhī tù zǐ
🇰🇷 한글번역
그 모든 토끼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 HSK1 每 měi 매, 각 HSK2 一 yī 하나 HSK1 只 zhī 마리 (양사) HSK3 兔子 tù zi 토끼 HSK3

📚 문법
명사구: "那每一只兔子"는 "저/그 각각의 토끼"라는 의미로, 특정한 대상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 "那"는 지시대명사로, "每"는 각각을 의미하며, "只"는 동물에 대한 양사로 사용됩니다.
자막 #32 | 00:02:03,333 → 00:02:05,583
都要熟悉生存的规则
📝 한어병음
dōu yào shú xī shēng cún de guī zé
🇰🇷 한글번역
모두 생존의 규칙을 익혀야 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要 yào 필요하다, 해야 한다 HSK2 熟悉 shú xī 익숙하다, 잘 알다 HSK4 生存 shēng cún 생존 HSK5 规则 guī zé 규칙 HSK4

📚 문법
주어 + 要 + 동사: "주어는 ~해야 한다"라는 의미로, 필요나 의무를 나타냅니다.
예문: 모두 생존의 규칙에 익숙해져야 한다. (모두가 생존의 규칙을 잘 알아야 한다)
자막 #33 | 00:02:06,250 → 00:02:07,291
比如
📝 한어병음
bǐ rú
🇰🇷 한글번역
예를 들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比如 bǐ rú 예를 들어 HSK3

📚 문법
예시문: "比如"는 예시를 들 때 사용하는 접속사로, 뒤에 구체적인 예시나 설명이 이어집니다.
형태: 句子1 + 比如 + 例子 (예를 들어)
자막 #34 | 00:02:08,000 → 00:02:09,916
不要站在老虎前面
📝 한어병음
bù yào zhàn zài lǎo hǔ qián miàn
🇰🇷 한글번역
호랑이 앞에 서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要 bù yào ~하지 마라 HSK2 站 zhàn 서다 HSK2 在 zài ~에 HSK1 老虎 lǎo hǔ 호랑이 HSK4 前面 qián miàn 앞 HSK2

📚 문법
부정 명령문: 중국어에서 "~하지 마라"라는 명령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不要 + 동사 + 장소/목적어 (호랑이 앞에 서지 마라)
자막 #35 | 00:02:10,333 → 00:02:12,208
否则会被一口吞掉
📝 한어병음
fǒu zé huì bèi yī kǒu tūn diào
🇰🇷 한글번역
그렇지 않으면 한 입에 삼켜질 것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否则 fǒu zé 그렇지 않으면 HSK4 会 huì ~할 것이다 HSK2 被 bèi ~에 의해 HSK3 一口 yī kǒu 한 입에 HSK5 吞掉 tūn diào 삼키다 HSK6

📚 문법
被字句: 중국어에서 피동문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被 + 동사 + 기타 성분 (그렇지 않으면 한 입에 삼켜질 것이다)
被字句는 주어가 동작을 당하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36 | 00:02:16,958 → 00:02:18,416
又比如说
📝 한어병음
yòu bǐ rú shuō
🇰🇷 한글번역
또 예를 들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又 yòu 또, 다시 HSK2 比如 bǐrú 예를 들면 HSK4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연결사: "比如说"는 "예를 들면"이라는 뜻으로, 앞서 언급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거나 예시를 들 때 사용합니다. "又"는 반복이나 추가적인 행동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자막 #37 | 00:02:18,416 → 00:02:20,375
不要自以为跑得很快
📝 한어병음
bù yào zì yǐ wèi pǎo dé hěn kuài
🇰🇷 한글번역
너무 빠르다고 자만하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要 bù yào ~하지 마라 HSK2 自以为 zì yǐ wéi 스스로 여기다, 자만하다 HSK6 跑 pǎo 달리다 HSK2 得 de 동사와 형용사 사이에 쓰여 가능이나 정도를 나타냄 HSK3 很 hěn 매우 HSK1 快 kuài 빠르다 HSK2

📚 문법
부정 명령문: "不要"는 명령이나 요청을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하지 마라"라는 뜻으로, 상대방에게 특정 행동을 하지 말라고 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不要 + 동사 + 기타 (자만하지 말고 너무 빠르게 달린다고 생각하지 마라)
자막 #38 | 00:02:20,375 → 00:02:21,583
否则豹子
📝 한어병음
fǒu zé bào zǐ
🇰🇷 한글번역
그렇지 않으면 표범
🎯 AI 분석 결과
🔍 어휘
否则 fǒu zé 그렇지 않으면 HSK4 豹子 bào zi 표범 HSK6

📚 문법
연결사: "否则"는 조건문에서 사용되며, 앞 문장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뒤 문장의 결과가 발생함을 나타냅니다.
형태: 조건문 + 否则 + 결과문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결과가 발생한다)
자막 #39 | 00:02:22,208 → 00:02:23,958
会给你长个记性
📝 한어병음
huì gěi nǐ cháng gè jì xìng
🇰🇷 한글번역
좋은 교훈이 될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会 huì ~할 것이다 HSK2 给 gěi 주다 HSK2 你 nǐ 너 HSK1 长 zhǎng 자라다, 성장하다 HSK3 记性 jì xìng 기억력 HSK4

📚 문법
결과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결과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결과보어 (长个记性: 기억력이 자라다/늘어나다)

이 문장은 "경험을 통해 기억력이 향상될 것이다"라는 의미로, 어떤 경험이 교훈이 되어 다시는 같은 실수를 하지 않게 된다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막 #40 | 00:02:26,958 → 00:02:28,625
如果兔子不服气
📝 한어병음
rú guǒ tù zǐ bù fú qì
🇰🇷 한글번역
만약 토끼가 불만이 있다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如果 rúguǒ 만약 HSK3 兔子 tùzi 토끼 HSK3 不 bù 아니다, 않다 HSK1 服气 fúqì 승복하다, 인정하다 HSK5

📚 문법
조건문: "如果"는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만약 ~라면"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건을 제시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如果 + 조건 + (的话), 주어 + 동사 + 결과 (만약 토끼가 승복하지 않는다면)
자막 #41 | 00:02:28,625 → 00:02:30,458
那么老虎和豹子
📝 한어병음
nà me lǎo hǔ hé bào zǐ
🇰🇷 한글번역
그러면 호랑이와 표범은?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么 nàme 그렇게, 그 정도로 HSK3
老虎 lǎohǔ 호랑이 HSK3
和 hé 그리고, ~와/과 HSK1
豹子 bàozi 표범 HSK5

📚 문법
병렬구조: '和'는 두 개 이상의 명사나 구를 연결하여 병렬 구조를 형성합니다.
형태: 명사1 + 和 + 명사2 (호랑이와 표범)

이 문장은 두 동물, 즉 호랑이와 표범을 나열하는 데 사용됩니다.
자막 #42 | 00:02:30,458 → 00:02:32,000
就会告诉他
📝 한어병음
jiù huì gào sù tā
🇰🇷 한글번역
그에게 말해줄 것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곧, 즉시 HSK2 会 huì ~할 것이다, ~할 수 있다 HSK2 告诉 gàosu 말하다, 알리다 HSK2 他 tā 그, 그 사람 HSK1

📚 문법
조동사 会: 미래의 가능성이나 능력을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여기서는 "곧 ~할 것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문장 구조: 주어 + 就 + 会 + 동사 (그에게 곧 말할 것이다)
자막 #43 | 00:02:32,000 → 00:02:33,541
想在森林里呆下去
📝 한어병음
xiǎng zài sēn lín lǐ dāi xià qù
🇰🇷 한글번역
숲 속에 머물고 싶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想 xiǎng 생각하다, 원하다 HSK2
在 zài ~에서, ~에 HSK1
森林 sēn lín 숲, 삼림 HSK4
里 lǐ 안, 속 HSK1
呆 dāi 머무르다, 체류하다 HSK5
下去 xià qù 계속하다, (어떤 상태를) 유지하다 HSK3

📚 문법
동사 + 下去: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계속됨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예문: 想在森林里呆下去 (숲 속에서 계속 머무르고 싶다)
이 문장에서는 '呆下去'가 '머무르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44 | 00:02:34,875 → 00:02:36,791
就别那么天真
📝 한어병음
jiù bié nà me tiān zhēn
🇰🇷 한글번역
그렇게 순진하게 굴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别 bié ~하지 마라 HSK2
那么 nàme 그렇게, 그처럼 HSK3
天真 tiānzhēn 순진하다, 천진난만하다 HSK5

📚 문법
부정 명령문: "别"는 "~하지 마라"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권유하거나 명령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别 + 동사/형용사 (그렇게 순진하게 굴지 마라)
자막 #45 | 00:02:40,166 → 00:02:43,166
但总有一些兔子始终学不会
📝 한어병음
dàn zǒng yǒu yī xiē tù zǐ shǐ zhōng xué bù huì
🇰🇷 한글번역
하지만 항상 배우지 못하는 토끼들이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但 dàn 그러나 HSK3 总 zǒng 항상, 늘 HSK3 兔子 tù zi 토끼 HSK4 始终 shǐ zhōng 시종일관, 처음부터 끝까지 HSK5 学 xué 배우다 HSK1 会 huì 할 수 있다 HSK2

📚 문법
부사 "总" 사용: "总"은 '항상', '늘'의 의미로, 어떤 상황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을 나타냅니다.
예문: 总有一些兔子始终学不会 (항상 몇몇 토끼는 시종일관 배우지 못한다)
자막 #46 | 00:02:43,916 → 00:02:44,666
比如我
📝 한어병음
bǐ rú wǒ
🇰🇷 한글번역
예를 들어, 나 같은 사람
🎯 AI 분석 결과
🔍 어휘
比如 bǐ rú 예를 들어 HSK3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예시문: "比如我"는 "예를 들어, 나"라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예시를 들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比如"는 뒤에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47 | 00:02:56,000 → 00:02:57,083
没上车呢
📝 한어병음
méi shàng chē ne
🇰🇷 한글번역
아직 차에 타지 않았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아직 ~않다 HSK2 上车 shàng chē 차에 타다 HSK2 呢 ne ~하고 있다 (진행형) HSK1

📚 문법
진행형 문장: 중국어에서 진행 중인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呢 (아직 차에 타고 있지 않다)
자막 #48 | 00:03:16,375 → 00:03:18,750
老子让你停车 你咋不停
📝 한어병음
lǎo zǐ ràng nǐ tíng chē nǐ zǎ bù tíng
🇰🇷 한글번역
내가 너한테 차 세우라고 했는데 왜 안 세워?
🎯 AI 분석 결과
🔍 어휘
老子 lǎo zi 아버지, 나 (자신을 낮추거나 높일 때) 让 ràng ~하게 하다, 시키다 HSK2 停车 tíng chē 차를 세우다 HSK3 咋 zǎ 어떻게, 왜 (방언) 不停 bù tíng 멈추지 않다 HSK3

📚 문법
- 使役문: "让"은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거나 허락할 때 사용합니다. "让 + 주어 + 동사"의 형태로 쓰입니다. (예: 老子让你停车 - 내가 너에게 차를 세우라고 했다)
- 반어문: "咋"는 방언으로 "왜" 또는 "어떻게"의 의미를 가지며, 주로 의문문에서 사용됩니다. (예: 你咋不停 - 너 왜 멈추지 않니?)
자막 #49 | 00:03:19,083 → 00:03:20,000
📝 한어병음
tíng
🇰🇷 한글번역
정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停 tíng 멈추다, 정지하다 HSK3

📚 문법
단독 동사: "停"은 동작이나 상태의 중지를 나타내는 동사로, 문장에서 주로 단독으로 사용되어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멈추는 것을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车停了"는 "차가 멈췄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50 | 00:03:22,916 → 00:03:24,125
怎么回事啊
📝 한어병음
zěn me huí shì a
🇰🇷 한글번역
무슨 일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回事 huí shì 일, 사건 (회화체에서 '怎么回事'는 '무슨 일이야?'로 사용됨)

📚 문법
의문문: '怎么回事'는 상황이나 사건에 대해 궁금할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무슨 일이야?' 또는 '어떻게 된 거야?'라는 뜻입니다. '怎么'는 방법이나 원인을 묻는 의문사로 사용됩니다.
자막 #51 | 00:03:24,125 → 00:03:25,666
你这车怎么开的嘛
📝 한어병음
nǐ zhè chē zěn me kāi de ma
🇰🇷 한글번역
너 이 차 어떻게 운전하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车 chē 차, 자동차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开 kāi 운전하다, 열다 HSK1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원인을 묻는 의문사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怎么 + 동사 (너는 어떻게 차를 운전한 거야?)

이 문장은 상대방의 운전 방식에 대한 놀라움이나 불만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52 | 00:03:25,875 → 00:03:27,125
别动我了
📝 한어병음
bié dòng wǒ liǎo
🇰🇷 한글번역
건드리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动 dòng 움직이다 HSK3 我 wǒ 나 HSK1 了 le 완료, 변화의 의미를 나타냄 HSK1

📚 문법
"别 + 동사": 금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하지 마라"라는 뜻입니다. 이 문장에서 "别动我了"는 "나를 건드리지 마라"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멈추도록 요청하는 표현입니다. "了"는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상황의 변화를 강조합니다.
자막 #53 | 00:03:27,750 → 00:03:29,041
你怎么能打人呢
📝 한어병음
nǐ zěn me néng dǎ rén ne
🇰🇷 한글번역
너 어떻게 사람을 때릴 수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打 dǎ 때리다 HSK3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反问句: 중국어에서 반문을 통해 상대방의 행동이나 상황을 비판하거나 의문을 제기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怎么 + 能 + 동사 + 呢 (너는 어떻게 사람을 때릴 수 있니?)

이 문장은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비판적인 질문을 던지는 형태입니다.
자막 #54 | 00:03:29,500 → 00:03:30,250
住手
📝 한어병음
zhù shǒu
🇰🇷 한글번역
멈춰!
🎯 AI 분석 결과
🔍 어휘
住手 zhù shǒu 멈추다, 그만두다 HSK6

📚 문법
명령문: "住手"는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멈추도록 명령하는 표현입니다. 주로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자막 #55 | 00:03:30,250 → 00:03:31,458
你这么做是不对的
📝 한어병음
nǐ zhè me zuò shì bù duì de
🇰🇷 한글번역
당신이 이렇게 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么 zhème 이렇게 HSK3 做 zuò 하다 HSK1 是 shì 이다 HSK1 不对 bùduì 틀리다 HSK3

📚 문법
判断句: 중국어에서 상태나 사실을 판단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是 + 서술어 (너는 이렇게 하는 것이 틀리다)

이 문장에서 "是"는 상태나 사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자막 #56 | 00:03:37,958 → 00:03:39,083
关你屁事
📝 한어병음
guān nǐ pì shì
🇰🇷 한글번역
네가 상관할 바 아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关 guān 관계되다 HSK2 你 nǐ 너 HSK1 屁事 pì shì 하찮은 일 (비속어)

📚 문법
이 문장은 비속어 표현으로, 누군가의 간섭이나 질문에 대해 무례하게 "네가 상관할 일이 아니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중국어에서 비속어는 상황에 따라 매우 무례하게 들릴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자막 #57 | 00:03:39,750 → 00:03:41,041
你看 这是公共场所
📝 한어병음
nǐ kàn zhè shì gōng gòng chǎng suǒ
🇰🇷 한글번역
이봐, 여기는 공공장소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 kàn 보다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公共场所 gōnggòng chǎngsuǒ 공공장소 HSK4

📚 문법
这是句: 중국어에서 사물이나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这 + 是 + 명사 (이것은 공공장소이다)
자막 #58 | 00:03:41,041 → 00:03:42,250
这还有这么多人呢
📝 한어병음
zhè hái yǒu zhè me duō rén ne
🇰🇷 한글번역
여기 사람 정말 많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还 hái 아직, 여전히 HSK2 有 yǒu 있다 HSK1 这么 zhème 이렇게, 이만큼 HSK3 多 duō 많다 HSK1 人 rén 사람 HSK1 呢 ne ~네 (문장 끝에 쓰여 상태의 지속을 나타냄) HSK2

📚 문법
状态 지속 표현: "呢"는 문장 끝에 사용되어 상태의 지속이나 현재 진행 중인 상황을 나타냅니다.
예: 这还有这么多人呢 (여기 아직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있네)
자막 #59 | 00:03:42,250 → 00:03:43,250
这 难道你
📝 한어병음
zhè nán dào nǐ
🇰🇷 한글번역
이거 설마 너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难道 nándào 설마 HSK4 你 nǐ 너 HSK1

📚 문법
反问句: 반문문은 상대방의 생각이나 기대와 반대되는 질문을 통해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难道 + 주어 + 동사 + 吗? (설마 네가 그렇게 생각하니?)
자막 #60 | 00:03:49,083 → 00:03:50,375
不害怕吗
📝 한어병음
bù hài pà ma
🇰🇷 한글번역
무섭지 않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 ~하지 않다 HSK1 害怕 hài pà 두려워하다, 무서워하다 HSK3 吗 ma ~니?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의문문: "吗"는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 문장 끝에 붙여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두렵지 않니?)

이 문장은 상대방의 감정이나 상태에 대해 물어보는 간단한 의문문입니다.
자막 #61 | 00:03:53,208 → 00:03:54,458
你们快去报警
📝 한어병음
nǐ men kuài qù bào jǐng
🇰🇷 한글번역
빨리 경찰에 신고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们 nǐmen 너희들 HSK1 快 kuài 빨리 HSK2 去 qù 가다 HSK1 报警 bàojǐng 경찰에 신고하다 HSK4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동사 앞에 부사나 형용사를 사용하여 긴급성을 강조합니다.
형태: 주어 + 快 + 동사 (너희들 빨리 가서 경찰에 신고해라)
자막 #62 | 00:03:54,458 → 00:03:55,875
我来拖住他
📝 한어병음
wǒ lái tuō zhù tā
🇰🇷 한글번역
내가 그를 붙잡을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来 lái 오다 HSK1 拖住 tuō zhù 붙잡다, 끌다 (HSK 비급수) 他 tā 그 HSK1

📚 문법
동사+결과보어: 동작의 결과를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住 (나는 그를 붙잡겠다)
자막 #63 | 00:03:55,875 → 00:03:56,833
你别想跑
📝 한어병음
nǐ bié xiǎng pǎo
🇰🇷 한글번역
도망갈 생각하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别 bié ~하지 마라 HSK2 想 xiǎng 생각하다 HSK2 跑 pǎo 달리다 HSK3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금지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형태: 别 + 동사 (너는 달아날 생각하지 마라)
자막 #64 | 00:04:26,666 → 00:04:28,250
你胆子还挺大的
📝 한어병음
nǐ dǎn zǐ hái tǐng dà de
🇰🇷 한글번역
너 정말 대담하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胆子 dǎn zi 담력, 용기 HSK4 还 hái 꽤, 아직도 HSK3 挺 tǐng 매우, 꽤 HSK4 大 dà 크다 HSK1

📚 문법
정도부사: '还'와 '挺'은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로, '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너의 용기가 꽤 크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형태: 주어 + 还/挺 + 형용사 (너는 용기가 꽤 크다)
자막 #65 | 00:04:30,166 → 00:04:31,791
我平时不这样
📝 한어병음
wǒ píng shí bù zhè yàng
🇰🇷 한글번역
저는 평소에 이렇지 않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平时 píng shí 평소, 보통 때 HSK4 不 bù 아니다, 않다 HSK1 这样 zhè yàng 이렇게, 이와 같이 HSK3

📚 문법
부정문: 중국어에서 '不'는 현재나 미래의 상황을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不 + 동사/형용사 (나는 평소에 이렇게 하지 않는다)
자막 #66 | 00:04:33,666 → 00:04:34,875
我叫周微雨
📝 한어병음
wǒ jiào zhōu wēi yǔ
🇰🇷 한글번역
저는 주미우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叫 jiào 부르다, 이름이 ~이다 HSK1 周 zhōu 주 (성씨) HSK4 微雨 wēi yǔ 가랑비 (고유명사, 일반적인 HSK 급수 없음)

📚 문법
주어 + 叫 + 이름: 자신의 이름을 소개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주어 + 叫 + 이름 (나는 ~라고 불린다)
자막 #67 | 00:04:34,875 → 00:04:35,541
你呢
📝 한어병음
nǐ ne
🇰🇷 한글번역
너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당신 HSK1 呢 ne ~는요? (문장 끝에 쓰여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呢: 문장 끝에 쓰여, 앞에서 언급된 내용을 바탕으로 질문을 하거나, 상대방에게 동일한 질문을 되묻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你呢?"는 "너는?" 또는 "당신은?"이라는 의미로, 앞서 언급된 주제에 대해 상대방의 의견이나 상태를 묻는 표현입니다.
자막 #68 | 00:04:36,250 → 00:04:37,583
坦白从宽
📝 한어병음
tǎn bái cóng kuān
🇰🇷 한글번역
자백하면 관대하게 처리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坦白 tǎnbái 솔직히 말하다 HSK6 从宽 cóngkuān 관대하게 대하다 HSK6

📚 문법
관용 표현: "坦白从宽"은 중국어에서 주로 법률적 상황에서 사용되는 관용 표현으로, 잘못을 솔직히 인정하면 처벌을 가볍게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표현은 주로 법적 맥락에서 사용되지만,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솔직함과 관대함을 강조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막 #69 | 00:04:37,583 → 00:04:38,291
📝 한어병음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주어: 문장의 주체로, 동작을 수행하는 사람이나 사물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我"가 주어로 사용되어 '나'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70 | 00:04:38,291 → 00:04:39,375
万一帆
📝 한어병음
wàn yī fān
🇰🇷 한글번역
만일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万 wàn 만, 10000 HSK3 一 yī 하나 HSK1 帆 fān 돛, 범선 (HSK에 포함되지 않음)

📚 문법
이 문장은 특정 문법 패턴을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단어의 조합으로 인해 이름이나 고유 명사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万一帆"은 일반적인 문맥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표현이므로, 특정 인명이나 브랜드명일 수 있습니다.
자막 #71 | 00:04:58,083 → 00:04:59,333
还没下班呐
📝 한어병음
hái méi xià bān nà
🇰🇷 한글번역
아직 퇴근 안 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아직 HSK2 没 méi ~않다 HSK1 下班 xià bān 퇴근하다 HSK3 呢 ne ~하고 있다 (진행형) HSK1

📚 문법
진행형: 중국어에서 동작이나 상태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呢 (아직 퇴근하지 않았다)
자막 #72 | 00:04:59,333 → 00:05:01,083
再晚就赶不上火车了
📝 한어병음
zài wǎn jiù gǎn bù shàng huǒ chē liǎo
🇰🇷 한글번역
더 늦으면 기차를 놓칠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再 zài 다시, 더 HSK2 晚 wǎn 늦다 HSK2 赶 gǎn 서두르다 HSK4 上 shàng 타다 HSK1 火车 huǒ chē 기차 HSK2

📚 문법
"就"의 사용: "就"는 결과나 결론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再晚就赶不上火车了"에서 "就"가 "만약 더 늦으면"이라는 조건 하에 "기차를 못 탄다"는 결과를 강조합니다.

결과보어 "不上": "赶不上"에서 "不上"은 동작의 결과가 부정적임을 나타냅니다. 즉, "기차를 타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자막 #73 | 00:05:01,458 → 00:05:02,875
没呢 但快了啊
📝 한어병음
méi ne dàn kuài liǎo a
🇰🇷 한글번역
아직 아니지만 곧 될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아직 ~않다 HSK2 快 kuài 빠르다, 곧 HSK2

📚 문법
부정문: "没"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이나 상태가 아직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没 + 동사 (아직 ~하지 않았다)

"快"는 '곧'이라는 의미로, 어떤 일이 곧 일어날 것임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자막 #74 | 00:05:02,875 → 00:05:05,125
等我把手头上这活干完
📝 한어병음
děng wǒ bǎ shǒu tóu shàng zhè huó gān wán
🇰🇷 한글번역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을 끝내고 나서
🎯 AI 분석 결과
🔍 어휘
等 děng 기다리다 HSK2 我 wǒ 나, 저 HSK1 手头 shǒutóu 현재, 지금 活 huó 일, 작업 HSK3 干完 gàn wán 끝내다, 완료하다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을 끝내다)

이 문장은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을 끝내고 나서"라는 의미로, 어떤 일을 마무리한 후에 다른 행동을 할 것임을 나타냅니다.
자막 #75 | 00:05:05,125 → 00:05:06,583
咱俩车站见
📝 한어병음
zán liǎ chē zhàn jiàn
🇰🇷 한글번역
우리 둘이 역에서 만나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俩 zán liǎ 우리 둘 HSK5 车站 chē zhàn 정류장, 역 HSK3 见 jiàn 만나다 HSK1

📚 문법
주어 + 장소 + 동사: 중국어에서 주어가 특정 장소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구조입니다.
형태: 주어 + 장소 + 동사 (우리 둘은 정류장에서 만난다)
자막 #76 | 00:05:08,208 → 00:05:09,833
这盒挺漂亮啊
📝 한어병음
zhè hé tǐng piāo liàng a
🇰🇷 한글번역
이 상자 정말 예쁘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盒 hé 상자 HSK4 挺 tǐng 매우, 꽤 HSK4 漂亮 piàoliang 예쁘다, 아름답다 HSK3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강조를 나타냄 HSK2

📚 문법
감탄문: 감탄이나 놀라움을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형용사 + 啊 (이 상자는 정말 예쁘다)
자막 #77 | 00:05:09,833 → 00:05:10,750
谁送的
📝 한어병음
shuí sòng de
🇰🇷 한글번역
누가 보낸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谁 shéi 누구 HSK1 送 sòng 보내다, 선물하다 HSK2 的 de ~의 (관형어를 만드는 구조조사) HSK1

📚 문법
의문문: "谁"는 '누구'라는 뜻으로, 주로 의문문에서 사용됩니다. 이 문장은 '누가 보냈니?'라는 의미로, 주어가 불분명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형태: 의문사 + 동사 + 的 (누가 보낸 것이니?)
자막 #78 | 00:05:10,750 → 00:05:12,833
这个是我给小雨准备的
📝 한어병음
zhè gè shì wǒ gěi xiǎo yǔ zhǔn bèi de
🇰🇷 한글번역
이것은 내가 소우를 위해 준비한 것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我 wǒ 나, 저 HSK1 给 gěi ~에게 HSK2 小雨 Xiǎoyǔ 샤오위 (이름)

📚 문법
这是句: 중국어에서 주어가 사물이나 사람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这个 + 是 + 주어 + 给 + 대상 + 준비한 것 (이것은 내가 샤오위에게 준비한 것이다)
자막 #79 | 00:05:12,833 → 00:05:14,125
求婚礼物
📝 한어병음
qiú hūn lǐ wù
🇰🇷 한글번역
청혼 선물
🎯 AI 분석 결과
🔍 어휘
求 qiú 요구하다, 부탁하다 HSK3 婚礼 hūn lǐ 결혼식 HSK4 礼物 lǐ wù 선물 HSK3

📚 문법
명사구: "求婚礼物"은 "청혼 선물"이라는 의미로, 명사 "求婚"과 "礼物"이 결합된 형태입니다. "求婚"은 "청혼하다"라는 의미로, "礼物"과 함께 사용되어 특정 상황에서 주고받는 선물을 의미합니다.
자막 #80 | 00:05:14,416 → 00:05:15,958
你跟小雨要定下来了
📝 한어병음
nǐ gēn xiǎo yǔ yào dìng xià lái liǎo
🇰🇷 한글번역
너와 샤오위는 정착할 계획이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跟 gēn ~와 함께 HSK2 小雨 Xiǎoyǔ 샤오위 (인명) 要 yào ~하려고 하다 HSK1 定下来 dìng xià lái 정착하다, 결정하다

📚 문법
동사 + 起来/下来: 동작의 시작이나 지속, 또는 완료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예문에서 "定下来"는 어떤 결정이나 상태가 확정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너와 샤오위가 정착하려고 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81 | 00:05:15,958 → 00:05:16,583
对呀
📝 한어병음
duì ya
🇰🇷 한글번역
맞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맞다, 그렇다 HSK1 呀 ya 문장 끝에 쓰여 부드러움을 나타냄 HSK3

📚 문법
어기조사 "呀": 문장 끝에 사용되어 부드러움이나 감탄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对呀"는 "맞아요" 또는 "그렇죠"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말에 동의하거나 긍정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82 | 00:05:16,916 → 00:05:17,625
这不
📝 한어병음
zhè bù
🇰🇷 한글번역
이게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这不是"는 "이것은 아니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83 | 00:05:17,625 → 00:05:19,000
她外公八十大寿嘛
📝 한어병음
tā wài gōng bā shí dà shòu ma
🇰🇷 한글번역
그녀의 외할아버지 팔순 생신이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她 tā 그녀의 HSK1 外公 wàigōng 외할아버지 HSK5 八十 bāshí 팔십 HSK2 大寿 dàshòu 생신, 장수 HSK6

📚 문법
주어 + 명사구: 이 문장은 주어(她)와 명사구(外公八十大寿)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녀의 외할아버지가 팔십 번째 생신을 맞이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嘛'는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설명이나 이유를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84 | 00:05:19,000 → 00:05:20,583
我得跟她回去一趟
📝 한어병음
wǒ dé gēn tā huí qù yī tàng
🇰🇷 한글번역
나는 그녀와 함께 한 번 돌아가야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得 děi ~해야 한다 HSK3 跟 gēn ~와 함께 HSK2 她 tā 그녀 HSK1 回去 huí qù 돌아가다 HSK2 一趟 yí tàng 한 번, 한 차례 HSK4

📚 문법
동사 중첩: "回去一趟"에서 "一趟"은 동작의 횟수를 나타내며, '한 번'이라는 의미를 더해줍니다. 이는 동사의 빈도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형태: 동사 + 一趟 (나는 그녀와 함께 한 번 돌아가야 한다)
자막 #85 | 00:05:21,000 → 00:05:22,333
等见完她父母
📝 한어병음
děng jiàn wán tā fù mǔ
🇰🇷 한글번역
그녀의 부모님을 만나고 나서
🎯 AI 분석 결과
🔍 어휘
等 děng 기다리다 HSK2 见 jiàn 만나다 HSK1 完 wán 끝나다, 완료하다 HSK2 她 tā 그녀 HSK1 父母 fùmǔ 부모 HSK3

📚 문법
동사 중첩: "见完"에서 "见"은 '만나다'라는 동사이고, "完"은 '완료하다'라는 결과보어로 사용되어 동작의 완료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결과보어 (만남이 완료되다)

이 문장은 "그녀의 부모님을 만나고 나서"라는 의미로, 어떤 행위가 완료된 후 다음 행동을 암시하는 구조입니다.
자막 #86 | 00:05:22,333 → 00:05:23,291
就跟她求婚
📝 한어병음
jiù gēn tā qiú hūn
🇰🇷 한글번역
그녀에게 청혼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跟 gēn ~와 함께 HSK1 她 tā 그녀 HSK1 求婚 qiú hūn 청혼하다 HSK5

📚 문법
동사 + 목적어: 중국어에서 동사 뒤에 목적어가 바로 오는 구조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청혼하다 + 그녀에게)
자막 #87 | 00:05:23,291 → 00:05:25,375
那你放假前再帮我看一下代码呗
📝 한어병음
nà nǐ fàng jiǎ qián zài bāng wǒ kàn yī xià dài mǎ bài
🇰🇷 한글번역
그러면 휴가 전에 내 코드 좀 봐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HSK1 放假 fàng jià 방학하다, 휴가를 보내다 HSK3 前 qián 전에 HSK2 帮 bāng 돕다 HSK2

看 kàn 보다 HSK1 一下 yí xià 좀, 잠시 HSK2 代码 dài mǎ 코드 HSK5 呗 bei ~해라 (권유) HSK6

📚 문법
- "再"의 사용: "再"는 '다시' 또는 '추가로'의 의미로, 동사 앞에 위치하여 반복이나 추가적인 행동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再帮我看一下"로 '다시 한 번 봐줘'라는 의미입니다.
- "一下"의 사용: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이 짧게 이루어짐을 나타냅니다. "看一下"는 '잠깐 보다'라는 의미입니다.
- "呗"의 사용: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가벼운 권유나 제안을 나타냅니다. "代码呗"는 '코드를 봐줘'라는 부드러운 요청입니다.
자막 #88 | 00:05:25,375 → 00:05:26,458
我这都卡两天了
📝 한어병음
wǒ zhè dōu kǎ liǎng tiān liǎo
🇰🇷 한글번역
나 이틀째 막혔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都 dōu 모두, 이미 HSK1 卡 kǎ 막히다, 끊기다 (문맥상) 两 liǎng 둘 HSK1 天 tiān 날, 하루 HSK1

📚 문법
시간의 지속: "卡两天了"는 어떤 상태가 이미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시간 + 了 (상태가 이미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됨을 강조)
예문: 我这都卡两天了 (나는 이틀 동안이나 막혀 있다)
자막 #89 | 00:05:26,458 → 00:05:28,541
那你得请我吃饭再送我俩皮肤啊
📝 한어병음
nà nǐ dé qǐng wǒ chī fàn zài sòng wǒ liǎ pí fū a
🇰🇷 한글번역
그러면 너는 나에게 밥을 사주고 스킨 두 개를 선물해야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请 qǐng 초대하다 HSK2 吃饭 chī fàn 밥을 먹다 HSK1 送 sòng 주다, 선물하다 HSK3 俩 liǎ 둘, 두 명 HSK4 皮肤 pí fū 피부 HSK5

📚 문법
"得"字句: "得"는 필요나 필수성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得 + 동사 (너는 나를 초대해야 한다)

"再"의 사용: "再"는 어떤 동작이 후속적으로 발생함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再 + 동사 (밥을 먹고 나서 두 개의 피부를 선물해야 한다)
자막 #90 | 00:05:28,541 → 00:05:29,833
没问题
📝 한어병음
méi wèn tí
🇰🇷 한글번역
문제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아니다 HSK1 问题 wèn tí 문제 HSK2

📚 문법
부정문: "没"는 과거의 경험이나 사건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문제가 없다"라는 표현에서 "没"는 "없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91 | 00:05:31,750 → 00:05:32,666
你看啊
📝 한어병음
nǐ kàn a
🇰🇷 한글번역
봐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 kàn 보다 HSK1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를 나타냄 HSK1

📚 문법
语气助词: "啊"는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상대방에게 주의를 끌거나 어떤 것을 보여주고 싶을 때 사용됩니다.
자막 #92 | 00:05:32,666 → 00:05:34,250
先检查寻路算法
📝 한어병음
xiān jiǎn chá xún lù suàn fǎ
🇰🇷 한글번역
먼저 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점검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先 xiān 먼저 HSK2 检查 jiǎnchá 검사하다, 점검하다 HSK3 寻路 xún lù 길을 찾다 算法 suànfǎ 알고리즘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동작을 지시하거나 요청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먼저 길 찾기 알고리즘을 점검하세요)

이번 문장에서 "先"은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며, "检查"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寻路算法"은 점검의 대상이 되는 목적어입니다.
자막 #93 | 00:05:34,250 → 00:05:36,208
NavMesh源数据是否正确
📝 한어병음
N a v M e s h yuán shù jù shì fǒu zhèng què
🇰🇷 한글번역
NavMesh 원본 데이터가 올바른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源数据 yuán shù jù 원시 데이터 HSK6 是否 shì fǒu ~인지 아닌지 HSK4 正确 zhèng què 정확하다 HSK4

📚 문법
是否문: 중국어에서 "A인지 아닌지"를 묻는 질문 형식입니다.
형태: 주어 + 是否 + 동사/형용사 (NavMesh 원시 데이터가 정확한지 아닌지)

이 문장은 NavMesh의 원시 데이터가 정확한지를 묻는 질문입니다. "是否"는 "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주로 의문문에서 사용됩니다.
자막 #94 | 00:05:36,208 → 00:05:38,166
网格划分是否正常
📝 한어병음
wǎng gé huà fēn shì fǒu zhèng cháng
🇰🇷 한글번역
그리드 분할이 정상적인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网格 wǎng gé 격자, 그리드 HSK6 划分 huà fēn 구분하다, 나누다 HSK5 是否 shì fǒu ~인지 아닌지 HSK4 正常 zhèng cháng 정상적인 HSK4

📚 문법
A是否B: 중국어에서 "A가 B인지 아닌지"를 묻는 의문문 형태입니다.
형태: 주어 + 是否 + 동사/형용사 (격자 구분이 정상적인지)
자막 #95 | 00:05:38,166 → 00:05:41,416
然后去Detour Crowd里打断点单步调试
📝 한어병음
rán hòu qù D e t o u r C r o w d lǐ dǎ duàn diǎn dān bù tiáo shì
🇰🇷 한글번역
그런 다음 Detour Crowd에서 중단점을 설정하고 단계별로 디버깅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然后 ránhòu 그런 다음 HSK3 去 qù 가다 HSK1 里 lǐ 안, 속 HSK1 打断 dǎ duàn 중단하다, 끊다 HSK4 调试 tiáoshì 디버깅하다 HSK6

📚 문법
- 然后: 순서를 나타내는 접속사로, 앞의 행동이 끝난 후 다음 행동을 소개할 때 사용합니다. (그리고 나서)
- 里: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 '안, 속'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 打断: 동사로, 어떤 행동이나 과정을 중단하거나 끊을 때 사용합니다. 문맥에 따라 '방해하다'라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96 | 00:05:42,333 → 00:05:44,083
这不就妥了吗 叫哥
📝 한어병음
zhè bù jiù tuǒ liǎo ma jiào gē
🇰🇷 한글번역
이제 됐잖아, 형이라고 불러.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不 bù 아니다 HSK1 妥 tuǒ 적절하다, 알맞다 HSK4 叫 jiào 부르다 HSK1 哥 gē 형, 오빠 HSK2

📚 문법
- 反问句: 중국어에서 반문하는 형식으로,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예: 这不就妥了吗? (이렇게 하면 되지 않나요?)
- 명령문: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요청하거나 지시할 때 사용합니다.
예: 叫哥 (형이라고 불러)
자막 #97 | 00:05:44,083 → 00:05:45,791
还得是你啊哥
📝 한어병음
hái dé shì nǐ a gē
🇰🇷 한글번역
역시 형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여전히, 역시 HSK2
得 děi ~해야 한다 HSK3
是 shì ~이다 HSK1
你 nǐ 너 HSK1
哥 gē 형, 오빠 HSK3

📚 문법
감탄문: 이 문장은 감탄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역시 너구나, 형!"이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능력이나 역할을 칭찬하거나 인정할 때 사용합니다. "还得是"는 어떤 상황에서 특정 인물이나 사물이 가장 적합하거나 뛰어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자막 #98 | 00:05:46,291 → 00:05:48,125
你们俩表现不错啊
📝 한어병음
nǐ men liǎ biǎo xiàn bù cuò a
🇰🇷 한글번역
너희 둘 다 잘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们 nǐmen 너희들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表现 biǎoxiàn 표현하다, 나타내다 HSK4 不错 bùcuò 괜찮다, 좋다 HSK3 啊 a ~아, ~야 (감탄, 강조) HSK2

📚 문법
- 俩: 숫자 '둘'을 의미하며, 주로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你们俩"는 "너희 둘"이라는 의미입니다.
- "不错"는 긍정적인 평가를 나타내며, "괜찮다" 또는 "좋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 啊: 문장 끝에 붙어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여기서는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감탄을 나타냅니다.
자막 #99 | 00:05:48,375 → 00:05:49,916
这方案是你们俩做的
📝 한어병음
zhè fāng àn shì nǐ men liǎ zuò de
🇰🇷 한글번역
이 계획은 당신들 둘이 만든 건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方案 fāng'àn 방안, 계획 HSK4 是 shì ~이다 HSK1 你们 nǐmen 너희들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做 zuò 하다, 만들다 HSK1

📚 문법
주어 + 是 + 명사구: 중국어에서 '是'는 주어와 명사구를 연결하여 '주어는 ~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이 방안은 너희 둘이 만든 것이다"라는 의미로, 주어(방안)와 설명(너희 둘이 만든 것)을 연결합니다.
자막 #100 | 00:05:50,250 → 00:05:52,250
我参与了 所以效率比较高
📝 한어병음
wǒ cān yǔ liǎo suǒ yǐ xiào lǜ bǐ jiào gāo
🇰🇷 한글번역
제가 참여해서 효율이 비교적 높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参与 cānyù 참여하다 HSK4 所以 suǒyǐ 그래서 HSK3 效率 xiàolǜ 효율 HSK5 比较 bǐjiào 비교적 HSK3 高 gāo 높다 HSK1

📚 문법
결과 원인 구조: "所以"는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접속사로 사용됩니다.
형태: 원인 + 所以 + 결과 (내가 참여했기 때문에 효율이 비교적 높다)
자막 #101 | 00:05:52,250 → 00:05:53,375
做的跟狗屎一样
📝 한어병음
zuò de gēn gǒu shǐ yī yàng
🇰🇷 한글번역
엉망진창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做 zuò 하다, 만들다 HSK1 跟 gēn ~와 같은 HSK2 狗屎 gǒu shǐ 개똥 (속어) 一样 yí yàng 같다 HSK2

📚 문법
비교문: "跟"은 "~와 같은"이라는 의미로, 비교 대상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A + 跟 + B + 一样 (A는 B와 같다)

이 문장에서 "做的跟狗屎一样"은 "한 것이 개똥과 같다"라는 의미로, 무엇인가를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02 | 00:05:53,375 → 00:05:54,791
确实参与的也不多
📝 한어병음
què shí cān yǔ de yě bù duō
🇰🇷 한글번역
참여한 사람도 많지 않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确实 què shí 확실히, 정말로 HSK4 参与 cān yù 참여하다 HSK5 也 yě 또한 HSK1 不多 bù duō 많지 않다 HSK3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형태: 主语 + 不 + 동사/형용사 (참여한 사람도 많지 않다)

"也"는 '또한', '역시'의 의미로, 앞 문장의 내용을 이어받아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03 | 00:05:57,333 → 00:05:58,916
公司的理念知道吗
📝 한어병음
gōng sī de lǐ niàn zhī dào ma
🇰🇷 한글번역
회사의 이념을 알고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公司 gōng sī 회사 HSK3 理念 lǐ niàn 이념, 철학 HSK6 知道 zhī dào 알다 HSK2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는 일반적으로 문장의 끝에 "吗"를 붙여서 의문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회사의 이념을 아나요?)
자막 #104 | 00:05:58,916 → 00:06:01,000
把最好的游戏送给玩家
📝 한어병음
bǎ zuì hǎo de yóu xì sòng gěi wán jiā
🇰🇷 한글번역
최고의 게임을 플레이어에게 선사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把 bǎ 을/를 HSK3
最好 zuì hǎo 가장 좋은 HSK3
游戏 yóu xì 게임 HSK3
送 sòng 보내다, 선물하다 HSK3
玩家 wán jiā 플레이어, 게이머 HSK6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가장 좋은 게임을 플레이어에게 선물하다)

이 문장에서 "把"는 "게임"이라는 목적어가 "플레이어에게 선물하다"라는 동작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자막 #105 | 00:06:01,000 → 00:06:03,250
是扒最好的游戏送给玩家
📝 한어병음
shì bā zuì hǎo de yóu xì sòng gěi wán jiā
🇰🇷 한글번역
가장 좋은 게임을 플레이어에게 선물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扒 pá 벗기다, 뜯다 HSK6 最好 zuì hǎo 가장 좋다 HSK3 游戏 yóu xì 게임 HSK3 送 sòng 보내다, 선물하다 HSK3 给 gěi ~에게 HSK2 玩家 wán jiā 플레이어, 게이머 HSK5

📚 문법
是字句: 중국어에서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주어의 속성을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是 + 서술어 (이것은 가장 좋은 게임이다)

给字句: '给'는 수여 동사로, 동작의 대상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给 + 대상 (플레이어에게 선물하다)
자막 #106 | 00:06:03,250 → 00:06:04,666
你不是代码大神吗
📝 한어병음
nǐ bù shì dài mǎ dà shén ma
🇰🇷 한글번역
너 코드의 신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不是 bù shì 아니다 HSK1 代码 dàimǎ 코드 HSK4 大神 dàshén 고수, 대가 (일반적인 표현)

📚 문법
부정문: "不是"는 "아니다"라는 의미로, 주어가 어떤 상태나 신분이 아님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명사/형용사 (너는 코드의 대가가 아니다)
자막 #107 | 00:06:04,666 → 00:06:06,791
你找个最火的游戏扒一下
📝 한어병음
nǐ zhǎo gè zuì huǒ de yóu xì bā yī xià
🇰🇷 한글번역
가장 인기 있는 게임을 찾아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找 zhǎo 찾다 HSK2 最 zuì 가장 HSK2 火 huǒ 인기 있는, 핫한 HSK4 游戏 yóu xì 게임 HSK3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동사로 시작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너는 가장 인기 있는 게임을 찾아봐)

이 문장에서 "扒一下"는 "한번 파헤쳐보다"라는 의미로, 어떤 대상을 깊이 있게 조사하거나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막 #108 | 00:06:07,125 → 00:06:08,541
我们这个是自主创新的
📝 한어병음
wǒ men zhè gè shì zì zhǔ chuàng xīn de
🇰🇷 한글번역
우리는 이것이 자주 혁신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这个 zhège 이것 HSK1 自主 zìzhǔ 자주적인 HSK6 创新 chuàngxīn 혁신하다 HSK5

📚 문법
주어 + 是 + 명사구: 중국어에서 '是'는 영어의 'is/am/are'와 유사한 역할을 하며, 주어와 명사구를 연결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우리 이것은 자주적인 혁신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09 | 00:06:08,541 → 00:06:10,875
有很多玩家看了都会眼前一亮的
📝 한어병음
yǒu hěn duō wán jiā kàn liǎo dōu huì yǎn qián yī liàng de
🇰🇷 한글번역
많은 플레이어들이 보고 나서 눈이 번쩍 뜨일 것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很多 hěn duō 많은 HSK2 玩家 wán jiā 플레이어 HSK6 看 kàn 보다 HSK1 眼前 yǎn qián 눈앞 HSK5

📚 문법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입니다. 여기서는 "看了"로 사용되어, "보았다" 또는 "봤다"라는 완료된 동작을 표현합니다.

형용사 + 的: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眼前一亮的"로 사용되어, "눈앞이 환해지는"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10 | 00:06:10,875 → 00:06:12,875
你这条路根本就走不通
📝 한어병음
nǐ zhè tiáo lù gēn běn jiù zǒu bù tōng
🇰🇷 한글번역
이 길은 전혀 통하지 않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 HSK1 条 tiáo (양사) 길, 강 등을 셀 때 사용 HSK3 路 lù 길 HSK2 根本 gēn běn 전혀, 근본적으로 HSK4 走不通 zǒu bù tōng 통하지 않다, 막히다

📚 문법
부정문: "根本 + 동사 + 不 + 동사"는 어떤 일이 전혀 가능하지 않음을 강조합니다.
예문: "这条路根本就走不通" (이 길은 전혀 통하지 않는다)
자막 #111 | 00:06:13,125 → 00:06:14,375
成熟点吧
📝 한어병음
chéng shú diǎn ba
🇰🇷 한글번역
철들어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成熟 chéng shú 성숙하다, 익다 HSK4 点 diǎn 좀, 약간 HSK3 吧 ba ~하자, ~해라 (권유, 제안) HSK1

📚 문법
권유문: 중국어에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권유하거나 제안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형용사 + 点 + 吧 (좀 성숙해져라)
자막 #112 | 00:06:15,541 → 00:06:16,333
九点之前
📝 한어병음
jiǔ diǎn zhī qián
🇰🇷 한글번역
아홉 시 이전에
🎯 AI 분석 결과
🔍 어휘
九 jiǔ 아홉 HSK1 点 diǎn 시, 점 HSK1 之 zhī ~의 HSK4 前 qián 앞, 이전 HSK2

📚 문법
시간 표현: 중국어에서 시간을 나타낼 때 숫자와 단위를 사용하여 구체적인 시간을 표현합니다.
형태: 숫자 + 点 (예: 九点 - 9시)
"之前"은 "~이전"이라는 의미로, 특정 시간이나 사건의 이전을 나타냅니다. (예: 九点之前 - 9시 이전)
자막 #113 | 00:06:16,333 → 00:06:17,583
交给我一个新方案
📝 한어병음
jiāo gěi wǒ yī gè xīn fāng àn
🇰🇷 한글번역
새로운 방안을 저에게 맡겨 주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交 jiāo 넘기다, 건네다 HSK3
给 gěi ~에게, 주다 HSK2
我 wǒ 나, 저 HSK1
新 xīn 새로운 HSK2
方案 fāng'àn 방안, 계획 HSK4

📚 문법
동사 + 给: '주다'라는 의미로, 어떤 것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거나 전달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给 + 대상 (나에게 새로운 방안을 넘겨주세요)

이 문장에서는 "交给"가 '넘기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새로운 방안을 나에게 전달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자막 #114 | 00:06:20,416 → 00:06:22,666
-想干不想干啦 -我高铁
📝 한어병음
- xiǎng gān bù xiǎng gān lā - wǒ gāo tiě
🇰🇷 한글번역
- 할 거야 말 거야? - 나 고속철도 타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想 xiǎng 생각하다, 하고 싶다 HSK2 干 gàn 하다, 일하다 HSK4 高铁 gāo tiě 고속철도 HSK5

📚 문법
- 想干不想干: "하고 싶니 안 하고 싶니?"라는 의미로, 선택을 묻는 표현입니다. 중국어에서 동사 앞에 "想"을 붙여 하고 싶은지 여부를 묻는 경우가 많습니다.
- 我高铁: "나는 고속철도"라는 의미로, 문맥상 "나는 고속철도를 타야 한다" 또는 "고속철도를 이용할 것이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주어와 목적어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문맥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막 #115 | 00:06:23,500 → 00:06:25,416
我刚才愤然离席
📝 한어병음
wǒ gāng cái fèn rán lí xí
🇰🇷 한글번역
나는 방금 화가 나서 자리를 떠났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刚才 gāng cái 방금, 막 HSK3
愤然 fèn rán 분연히 (화가 나서 갑자기)
离席 lí xí 자리를 뜨다, 퇴장하다

📚 문법
부사 사용: "刚才"는 과거의 짧은 순간을 나타내며, 동사 앞에 위치하여 방금 일어난 일을 강조합니다. (예: 방금 자리를 떴다)
분사구문: "愤然"은 감정 상태를 나타내며, 주어의 행동 방식이나 태도를 설명합니다. (예: 화가 나서 자리를 떴다)
자막 #116 | 00:06:25,416 → 00:06:27,125
就是为了给这个二货一点压力
📝 한어병음
jiù shì wèi liǎo gěi zhè gè èr huò yī diǎn yā lì
🇰🇷 한글번역
바로 이 멍청이에게 약간의 압박을 주기 위해서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是 shì ~이다 HSK1 为了 wèi le ~을 위해 HSK3 给 gěi 주다 HSK2 压力 yā lì 압력, 스트레스 HSK4

📚 문법
"为了" 구문: 목적을 나타내는 구문으로, '~을 위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형태: 为了 + 목적 + 동사 (이 문장에서는 '이 바보에게 약간의 압력을 주기 위해서'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17 | 00:06:27,125 → 00:06:29,958
不然这孙子还真忘了欠咱们两个月工资呢
📝 한어병음
bù rán zhè sūn zǐ hái zhēn wàng liǎo qiàn zán men liǎng gè yuè gōng zī ne
🇰🇷 한글번역
아니면 이 녀석이 정말로 우리에게 두 달 치 월급을 빚졌다는 걸 잊어버릴 수도 있겠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然 bùrán 그렇지 않으면 HSK4 孙子 sūnzi 손자, (속어) 멍청이 HSK5 还 hái 여전히, 아직도 HSK2 真 zhēn 정말로 HSK3 忘 wàng 잊다 HSK3

📚 문법
조건문: "不然"은 조건문에서 사용되어 "그렇지 않으면"이라는 의미로 앞의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면 뒤의 결과가 발생할 것임을 나타냅니다.
형태: 조건 + 不然 + 결과 (그렇지 않으면 이 사람은 정말로 우리가 두 달 치 월급을 빚지고 있다는 것을 잊었을 것이다)
자막 #118 | 00:06:29,958 → 00:06:31,541
反正不管他说什么
📝 한어병음
fǎn zhèng bù guǎn tā shuō shén me
🇰🇷 한글번역
어쨌든 그가 무슨 말을 하든지 간에
🎯 AI 분석 결과
🔍 어휘
反正 fǎnzhèng 어차피, 하여간에 HSK4 不管 bùguǎn 상관없이, ~든지 HSK4 他 tā 그, 그 사람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什么 shénme 무엇, 어떤 HSK1

📚 문법
"不管...": 조건절을 나타내며, 어떤 상황이나 조건에도 불구하고 결과가 변하지 않음을 강조합니다.
형태: 不管 + 조건 + 都/也 + 결과 (어떤 말을 하든지 간에)
자막 #119 | 00:06:31,916 → 00:06:33,166
对的永远都是对的
📝 한어병음
duì de yǒng yuǎn dōu shì duì de
🇰🇷 한글번역
옳은 것은 언제나 옳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맞다, 옳다 HSK2 永远 yǒng yuǎn 영원히 HSK4 都是 dōu shì 모두 ~이다 HSK2

📚 문법
중국어에서 "对的永远都是对的"는 "옳은 것은 언제나 옳다"라는 의미로, 어떤 것이 옳다고 판단되면 그 판단은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여기서 "对的"는 형용사 "对"에 '的'를 붙여 명사처럼 사용한 형태입니다. "永远"은 시간의 지속성을 강조하는 부사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20 | 00:06:33,416 → 00:06:34,416
我得离开这儿
📝 한어병음
wǒ dé lí kāi zhè ér
🇰🇷 한글번역
나는 여기를 떠나야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得 děi ~해야 한다 HSK3
离开 lí kāi 떠나다 HSK3
这儿 zhèr 여기 HSK2

📚 문법
- 得字句: '得'는 필요나 의무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해야 한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문장 구조: 주어 + 得 + 동사 + 목적어 (나는 여기를 떠나야 한다)
자막 #121 | 00:06:35,041 → 00:06:36,208
你真走啊
📝 한어병음
nǐ zhēn zǒu a
🇰🇷 한글번역
정말 가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真 zhēn 정말로 HSK2 走 zǒu 가다 HSK1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강조를 나타냄 HSK2

📚 문법
감탄문: "啊"는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정말로 가는 거야?"라는 놀라움이나 확인의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자막 #122 | 00:06:36,208 → 00:06:37,458
我在路上做方案
📝 한어병음
wǒ zài lù shàng zuò fāng àn
🇰🇷 한글번역
나는 길에서 계획을 세우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在 zài ~에서, ~에 HSK1 路上 lù shàng 길 위에서, 도중에 HSK4 做 zuò 하다, 만들다 HSK1 方案 fāng'àn 계획, 방안 HSK5

📚 문법
장소 부사구: "在"는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사로, 동작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명시합니다.
형태: 主어 + 在 + 장소 + 동사 (나는 길 위에서 계획을 세운다)

이 문장에서는 "在路上"가 동작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나타내며, "做方案"은 그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행동을 설명합니다.
자막 #123 | 00:06:37,458 → 00:06:39,208
要不然我赶不上高铁了
📝 한어병음
yào bù rán wǒ gǎn bù shàng gāo tiě liǎo
🇰🇷 한글번역
그렇지 않으면 고속철도를 놓칠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要不然 yào bù rán 그렇지 않으면 HSK4 我 wǒ 나 HSK1 赶 gǎn 서두르다, 쫓다 HSK4 上 shàng 타다 HSK1 高铁 gāo tiě 고속철도 HSK5

📚 문법
조건문: "要不然"은 "그렇지 않으면"이라는 뜻으로, 앞의 상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결과를 설명하는 조건문입니다.
형태: 상황 + 要不然 + 결과 (내가 서두르지 않으면 고속철도를 놓칠 것이다)
자막 #124 | 00:06:41,333 → 00:06:43,791
雨太大了我没赶上车
📝 한어병음
yǔ tài dà liǎo wǒ méi gǎn shàng chē
🇰🇷 한글번역
비가 너무 많이 와서 차를 놓쳤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雨 yǔ 비 HSK1 太 tài 너무 HSK2 大 dà 크다, 심하다 HSK1 没 méi ~하지 않다 HSK2 赶上 gǎn shàng (시간에) 대다, 따라잡다 HSK4 车 chē 차 HSK1

📚 문법
부정문: "没"는 과거의 경험이나 완료되지 않은 동작을 부정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没 + 동사 + 목적어 (나는 차를 타지 못했다)

정도부사: "太"는 정도가 지나치게 높음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太 + 형용사 (비가 너무 많이 왔다)
자막 #125 | 00:06:43,791 → 00:06:46,208
这大过节的也没有改签的票了
📝 한어병음
zhè dà guò jié de yě méi yǒu gǎi qiān de piào liǎo
🇰🇷 한글번역
이 큰 명절에는 변경할 수 있는 표도 없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大 dà 크다, 매우 HSK1 过节 guò jié 명절을 보내다 HSK4 改签 gǎi qiān 표를 변경하다 (HSK 비급수) 票 piào 표 HSK3

📚 문법
没有: 부정문을 만들 때 사용되며, '없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형태: 주어 + 没有 + 명사/동사 (표를 변경할 수 있는 표가 없다)

这大过节的: '이 명절에'라는 의미로, 특정 시기나 상황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这 + 시기/상황 + 的 (이 명절에)
자막 #126 | 00:06:46,208 → 00:06:47,875
他两张火车票都整不明白
📝 한어병음
tā liǎng zhāng huǒ chē piào dōu zhěng bù míng bái
🇰🇷 한글번역
그는 두 장의 기차표를 모두 이해하지 못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HSK1 两 liǎng 두 HSK1 张 zhāng 장 (종이, 표 등을 세는 단위) HSK3 火车票 huǒ chē piào 기차표 HSK4 都 dōu 모두 HSK1 整 zhěng 정리하다, 이해하다 (문맥상) HSK5 不明白 bù míng bái 이해하지 못하다 HSK2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不明白"로 "이해하지 못하다"라는 뜻을 형성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不 + 형용사/동사 (그는 이해하지 못한다)
자막 #127 | 00:06:47,875 → 00:06:49,291
怎么混的啊在那
📝 한어병음
zěn me hùn de a zài nà
🇰🇷 한글번역
거기서 어떻게 지내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混 hùn 지내다, 살다 HSK4 的 de ~의 (구조조사) HSK1 在 zài ~에, ~에서 HSK1 那 nà 그곳, 저기 HSK1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원인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怎么 + 동사 (어떻게 ~하니?)
예문: 你怎么去学校?(너는 어떻게 학교에 가니?)

위 문장에서 "怎么混的啊在那"는 "그곳에서 어떻게 지내고 있니?"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128 | 00:06:49,291 → 00:06:51,625
关键时刻还得是你爹吧
📝 한어병음
guān jiàn shí kè hái dé shì nǐ diē ba
🇰🇷 한글번역
결정적인 순간에는 역시 네 아버지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关键 guān jiàn 관건, 중요한 HSK4 时刻 shí kè 순간, 시각 HSK5 还得 hái děi 여전히 필요하다 (구어체) 是 shì ~이다 HSK1 你 nǐ 너 HSK1 爹 diē 아버지 (구어체)

📚 문법
- 还得: 구어체로 "여전히 필요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특정 상황에서 어떤 것이 여전히 필요하거나 중요함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 是: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동사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너의 아버지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29 | 00:06:51,625 → 00:06:52,791
这样吧
📝 한어병음
zhè yàng ba
🇰🇷 한글번역
그렇게 하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样 zhèyàng 이렇게, 이와 같이 HSK2 吧 ba ~하자, ~해라 (제안, 명령) HSK1

📚 문법
제안문: "吧"는 제안이나 권유의 의미를 더하는 어기조사입니다.
형태: 문장 + 吧 (이렇게 하자)
자막 #130 | 00:06:52,791 → 00:06:54,791
明天我和你妈接你去
📝 한어병음
míng tiān wǒ hé nǐ mā jiē nǐ qù
🇰🇷 한글번역
내일 나랑 너희 엄마가 널 데리러 갈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明天 míng tiān 내일 HSK1 我 wǒ 나 HSK1 和 hé 그리고 HSK1 你 nǐ 너 HSK1 妈 mā 엄마 HSK1 接 jiē 맞이하다, 마중하다 HSK3 去 qù 가다 HSK1

📚 문법
병렬구조: "我和你妈"는 두 개의 주어가 병렬로 나열된 구조입니다. 이는 "나와 너의 엄마"라는 의미로, 두 사람이 함께 행동을 취할 것임을 나타냅니다.

미래 시제: "明天"은 시간 부사로, 문장 전체가 미래에 일어날 일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중국어에서는 별도의 시제 변화 없이 시간 부사로 미래를 나타냅니다.
자막 #131 | 00:06:54,791 → 00:06:55,166
📝 한어병음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 bà 아빠 HSK1

📚 문법
명사: '爸'는 가족 구성원을 나타내는 명사로, '아빠'를 의미합니다. 기본적인 가족 호칭 중 하나로,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32 | 00:06:55,166 → 00:06:56,666
正好我要上你那办点事去
📝 한어병음
zhèng hǎo wǒ yào shàng nǐ nà bàn diǎn shì qù
🇰🇷 한글번역
마침 당신에게 가서 일을 좀 보려고 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正好 zhèng hǎo 마침 HSK4 要 yào ~하려고 하다 HSK1 上 shàng 가다 HSK1 办 bàn 처리하다, 하다 HSK3 事 shì 일 HSK1

📚 문법
정확한 시점이나 상황을 나타내는 표현: "正好"는 어떤 일이 일어나기에 적절한 시점이나 상황을 나타내며, "마침"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 "正好"는 화자가 어떤 일을 하기에 적절한 시점임을 강조합니다.

동사 중첩: "办点事"에서 "办"은 '처리하다'라는 의미의 동사이고, "点"은 '조금'이라는 의미로, '조금의 일을 처리하다'라는 뜻입니다. 이는 동작의 경미함이나 간단함을 나타냅니다.
자막 #133 | 00:06:56,666 → 00:06:58,041
你呢 到时候收拾好行李
📝 한어병음
nǐ ne dào shí hòu shōu shí hǎo xíng lǐ
🇰🇷 한글번역
너는 그때 짐을 잘 챙겨.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呢 ne ~는요? HSK1 到时候 dào shí hòu 그때가 되면 HSK4 收拾 shōu shi 정리하다, 치우다 HSK4 行李 xíng lǐ 짐 HSK3

📚 문법
呢: 문장 끝에 쓰여 의문을 나타내거나, 상대방의 상태나 의견을 물을 때 사용합니다.
到时候: 특정 시점이나 상황을 언급할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그때가 되면"이라는 의미로, 미래의 특정 시점을 가리킬 때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34 | 00:06:58,041 → 00:06:59,583
直接下来 咱上车咱就走
📝 한어병음
zhí jiē xià lái zán shàng chē zán jiù zǒu
🇰🇷 한글번역
바로 내려와. 우리 차에 타고 바로 출발하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直接 zhíjiē 직접 HSK4 下来 xiàlái 내려오다 HSK3 咱 zán 우리 HSK6 上车 shàng chē 차에 타다 HSK2 走 zǒu 가다 HSK1

📚 문법
- 直接 (zhíjiē): 부사로 사용되어 '직접'이라는 의미를 전달하며, 행동이나 동작이 중간 단계 없이 바로 이루어짐을 나타냅니다.
- 咱 (zán): '우리'라는 뜻으로, 화자와 청자를 모두 포함하는 대명사입니다.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동사구: "上车就走"는 '차에 타자마자 바로 가다'라는 의미로, '동사 + 就 (jiù) + 동사' 구조는 앞의 동작이 완료되면 즉시 다음 동작이 이어짐을 나타냅니다.
자막 #135 | 00:06:59,583 → 00:07:00,583
那一帆呢
📝 한어병음
nà yī fān ne
🇰🇷 한글번역
그 한 척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 HSK1 一 yī 하나 HSK1 帆 fān 돛 HSK5 呢 ne ~는요? HSK1

📚 문법
呢: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 사용되는 조사로, 앞에 나온 문장이나 상황을 이어받아 질문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呢? (그는 어디 있나요?)
자막 #136 | 00:07:00,583 → 00:07:01,791
谁 厨子啊
📝 한어병음
shuí chú zǐ a
🇰🇷 한글번역
누가 요리사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谁 shéi 누구 HSK2 厨子 chú zi 요리사, 주방장 HSK6 啊 a 어조사,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 동의를 나타냄 HSK1

📚 문법
의문문: "谁"는 의문대명사로, 주어 또는 목적어로 사용되어 '누구'를 묻는 질문을 형성합니다.
형태: 谁 + (동사) + (목적어)? (누가 요리사인가요?)
자막 #137 | 00:07:01,791 → 00:07:03,916
他不是愿意搁家做饭吗 你让他搁家做饭呗
📝 한어병음
tā bù shì yuàn yì gē jiā zuò fàn ma nǐ ràng tā gē jiā zuò fàn bài
🇰🇷 한글번역
그가 집에서 요리하는 걸 좋아하지 않나? 그럼 집에서 요리하게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HSK1 不是 bù shì 아니다 HSK1 愿意 yuànyì 원하다, 바라다 HSK3 搁 gē 놓다, 두다 (방언) 家 jiā 집 HSK1

📚 문법
反问句: 중국어에서 부정의문문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동사/형용사 + 吗? (그가 집에서 요리하는 것을 원하지 않나요?)

命令句: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권유하거나 명령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你 + 동사 + 呗 (너는 그가 집에서 요리하게 해)
자막 #138 | 00:07:03,916 → 00:07:04,875
这车上有狗
📝 한어병음
zhè chē shàng yǒu gǒu
🇰🇷 한글번역
이 차에는 개가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곳 HSK1 车 chē 차, 차량 HSK1 上 shàng 위, ~에 HSK1 有 yǒu 있다 HSK1 狗 gǒu 개 HSK2

📚 문법
존재문: 중국어에서 어떤 사물이나 사람이 특정 장소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장소 + 有 + 존재하는 것 (이 차에 개가 있다)

이 문장은 특정 장소(차) 안에 무엇(개)이 존재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자막 #139 | 00:07:04,875 → 00:07:05,583
没地坐他
📝 한어병음
méi dì zuò tā
🇰🇷 한글번역
앉을 자리가 없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HSK1 地 dì 곳, 장소 HSK1 坐 zuò 앉다 HSK1 他 tā 그, 그 사람 HSK1

📚 문법
부정문: "没"는 주로 과거의 경험이나 완료되지 않은 상태를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문장 구조: 주어 + 没 + 동사 (앉을 자리가 없다)

이 문장은 "앉을 자리가 없다"는 의미로, 주어진 상황에서 앉을 수 있는 공간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140 | 00:07:05,583 → 00:07:06,916
阿力能占多大地儿
📝 한어병음
ā lì néng zhàn duō dà dì ér
🇰🇷 한글번역
알리는 얼마나 큰 땅을 차지할 수 있을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力 Ālì 알리 (인명)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占 zhàn 차지하다 HSK4 多大 duō dà 얼마나 큰 HSK1 地儿 dìr 장소, 공간 (구어체)

📚 문법
의문문: "多大"는 크기나 양을 묻는 질문에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能 + 동사 + 多大 + 명사 (알리는 얼마나 큰 공간을 차지할 수 있나요?)
자막 #141 | 00:07:06,916 → 00:07:09,250
那怎么的 我说点话还有情绪啊是怎么
📝 한어병음
nà zěn me de wǒ shuō diǎn huà hái yǒu qíng xù a shì zěn me
🇰🇷 한글번역
그게 뭐 어때서 내가 말 좀 하고 감정 표현하는 게 뭐 어때서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话 huà 말 HSK1 情绪 qíngxù 감정, 기분 HSK5

📚 문법
- 疑问句: "怎么"는 의문문에서 사용되어 방법이나 이유를 묻습니다. 여기서는 "어떻게"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还有: "还有"는 "또한" 또는 "게다가"라는 의미로, 앞뒤 문장을 연결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자막 #142 | 00:07:09,250 → 00:07:10,875
这怎么还跟我甩上脸子了呢在这
📝 한어병음
zhè zěn me hái gēn wǒ shuǎi shàng liǎn zǐ liǎo ne zài zhè
🇰🇷 한글번역
여기서 왜 나한테 화를 내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跟 gēn ~와/과 HSK2 我 wǒ 나 HSK1 甩 shuǎi 흔들다, 내던지다 (문맥상 '화내다'로 해석 가능) HSK4

📚 문법
- "怎么"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이유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의문을 나타냅니다.
- "跟"의 사용: "~와/과"의 의미로, 어떤 대상과의 관계나 동작의 대상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나와"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43 | 00:07:10,875 → 00:07:12,250
一帆不去我也不去
📝 한어병음
yī fān bù qù wǒ yě bù qù
🇰🇷 한글번역
한 사람이 가지 않으면 나도 가지 않겠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帆 yī fān 한결같다, 순조롭다 HSK6 不 bù 아니다, ~않다 HSK1 去 qù 가다 HSK1 我 wǒ 나 HSK1 也 yě 또한, 역시 HSK1

📚 문법
对比句: 두 가지 상황을 비교하거나 대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A + 不 + 동사, B + 也 + 不 + 동사 (일반적으로 A가 하지 않으면 B도 하지 않는다는 뜻을 전달합니다)
예문: 一帆不去我也不去 (이판이 가지 않으면 나도 가지 않는다)
자막 #144 | 00:07:12,250 → 00:07:13,791
行了 你少说两句吧
📝 한어병음
xíng liǎo nǐ shǎo shuō liǎng jù ba
🇰🇷 한글번역
됐어, 너 말 좀 줄여.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괜찮다, 좋다 HSK1 你 nǐ 너 HSK1 少 shǎo 적게 HSK3 说 shuō 말하다 HSK1 两 liǎng 둘, 두 개 HSK2 句 jù 문장 HSK4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 吧 (제안이나 명령의 어감을 부드럽게 함)
예문: 你少说两句吧 (너는 말을 조금만 줄여라)
자막 #145 | 00:07:14,166 → 00:07:15,000
行了 闺女
📝 한어병음
xíng liǎo guī nǚ
🇰🇷 한글번역
됐어, 딸.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了 xíng le 됐다, 괜찮다 HSK2 闺女 guī nǚ 딸, 소녀 HSK6

📚 문법
"行了"는 동작이나 상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됐어", "괜찮아"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闺女"는 '딸' 또는 '소녀'를 의미하며, 주로 친근한 호칭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146 | 00:07:15,000 → 00:07:15,583
这样
📝 한어병음
zhè yàng
🇰🇷 한글번역
이렇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样 yàng 모양, 방식 HSK3

📚 문법
指示代词: "这样"은 '이렇게', '이와 같이'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를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这"는 지시 대명사로 '이것'을, "样"은 '모양'이나 '방식'을 나타냅니다. 두 단어가 결합하여 특정한 방식이나 상태를 설명합니다.
자막 #147 | 00:07:15,583 → 00:07:17,208
我跟你爸说啊 不说了
📝 한어병음
wǒ gēn nǐ bà shuō a bù shuō liǎo
🇰🇷 한글번역
나는 너희 아빠에게 말했어, 더 이상 말하지 않을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跟 gēn ~와/과 HSK2 你 nǐ 너 HSK1 爸 bà 아빠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 동사 중첩: "说啊 不说了"에서 "说"를 반복하여 사용하여 동작의 시도를 나타냅니다. 이는 "말하려고 했지만, 말하지 않기로 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跟": 전치사로 사용되어 "~와/과"의 의미를 나타내며, 대상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너의 아빠와"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48 | 00:07:18,375 → 00:07:19,208
宝贝
📝 한어병음
bǎo bèi
🇰🇷 한글번역
자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宝贝 bǎo bèi 보물, 귀염둥이 HSK4

📚 문법
명사: '宝贝'는 주로 사랑하는 사람이나 소중한 물건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를 부를 때 '宝贝'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막 #149 | 00:07:19,625 → 00:07:21,458
我的魅力你还不知道吗
📝 한어병음
wǒ de mèi lì nǐ hái bù zhī dào ma
🇰🇷 한글번역
내 매력을 아직 모르시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的 de ~의 HSK1 魅力 mèi lì 매력 HSK5 你 nǐ 너 HSK1 还 hái 아직 HSK2 不知道 bù zhī dào 알지 못하다 HSK1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는 문장의 끝에 "吗"를 붙여 의문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술어 + 목적어 + 吗? (너는 아직 내 매력을 모르니?)
자막 #150 | 00:07:21,458 → 00:07:23,083
我一定拿下你爸
📝 한어병음
wǒ yī dìng ná xià nǐ bà
🇰🇷 한글번역
반드시 네 아버지를 설득할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一定 yí dìng 반드시 HSK3 拿下 ná xià 차지하다, 얻다 (일반적인 표현) 你 nǐ 너 HSK1 爸 bà 아빠 HSK1

📚 문법
주어 + 副词 + 동사 + 목적어: 이 문장은 주어(나)와 부사(반드시), 동사(차지하다), 목적어(너의 아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一定"은 동사의 강도를 강조하여 '반드시'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51 | 00:07:28,625 → 00:07:29,666
干嘛那么紧张
📝 한어병음
gān ma nà me jǐn zhāng
🇰🇷 한글번역
왜 그렇게 긴장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干嘛 gàn má 왜, 무엇 때문에 (구어체) 那么 nà me 그렇게, 그토록 HSK3 紧张 jǐn zhāng 긴장하다 HSK4

📚 문법
의문문: "干嘛"는 구어체에서 "왜" 또는 "무엇 때문에"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상대방의 행동이나 상태에 대한 이유를 묻는 질문을 형성합니다.
형태: 干嘛 + 동사/형용사 (왜 그렇게 긴장해?)
자막 #152 | 00:07:29,666 → 00:07:30,791
满头大汗的
📝 한어병음
mǎn tóu dà hàn de
🇰🇷 한글번역
땀을 뻘뻘 흘리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满头 mǎn tóu 온 머리, 머리 전체 - 일반적으로 땀이나 물 등으로 가득 찬 상태를 표현할 때 사용
大汗 dà hàn 많은 땀, 땀을 많이 흘리다 - 일반적인 표현

📚 문법
형용사구: "满头大汗"은 형용사구로, '온 머리에 많은 땀'이라는 뜻으로, 매우 더운 상황이나 긴장된 상황에서 땀을 많이 흘리는 상태를 묘사합니다. 이 표현은 상태를 강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자막 #153 | 00:07:30,791 → 00:07:33,125
你说你爸到底喜欢什么样的人啊
📝 한어병음
nǐ shuō nǐ bà dào dǐ xǐ huān shén me yàng de rén a
🇰🇷 한글번역
너희 아버지는 도대체 어떤 사람을 좋아하시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爸 bà 아빠 HSK1 到底 dàodǐ 도대체 HSK4 喜欢 xǐhuān 좋아하다 HSK1 什么 shénme 무슨, 어떤 HSK1 样 yàng 모양, 스타일 HSK3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정반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을 강조하거나 명확한 답변을 요구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到底 + 의문문 (너는 도대체 네 아빠가 어떤 사람을 좋아하는지 말해줄래?)

'到底'는 질문의 핵심을 강조하며, 상대방에게 명확한 답변을 요구하는 뉘앙스를 줍니다.
자막 #154 | 00:07:33,125 → 00:07:34,958
成熟稳重一点的吧
📝 한어병음
chéng shú wěn zhòng yī diǎn de ba
🇰🇷 한글번역
성숙하고 차분한 쪽으로 하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成熟 chéng shú 성숙하다 HSK4 稳重 wěn zhòng 신중하다, 침착하다 HSK5 一点 yī diǎn 조금 HSK2 的 de ~의 (관형어) HSK1 吧 ba ~하자 (제안) HSK1

📚 문법
정도보어: 중국어에서 형용사 뒤에 '一点'을 사용하여 정도를 약간 낮추거나 부드럽게 만드는 표현입니다.
형태: 형용사 + 一点 (조금 더 성숙하고 신중하게 하자)
자막 #155 | 00:07:35,375 → 00:07:37,208
那我这个干游戏开发的
📝 한어병음
nà wǒ zhè gè gān yóu xì kāi fā de
🇰🇷 한글번역
그럼 저는 게임 개발을 하고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그럼 HSK2 我 wǒ 나, 저 HSK1 这个 zhè ge 이것 HSK1 干 gàn 하다, 종사하다 HSK4 游戏 yóu xì 게임 HSK3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중국어에서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여기서 "我"는 주어, "干"은 동사, "游戏开发"는 목적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문장은 "나는 게임 개발을 한다"는 뜻입니다.
자막 #156 | 00:07:37,208 → 00:07:39,583
是不是不太符合他的标准啊
📝 한어병음
shì bù shì bù tài fú hé tā de biāo zhǔn a
🇰🇷 한글번역
그의 기준에 맞지 않는 건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不 bù 아니다 HSK1 太 tài 너무 HSK2 符合 fúhé 부합하다 HSK4 标准 biāozhǔn 기준 HSK4

📚 문법
정반의문문: "是不是"는 중국어에서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제시하여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是不是 + 문장 (그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건가요?)
자막 #157 | 00:07:39,583 → 00:07:41,416
那一会他要是问起你工作的事情
📝 한어병음
nà yī huì tā yào shì wèn qǐ nǐ gōng zuò de shì qíng
🇰🇷 한글번역
그때 그가 너의 일에 대해 물어본다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 저 HSK1 一会 yī huì 잠시, 잠깐 HSK3 他 tā 그, 그 사람 HSK1 要是 yào shì 만약 HSK4 问起 wèn qǐ 물어보다 (문맥상) HSK4

📚 문법
조건절: "要是"는 중국어에서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만약 ~라면"이라는 뜻입니다.
형태: 要是 + 조건 + 주어 + 동사 (만약 그가 너의 일에 대해 물어본다면)

"问起"는 "问"의 결과보어로, 어떤 주제에 대해 물어보는 상황을 강조합니다.
자막 #158 | 00:07:41,416 → 00:07:43,333
你能不提就别提呗
📝 한어병음
nǐ néng bù tí jiù bié tí bài
🇰🇷 한글번역
굳이 말하지 않아도 될 것 같으면 말하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不 bù 아니다 HSK1 提 tí 언급하다 HSK4 别 bié ~하지 마라 HSK2

📚 문법
祈使句: 명령이나 요청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主어 + 能 + 동사 + 就 + 别 + 동사 + 呗 (할 수 있으면 언급하지 마)

"呗"는 구어체에서 사용되어 상대방에게 부드럽게 제안하거나 권유할 때 쓰입니다.
자막 #159 | 00:07:46,333 → 00:07:48,416
那个穿黑衣服的就是我爸
📝 한어병음
nà gè chuān hēi yī fu de jiù shì wǒ bà
🇰🇷 한글번역
저기 검은 옷을 입은 사람이 바로 우리 아빠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个 nà ge 저것, 그것 HSK2 穿 chuān 입다 HSK2 黑 hēi 검정 HSK3 衣服 yī fu 옷 HSK1 就是 jiù shì 바로 ~이다 HSK3 我 wǒ 나 HSK1 爸 bà 아빠 HSK1

📚 문법
명사구: "那个穿黑衣服的"는 "검은 옷을 입은 저 사람"이라는 의미로, '的'를 사용하여 명사구를 형성합니다. '的'는 형용사나 동사구가 명사를 수식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관형어) + 的 + 명사 (검은 옷을 입은 사람)
자막 #160 | 00:07:52,250 → 00:07:53,541
我去买张膏药遮纹身
📝 한어병음
wǒ qù mǎi zhāng gāo yào zhē wén shēn
🇰🇷 한글번역
나는 문신을 가리기 위해 파스를 사러 간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去 qù 가다 HSK1 买 mǎi 사다 HSK2 张 zhāng 장(종이 등을 세는 단위) HSK3 膏药 gāo yào 파스, 고약

遮 zhē 가리다, 덮다 HSK4 纹身 wén shēn 문신 HSK5

📚 문법
- 동사 + 목적어: 중국어에서 일반적인 문장 구조로, 동사가 먼저 오고 그 뒤에 목적어가 옵니다. (예: 买张膏药 - 파스를 사다)
- "去 + 동사": 어떤 행동을 하러 간다는 의미로, "去" 뒤에 동사가 와서 목적을 나타냅니다. (예: 去买 - 사러 가다)
자막 #161 | 00:07:53,541 → 00:07:54,666
免得他又啰嗦
📝 한어병음
miǎn dé tā yòu luō suō
🇰🇷 한글번역
그가 또 잔소리하지 않도록
🎯 AI 분석 결과
🔍 어휘
免得 miǎn de ~하지 않도록 HSK5 他 tā 그, 그 사람 HSK1 又 yòu 또, 다시 HSK2 啰嗦 luō suo 잔소리하다, 말이 많다 HSK6

📚 문법
목적을 나타내는 문장: "免得"는 어떤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형태: 동사/행위 + 免得 + 결과 (그가 또 잔소리하지 않도록)
자막 #162 | 00:07:54,666 → 00:07:55,916
你在这等我啊
📝 한어병음
nǐ zài zhè děng wǒ a
🇰🇷 한글번역
여기서 나 기다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在 zài ~에 있다 HSK1 这 zhè 여기 HSK1 等 děng 기다리다 HSK2 我 wǒ 나 HSK1 啊 a 문장 끝에 쓰여 어기를 나타냄 HSK3

📚 문법
- 语气助词 "啊": 문장 끝에 쓰여 어기를 나타내며, 감탄, 명령, 제안 등의 어조를 부드럽게 해줍니다. 여기서는 상대방에게 기다려 달라는 부탁의 의미를 부드럽게 전달합니다.
- 위치 표현: "在 + 장소" 형태로 "~에 있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在这"가 "여기에서"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63 | 00:08:02,583 → 00:08:04,083
大姐 我帮你吧
📝 한어병음
dà jiě wǒ bāng nǐ ba
🇰🇷 한글번역
언니, 제가 도와드릴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大姐 dà jiě 큰언니, 누나 HSK5 我 wǒ 나 HSK1 帮 bāng 돕다 HSK2 你 nǐ 너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이 문장은 기본적인 주어-동사-목적어 구조를 따르고 있습니다. "我帮你"는 "내가 너를 도와줄게"라는 의미로, 주어 "我"가 동사 "帮"을 통해 목적어 "你"에게 행위를 수행하는 형태입니다.
자막 #164 | 00:08:04,875 → 00:08:06,375
这都放上去是吧
📝 한어병음
zhè dōu fàng shàng qù shì ba
🇰🇷 한글번역
이거 다 올리는 거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都 dōu 모두 HSK1 放 fàng 놓다, 두다 HSK2 上去 shàng qù 올라가다 HSK3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是吧: 문장의 끝에 "吧"를 붙여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확인하는 표현입니다.
형태: 陈述句 + 是吧 (이것을 모두 올려놓는 것이죠?)
자막 #165 | 00:08:07,333 → 00:08:08,291
-谢谢啊 -没事
📝 한어병음
- xiè xiè a - méi shì
🇰🇷 한글번역
- 고마워요 - 괜찮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谢谢 xièxie 감사합니다 HSK1 没事 méi shì 괜찮다, 문제없다 HSK2

📚 문법
간단한 대화문: 이 문장은 일상적인 감사와 이에 대한 응답을 나타냅니다. "谢谢"는 "감사합니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没事"는 "괜찮다" 또는 "문제없다"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감사를 겸손하게 받아들이는 표현입니다.
자막 #166 | 00:08:16,250 → 00:08:17,916
老板 老板 老板
📝 한어병음
lǎo bǎn lǎo bǎn lǎo bǎn
🇰🇷 한글번역
사장님 사장님 사장님
🎯 AI 분석 결과
🔍 어휘
老板 lǎobǎn 사장, 주인 HSK3

📚 문법
중복 표현: 중국어에서 특정 단어를 반복하여 감정이나 강조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老板"을 세 번 반복하여 주목을 끌거나 긴급한 상황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167 | 00:08:18,208 → 00:08:19,666
这长豆角验收之后
📝 한어병음
zhè cháng dòu jiǎo yàn shōu zhī hòu
🇰🇷 한글번역
이 긴 강낭콩은 검수 후에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HSK1 长豆角 cháng dòu jiǎo 긴 강낭콩 (일반적인 어휘) 验收 yàn shōu 검사하다, 검수하다 (일반적인 어휘) 之后 zhī hòu 이후 HSK3

📚 문법
时间 부사구: "之后"는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며, 어떤 사건이나 행동이 끝난 후를 의미합니다.
형태: 사건/행동 + 之后 (긴 강낭콩을 검수한 후에)
자막 #168 | 00:08:19,666 → 00:08:21,000
你就说卸了卸了
📝 한어병음
nǐ jiù shuō xiè liǎo xiè liǎo
🇰🇷 한글번역
그냥 없애라고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就 jiù 곧, 바로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卸 xiè 내리다, 풀다 HSK6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 동사 반복 (강조)
예문에서 "卸了卸了"는 "내려라, 내려라"라는 의미로, 동사를 반복하여 명령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169 | 00:08:21,000 → 00:08:22,375
你不能赖账啊
📝 한어병음
nǐ bù néng lài zhàng a
🇰🇷 한글번역
너 돈 떼먹으면 안 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不能 bù néng ~할 수 없다 HSK2 赖账 lài zhàng 돈을 떼어먹다, 빚을 갚지 않다 HSK6 啊 a 문장 끝에 쓰여 어기를 나타냄 HSK1

📚 문법
부정문: "不能"은 능력이나 허락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부정 표현입니다.
형태: 주어 + 不能 + 동사 (너는 돈을 떼어먹을 수 없다)
자막 #170 | 00:08:22,375 → 00:08:24,125
我说的是谢了 谢了
📝 한어병음
wǒ shuō de shì xiè liǎo xiè liǎo
🇰🇷 한글번역
고마워, 고마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是 shì ~이다 HSK1 谢 xiè 감사하다 HSK2

📚 문법
중첩 표현: "谢了 谢了"는 "감사합니다"를 강조하기 위한 중첩 표현입니다. 중국어에서는 감정이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단어를 반복하여 사용합니다. 이 경우, "谢谢" 대신 "谢了 谢了"를 사용하여 감사의 마음을 더 강하게 표현합니다.
자막 #171 | 00:08:24,125 → 00:08:25,333
谢谢了
📝 한어병음
xiè xiè liǎo
🇰🇷 한글번역
감사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谢谢 xièxiè 감사합니다 HSK1 了 le 완료, 변화 HSK1

📚 문법
了: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형태: 동사 + 了 (감사합니다)
자막 #172 | 00:08:25,333 → 00:08:26,166
老板
📝 한어병음
lǎo bǎn
🇰🇷 한글번역
사장님
🎯 AI 분석 결과
🔍 어휘
老板 lǎo bǎn 사장, 주인 HSK3

📚 문법
명사: "老板"은 직장에서의 상사나 가게의 주인을 가리키는 명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직장 내에서 상급자를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73 | 00:08:26,166 → 00:08:28,208
这豆角这都是好豆角啊
📝 한어병음
zhè dòu jiǎo zhè dōu shì hǎo dòu jiǎo a
🇰🇷 한글번역
이 강낭콩은 정말 좋은 강낭콩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豆角 dòu jiǎo 강낭콩, 콩깍지 - 都 dōu 모두 HSK1 好 hǎo 좋은 HSK1

📚 문법
감탄문: 감탄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장입니다.
형태: 这 + 명사 + 都是 + 형용사 + 啊 (이 콩깍지들은 정말 좋은 콩깍지야)

이 문장에서는 "啊"를 사용하여 감탄의 느낌을 더하고 있습니다.
자막 #174 | 00:08:28,208 → 00:08:29,833
这运费是我女儿的救命钱
📝 한어병음
zhè yùn fèi shì wǒ nǚ ér de jiù mìng qián
🇰🇷 한글번역
이 운송비는 제 딸의 목숨을 구할 돈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运费 yùnfèi 운송비 HSK5 是 shì ~이다 HSK1 女儿 nǚ'ér 딸 HSK2 救命 jiùmìng 목숨을 구하다 HSK6 钱 qián 돈 HSK1

📚 문법
주어 + 是 + 명사구: 중국어에서 주어가 무엇인지 설명하거나 정의할 때 사용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예문: 这运费是我女儿的救命钱 (이 운송비는 내 딸의 목숨을 구하는 돈이다)
자막 #175 | 00:08:29,833 → 00:08:30,875
你不能不给我啊
📝 한어병음
nǐ bù néng bù gěi wǒ a
🇰🇷 한글번역
너 나한테 안 줄 수는 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不能 bù néng ~할 수 없다 HSK2 给 gěi 주다 HSK2 我 wǒ 나 HSK1 啊 a 문장 끝에 쓰여 어기를 나타냄 HSK1

📚 문법
이중 부정: "不能不给"는 이중 부정으로 긍정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즉, "줘야 한다"는 뜻입니다.
형태: 不能 + 不 + 동사 (너는 나에게 주어야 한다)

이 문장은 "너는 나에게 주어야 한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176 | 00:08:30,875 → 00:08:32,208
你真啰嗦
📝 한어병음
nǐ zhēn luō suō
🇰🇷 한글번역
너 정말 말이 많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真 zhēn 정말로 HSK2 啰嗦 luōsuo 말이 많다, 잔소리가 많다 HSK6

📚 문법
형용사 문장: 중국어에서 형용사를 사용하여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형용사 (너는 정말로 말이 많다)
자막 #177 | 00:08:45,750 → 00:08:46,500
你谁啊
📝 한어병음
nǐ shuí a
🇰🇷 한글번역
너 누구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谁 shéi 누구 HSK2 啊 a 어조사, 놀람이나 의문을 나타냄 HSK3

📚 문법
의문문: "谁"는 의문대명사로 사용되어 '누구'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你谁啊"는 "너 누구야?"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신원을 묻는 간단한 질문입니다. "啊"는 문장의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감정을 강조합니다.
자막 #178 | 00:08:46,833 → 00:08:47,958
你是弄啥的
📝 한어병음
nǐ shì nòng shá de
🇰🇷 한글번역
너는 뭐 하는 사람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是 shì ~이다 HSK1 弄 nòng 하다, 만들다 HSK4 啥 shá 무엇 HSK5

📚 문법
의문문: "你是弄啥的"는 "너는 무엇을 하는 사람이니?"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직업이나 역할을 묻는 질문입니다. "啥"는 "什么"의 구어체 표현으로, 의문을 나타냅니다.
자막 #179 | 00:08:48,208 → 00:08:49,458
我是你爹
📝 한어병음
wǒ shì nǐ diē
🇰🇷 한글번역
나는 네 아버지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是 shì 이다 HSK1 你 nǐ 너 HSK1 爹 diē 아버지, 아빠 HSK6

📚 문법
주어 + 是 + 명사: 중국어에서 주어가 무엇인지 설명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주어 + 是 + 명사 (나는 너의 아빠다)
자막 #180 | 00:08:49,666 → 00:08:50,666
我警告你啊
📝 한어병음
wǒ jǐng gào nǐ a
🇰🇷 한글번역
경고하는데.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警告 jǐnggào 경고하다 HSK5 你 nǐ 너 HSK1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를 나타냄 HSK2

📚 문법
감탄문: 문장 끝에 啊를 사용하여 감정이나 강조를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啊 (나는 너에게 경고한다)
자막 #181 | 00:08:50,958 → 00:08:52,458
你少在这管闲事
📝 한어병음
nǐ shǎo zài zhè guǎn xián shì
🇰🇷 한글번역
너는 여기서 참견하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少 shǎo 적게, 조금 HSK3 在 zài ~에서 HSK1 管 guǎn 간섭하다, 돌보다 HSK4 闲事 xián shì 쓸데없는 일, 남의 일 HSK6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너는 쓸데없는 일에 간섭하지 마라)

이 문장은 "너는 쓸데없는 일에 간섭하지 마라"라는 뜻으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는 명령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182 | 00:08:52,458 → 00:08:54,333
还脱衣服你
📝 한어병음
hái tuō yī fu nǐ
🇰🇷 한글번역
옷도 벗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아직, 여전히 HSK2 脱 tuō 벗다 HSK4 衣服 yī fu 옷 HSK1 你 nǐ 너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동사로 시작합니다. 이 문장은 "아직 옷을 벗어"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옷을 벗으라는 요청이나 명령을 나타냅니다.
자막 #183 | 00:08:55,000 → 00:08:56,833
谁还不会脱个衣
📝 한어병음
shuí hái bù huì tuō gè yī
🇰🇷 한글번역
누가 옷을 못 벗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谁 shéi 누구 HSK2 还 hái 아직도, 여전히 HSK2 不会 bù huì ~할 줄 모른다 HSK1 脱 tuō 벗다 HSK4 衣 yī 옷 HSK1

📚 문법
반어문: 중국어에서 반어문은 의문문 형태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긍정이나 부정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谁 + 还 + 不会 + 동사 (누가 아직도 옷을 못 벗겠어?) - 여기서는 "누구나 옷을 벗을 줄 안다"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자막 #184 | 00:08:57,666 → 00:08:59,833
这个是我车队的兄弟
📝 한어병음
zhè gè shì wǒ chē duì de xiōng dì
🇰🇷 한글번역
이 사람은 우리 팀의 형제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我 wǒ 나, 저 HSK1 车队 chē duì 차량 팀, 레이싱 팀 비HSK 兄弟 xiōng dì 형제, 친구 HSK4

📚 문법
주어 + 是 + 명사: 중국어에서 주어가 무엇인지 설명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예: 这个是我车队的兄弟 (이 사람은 내 차량 팀의 친구입니다)
자막 #185 | 00:08:59,833 → 00:09:01,291
我这叫管闲事吗
📝 한어병음
wǒ zhè jiào guǎn xián shì ma
🇰🇷 한글번역
이게 참견이라고 할 수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这 zhè 이것 HSK1 叫 jiào 부르다, ~라고 하다 HSK2 管闲事 guǎn xián shì 쓸데없는 참견을 하다 (관용 표현)

📚 문법
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문 형태로 반문하거나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叫 + 목적어 + 吗? (나는 이것을 쓸데없는 참견이라고 부르니?)

이 문장은 화자가 자신의 행동이 쓸데없는 참견인지 아닌지를 반문하며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86 | 00:09:01,291 → 00:09:02,208
你放手
📝 한어병음
nǐ fàng shǒu
🇰🇷 한글번역
놓아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放手 fàng shǒu 손을 놓다 HSK4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동사만 사용하여 간결하게 표현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너는 손을 놓아라)
자막 #187 | 00:09:02,208 → 00:09:03,541
黑衣服的
📝 한어병음
hēi yī fu de
🇰🇷 한글번역
검은 옷을 입은
🎯 AI 분석 결과
🔍 어휘
黑 hēi 검정색의 HSK2 衣服 yīfu 옷 HSK1 的 de ~의 (소유나 속성을 나타냄) HSK1

📚 문법
'的' 자구: '的'는 명사 앞에서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 형용사 + 的 + 명사 (검정색 옷)
자막 #188 | 00:09:04,083 → 00:09:05,375
你咋还动手呢
📝 한어병음
nǐ zǎ hái dòng shǒu ne
🇰🇷 한글번역
너 왜 손찌검까지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咋 zǎ 어떻게 HSK6 还 hái 아직도 HSK2 动手 dòng shǒu 손을 대다, 때리다 HSK5 呢 ne ~니?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반어문: 중국어에서 반어문은 의문을 통해 상대방의 행동이나 상황에 대한 놀라움이나 비판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怎么/咋 + 동사 + 呢? (너 왜 아직도 손을 대니?)
자막 #189 | 00:09:06,208 → 00:09:06,791
那个
📝 한어병음
nà gè
🇰🇷 한글번역
그것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个 nà ge 그, 저 HSK1

📚 문법
指示대명사: '那个'는 특정한 사물이나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되는 지시 대명사입니다. 한국어의 '그' 또는 '저'에 해당하며, 문맥에 따라 특정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자막 #190 | 00:09:06,791 → 00:09:09,208
姐姐 我这有点急事我得先走了
📝 한어병음
jiě jiě wǒ zhè yǒu diǎn jí shì wǒ dé xiān zǒu liǎo
🇰🇷 한글번역
언니, 나 급한 일이 있어서 먼저 가야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姐姐 jiějie 누나, 언니 HSK2 我 wǒ 나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有点 yǒudiǎn 조금, 약간 HSK3 急事 jíshì 급한 일

📚 문법
- 有点(儿): '조금, 약간'이라는 뜻으로, 주로 부정적인 상황이나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得: '해야 한다'라는 의미로, 필수적인 행동이나 상황을 나타냅니다.
자막 #191 | 00:09:09,208 → 00:09:10,208
行 好
📝 한어병음
xíng hǎo
🇰🇷 한글번역
행운을 빌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가다, 되다 HSK1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行"과 "好"는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어입니다. "行"은 동사로 "가다" 또는 "되다"라는 뜻을 가지며, "好"는 형용사로 "좋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두 단어가 함께 사용될 때는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行,好"는 "좋아, 됐어"와 같은 긍정적인 대답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192 | 00:09:10,208 → 00:09:11,041
谢谢 谢谢
📝 한어병음
xiè xiè xiè xiè
🇰🇷 한글번역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谢谢 xièxie 감사합니다 HSK1

📚 문법
중국어에서 "谢谢"는 감사를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표현입니다. "谢谢"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충분히 의미가 전달되며, 뒤에 사람이나 사물을 붙여 "谢谢你" (너에게 고마워)처럼 구체적으로 감사의 대상을 명시할 수도 있습니다.
자막 #193 | 00:09:11,458 → 00:09:12,666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HSK2

📚 문법
이 문장에서는 특별한 문법 패턴이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삼촌'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가리키지만, 때로는 친근한 어른 남성을 부를 때도 사용됩니다.
자막 #194 | 00:09:14,500 → 00:09:15,125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HSK2

📚 문법
이 문장에서는 특별한 문법 패턴이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문맥에 따라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한 어른 남성을 지칭할 수 있습니다.
자막 #195 | 00:09:15,125 → 00:09:16,541
对不起 我来晚了
📝 한어병음
duì bù qǐ wǒ lái wǎn liǎo
🇰🇷 한글번역
죄송해요, 제가 늦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不起 duì bu qǐ 미안합니다 HSK2 我 wǒ 나 HSK1 来 lái 오다 HSK1 晚 wǎn 늦다 HSK2

📚 문법
- 对不起: 사과의 표현으로 "미안합니다"라는 뜻입니다. 상대방에게 사과할 때 사용합니다.
- 句子 구조: 주어(我) + 동사(来) + 형용사(晚)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는 늦게 왔다"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晚"은 늦었다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자막 #196 | 00:09:17,000 → 00:09:17,791
你是
📝 한어병음
nǐ shì
🇰🇷 한글번역
너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주어 + 系动词(是) + 명사/형용사: 중국어에서 주어가 무엇인지 설명하거나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是 + 명사/형용사 (너는 ~이다)
자막 #197 | 00:09:18,041 → 00:09:19,000
是我
📝 한어병음
shì wǒ
🇰🇷 한글번역
나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주어 + 是 + 명사: 중국어에서 주어가 무엇인지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是"는 영어의 "is/am/are"에 해당하며, 주어와 명사를 연결합니다. 예를 들어, "是我"는 "나다" 또는 "저입니다"라는 뜻입니다.
자막 #198 | 00:09:19,000 → 00:09:20,125
有帮手是吧
📝 한어병음
yǒu bāng shǒu shì ba
🇰🇷 한글번역
도움이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帮手 bāng shǒu 도우미, 조력자 HSK5 是 shì ~이다 HSK1 吧 ba ~지요, ~죠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냄) HSK2

📚 문법
吧 (ba): 문장 끝에 사용되어 추측이나 제안을 부드럽게 표현하는 조사입니다.
예문: 有帮手是吧 (도우미가 있지요?)
자막 #199 | 00:09:20,875 → 00:09:21,583
📝 한어병음
xíng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가다, 걷다 HSK1

📚 문법
"行"은 동사로 사용되어 "가다" 또는 "걷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문맥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HSK1 수준의 기본 어휘로, 일상적인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200 | 00:09:21,583 → 00:09:23,791
你老说别人送来的货是碰坏的
📝 한어병음
nǐ lǎo shuō bié rén sòng lái de huò shì pèng huài de
🇰🇷 한글번역
너는 항상 다른 사람들이 보낸 물건이 손상되었다고 말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老 lǎo 항상, 자주 HSK3 说 shuō 말하다 HSK1 别人 bié rén 다른 사람 HSK2 送 sòng 보내다 HSK3

货 huò 물건 HSK3 是 shì ~이다 HSK1 碰 pèng 부딪치다 HSK5 坏 huài 고장나다, 나쁘다 HSK2

📚 문법
1. 状态 강조: "是...的" 구조는 어떤 상태나 상황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货是碰坏的"에서 물건이 부딪쳐서 망가졌다는 상태를 강조합니다.
2. 반복 강조: "老"는 '항상, 자주'의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반복적으로 발생함을 나타냅니다. "你老说"는 '너는 항상 말한다'는 뜻으로, 반복적인 행동을 강조합니다.
자막 #201 | 00:09:23,791 → 00:09:24,833
我看看你这瓜经不经碰
📝 한어병음
wǒ kàn kàn nǐ zhè guā jīng bù jīng pèng
🇰🇷 한글번역
내가 네 이 수박이 단단한지 한번 보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看看 kàn kan 보다 (한번 보다) HSK1 你 nǐ 너 HSK1 瓜 guā 과일 (여기서는 '수박'을 의미) HSK6 经不经 jīng bù jīng 견디다 (여기서는 '견딜 수 있는지 없는지')

📚 문법
A不A형: 중국어에서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가능한지 여부를 묻는 질문 형식입니다.
형태: 동사/형용사 + 不 + 동사/형용사 (예: 经不经 - 견딜 수 있는지 없는지)

이 문장에서 "我看看你这瓜经不经碰"은 "내가 이 수박이 잘 견디는지 한번 볼게"라는 의미로, 수박이 외부 충격에 잘 견디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202 | 00:09:24,833 → 00:09:25,291
没事
📝 한어병음
méi shì
🇰🇷 한글번역
괜찮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事 méi shì 괜찮다, 문제없다 HSK2

📚 문법
부정문: "没事"는 "문제없다" 또는 "괜찮다"는 의미로, 상황을 부정하거나 걱정을 덜어줄 때 사용됩니다. "没"는 부정을 나타내며, "事"는 사건이나 문제를 뜻합니다.
자막 #203 | 00:09:25,291 → 00:09:26,041
你放心啊 叔叔
📝 한어병음
nǐ fàng xīn a shū shū
🇰🇷 한글번역
안심하세요,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放心 fàng xīn 안심하다 HSK3 啊 a 어조사 (문장의 끝에 쓰여 감탄, 명령, 제안 등을 나타냄) HSK3 叔叔 shū 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어조사 "啊": 문장의 끝에 사용되어 감정이나 어조를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는 상대방에게 안심하라는 의미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204 | 00:09:26,041 → 00:09:27,208
现在有我在了 他不敢扔了
📝 한어병음
xiàn zài yǒu wǒ zài liǎo tā bù gǎn rēng liǎo
🇰🇷 한글번역
지금 내가 있으니 그는 감히 던지지 못할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现在 xiàn zài 지금 HSK1 有 yǒu 있다 HSK1 我 wǒ 나 HSK1 他 tā 그 HSK1 不敢 bù gǎn 감히 ~하지 못하다 HSK4 扔 rēng 버리다 HSK4

📚 문법
1. 有字句: 존재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有"는 "~가 있다"라는 뜻으로, 주어가 존재함을 나타냅니다.
예: 现在有我在了 (지금 내가 있다)

2. 부정사 "不敢": "敢"은 "~할 용기가 있다"라는 뜻이며, "不敢"은 "감히 ~하지 못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 他不敢扔了 (그는 감히 버리지 못한다)
자막 #205 | 00:09:27,208 → 00:09:28,333
什么 怎么呢
📝 한어병음
shén me zěn me ne
🇰🇷 한글번역
뭐가 어떻게 된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什么 shénme 무엇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呢 ne ~니, ~인가요? HSK1

📚 문법
- 疑问代词: "什么"와 "怎么"는 의문대명사로, 각각 "무엇"과 "어떻게"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질문을 할 때 사용됩니다.
- 呢: 문장 끝에 붙여서 의문을 나타내며, 상대방의 대답이나 설명을 기대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206 | 00:09:28,333 → 00:09:30,666
我的极品甜瓜呀
📝 한어병음
wǒ de jí pǐn tián guā ya
🇰🇷 한글번역
나의 최고의 멜론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的 de ~의 HSK1 极品 jí pǐn 최고, 최상품 HSK6 甜瓜 tián guā 멜론, 참외 HSK6 呀 ya ~이야 (감탄사) HSK2

📚 문법
감탄문: 감탄사 "呀"를 사용하여 감정이나 놀라움을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的 + 명사 + 呀 (나의 최고 멜론이야)
자막 #207 | 00:09:30,666 → 00:09:31,625
太欺负人了
📝 한어병음
tài qī fù rén liǎo
🇰🇷 한글번역
너무 사람을 괴롭히는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太 tài 너무 HSK2 欺负 qī fù 괴롭히다, 못살게 굴다 HSK5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정도부사 太: '너무'라는 의미로, 정도가 지나치거나 과도함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太 + 형용사/동사 (너무 괴롭히다)

이 문장은 "너무 괴롭히다"라는 의미로, 상대방이 지나치게 못살게 구는 상황을 표현합니다.
자막 #208 | 00:09:31,625 → 00:09:32,666
我先上了 叔叔
📝 한어병음
wǒ xiān shàng liǎo shū shū
🇰🇷 한글번역
먼저 가겠습니다,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先 xiān 먼저 HSK2 上 shàng 오르다, 타다 HSK1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동사 '上'의 사용: '上'은 여기서 '타다'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문맥에 따라 '오르다', '올라가다' 등의 의미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순서 강조: '先'은 어떤 행동을 먼저 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문장에서 순서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209 | 00:09:35,000 → 00:09:36,625
我现在请您出去
📝 한어병음
wǒ xiàn zài qǐng nín chū qù
🇰🇷 한글번역
지금 나가주시기 바랍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现在 xiàn zài 지금 HSK2 请 qǐng 청하다, 요청하다 HSK2 您 nín 당신 (존칭) HSK2 出去 chū qù 나가다 HSK3

📚 문법
존칭 표현: "您"은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표현으로, 한국어의 "당신"에 해당합니다. 주로 공손한 요청이나 질문에서 사용됩니다.

동사 중첩: "出去"는 '나가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방향을 나타내는 결과보어 "去"가 결합되어 동작의 방향성을 강조합니다.
자막 #210 | 00:09:38,208 → 00:09:39,333
从哪出去啊
📝 한어병음
cóng nǎ chū qù a
🇰🇷 한글번역
어디로 나가야 하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从 cóng ~에서 HSK2 哪 nǎ 어디 HSK1 出去 chū qù 나가다 HSK2 啊 a ~니, ~아 (문장 끝에 쓰여 어기를 나타냄) HSK2

📚 문법
의문문: "从哪出去啊"는 의문문으로, 어디로 나가야 하는지를 묻는 표현입니다. "从"은 출발점을 나타내며, "哪"는 의문을 나타내는 대명사로 사용됩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어기를 부드럽게 합니다.
자막 #211 | 00:09:39,625 → 00:09:40,500
门在那边
📝 한어병음
mén zài nà biān
🇰🇷 한글번역
문은 저쪽에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门 mén 문 HSK1 在 zài ~에 있다 HSK1 那边 nà biān 저쪽 HSK2

📚 문법
위치 표현: "在"는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사로, 주어가 특정 위치에 있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在 + 장소 (문은 저쪽에 있다)
자막 #212 | 00:09:40,500 → 00:09:41,583
哪边啊
📝 한어병음
nǎ biān a
🇰🇷 한글번역
어느 쪽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哪 nǎ 어느, 어떤 HSK1
边 biān 쪽, 방향 HSK2

📚 문법
의문문: "哪边"은 "어느 쪽"이라는 의미로, 방향이나 위치를 물을 때 사용합니다.
형태: 哪 + 명사 (어느 쪽)
자막 #213 | 00:09:41,875 → 00:09:42,416
那边也有
📝 한어병음
nà biān yě yǒu
🇰🇷 한글번역
저쪽에도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边 nà biān 저쪽, 그쪽 HSK2 也 yě 또한, 역시 HSK1 有 yǒu 있다 HSK1

📚 문법
也: 주어가 다른 주어와 같은 동작이나 상태를 공유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也 + 동사/형용사 (저쪽에도 있다)
자막 #214 | 00:09:42,416 → 00:09:44,208
你跟谁说话呢
📝 한어병음
nǐ gēn shuí shuō huà ne
🇰🇷 한글번역
너 누구랑 얘기하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跟 gēn ~와, ~에게 HSK2 谁 shéi 누구 HSK2 说话 shuō huà 말하다 HSK1

📚 문법
의문문: "呢"는 중국어에서 진행 중인 동작이나 상태에 대해 질문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呢 (너는 누구와 이야기하고 있니?)

"呢"는 문장 끝에 위치하여 부드럽게 질문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215 | 00:09:48,666 → 00:09:50,000
我这新裤子
📝 한어병음
wǒ zhè xīn kù zǐ
🇰🇷 한글번역
내 새 바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新 xīn 새롭다 HSK2 裤子 kù zi 바지 HSK2

📚 문법
명사구: "我这新裤子"는 "나의 이 새로운 바지"라는 의미의 명사구입니다. 여기서 "我"는 소유를 나타내며, "这"는 지시대명사로 사용되어 특정한 대상을 지칭합니다. "新"은 형용사로 "새롭다"는 뜻이며, "裤子"는 명사로 "바지"를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소유자 + 지시사 + 형용사 + 명사의 형태로, 특정한 소유물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자막 #216 | 00:09:50,791 → 00:09:51,875
我这是
📝 한어병음
wǒ zhè shì
🇰🇷 한글번역
이거 내가 한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这是: '이것은 ~이다'라는 뜻으로,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설명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주로 사물이나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217 | 00:09:52,500 → 00:09:54,125
新裤子
📝 한어병음
xīn kù zǐ
🇰🇷 한글번역
신바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新 xīn 새롭다 HSK1 裤子 kùzi 바지 HSK2

📚 문법
형용사 + 명사: 중국어에서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형용사가 명사 앞에 위치합니다.
예: 新裤子 (새 바지)
자막 #218 | 00:10:26,458 → 00:10:27,583
你干什么
📝 한어병음
nǐ gān shén me
🇰🇷 한글번역
뭐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干 gàn 하다 HSK3 什么 shénme 무엇 HSK1

📚 문법
의문문: "什么"는 의문사로, "무엇을"이라는 뜻입니다. 주로 동사 뒤에 위치하여 질문의 내용을 구체화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什么 (너는 무엇을 하니?)
자막 #219 | 00:10:27,583 → 00:10:28,500
小兔崽子
📝 한어병음
xiǎo tù zǎi zǐ
🇰🇷 한글번역
꼬마 녀석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HSK1 兔 tù 토끼 HSK4 崽子 zǎi zi 새끼 (구어체, 비격식)

📚 문법
명사구: "小兔崽子"는 "작은 토끼 새끼"라는 의미로, 주로 친근하게 어린 아이들이나 작은 동물을 부를 때 사용됩니다. 때로는 장난스럽거나 비격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220 | 00:10:28,500 → 00:10:30,041
你敢给我弄进去
📝 한어병음
nǐ gǎn gěi wǒ nòng jìn qù
🇰🇷 한글번역
너 나를 거기에 넣을 용기가 있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敢 gǎn 감히 ~하다 HSK4 给 gěi ~에게 HSK2 弄 nòng 하다, 만들다 HSK4 进去 jìn qù 들어가다 HSK3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는 명령문입니다. "감히 ~하다"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도전적이거나 강한 의지를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敢 + 동사 + 방향보어 (너는 감히 나를 들어가게 할 수 있니?)
자막 #221 | 00:10:35,500 → 00:10:36,250
一帆
📝 한어병음
yī fān
🇰🇷 한글번역
일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 yī 하나 HSK1 帆 fān 돛 (HSK 범위 외)

📚 문법
이 문장은 단어로만 구성되어 있어 특별한 문법 패턴은 없습니다. "一帆"은 일반적으로 "돛"을 의미하며, 문맥에 따라 다른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一帆风顺"이라는 성어는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되다"라는 뜻입니다.
자막 #222 | 00:10:36,666 → 00:10:37,375
小雨
📝 한어병음
xiǎo yǔ
🇰🇷 한글번역
가랑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雨 yǔ 비 HSK2

📚 문법
명사: '小雨'는 '작은 비'라는 의미로, 비의 크기나 강도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중국어에서는 형용사가 명사 앞에 위치하여 명사의 성질을 설명합니다.
자막 #223 | 00:10:38,000 → 00:10:38,583
我爸呢
📝 한어병음
wǒ bà ne
🇰🇷 한글번역
우리 아빠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爸 bà 아빠, 아버지 HSK1
呢 ne ~는요? (상황을 물을 때 쓰는 조사) HSK1

📚 문법
呢 (ne): 중국어에서 문장의 끝에 붙여서 어떤 상황이나 상태에 대해 물어보거나, 상대방의 주의를 끌 때 사용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내 아빠는 어디에 있나요?" 또는 "내 아빠는 어떻게 되었나요?"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224 | 00:10:38,583 → 00:10:39,291
东海
📝 한어병음
dōng hǎi
🇰🇷 한글번역
동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东 dōng 동쪽 HSK1 海 hǎi 바다 HSK2

📚 문법
이 문장은 특정 문법 패턴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단순히 "동해"라는 지명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东"은 방향을 나타내는 단어로 "동쪽"을 의미하고, "海"는 "바다"를 의미합니다. 두 단어가 결합되어 "동해"라는 지리적 명칭을 형성합니다.
자막 #225 | 00:10:39,875 → 00:10:40,791
这怎么了这是
📝 한어병음
zhè zěn me liǎo zhè shì
🇰🇷 한글번역
이게 무슨 일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了 le 완료, 변화 HSK1

📚 문법
这怎么了: "이게 어떻게 된 거야?"라는 뜻으로, 상황이나 상태의 변화를 묻는 질문입니다.
- 这 (이것) + 怎么 (어떻게) + 了 (변화나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형태로 사용됩니다.
- 주로 놀라움이나 걱정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226 | 00:10:40,791 → 00:10:41,208
📝 한어병음
🇰🇷 한글번역
엄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妈 mā 엄마 HSK1

📚 문법
- 단어 "妈"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주로 친근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중국어에서 가족 호칭은 매우 중요하며, "妈"는 어머니를 부르는 가장 일반적인 표현입니다.
자막 #227 | 00:10:41,208 → 00:10:42,833
这是一帆
📝 한어병음
zhè shì yī fān
🇰🇷 한글번역
이것은 일범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一帆 yī fān 일범 (고유명사, 이름)

📚 문법
명사구: "这是一帆"은 "이것은 일범입니다"라는 의미로, 주어(이것)와 술어(이다)를 연결하여 설명하는 기본적인 명사구 문장입니다.
자막 #228 | 00:10:43,916 → 00:10:45,208
阿姨好
📝 한어병음
ā yí hǎo
🇰🇷 한글번역
안녕하세요, 아주머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姨 ā yí 이모, 아주머니 HSK2 好 hǎo 안녕하세요, 좋다 HSK1

📚 문법
인사 표현: "阿姨好"는 "아주머니, 안녕하세요"라는 뜻으로, 친근하게 어른에게 인사할 때 사용합니다. "好"는 인사말로 사용되어 상대방의 안부를 묻거나 환영의 뜻을 나타냅니다.
자막 #229 | 00:10:45,208 → 00:10:46,416
你好 你好
📝 한어병음
nǐ hǎo nǐ hǎo
🇰🇷 한글번역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好 hǎo 안녕, 좋다 HSK1

📚 문법
인사 표현: "你好"는 중국어에서 가장 기본적인 인사말로 "안녕하세요"라는 뜻입니다. 상대방에게 친근하게 인사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230 | 00:10:46,833 → 00:10:47,916
这孩子
📝 한어병음
zhè hái zǐ
🇰🇷 한글번역
이 아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거 HSK1 孩子 hái zi 아이, 어린이 HSK1

📚 문법
명사구: "这孩子"는 "이 아이"라는 뜻으로, 특정한 아이를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这"는 지시대명사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자막 #231 | 00:10:47,916 → 00:10:49,416
这么喜欢吃海鲜
📝 한어병음
zhè me xǐ huān chī hǎi xiān
🇰🇷 한글번역
이렇게 해산물을 좋아하다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么 zhème 이렇게, 이처럼 HSK3
喜欢 xǐhuān 좋아하다 HSK2
吃 chī 먹다 HSK1
海鲜 hǎixiān 해산물 HSK4

📚 문법
정도부사 "这么": "这么"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로, 형용사나 동사 앞에 위치하여 그 정도를 강조합니다.
예문: 这么喜欢 (이렇게 좋아하다)
자막 #232 | 00:10:49,416 → 00:10:51,833
这是出海了 刚上岸呢
📝 한어병음
zhè shì chū hǎi liǎo gāng shàng àn ne
🇰🇷 한글번역
이제 막 육지에 도착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出海 chū hǎi 바다로 나가다 HSK4 刚 gāng 방금 HSK3 上岸 shàng àn 상륙하다 HSK5

📚 문법
这是: "이것은 ~이다"라는 의미로,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刚: 시간 부사로, 동작이 막 일어났음을 나타냅니다. "방금"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233 | 00:10:51,833 → 00:10:52,500
对了阿姨
📝 한어병음
duì liǎo ā yí
🇰🇷 한글번역
맞다, 아주머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了 duì le 맞다, 맞아요 HSK2 阿姨 ā yí 아주머니, 이모 HSK3

📚 문법
호칭과 확인: "对了"는 상대방의 말이나 상황을 확인하거나 동의할 때 사용합니다. "阿姨"는 친근하게 부르는 여성 어른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234 | 00:10:52,500 → 00:10:53,416
那个
📝 한어병음
nà gè
🇰🇷 한글번역
그것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个 nà ge 그것, 저것 HSK1

📚 문법
지시대명사: '那个'는 특정한 사물이나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한국어의 '그것', '저것'에 해당하며,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등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235 | 00:10:53,416 → 00:10:54,333
刚才有人欺负叔叔
📝 한어병음
gāng cái yǒu rén qī fù shū shū
🇰🇷 한글번역
방금 누군가가 삼촌을 괴롭혔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刚才 gāngcái 방금, 막 HSK3 有人 yǒurén 누군가 HSK3 欺负 qīfù 괴롭히다, 억누르다 HSK4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대상을 나타냅니다.
예문: 刚才有人欺负叔叔 (방금 누군가가 삼촌을 괴롭혔다)
자막 #236 | 00:10:54,333 → 00:10:56,208
我立马上去就把他给解决了
📝 한어병음
wǒ lì mǎ shàng qù jiù bǎ tā gěi jiě jué liǎo
🇰🇷 한글번역
나는 바로 가서 그를 해결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立马 lì mǎ 즉시, 바로 HSK6 上去 shàng qù 올라가다 HSK3 就 jiù 곧, 즉시 HSK2 他 tā 그 HSK1

解决 jiě jué 해결하다 HSK4 给 gěi ~에게, ~을/를 위해 HSK2

📚 문법
1. 把字句: 이 문장은 '把' 구조를 사용하여 동작의 대상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기타 성분 (예: 把他给解决了 - 그를 해결했다)

2. 동작의 즉시성을 강조하는 표현: "立马上去就"는 즉시 어떤 행동을 취하겠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立马"는 '즉시', "就"는 '곧'이라는 의미로, 빠른 행동을 나타냅니다.
자막 #237 | 00:10:56,208 → 00:10:57,166
谁啊
📝 한어병음
shuí a
🇰🇷 한글번역
누구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谁 shéi 누구 HSK1 啊 a 어기조사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붙어 말투를 부드럽게 하거나 감탄, 의문, 명령 등의 어감을 더해줍니다. 여기서는 의문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238 | 00:10:57,500 → 00:10:58,916
谁欺负我们家东海
📝 한어병음
shuí qī fù wǒ men jiā dōng hǎi
🇰🇷 한글번역
누가 우리 동해를 괴롭혔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谁 shéi 누구 HSK2 欺负 qī fù 괴롭히다 HSK5 我们 wǒ men 우리 HSK1 家 jiā 집, 가족 HSK1 东海 Dōng hǎi 동해 (이름)

📚 문법
의문문: "谁"는 의문 대명사로, 주로 '누구'를 묻는 질문에 사용됩니다. 문장의 주어 또는 목적어 자리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
형태: 谁 + 동사 + 목적어 (누가 우리 집 동해를 괴롭혔는가?)
자막 #239 | 00:10:58,916 → 00:10:59,791
东海
📝 한어병음
dōng hǎi
🇰🇷 한글번역
동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东 dōng 동쪽 HSK1 海 hǎi 바다 HSK3

📚 문법
명사구: "东海"는 "동쪽의 바다"라는 뜻으로,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중국에서는 종종 특정 지역이나 바다를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240 | 00:11:01,125 → 00:11:01,791
东海
📝 한어병음
dōng hǎi
🇰🇷 한글번역
동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东 dōng 동쪽 HSK1 海 hǎi 바다 HSK2

📚 문법
이 문장은 단순히 명사로 구성되어 있어 특별한 문법 패턴은 없습니다. "东海"는 "동해"를 의미하며, 지명을 나타냅니다.
자막 #241 | 00:11:01,791 → 00:11:02,458
你没事吧
📝 한어병음
nǐ méi shì ba
🇰🇷 한글번역
괜찮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没事 méi shì 괜찮다, 문제없다 HSK3 吧 ba ~지? (추측, 권유) HSK1

📚 문법
"没事"는 "괜찮다"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상태나 상황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你没事吧"는 "너 괜찮지?"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안부나 상태를 확인하는 표현입니다. "吧"는 문장 끝에 붙어 추측이나 권유의 의미를 더합니다.
자막 #242 | 00:11:02,791 → 00:11:04,000
你不要过来 不要过来
📝 한어병음
nǐ bù yào guò lái bù yào guò lái
🇰🇷 한글번역
오지 마, 오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不要 bù yào ~하지 마라 HSK2 过来 guò lái 오다 HSK3

📚 문법
부정 명령문: 중국어에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형태: 不要 + 동사 (오지 마라)
자막 #243 | 00:11:04,000 → 00:11:04,583
你谁啊
📝 한어병음
nǐ shuí a
🇰🇷 한글번역
너 누구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谁 shéi 누구 HSK2 啊 a ~니, ~야 (문장 끝에 쓰여 의문이나 감탄을 나타냄) HSK3

📚 문법
의문문: "你谁啊"는 "너 누구야?"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신원을 묻는 간단한 의문문입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의문을 강조하거나 감탄을 나타냅니다.
자막 #244 | 00:11:04,583 → 00:11:05,875
不好意思啊 大哥
📝 한어병음
bù hǎo yì sī a dà gē
🇰🇷 한글번역
죄송해요, 형님.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HSK1 好 hǎo 좋다 HSK1 意思 yì si 뜻, 의미 HSK3 大哥 dà gē 형, 오빠 HSK4

📚 문법
사과 표현: "不好意思"는 사과하거나 미안한 마음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한국어의 "죄송합니다" 또는 "미안해요"에 해당합니다.
형태: 不好意思 + 이유 (상황에 따라 이유를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자막 #245 | 00:11:05,875 → 00:11:07,250
你妈跟你爸不熟啊
📝 한어병음
nǐ mā gēn nǐ bà bù shú a
🇰🇷 한글번역
너희 엄마랑 아빠는 친하지 않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妈 mā 엄마 HSK1 跟 gēn ~와 HSK2 爸 bà 아빠 HSK1 不熟 bù shú 친하지 않다, 익숙하지 않다 HSK4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不熟"을 사용하여 '친하지 않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형태: 주어 + 不 + 동사/형용사 (너의 엄마와 아빠는 친하지 않다)
자막 #246 | 00:11:07,250 → 00:11:08,875
怎么还管他叫大哥啊
📝 한어병음
zěn me hái guǎn tā jiào dà gē a
🇰🇷 한글번역
왜 아직도 그를 형이라고 부르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 me 어떻게 HSK2 还 hái 여전히 HSK2 管 guǎn 부르다, 칭하다 HSK4 他 tā 그 HSK1 叫 jiào 부르다 HSK1 大哥 dà gē 큰형, 형님 HSK3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이유를 묻는 의문문에서 사용됩니다.
형태: 怎么 + 동사 (어떻게 ~하는가?)
예시: 怎么还管他叫大哥啊 (어떻게 여전히 그를 큰형이라 부르는가?)
자막 #247 | 00:11:08,875 → 00:11:10,458
什么呀 这不是我爸
📝 한어병음
shén me ya zhè bù shì wǒ bà
🇰🇷 한글번역
뭐야 이거 우리 아빠 아니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什么 shénme 무엇 HSK1 这 zhè 이것 HSK1 不是 bú shì 아니다 HSK1 我 wǒ 나 HSK1 爸 bà 아빠 HSK1

📚 문법
부정문: "不是"는 "아니다"라는 의미로, 주어가 어떤 것에 해당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명사 (이것은 내 아빠가 아니다)
자막 #248 | 00:11:10,458 → 00:11:12,791
你一家子组团来打我啊
📝 한어병음
nǐ yī jiā zǐ zǔ tuán lái dǎ wǒ a
🇰🇷 한글번역
너희 가족이 다 같이 와서 나를 때리려고 하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一家子 yī jiā zi 온 가족, 가족 전체 HSK6 组团 zǔ tuán 팀을 짜다, 그룹을 만들다 HSK6 来 lái 오다 HSK1 打 dǎ 때리다 HSK2

📚 문법
- 组团: '组团'은 '팀을 짜다' 또는 '그룹을 만들다'라는 뜻으로, 주로 여러 사람이 함께 행동할 때 사용됩니다.
- 语气: 이 문장은 상대방이 가족 전체가 함께 자신을 공격하려는 상황을 과장되게 표현하여 불만이나 놀라움을 나타내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자막 #249 | 00:11:12,791 → 00:11:14,208
你不要过来 太欺负人了
📝 한어병음
nǐ bù yào guò lái tài qī fù rén liǎo
🇰🇷 한글번역
너 오지 마 너무 괴롭혀.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不要 bù yào 하지 마라 HSK2 过来 guò lái 오다 HSK3 太 tài 너무 HSK2 欺负 qī fù 괴롭히다 HSK5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부정 명령문: '不要'는 '하지 마라'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명령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不要 + 동사 (너는 오지 마라)

정도 부사 '太': '太'는 '너무'라는 의미로, 어떤 상태나 정도가 과도함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형태: 太 + 형용사 (너무 괴롭히다)
자막 #250 | 00:11:14,208 → 00:11:15,125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근한 어른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251 | 00:11:15,375 → 00:11:15,958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는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가 다양하게 존재하며, '叔叔'는 그 중 하나로 사용됩니다.
자막 #252 | 00:11:16,166 → 00:11:16,833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근한 어른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253 | 00:11:17,666 → 00:11:18,166
📝 한어병음
🇰🇷 한글번역
엄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妈 mā 엄마 HSK1

📚 문법
이 단어는 명사로, 가족 구성원 중 '엄마'를 지칭하는 단어입니다. 간단한 인사나 가족 관련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254 | 00:11:18,416 → 00:11:19,166
东海
📝 한어병음
dōng hǎi
🇰🇷 한글번역
동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东 dōng 동쪽 HSK1 海 hǎi 바다 HSK2

📚 문법
명사구: '东海'는 '동쪽의 바다'라는 의미로, 일반적으로 특정한 지명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중국에서는 '동해'라고 할 때 주로 중국의 동쪽에 위치한 바다를 의미합니다.
자막 #255 | 00:11:19,875 → 00:11:20,750
东海啊
📝 한어병음
dōng hǎi a
🇰🇷 한글번역
동해啊
🎯 AI 분석 결과
주어진 텍스트는 단어가 아닌 특정한 의미를 가진 구문이나 문장이 아니므로, 어휘와 문법 분석을 제공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东海"는 "동해"를 의미하며, 중국의 동쪽 해안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문맥이나 문장이 제공되면 더 상세한 분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자막 #256 | 00:11:20,750 → 00:11:21,625
-爸 -怎么了这是
📝 한어병음
- bà - zěn me liǎo zhè shì
🇰🇷 한글번역
-아빠 -무슨 일이에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 bà 아빠 HSK1 怎么 zěn me 어떻게, 왜 HSK2 了 le 완료, 변화 HSK1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 这是: "이것은 ~이다"라는 의미로,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 了: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로, 문장 끝에 위치하여 상황의 변화를 강조합니다.
자막 #257 | 00:11:21,625 → 00:11:22,791
你这是咋了
📝 한어병음
nǐ zhè shì zǎ liǎo
🇰🇷 한글번역
너 왜 그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咋 zǎ 어떻게 (방언)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咋了"는 중국어 방언으로 "어떻게 된 거야?"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문장은 상대방의 상태나 상황에 대한 궁금증을 나타냅니다. "你这是咋了"는 "너 이게 어떻게 된 거야?"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현재 상태나 상황에 대한 걱정이나 호기심을 표현합니다.
자막 #258 | 00:11:22,791 → 00:11:24,916
你趴猪上干啥啊 多凉啊
📝 한어병음
nǐ pā zhū shàng gān shá a duō liáng a
🇰🇷 한글번역
너 돼지 위에 왜 엎드려 있어? 얼마나 차가운데.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趴 pā 엎드리다 HSK5 猪 zhū 돼지 HSK4 上 shàng 위에 HSK1 干啥 gàn shá 무엇을 하다 (구어체) HSK 비급수

📚 문법
- 你趴猪上干啥啊: 이 문장은 구어체로, "너는 돼지 위에 엎드려서 무엇을 하니?"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干啥"는 "무엇을 하다"라는 의미의 구어체 표현입니다.
- 多凉啊: "多"는 여기서 "얼마나"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감탄을 나타냅니다. "多凉啊"는 "얼마나 시원한가"라는 뜻으로, 감탄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자막 #259 | 00:11:24,916 → 00:11:26,208
再把肚子拔坏了
📝 한어병음
zài bǎ dù zǐ bá huài liǎo
🇰🇷 한글번역
다시 배를 망가뜨리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再 zài 다시, 또 HSK2 把 bǎ 을/를 HSK3 肚子 dù zi 배 HSK3 拔 bá 뽑다, 빼다 HSK5 坏 huài 나쁘다, 고장나다 HSK3

📚 문법
把字句: '把' 자문은 동작의 영향을 받는 대상을 강조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再 +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다시 배를 망가뜨리다)

이 문장은 "배를 다시 망가뜨리다"라는 의미로, '把' 자문을 사용하여 배가 동작의 영향을 받는 대상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260 | 00:11:26,208 → 00:11:27,250
快起来
📝 한어병음
kuài qǐ lái
🇰🇷 한글번역
빨리 일어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快 kuài 빠르다, 빨리 HSK2 起 qǐ 일어나다 HSK2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동사 중첩: '快起来'는 '빨리 일어나라'는 의미로, '起来'는 동작의 시작을 나타내는 결과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起来 (동작의 시작을 나타냄)
자막 #261 | 00:11:29,416 → 00:11:30,416
你轻点
📝 한어병음
nǐ qīng diǎn
🇰🇷 한글번역
살살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轻 qīng 가볍다, 살살 HSK4 点 diǎn 조금, 약간 HSK2

📚 문법
명령문: 주로 동작을 부드럽게 하거나 주의할 것을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点 (조금 살살 하라는 의미로, 동작의 강도를 낮추도록 요청)
자막 #262 | 00:11:30,875 → 00:11:33,000
我冻猪肉上了
📝 한어병음
wǒ dòng zhū ròu shàng liǎo
🇰🇷 한글번역
나는 돼지고기를 얼렸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冻 dòng 얼다 HSK5 猪肉 zhūròu 돼지고기 HSK4 上 shàng ~에 HSK1

📚 문법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문법입니다. 여기서는 "上了"가 동작의 완료를 의미하며, 돼지고기를 얼렸다는 뜻입니다.
문장 구조: 주어 + 동사 + 목적어 + 了 (나는 돼지고기를 얼렸다)
자막 #263 | 00:11:36,875 → 00:11:38,375
这样暖和点没
📝 한어병음
zhè yàng nuǎn hé diǎn méi
🇰🇷 한글번역
이렇게 하면 좀 따뜻해졌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样 zhèyàng 이렇게 HSK3 暖和 nuǎnhuo 따뜻하다 HSK3 点 diǎn 조금, 약간 HSK2 没 méi 없다 HSK1

📚 문법
A-not-A 질문 형식: 중국어에서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제시하여 상대방의 의견을 묻는 형식입니다.
형태: 형용사 + 不 + 형용사 (따뜻한지 아닌지를 묻는 질문)
자막 #264 | 00:11:41,208 → 00:11:43,916
让这小子马上立刻给我消失
📝 한어병음
ràng zhè xiǎo zǐ mǎ shàng lì kè gěi wǒ xiāo shī
🇰🇷 한글번역
저 녀석을 당장 사라지게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让 ràng ~하게 하다 HSK2 小子 xiǎo zi 녀석, 놈 HSK4 马上 mǎ shàng 즉시, 곧 HSK2 立刻 lì kè 즉시, 당장 HSK4 消失 xiāo shī 사라지다 HSK4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지시를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이 녀석을 즉시 사라지게 해라)

이 문장은 "让"을 사용하여 누군가에게 명령을 내리는 형태입니다. "马上"와 "立刻"는 모두 '즉시'라는 의미로, 강조를 위해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265 | 00:11:43,916 → 00:11:46,000
这头回见面就给我冻猪肉上了
📝 한어병음
zhè tóu huí jiàn miàn jiù gěi wǒ dòng zhū ròu shàng liǎo
🇰🇷 한글번역
처음 만났는데 바로 얼린 돼지고기를 줬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头 tóu 처음, 첫 번째 HSK4 回 huí 번, 회 HSK3 见面 jiàn miàn 만나다 HSK3 给 gěi 주다 HSK2

📚 문법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입니다. 여기서는 "上了"가 "주다"의 완료를 나타내어 "줬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문장은 "처음 만났는데 나에게 얼린 돼지고기를 줬다"라는 의미로, '头回见面'은 '첫 만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266 | 00:11:46,000 → 00:11:47,416
这不要我命呢嘛这不是
📝 한어병음
zhè bù yào wǒ mìng ne ma zhè bù shì
🇰🇷 한글번역
이거 나 죽으라는 거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不要 bù yào 필요 없다, 원하지 않다 HSK2 我 wǒ 나 HSK1 命 mìng 목숨 HSK5 呢 ne 어기조사 HSK1

📚 문법
부정문: "不要"는 "필요 없다" 또는 "원하지 않다"는 뜻으로, 부정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어기조사 "呢":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이 문맥에서는 화자의 감정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267 | 00:11:47,416 → 00:11:48,833
你喝点热乎水
📝 한어병음
nǐ hē diǎn rè hū shuǐ
🇰🇷 한글번역
따뜻한 물 좀 마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당신 HSK1
喝 hē 마시다 HSK1
点 diǎn 조금, 약간 HSK3
热乎 rè hū 따뜻한 (구어체)
水 shuǐ 물 HSK1

📚 문법
명령문: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권유하거나 지시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너는 따뜻한 물을 좀 마셔라)

이 문장에서 "你喝点热乎水"는 상대방에게 따뜻한 물을 마시도록 권유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268 | 00:11:48,833 → 00:11:49,541
解解冻
📝 한어병음
jiě jiě dòng
🇰🇷 한글번역
해동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解 jiě 풀다, 해제하다 HSK4 冻 dòng 얼다, 동결되다 HSK4

📚 문법
동사 중첩: 중국어에서 동사의 중첩은 동작의 가벼움을 나타내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가집니다.
형태: 동사 + 동사 (해동해보다)

'解解冻'은 '해동해보다' 또는 '얼었던 것을 풀어보다'라는 의미로, 동작을 시도하거나 가볍게 해보는 뉘앙스를 줍니다.
자막 #269 | 00:11:49,541 → 00:11:50,375
📝 한어병음
lái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동사: "来"는 기본적으로 '오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로, 방향이나 움직임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자막 #270 | 00:11:51,333 → 00:11:52,375
消消气啊
📝 한어병음
xiāo xiāo qì a
🇰🇷 한글번역
진정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消消气 xiāo xiāo qì 화를 풀다, 진정하다 (일상 표현) 啊 a 어기조사 (감탄, 명령, 권유 등을 나타냄)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붙어 감정을 강조하거나 부드럽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는 "消消气"라는 표현에 붙어 상대방에게 화를 풀고 진정하라는 권유의 의미를 부드럽게 전달합니다.
자막 #271 | 00:11:53,000 → 00:11:54,208
这一帆这孩子啊
📝 한어병음
zhè yī fān zhè hái zǐ a
🇰🇷 한글번역
이 아이帆은 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거 HSK1 一 yī 하나 HSK1 帆 fān 돛 (HSK에 없음) 孩子 hái zi 아이, 어린이 HSK1

📚 문법
명사구: "这一帆"은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을 지칭하는 명사구입니다. 여기서 "这"는 지시대명사로,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뒤에 오는 명사를 수식합니다. "帆"은 일반적으로 "돛"을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사람의 이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这孩子"는 "이 아이"라는 뜻으로, 특정 아이를 지칭합니다.
자막 #272 | 00:11:54,208 → 00:11:55,166
也是虎
📝 한어병음
yě shì hǔ
🇰🇷 한글번역
또한 호랑이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也 yě 또한, 역시 HSK1 是 shì ~이다 HSK1 虎 hǔ 호랑이 HSK5

📚 문법
명사구: "也是虎"는 "역시 호랑이다"라는 의미로, 주어가 생략된 상태에서 주어가 호랑이임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也"는 앞서 언급된 주어와 동일한 속성을 가짐을 나타냅니다.
자막 #273 | 00:11:55,375 → 00:11:57,958
这头一回见面 没搞清楚谁是爹呢
📝 한어병음
zhè tóu yī huí jiàn miàn méi gǎo qīng chǔ shuí shì diē ne
🇰🇷 한글번역
이게 처음 만나는 건데 누가 아버지인지 잘 모르겠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头一回 tóu yī huí 처음으로, 첫 번째로 HSK6 见面 jiàn miàn 만나다 HSK3 搞清楚 gǎo qīng chǔ 분명히 하다, 명확히 하다 HSK6 谁 shéi 누구 HSK1 爹 diē 아버지, 아빠 HSK6

📚 문법
- "这头一回": "头一回"는 '처음으로'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 처음 발생했음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搞清楚": '분명히 하다'라는 의미로, 어떤 상황이나 정보를 명확히 이해하거나 확인하는 것을 뜻합니다.
- "谁是爹": 의문문에서 '누가 ~이다'라는 구조로, 주어를 묻는 질문 형태입니다.
자막 #274 | 00:11:57,958 → 00:11:58,791
就动手
📝 한어병음
jiù dòng shǒu
🇰🇷 한글번역
바로 시작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곧, 즉시 HSK2 动手 dòng shǒu 시작하다, 착수하다 HSK4

📚 문법
동사구: "动手"는 '손을 움직이다'라는 뜻에서 확장되어 '시작하다', '착수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就"는 '곧', '즉시'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 바로 이어짐을 나타냅니다. 이 두 단어가 함께 사용되면 '곧 시작하다', '즉시 착수하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자막 #275 | 00:11:58,791 → 00:11:59,958
他哪是虎啊
📝 한어병음
tā nǎ shì hǔ a
🇰🇷 한글번역
그가 무슨 호랑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哪 nǎ 어느, 어떤 HSK2 是 shì 이다 HSK1 虎 hǔ 호랑이 HSK5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를 나타냄 HSK2

📚 문법
反问句: 반문문은 상대방의 말이나 상황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거나 반박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의문사 + 是 + 명사 + 吗/啊 (그가 호랑이일 리가 있나요?)

이 문장은 상대방의 주장이나 상황에 대해 반박하는 의미로, "그가 어떻게 호랑이겠어요?"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276 | 00:11:59,958 → 00:12:01,416
他那是瞎
📝 한어병음
tā nà shì xiā
🇰🇷 한글번역
그는 헛소리를 하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HSK1 那 nà 그것, 저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瞎 xiā 눈이 멀다, 함부로 HSK6

📚 문법
주어 + 是 + 서술어: 중국어에서 주어가 무엇인지 설명하거나 정의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이 문장에서 "他那是瞎"는 "그것은 함부로 하는 것이다"라는 의미로, "瞎"가 '함부로'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277 | 00:12:01,416 → 00:12:03,500
我和我姑娘长得多像啊
📝 한어병음
wǒ hé wǒ gū niáng cháng dé duō xiàng a
🇰🇷 한글번역
나와 내 딸은 정말 많이 닮았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和 hé 그리고 HSK2 姑娘 gūniang 아가씨, 딸 HSK3 长得 zhǎng de 생김새가 ~하다 HSK4 像 xiàng 닮다 HSK3

📚 문법
정도부사 多: 중국어에서 '多'는 '얼마나'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多 + 형용사 (얼마나 ~한지)
예문에서 "多像"는 "얼마나 닮았는지"라는 의미로, 화자가 자신과 딸의 닮은 정도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278 | 00:12:03,500 → 00:12:05,333
这小子我一看他就晦气
📝 한어병음
zhè xiǎo zǐ wǒ yī kàn tā jiù huì qì
🇰🇷 한글번역
이 녀석은 보기만 해도 재수 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거 HSK1 小子 xiǎo zi 녀석, 자식 (구어체) 我 wǒ 나 HSK1 看 kàn 보다 HSK1 晦气 huì qì 불운, 재수 없음

📚 문법
- 一...就...: 중국어에서 두 사건이 연달아 일어날 때 사용되는 구조입니다. "하자마자"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예: 我一看他就晦气 (나는 그를 보자마자 재수가 없다)

- 주어 + 一 + 동사 + 就 + 결과: 주어가 어떤 행동을 하자마자 결과가 발생함을 나타냅니다.
자막 #279 | 00:12:05,333 → 00:12:06,541
这破名起的吧
📝 한어병음
zhè pò míng qǐ de ba
🇰🇷 한글번역
이 이름 정말 별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破 pò 형편없는, 나쁜 HSK4 名 míng 이름 HSK2 起 qǐ 일으키다, 시작하다 HSK3

📚 문법
의문문: 문장 끝에 "吧"를 사용하여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的 + 吧 (이 이름이 형편없지 않나요?)
자막 #280 | 00:12:06,541 → 00:12:07,791
一帆 一帆
📝 한어병음
yī fān yī fān
🇰🇷 한글번역
일범 일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帆 yī fān 순조롭다, 일帆 (고유명사로 사용될 수 있음) HSK 비해당

📚 문법
이 문장은 단어 "一帆"이 반복되어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문맥에 따라 "一帆"이 고유명사로 사용될 수도 있고, "순조롭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반복 사용은 강조의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자막 #281 | 00:12:08,083 → 00:12:09,083
我一个开卡车的
📝 한어병음
wǒ yī gè kāi kǎ chē de
🇰🇷 한글번역
저는 트럭 운전사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一个 yí gè 하나의 HSK1 开 kāi 운전하다 HSK2 卡车 kǎ chē 트럭 HSK5

📚 문법
명사구: "我一个开卡车的"는 "트럭을 운전하는 나"라는 의미로, '一个'는 수량을 나타내며, 뒤에 오는 명사를 수식합니다. '开卡车的'는 '트럭을 운전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282 | 00:12:09,083 → 00:12:11,125
怎么的 我一开车就翻呢
📝 한어병음
zěn me de wǒ yī kāi chē jiù fān ne
🇰🇷 한글번역
왜 내가 운전만 하면 자꾸 뒤집히는 걸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我 wǒ 나 HSK1 一 yī 한 번, 한번 HSK1 开车 kāichē 운전하다 HSK3 就 jiù 곧, 바로 HSK2 翻 fān 뒤집히다, 전복되다 HSK4

📚 문법
- 一...就...: '하자마자'라는 의미로, 두 사건이 연속적으로 발생함을 나타냅니다.
형태: 一 + 동사 + 就 + 동사 (나는 운전하자마자 바로 뒤집힌다)
자막 #283 | 00:12:12,083 → 00:12:13,625
你这可有点封建迷信了啊
📝 한어병음
nǐ zhè kě yǒu diǎn fēng jiàn mí xìn liǎo a
🇰🇷 한글번역
너 이거 좀 봉건 미신 같은데.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것 HSK1 封建 fēng jiàn 봉건 HSK6 迷信 mí xìn 미신 HSK5 有点 yǒu diǎn 약간, 조금 HSK4

📚 문법
"有点"은 주로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진 형용사 앞에 사용되어 "약간 ~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너 이거 약간 봉건적 미신이야"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행동이나 생각이 미신적이라고 지적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284 | 00:12:13,625 → 00:12:14,791
我叫霍梅梅
📝 한어병음
wǒ jiào huò méi méi
🇰🇷 한글번역
제 이름은 호매매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叫 jiào 부르다, ~라고 하다 HSK1 霍 huò 호 (성씨) HSK4 梅 méi 매화 HSK4

📚 문법
주어 + 叫 + 이름: 자기소개나 다른 사람의 이름을 소개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예: 我叫霍梅梅 (나는 호매매라고 합니다)
자막 #285 | 00:12:14,791 → 00:12:16,958
那这些年我把谁霍霍没啦
📝 한어병음
nà zhè xiē nián wǒ bǎ shuí huò huò méi lā
🇰🇷 한글번역
그럼 이 몇 년 동안 내가 누구를 망쳤다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그 HSK1
这些 zhè xiē 이들, 이러한 것들 HSK2
年 nián 년, 해 HSK1
谁 shuí 누구 HSK2
霍霍 huò huò 낭비하다 (구어체, 문맥에 따라 해석)
没 méi 없다 HSK1

📚 문법
把字句: '把' 자문은 동작의 영향을 받는 대상을 강조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기타 성분 (이 문장에서 '我把谁霍霍没啦'는 '내가 누구를 낭비했는가'라는 의미로, '누구'라는 대상이 동작의 영향을 받았음을 강조합니다.)
자막 #286 | 00:12:17,750 → 00:12:19,750
你啊 你别针对人家小万
📝 한어병음
nǐ a nǐ bié zhēn duì rén jiā xiǎo wàn
🇰🇷 한글번역
너는 작은 완을 괜히 괴롭히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别 bié ~하지 마라 HSK2 针对 zhēn duì 겨냥하다, ~에 대해 HSK4 人家 rén jiā 다른 사람 HSK3 小万 Xiǎo Wàn (사람 이름)

📚 문법
명령문: "别"는 명령이나 금지를 나타내는 부정 명령문에서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너는 다른 사람을 겨냥하지 마라)
자막 #287 | 00:12:19,750 → 00:12:21,625
你就是看他不顺眼
📝 한어병음
nǐ jiù shì kàn tā bù shùn yǎn
🇰🇷 한글번역
너는 그가 마음에 들지 않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就是 jiù shì 바로 HSK2 看 kàn 보다 HSK1 他 tā 그 HSK1 不顺眼 bù shùn yǎn 눈에 거슬리다 (HSK 비급수)

📚 문법
"就是" 강조문: "就是"는 문장에서 어떤 사실이나 상태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바로"라는 의미로, 상대방이 특정 사람을 싫어하는 이유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看...不顺眼": 이 표현은 누군가나 무언가가 마음에 들지 않거나 눈에 거슬린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직역하면 "눈에 순조롭지 않게 보인다"는 뜻입니다.
자막 #288 | 00:12:21,625 → 00:12:23,916
什么叫我看他不顺眼啊
📝 한어병음
shén me jiào wǒ kàn tā bù shùn yǎn a
🇰🇷 한글번역
그를 보기 싫다는 게 무슨 뜻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什么 shénme 무엇 HSK1 叫 jiào 부르다, ~라고 하다 HSK1 我 wǒ 나 HSK1 看 kàn 보다 HSK1 他 tā 그 HSK1 不顺眼 bù shùn yǎn 눈에 거슬리다 HSK6

📚 문법
- 什么: 의문사로 "무엇"이라는 뜻을 가지며, 질문을 할 때 사용됩니다.
- 叫: "~라고 하다"라는 의미로, 어떤 표현이나 말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 不顺眼: "눈에 거슬리다"라는 표현으로, 어떤 사람이나 사물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보기 싫을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은 "무슨 말이야, 내가 그를 눈에 거슬려 한다니?"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말을 반문하거나 불만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289 | 00:12:26,625 → 00:12:28,416
阿力看他也不顺眼
📝 한어병음
ā lì kàn tā yě bù shùn yǎn
🇰🇷 한글번역
알리도 그를 못마땅하게 여겼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力 Ālì 알리 (사람 이름) 고유명사 看 kàn 보다, 여기서는 '생각하다'의 의미 HSK1 他 tā 그, 그 사람 HSK1 也 yě 또한, 역시 HSK1 不顺眼 bù shùn yǎn 눈에 거슬리다, 마음에 들지 않다

📚 문법
"看...不顺眼": 이 표현은 누군가나 무언가가 마음에 들지 않거나 눈에 거슬린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여기서 "看"은 '보다'라는 기본 의미 외에도 '생각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누군가를 마음에 들어하지 않다'는 뜻을 전달합니다.
자막 #290 | 00:12:28,958 → 00:12:31,166
阿力的直觉永远没有错
📝 한어병음
ā lì de zhí jué yǒng yuǎn méi yǒu cuò
🇰🇷 한글번역
알리의 직감은 항상 틀리지 않는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力 Ālì 알리 (사람 이름) 直觉 zhíjué 직감, 직관 HSK6 永远 yǒngyuǎn 영원히 HSK4 没有 méiyǒu 없다 HSK2 错 cuò 틀리다 HSK3

📚 문법
주어 + 부사 + 동사 + 목적어: 이 문장은 주어(阿力)의 행동이나 상태(直觉没有错)를 설명하는 구조입니다. 부사(永远)는 동작이나 상태의 빈도나 지속성을 강조합니다. 이 문장에서 "永远没有错"는 "영원히 틀리지 않다"라는 의미로, 알리의 직감이 항상 정확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자막 #291 | 00:12:31,166 → 00:12:33,208
它那叫狗屁直觉
📝 한어병음
tā nà jiào gǒu pì zhí jué
🇰🇷 한글번역
그건 말도 안 되는 직감이라고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它 tā 그것 HSK1 那 nà 저것 HSK1 叫 jiào 부르다, 칭하다 HSK1 狗屁 gǒupì 헛소리, 말도 안 되는 소리 비표준어 直觉 zhíjué 직감, 직관 HSK6

📚 문법
명사구: "狗屁直觉"는 명사구로, "헛소리 같은 직감"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狗屁"는 비표준어로 사용되어 직감을 부정적으로 표현합니다.
형태: 명사 + 명사 (강조된 부정적 의미)
자막 #292 | 00:12:34,208 → 00:12:36,000
你可想清楚啊 东海
📝 한어병음
nǐ kě xiǎng qīng chǔ a dōng hǎi
🇰🇷 한글번역
너 잘 생각해봐, 동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可 kě 정말로, 확실히 HSK3 想 xiǎng 생각하다 HSK2 清楚 qīngchu 분명하다, 명확하다 HSK4 东海 Dōnghǎi 동해 (이름)

📚 문법
- 语气助词 "啊":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정이나 어조를 강조합니다. 여기서는 상대방에게 확실히 생각해보라는 권유의 의미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 "想清楚": 동사 "想"과 형용사 "清楚"가 결합하여 '명확하게 생각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는 동작의 결과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293 | 00:12:36,000 → 00:12:37,375
等将来咱俩老了
📝 한어병음
děng jiāng lái zán liǎ lǎo liǎo
🇰🇷 한글번역
나중에 우리 둘이 나이가 들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等 děng 기다리다, ~할 때 HSK2 将来 jiāng lái 미래 HSK4 咱俩 zán liǎ 우리 둘 老 lǎo 늙다, 나이가 들다 HSK3

📚 문법
시간 표현: "等"은 "~할 때"라는 의미로, 미래의 특정 시점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等 + 동사/형용사 + (시간) (미래에 우리가 늙었을 때)

이 문장은 미래 시점에 대한 기대나 계획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자막 #294 | 00:12:37,375 → 00:12:39,291
动弹不了了 就剩一口气
📝 한어병음
dòng tán bù liǎo liǎo jiù shèng yī kǒu qì
🇰🇷 한글번역
움직일 수 없고 숨만 남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动弹 dòng tán 움직이다, 꼼짝하다 HSK6 不了 bù liǎo ~할 수 없다 HSK3 剩 shèng 남다 HSK4 一口气 yī kǒu qì 단숨에, 한숨에 HSK6

📚 문법
- 不了: 동사 뒤에 붙어 "~할 수 없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보어입니다. 예를 들어, "动弹不了了"는 "움직일 수 없다"라는 뜻입니다.
- 剩: 동사로 "남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문맥에 따라 남은 상태를 설명합니다.
- 一口气: 관용구로 "단숨에" 또는 "한숨에"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어떤 상태가 지속되거나 끝까지 이어짐을 나타냅니다.
자막 #295 | 00:12:39,291 → 00:12:40,958
满身插着管子
📝 한어병음
mǎn shēn chā zhe guǎn zǐ
🇰🇷 한글번역
온몸에 관이 꽂혀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满身 mǎn shēn 온몸에 HSK6 插 chā 꽂다, 삽입하다 HSK5 管子 guǎn zi 관, 튜브 HSK4

📚 문법
형용사 + 着: 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예문: 插着 (꽂혀 있다) - 관이 몸에 꽂혀 있는 상태를 설명합니다.
자막 #296 | 00:12:40,958 → 00:12:42,916
躺在病床上医生问了
📝 한어병음
tǎng zài bìng chuáng shàng yī shēng wèn liǎo
🇰🇷 한글번역
병상에 누워 있는 환자에게 의사가 물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躺 tǎng 눕다 HSK4 病床 bìng chuáng 병상, 병원 침대 HSK5 医生 yī shēng 의사 HSK1 问 wèn 묻다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医生问了"가 이에 해당하며, 주어는 "医生", 동사는 "问", 목적어는 생략되었습니다. "了"는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자막 #297 | 00:12:42,916 → 00:12:44,208
家属签字
📝 한어병음
jiā shǔ qiān zì
🇰🇷 한글번역
가족 서명
🎯 AI 분석 결과
🔍 어휘
家属 jiā shǔ 가족, 가솔 HSK5 签字 qiān zì 서명하다 HSK4

📚 문법
명사구: "家属签字"는 "가족 서명"이라는 의미의 명사구입니다. 여기서 "家属"은 서명하는 주체를, "签字"는 그 행위를 나타냅니다. 중국어에서는 이러한 명사구를 통해 행위의 주체와 동작을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자막 #298 | 00:12:44,208 → 00:12:45,583
拔不拔管啊
📝 한어병음
bá bù bá guǎn a
🇰🇷 한글번역
빼야 하나요, 말아야 하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拔 bá 뽑다, 빼다 HSK4 管 guǎn 관, 튜브 HSK5

📚 문법
의문문: "拔不拔管啊"는 중국어에서 선택 의문문 형태로, 어떤 행동을 할지 말지를 묻는 표현입니다.
형태: 동사 + 不 + 동사 + 목적어 (관을 뽑을까요 말까요?)
자막 #299 | 00:12:46,250 → 00:12:47,500
谁签字啊
📝 한어병음
shuí qiān zì a
🇰🇷 한글번역
누가 서명하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谁 shéi 누구 HSK2 签字 qiān zì 서명하다 HSK4 啊 a ~니?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질문을 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의문사(谁) + 동사 + (목적어) + 어기조사(啊) (누가 서명하니?)

이 문장은 누가 서명해야 하는지를 묻는 질문입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부드러운 어감을 주며, 의문을 나타냅니다.
자막 #300 | 00:12:48,208 → 00:12:49,750
阿力给你签字
📝 한어병음
ā lì gěi nǐ qiān zì
🇰🇷 한글번역
알리가 당신에게 서명해 줄 것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力 Ālì 알리 (사람 이름) 고유명사 给 gěi ~에게, ~를 위해 HSK2 你 nǐ 너 HSK1 签字 qiān zì 서명하다 HSK4

📚 문법
주어 + 给 + 간접목적어 + 동사 + 직접목적어: '주어가 간접목적어에게 직접목적어를 동사하다'의 구조입니다.
이 문장에서 "阿力给你签字"는 "알리가 너에게 서명해준다"는 의미로, 给는 '주다'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301 | 00:12:51,125 → 00:12:52,958
你这大白天说什么丧气话呢在这
📝 한어병음
nǐ zhè dà bái tiān shuō shén me sàng qì huà ne zài zhè
🇰🇷 한글번역
이 대낮에 무슨 부정적인 말을 하고 있는 거야 여기서.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大白天 dàbáitiān 대낮, 한낮 HSK4 说 shuō 말하다 HSK1 丧气 sàngqì 기운이 빠지다, 낙담하다 HSK6 话 huà 말, 이야기 HSK1

📚 문법
- 反问句: 이 문장은 반문하는 형태로,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거나 비판하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 형태: 의문사 + 동사 + 목적어 + 呢 (너는 대낮에 무슨 낙담하는 말을 하고 있는 거야?)
자막 #302 | 00:12:52,958 → 00:12:55,375
还插管插管 那非得插管吗
📝 한어병음
hái chā guǎn chā guǎn nà fēi dé chā guǎn ma
🇰🇷 한글번역
아직 삽관을 해야 하나요? 꼭 삽관을 해야 하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여전히, 아직도 HSK2 插管 chāguǎn 삽관하다 (의학 용어) 那 nà 그러면, 그렇다면 HSK1 非得 fēiděi 반드시, 꼭

📚 문법
의문문: "吗"를 사용하여 의문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문장 + 吗 (비교적 간단한 의문을 나타내며, '...입니까?'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 문장에서 "那非得插管吗"는 "그렇다면 꼭 삽관해야 합니까?"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303 | 00:12:55,666 → 00:12:57,375
说得我这后背都发凉
📝 한어병음
shuō dé wǒ zhè hòu bèi dōu fā liáng
🇰🇷 한글번역
그 말을 듣고 나니 등골이 오싹해졌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说 shuō 말하다 HSK1 得 de 동사와 보어를 연결하는 구조조사 后背 hòu bèi 등 HSK6 发凉 fā liáng 차가워지다

📚 문법
得字句: 동사와 보어를 연결하여 상태나 정도를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得 + 상태보어 (말해서 내 등이 차가워졌다)

이 문장에서 "说得"는 "말해서"라는 의미로, 그 결과로 "后背都发凉" 즉 "등이 차가워졌다"는 상태를 설명합니다.
자막 #304 | 00:12:59,666 → 00:13:01,833
那缺两块布呢 能不凉吗
📝 한어병음
nà quē liǎng kuài bù ne néng bù liáng ma
🇰🇷 한글번역
그 두 조각의 천이 없으면 시원하지 않겠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 HSK1 缺 quē 부족하다, 결핍되다 HSK4 布 bù 천, 옷감 HSK5 凉 liáng 시원하다, 서늘하다 HSK4

📚 문법
反问句: 중국어에서 반문형 문장은 상대방의 주장을 부정하거나 반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能 + 不 + 동사 + 吗 (시원하지 않을 수 있겠니?)
이 문장에서는 '能不凉吗'가 반문형으로 사용되어 '당연히 시원하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305 | 00:13:02,541 → 00:13:03,208
📝 한어병음
lái
🇰🇷 한글번역
오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동사 "来": 기본적으로 '오다'라는 뜻을 가지며, 장소나 방향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또한, 문맥에 따라 '무엇을 하러 오다'라는 의미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자막 #306 | 00:13:03,500 → 00:13:04,375
换件衣服去
📝 한어병음
huàn jiàn yī fu qù
🇰🇷 한글번역
옷 갈아입고 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换 huàn 바꾸다, 갈아입다 HSK3 件 jiàn 벌 (옷을 세는 단위) HSK2 衣服 yīfu 옷 HSK1 去 qù 가다 HSK1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명령이나 제안을 나타내는 간단한 형태입니다. "换件衣服去"는 "옷을 갈아입고 가자"라는 의미로, 동작을 권유하거나 지시하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去"는 동작의 방향성을 나타내며, 문장을 더욱 자연스럽게 만들어 줍니다.
자막 #307 | 00:13:04,375 → 00:13:05,458
别感冒了
📝 한어병음
bié gǎn mào liǎo
🇰🇷 한글번역
감기 걸리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感冒 gǎn mào 감기 HSK3

📚 문법
명령문: '别'는 부정 명령문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감기에 걸리지 마라)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를 주는 표현입니다.
자막 #308 | 00:13:05,458 → 00:13:06,541
我跟你说啊
📝 한어병음
wǒ gēn nǐ shuō a
🇰🇷 한글번역
내가 너한테 말하는데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跟 gēn ~와/과 HSK2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跟"의 사용: "跟"은 '~와/과'의 의미로, 사람이나 사물과의 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我跟你说"로 '내가 너에게 말하다'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자막 #309 | 00:13:06,541 → 00:13:08,916
一会你跟姑娘一辆车 我跟他一辆车
📝 한어병음
yī huì nǐ gēn gū niáng yī liàng chē wǒ gēn tā yī liàng chē
🇰🇷 한글번역
잠시 후 너는 그 아가씨와 같은 차를 타고, 나는 그와 같은 차를 탈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会 yī huì 잠시 후에 HSK3 跟 gēn ~와 함께 HSK2 姑娘 gū niang 아가씨, 소녀 HSK4 车 chē 차 HSK1

📚 문법
병렬 구조: 두 개 이상의 문장을 병렬로 나열하여 서로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형태: 주어1 + 동사1 + 목적어1, 주어2 + 동사2 + 목적어2 (너는 잠시 후에 아가씨와 한 차를 타고, 나는 그와 한 차를 탄다)
자막 #310 | 00:13:08,916 → 00:13:09,958
你还想动手啊
📝 한어병음
nǐ hái xiǎng dòng shǒu a
🇰🇷 한글번역
너 아직도 싸우고 싶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还 hái 아직, 또 HSK2 想 xiǎng 생각하다 HSK2 动手 dòng shǒu 손을 대다, 때리다 HSK4 啊 a 어기조사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탄, 의문, 명령 등의 어감을 더합니다. 여기서는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놀라움이나 경고의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자막 #311 | 00:13:09,958 → 00:13:11,166
动什么手啊
📝 한어병음
dòng shén me shǒu a
🇰🇷 한글번역
왜 손을 대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动 dòng 움직이다, 행동하다 HSK3 什么 shén me 무엇, 무슨 HSK1 手 shǒu 손 HSK1

📚 문법
의문문: "动什么手啊"는 상대방의 행동을 제지하거나 의문을 제기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动"은 "움직이다"라는 뜻이고, "什么"는 "무엇"을 의미하며, "手"는 "손"을 뜻합니다. 전체적으로 "손을 왜 움직이니?" 또는 "왜 손을 대니?"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啊"는 문장의 끝에 붙어 감탄이나 의문을 강조합니다.
자막 #312 | 00:13:11,416 → 00:13:12,500
我跟他好好唠唠
📝 한어병음
wǒ gēn tā hǎo hǎo lào lào
🇰🇷 한글번역
그와 잘 이야기해볼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跟 gēn ~와/과 HSK2 他 tā 그 HSK1 好好 hǎohāo 잘, 충분히 HSK3 唠唠 láolao 이야기하다, 수다떨다 (HSK 비급수)

📚 문법
동사 중첩: 중국어에서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의 짧음이나 가벼움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동사 (나는 그와 잘 이야기해볼 것이다)
자막 #313 | 00:13:16,208 → 00:13:19,166
你知道你把那求婚礼物落公司了吗
📝 한어병음
nǐ zhī dào nǐ bǎ nà qiú hūn lǐ wù luò gōng sī liǎo ma
🇰🇷 한글번역
너 그 청혼 선물 회사에 두고 온 거 알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知道 zhī dào 알다 HSK2 把 bǎ 을/를 HSK3 求婚 qiú hūn 청혼하다 HSK6 礼物 lǐ wù 선물 HSK3

公司 gōng sī 회사 HSK3 落 là 놓다, 두다 HSK5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기타 성분 (너는 청혼 선물을 회사에 두고 온 것을 알고 있니?)

이 문장에서 "把那求婚礼物落公司"는 '청혼 선물을 회사에 두다'라는 의미로, 동작의 결과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314 | 00:13:19,166 → 00:13:21,416
我去 那你赶紧给我寄过来啊
📝 한어병음
wǒ qù nà nǐ gǎn jǐn gěi wǒ jì guò lái a
🇰🇷 한글번역
나 갈게, 그러니까 빨리 보내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去 qù 가다 HSK1 赶紧 gǎn jǐn 서둘러 HSK4 给 gěi 주다 HSK2 寄 jì 보내다 HSK4

📚 문법
- 祈使句 (명령문):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청하거나 명령하는 문장입니다. 여기서는 "赶紧给我寄过来"가 이에 해당하며, "서둘러 나에게 보내줘"라는 뜻입니다.
- 方向补语: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는 보어입니다. "过来"는 '이쪽으로 오다'라는 의미로, "寄过来"는 '보내오다'라는 뜻입니다.
자막 #315 | 00:13:21,416 → 00:13:22,291
哥你就放心吧
📝 한어병음
gē nǐ jiù fàng xīn ba
🇰🇷 한글번역
형, 걱정하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哥 gē 형, 오빠 HSK1 你 nǐ 너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放心 fàng xīn 안심하다 HSK3 吧 ba ~하자, ~해라 (제안, 명령) HSK2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상대방에게 제안하거나 명령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就 + 동사 + 吧 (형, 그냥 안심해)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안심하라는 제안을 하는 형태입니다. "就"는 '바로'라는 의미로, 문장에 확신을 더해줍니다.
자막 #316 | 00:13:22,291 → 00:13:24,208
我都给你寄家去了
📝 한어병음
wǒ dōu gěi nǐ jì jiā qù liǎo
🇰🇷 한글번역
나는 다 너희 집으로 보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都 dōu 모두 HSK1 给 gěi ~에게 HSK2 寄 jì 보내다 HSK4 家 jiā 집 HSK1 去了 qù le 갔다 HSK1

📚 문법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입니다. '寄家去了'는 '집으로 보냈다'라는 완료된 동작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了 (완료된 동작을 나타냄)
자막 #317 | 00:13:24,208 → 00:13:24,583
大哥了
📝 한어병음
dà gē liǎo
🇰🇷 한글번역
형님
🎯 AI 분석 결과
🔍 어휘
大 dà 크다, 매우 HSK1 哥 gē 형, 오빠 HSK1 了 le 완료, 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了字句: '了'는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문장 끝에 위치하여 이미 일어난 일이나 변화된 상태를 강조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了 (상태의 변화나 완료를 나타냄)
자막 #318 | 00:13:24,583 → 00:13:26,750
我去小雨家我不回自己家
📝 한어병음
wǒ qù xiǎo yǔ jiā wǒ bù huí zì jǐ jiā
🇰🇷 한글번역
나는 소우네 집에 가고, 내 집에는 돌아가지 않을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去 qù 가다 HSK1 小雨 Xiǎoyǔ (사람 이름) 家 jiā 집 HSK1 回 huí 돌아가다 HSK2 自己 zìjǐ 자기 자신 HSK3

📚 문법
병렬구조: 두 개 이상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열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 동사 + 목적어 (나는 소우의 집에 가고, 내 집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이 문장은 두 개의 독립된 행동을 연결하여, 화자가 소우의 집에 가고 자신의 집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자막 #319 | 00:13:26,750 → 00:13:28,375
我去 我赶紧改个地址
📝 한어병음
wǒ qù wǒ gǎn jǐn gǎi gè dì zhǐ
🇰🇷 한글번역
나 빨리 주소를 바꿔야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去 qù 가다 HSK1 赶紧 gǎn jǐn 서둘러 HSK4 改 gǎi 바꾸다, 고치다 HSK4 地址 dì zhǐ 주소 HSK3

📚 문법
동사 중첩: "赶紧"은 서두르는 동작을 강조하는 부사로, 동사 "改"와 함께 사용되어 행동의 긴급성을 나타냅니다.
형태: 부사 + 동사 (나는 서둘러 주소를 바꾼다)
자막 #320 | 00:13:48,041 → 00:13:48,791
📝 한어병음
lái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동작의 방향: "来"는 화자가 있는 쪽으로의 움직임을 나타내며, 주로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进来"는 "들어오다"라는 뜻입니다.
자막 #321 | 00:13:52,041 → 00:13:54,208
叔叔 我不会抽烟
📝 한어병음
shū shū wǒ bù huì chōu yān
🇰🇷 한글번역
삼촌, 저는 담배를 피우지 않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3 我 wǒ 나 HSK1 不会 bú huì ~할 줄 모른다 HSK2 抽烟 chōuyān 담배를 피우다 HSK4

📚 문법
부정문: 중국어에서 '不会'는 능력이나 가능성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不会 + 동사 (나는 담배를 피울 줄 모른다)
자막 #322 | 00:13:54,208 → 00:13:55,583
一米八十多大个子
📝 한어병음
yī mǐ bā shí duō dà gè zǐ
🇰🇷 한글번역
키가 180cm가 넘는 큰 사람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 yī 하나 HSK1
米 mǐ 미터 HSK3
八十 bā shí 팔십 HSK2
多 duō 많다, 넘다 HSK1
大 dà 크다 HSK1
个子 gè zi 키, 체격 HSK4

📚 문법
숫자 + 단위 + 多: 숫자 뒤에 '多'가 붙어 '넘다'라는 의미를 더합니다. 이 표현은 대략적인 수치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一米八十多"는 "1미터 80보다 조금 더"라는 의미로, 정확한 수치보다는 대략적인 높이를 나타냅니다.

형태: 숫자 + 단위 + 多 + 명사 (예: 一米八十多个子 - 1미터 80이 넘는 키)
자막 #323 | 00:13:55,583 → 00:13:57,166
连烟都不会抽
📝 한어병음
lián yān dōu bù huì chōu
🇰🇷 한글번역
담배도 못 피워
🎯 AI 분석 결과
🔍 어휘
连 lián ~조차도 HSK4 烟 yān 담배 HSK4 都 dōu 모두, ~조차도 HSK1 不会 bú huì 할 줄 모른다 HSK2 抽 chōu 피우다 (담배를) HSK4

📚 문법
连...都/也...: 강조의 의미로, 어떤 상황이나 사실이 예상 밖임을 나타냅니다.
형태: 连 + 명사/구 + 都/也 + 동사 (담배조차도 피울 줄 모른다)

이 문장은 "담배조차도 피울 줄 모른다"라는 뜻으로, 담배를 피우는 것이 일반적이거나 쉬운 일로 여겨지지만 그조차도 할 줄 모른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자막 #324 | 00:13:57,166 → 00:13:58,875
怎么在社会上混啊
📝 한어병음
zěn me zài shè huì shàng hùn a
🇰🇷 한글번역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남을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 me 어떻게 HSK2 在 zài ~에서 HSK1 社会 shè huì 사회 HSK3 混 hùn 어울리다, 지내다 (HSK 급수 없음)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방식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怎么 + 동사 (어떻게 ~하는가?)
이 문장에서는 "어떻게 사회에서 지내는가?"라는 의미로, 사회생활의 방식을 묻고 있습니다.
자막 #325 | 00:13:59,583 → 00:14:00,333
📝 한어병음
🇰🇷 한글번역
그럼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 HSK1

📚 문법
지시대명사: '那'는 '저' 또는 '그'라는 의미로, 특정한 사물이나 사람을 지시할 때 사용됩니다. 문장에서 주로 명사 앞에 위치하여 특정 대상을 가리킵니다.
자막 #326 | 00:14:00,750 → 00:14:02,375
抽一根也可以
📝 한어병음
chōu yī gēn yě kě yǐ
🇰🇷 한글번역
한 대 피워도 돼.
🎯 AI 분석 결과
🔍 어휘
抽 chōu 뽑다, 꺼내다 HSK4 一 yī 하나 HSK1 根 gēn 개비, 가닥 (가늘고 긴 물건을 세는 단위) HSK5 也 yě ~도, 또한 HSK1 可以 kě yǐ ~할 수 있다 HSK2

📚 문법
也字句: "也"는 "~도, 또한"의 의미로, 앞의 내용을 긍정하거나 추가적인 내용을 덧붙일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也 + 동사/형용사 (하나를 뽑아도 괜찮다)
자막 #327 | 00:14:05,041 → 00:14:08,041
你这一会儿会抽 一会儿不会抽的
📝 한어병음
nǐ zhè yī huì ér huì chōu yī huì ér bù huì chōu de
🇰🇷 한글번역
너는 잠깐 피우다가 또 안 피우다가 하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 HSK1 会 huì 할 수 있다 HSK2 抽 chōu 피우다, 뽑다 (문맥에 따라) HSK4 不会 bù huì 할 수 없다 HSK1

📚 문법
동사의 반복: "一会儿...一会儿..."는 두 가지 상반된 행동이나 상태가 번갈아 일어남을 나타냅니다.
형태: 一会儿 + 동사/형용사 + 一会儿 + 동사/형용사 (너는 잠시 피우다가 잠시 안 피운다)
자막 #328 | 00:14:08,250 → 00:14:10,458
你很善变呢 小伙子
📝 한어병음
nǐ hěn shàn biàn ne xiǎo huǒ zǐ
🇰🇷 한글번역
너 참 변덕스럽구나, 친구.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很 hěn 매우 HSK1 善变 shàn biàn 변덕스럽다 HSK6 小伙子 xiǎo huǒ zi 젊은이, 청년 HSK5

📚 문법
형용사 술어문: 주어 + 很 + 형용사 형태로,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설명합니다. 여기서는 "你很善变"에서 주어 '你'가 '善变'하다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자막 #329 | 00:14:11,500 → 00:14:13,750
我很为我姑娘担心
📝 한어병음
wǒ hěn wèi wǒ gū niáng dān xīn
🇰🇷 한글번역
나는 내 딸이 걱정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很 hěn 매우 HSK1 为 wèi ~을 위해 HSK3 姑娘 gū niang 소녀, 딸 HSK3 担心 dān xīn 걱정하다 HSK3

📚 문법
정도부사 "很":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정도를 강조합니다. (나는 매우 걱정한다)
介词结构: "为"는 전치사로, 목적을 나타내며 "~을 위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나는 내 딸을 위해 걱정한다)
자막 #330 | 00:14:15,791 → 00:14:16,416
那个
📝 한어병음
nà gè
🇰🇷 한글번역
그것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个 nà ge 그것, 그 HSK1

📚 문법
지시대명사: '那个'는 특정한 사물이나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되는 지시대명사입니다. 한국어의 '그것' 또는 '그'에 해당합니다.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등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자막 #331 | 00:14:16,416 → 00:14:17,333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구성원이나 나이가 비슷한 남성을 부를 때 사용하는 명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아버지의 남자 형제를 지칭하지만, 친근한 관계의 나이 많은 남성을 부를 때도 사용됩니다.
자막 #332 | 00:14:17,333 → 00:14:19,208
我刚才在冷库那儿
📝 한어병음
wǒ gāng cái zài lěng kù nà ér
🇰🇷 한글번역
방금 전에 냉동 창고에 있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刚才 gāng cái 방금, 막 HSK3 在 zài ~에 HSK1 冷库 lěng kù 냉장고, 냉동창고 (비HSK) 那儿 nà er 거기 HSK2

📚 문법
장소 부사구: 중국어에서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구는 주로 주어 뒤에 위치합니다.
형태: 주어 + 在 + 장소 (나는 방금 냉동창고에 있었다)
자막 #333 | 00:14:19,208 → 00:14:21,000
我是想帮忙的
📝 한어병음
wǒ shì xiǎng bāng máng de
🇰🇷 한글번역
저는 도와주고 싶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是 shì 이다 HSK1 想 xiǎng 생각하다, 원하다 HSK2 帮忙 bāng máng 돕다 HSK3 的 de ~의 (구조조사) HSK1

📚 문법
"是...的" 구조: 과거의 행동이나 사건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형태: 是 + 동사 + 的 (나는 돕고 싶었던 것이다)
자막 #334 | 00:14:21,000 → 00:14:21,916
你那是帮忙吗
📝 한어병음
nǐ nà shì bāng máng ma
🇰🇷 한글번역
그게 도움이 되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那 nà 그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帮忙 bāng máng 돕다 HSK3 吗 ma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是...吗? 구조: 중국어에서 '是...吗?'는 의문문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이 구조는 특정 사실이나 상황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是 + 서술어 + 吗? (너는 그것을 돕는 것이니?)
자막 #335 | 00:14:21,916 → 00:14:23,208
你那是添乱
📝 한어병음
nǐ nà shì tiān luàn
🇰🇷 한글번역
너는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들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那 nà 그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添乱 tiān luàn 혼란을 더하다 (비공식)

📚 문법
- 是字句: "是"는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주어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는 "那是"가 "그것은"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添乱"은 비공식 표현으로, "혼란을 더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는 누군가의 행동이 상황을 더 복잡하게 만들거나 방해가 된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336 | 00:14:23,208 → 00:14:24,916
人家要是拿不着钱
📝 한어병음
rén jiā yào shì ná bù zhe qián
🇰🇷 한글번역
사람이 돈을 받지 못하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人家 rén jiā 다른 사람, 남 HSK4 要是 yào shì 만약 HSK4 拿 ná 잡다, 쥐다 HSK3 不 bù ~하지 않다 HSK1 着 zháo 동작의 완료를 나타냄 HSK3 钱 qián 돈 HSK1

📚 문법
假设句: '要是'는 가정문에서 사용되는 접속사로, '만약 ~라면'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要是 + 조건 + (的话), 주어 + 동사 + 결과 (만약 다른 사람이 돈을 잡지 못한다면)

결과보어: '着'는 동작의 완료나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로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不 + 着 (잡지 못한다)
자막 #337 | 00:14:24,916 → 00:14:26,750
你知道耽误人家多少事吗
📝 한어병음
nǐ zhī dào dān wù rén jiā duō shǎo shì ma
🇰🇷 한글번역
너 때문에 얼마나 많은 일이 지연됐는지 알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知道 zhī dào 알다 HSK1 耽误 dān wù 지체하다, 지연시키다 HSK5 人家 rén jiā 남, 다른 사람 HSK4 多少 duō shǎo 얼마나 HSK2 事 shì 일 HSK2

📚 문법
- 反问句: 이 문장은 반문형으로, 상대방에게 그들이 한 행동의 결과에 대해 생각하게 하려는 의도로 사용됩니다. "너는 다른 사람의 얼마나 많은 일을 지연시켰는지 알고 있니?"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비판이나 경고의 뉘앙스를 담고 있습니다.
- 多少: '얼마나'라는 뜻으로, 뒤에 명사를 수식하여 '얼마나 많은 ~'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자막 #338 | 00:14:26,750 → 00:14:28,166
是 是 是 叔叔
📝 한어병음
shì shì shì shū shū
🇰🇷 한글번역
네 네 네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연속된 "是" 사용: 강조나 확인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써 상대방의 말을 인정하거나 동의하는 뉘앙스를 줍니다. 예를 들어, "是 是 是"는 "맞아요, 맞아요, 맞아요" 또는 "네, 네, 네"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339 | 00:14:28,166 → 00:14:30,208
我把您给认错人了
📝 한어병음
wǒ bǎ nín gěi rèn cuò rén liǎo
🇰🇷 한글번역
제가 당신을 다른 사람으로 착각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把 bǎ 을/를 HSK3 您 nín 당신 HSK2 认错 rèn cuò 잘못 알아보다 HSK4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把字句: '把' 자문은 동작의 결과나 영향을 강조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您'이라는 목적어가 동사 '认错'의 영향을 받는 것을 강조합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나는 당신을 잘못 알아봤다)
자막 #340 | 00:14:30,208 → 00:14:32,541
但是我也主要是也怕您受伤
📝 한어병음
dàn shì wǒ yě zhǔ yào shì yě pà nín shòu shāng
🇰🇷 한글번역
하지만 저는 주로 당신이 다칠까 봐 걱정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但是 dàn shì 그러나 HSK3
主要 zhǔ yào 주로 HSK3
怕 pà 두려워하다 HSK4
您 nín 당신 (존칭) HSK2
受伤 shòu shāng 부상당하다 HSK5

📚 문법
"但是"는 접속사로, 앞뒤 문장을 대조하거나 반전의 의미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但是 + 주어 + 동사 + 기타 (그러나 나는 주로 당신이 다칠까봐 두렵습니다)

"也"는 부사로, '또한', '역시'의 의미를 더합니다. 문장에서 강조하고 싶은 부분 앞에 위치합니다.
형태: 주어 + 也 + 동사 (나도 또한 두렵습니다)

"怕"는 동사로, 뒤에 오는 내용에 대해 두려움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怕 + 명사/동사구 (나는 당신이 다칠까봐 두렵습니다)
자막 #341 | 00:14:32,541 → 00:14:33,791
所以我才
📝 한어병음
suǒ yǐ wǒ cái
🇰🇷 한글번역
그래서 내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所以 suǒ yǐ 그래서 HSK3 我 wǒ 나, 저 HSK1 才 cái 비로소, 겨우 HSK3

📚 문법
"所以" 문형: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접속사로, 앞 문장에서 언급된 이유나 원인에 대한 결과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원인 + 所以 + 결과 (그래서 나는 그렇게 했다)
자막 #342 | 00:14:38,291 → 00:14:39,625
叔叔 你看啊
📝 한어병음
shū shū nǐ kàn a
🇰🇷 한글번역
삼촌, 보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아저씨 HSK2 你 nǐ 너 HSK1 看 kàn 보다 HSK1 啊 a 어조사 (감탄, 강조) HSK1

📚 문법
어조사 "啊":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탄, 강조, 혹은 친근함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너 보세요"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주의를 끌거나 무언가를 보여주고 싶을 때 사용됩니다.
자막 #343 | 00:14:39,625 → 00:14:41,625
我这第一次跟您见面
📝 한어병음
wǒ zhè dì yī cì gēn nín jiàn miàn
🇰🇷 한글번역
저는 이번이 처음 뵙는 겁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这 zhè 이 HSK1 第一次 dì yī cì 첫 번째 HSK4 跟 gēn ~와 함께 HSK2 见面 jiàn miàn 만나다 HSK3

📚 문법
시간 부사어: "第一次"는 '첫 번째로'라는 의미로,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이 처음 발생함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第一次 + 동사 (나는 처음으로 만난다)
자막 #344 | 00:14:41,625 → 00:14:43,666
我也不知道您喜欢点啥
📝 한어병음
wǒ yě bù zhī dào nín xǐ huān diǎn shá
🇰🇷 한글번역
저도 당신이 무엇을 좋아하시는지 모르겠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也 yě 또한, 역시 HSK1 不知道 bù zhī dào 모르다 HSK2 您 nín 당신 (존칭) HSK2 喜欢 xǐ huān 좋아하다 HSK1 点 diǎn 주문하다, 고르다 HSK3 啥 shá 무엇 (구어체)

📚 문법
- 也 (yě): '또한', '역시'의 의미로,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가 다른 주어와 동일함을 나타냅니다. 예: 我也不知道 (나도 모릅니다).
- 不知道 (bù zhī dào): '모르다'의 의미로, 어떤 정보나 사실에 대한 인식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 啥 (shá): '무엇'의 구어체 표현으로, 주로 구어체에서 사용됩니다. 표준어로는 什么 (shénme)로 사용됩니다.
자막 #345 | 00:14:43,666 → 00:14:45,333
我就买了点东西
📝 한어병음
wǒ jiù mǎi liǎo diǎn dōng xī
🇰🇷 한글번역
나는 그냥 몇 가지 물건을 샀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买 mǎi 사다 HSK1
东西 dōng xi 물건, 것 HSK1

📚 문법
"就"의 사용: "就"는 문장에서 어떤 행동이나 사건이 곧바로 일어났음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바로"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화자가 물건을 사는 행동이 즉각적이었음을 강조합니다.
문장 구조: 주어 + 就 + 동사 + 목적어 (나는 바로 물건을 샀다)
자막 #346 | 00:14:45,666 → 00:14:47,541
准备了一个小礼物
📝 한어병음
zhǔn bèi liǎo yī gè xiǎo lǐ wù
🇰🇷 한글번역
작은 선물을 준비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准备 zhǔn bèi 준비하다 HSK3 一个 yí gè 하나의 HSK1 小 xiǎo 작은 HSK1 礼物 lǐ wù 선물 HSK3

📚 문법
명사구: "一个小礼物"는 "하나의 작은 선물"이라는 뜻으로, 수량사 "一个"와 형용사 "小"가 명사 "礼物"를 수식하는 구조입니다. 중국어에서는 수량사와 명사가 함께 쓰여 명사구를 형성합니다.
자막 #347 | 00:14:47,791 → 00:14:51,125
你说你们都挣不了多少钱 瞎买什么礼物啊
📝 한어병음
nǐ shuō nǐ men dōu zhèng bù liǎo duō shǎo qián xiā mǎi shén me lǐ wù a
🇰🇷 한글번역
너희가 돈을 많이 벌지 못한다고 했잖아, 왜 쓸데없이 선물을 사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你们 nǐmen 너희들 HSK1 都 dōu 모두 HSK1 挣 zhèng 벌다 HSK4

不了 bùliǎo 할 수 없다 HSK4 多少 duōshao 얼마 HSK1 钱 qián 돈 HSK1 瞎 xiā 함부로, 막 HSK6 买 mǎi 사다 HSK1

礼物 lǐwù 선물 HSK3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를 나타냄 HSK2

📚 문법
1. 反问句: 반문형 문장으로, 상대방의 행동이나 의견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때 사용합니다.
예: 你说你们都挣不了多少钱 瞎买什么礼物啊 (너희들이 돈을 많이 벌지 못한다고 하면서, 왜 함부로 선물을 사니?)

2. 可能补语: 동사 뒤에 붙어 어떤 일이 가능한지 불가능한지를 나타냅니다.
예: 挣不了 (벌 수 없다)
자막 #348 | 00:14:54,250 → 00:14:55,500
打开我看看
📝 한어병음
dǎ kāi wǒ kàn kàn
🇰🇷 한글번역
열어서 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打开 dǎ kāi 열다 HSK2 我 wǒ 나, 저 HSK1 看看 kàn kan 보다, 살펴보다 HSK1

📚 문법
동사 중첩: 중국어에서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의 짧음이나 시도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동사 (한번 보다, 살펴보다)
자막 #349 | 00:14:56,875 → 00:14:58,500
我看看什么礼物
📝 한어병음
wǒ kàn kàn shén me lǐ wù
🇰🇷 한글번역
어떤 선물을 볼지 한번 보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看看 kàn kàn 보다 (한번 보다) HSK2 什么 shén me 무엇, 어떤 HSK1 礼物 lǐ wù 선물 HSK3

📚 문법
동사 중첩: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동사 (한번 보다)
자막 #350 | 00:15:02,625 → 00:15:03,833
这小子
📝 한어병음
zhè xiǎo zǐ
🇰🇷 한글번역
이 녀석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거 HSK1 小子 xiǎo zi 녀석, 놈 (구어체)

📚 문법
명사구: "这小子"는 구어체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으로, 특정한 사람(주로 남성)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이 녀석" 또는 "이 놈"이라는 뜻으로, 친근하거나 장난스러운 뉘앙스를 줄 수 있습니다.
자막 #351 | 00:15:09,000 → 00:15:10,916
你这是给我送礼啊
📝 한어병음
nǐ zhè shì gěi wǒ sòng lǐ a
🇰🇷 한글번역
이거 나한테 선물 주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给 gěi 주다 HSK2 我 wǒ 나 HSK1 送 sòng 보내다, 선물하다 HSK3 礼 lǐ 선물 HSK4

📚 문법
这是...: "이것은 ~이다"라는 의미로,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설명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给字句: "给"는 수여 동사로, '누구에게 무엇을 주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给 + 사람 + 동사 + 목적어 (너는 나에게 선물을 주는 거야?)
자막 #352 | 00:15:11,083 → 00:15:13,083
还是想让我生活不能自理啊
📝 한어병음
hái shì xiǎng ràng wǒ shēng huó bù néng zì lǐ a
🇰🇷 한글번역
그래도 나를 생활할 수 없게 만들고 싶어하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是 hái shì 여전히, 아직도 HSK3
想 xiǎng 생각하다, 원하다 HSK2
让 ràng ~하게 하다 HSK2
生活 shēng huó 생활하다, 삶 HSK2
不能 bù néng ~할 수 없다 HSK2
自理 zì lǐ 스스로 처리하다 HSK4

📚 문법
1. 让字句: '让'은 '하게 하다'라는 의미로, 사역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让 + 목적어 + 동사 (너는 나를 스스로 생활할 수 없게 한다)

2. 부정형: '不能'은 '할 수 없다'라는 의미로, 능력이나 가능성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不能 + 동사 (나는 스스로 처리할 수 없다)
자막 #353 | 00:15:13,083 → 00:15:14,041
不是
📝 한어병음
bù shì
🇰🇷 한글번역
아니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HSK1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부정문: "不是"는 "아니다"라는 뜻으로, 주어가 어떤 상태나 속성을 부정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명사/형용사 (예: 그는 학생이 아니다)
자막 #354 | 00:15:14,583 → 00:15:16,041
不是叔叔这
📝 한어병음
bù shì shū shū zhè
🇰🇷 한글번역
아저씨가 아니에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是 bù shì 아니다 HSK1 叔叔 shū shu 삼촌 HSK2 这 zhè 이, 이것 HSK1

📚 문법
부정문: "不是"는 "아니다"라는 뜻으로, 주어가 특정한 상태나 속성을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명사/형용사 (이것은 삼촌이 아니다)
자막 #355 | 00:15:18,333 → 00:15:19,250
还加量的
📝 한어병음
hái jiā liáng de
🇰🇷 한글번역
양을 더 늘렸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더, 아직 HSK2 加 jiā 더하다, 추가하다 HSK3 量 liàng 양 HSK4 的 de ~의 (구조조사) HSK1

📚 문법
정도보어: '加量'은 '양을 더하다'라는 의미로, 어떤 동작의 정도나 결과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还'은 '더'라는 의미로, 추가적인 행동이나 상태를 강조합니다.
자막 #356 | 00:15:19,250 → 00:15:21,500
叔叔 我买的不是些这个啊
📝 한어병음
shū shū wǒ mǎi de bù shì xiē zhè gè a
🇰🇷 한글번역
삼촌, 제가 산 건 이게 아니에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我 wǒ 나 HSK1 买 mǎi 사다 HSK2 不是 bú shì ~이 아니다 HSK1 这个 zhè ge 이것 HSK1

📚 문법
부정문: '不是'는 '~이 아니다'라는 의미로, 명사나 대명사를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명사/대명사 (내가 산 것은 이것이 아니다)
자막 #357 | 00:15:22,000 → 00:15:22,666
宝贝
📝 한어병음
bǎo bèi
🇰🇷 한글번역
자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宝贝 bǎo bèi 보물, 귀염둥이 HSK4

📚 문법
명사: '宝贝'는 일반적으로 소중한 물건이나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특히 아이들이나 사랑하는 사람을 애정 어린 표현으로 부를 때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358 | 00:15:22,666 → 00:15:25,458
你看妈妈给你买了两条华子
📝 한어병음
nǐ kàn mā mā gěi nǐ mǎi liǎo liǎng tiáo huá zǐ
🇰🇷 한글번역
엄마가 너에게 화자 두 갑을 사주셨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 kàn 보다 HSK1 妈妈 mā ma 엄마 HSK1 给 gěi 주다 HSK2 买 mǎi 사다 HSK2

🔍 어휘
两 liǎng 두 HSK2 条 tiáo 개 (양사) HSK3 华子 huá zi 담배 (속어) 비HSK

📚 문법
양사 사용: '条'는 길고 가늘며 구부러진 물건을 셀 때 사용하는 양사입니다. 여기서는 '华子'라는 담배를 셀 때 사용되었습니다.
형태: 数量词 + 양사 + 명사 (두 개의 담배)

'给'의 사용: '给'는 '주다'라는 뜻 외에도 '누구에게'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엄마가 너에게 사주었다'라는 의미로 쓰였습니다.
형태: 주어 + 给 + 대상 + 동사 + 목적어 (엄마가 너에게 담배를 사주었다)
자막 #359 | 00:15:28,625 → 00:15:29,250
万儿
📝 한어병음
wàn ér
🇰🇷 한글번역
만얼
🎯 AI 분석 결과
🔍 어휘
万 wàn 만, 10,000 HSK3 儿 ér 아들, 아이 HSK1

📚 문법
명사 결합: '万儿'는 특정한 의미를 가진 단어가 아닌, 두 개의 명사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문맥에 따라 '만'과 '아이'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중국어에서는 두 개 이상의 한자가 결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자막 #360 | 00:15:29,916 → 00:15:31,333
晕车吗
📝 한어병음
yūn chē ma
🇰🇷 한글번역
멀미하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晕 yūn 어지럽다 HSK4 车 chē 차, 차량 HSK1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는 문장의 끝에 "吗"를 붙여서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차멀미하나요?)
자막 #361 | 00:15:31,333 → 00:15:32,125
那个
📝 한어병음
nà gè
🇰🇷 한글번역
그것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 HSK1 个 gè 개, 명 (양사) HSK1

📚 문법
지시대명사: "那个"는 "저것" 또는 "그것"을 의미하며, 특정한 사물이나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那"는 지시대명사로, "个"는 양사로 사용되어 명사를 수식합니다.
자막 #362 | 00:15:32,791 → 00:15:33,833
不晕
📝 한어병음
bù yūn
🇰🇷 한글번역
어지럽지 않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晕 yūn 어지럽다, 멀미하다 HSK4

📚 문법
부정문: "不"는 주로 현재나 미래의 상태 또는 동작을 부정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不 + 형용사/동사 (어지럽지 않다)
자막 #363 | 00:15:33,833 → 00:15:34,666
📝 한어병음
hǎo
🇰🇷 한글번역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好"는 형용사로 "좋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부사로 사용될 때는 "잘"이라는 의미로 동사를 수식합니다. 예를 들어 "做得好"는 "잘했다"라는 뜻입니다.
자막 #364 | 00:15:36,750 → 00:15:37,875
叔叔您慢点
📝 한어병음
shū shū nín màn diǎn
🇰🇷 한글번역
삼촌, 천천히 가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3 您 nín 당신 (높임말) HSK2 慢 màn 천천히 HSK2 点 diǎn 조금 HSK1

📚 문법
존칭 표현: "您"은 "你"의 존칭으로, 상대방을 높여 부를 때 사용합니다.
형용사 + 点: "慢点"은 "천천히 하세요"라는 의미로, 동작의 속도를 조절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365 | 00:15:37,875 → 00:15:38,875
📝 한어병음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대명사: "我"는 주어로 사용되어 화자가 자신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중국어에서 주어는 문장의 시작 부분에 위치하여 주로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를 나타냅니다.
자막 #366 | 00:15:38,875 → 00:15:40,125
恶心
📝 한어병음
è xīn
🇰🇷 한글번역
메스꺼움
🎯 AI 분석 결과
🔍 어휘
恶心 ě xīn 메스껍다, 구역질이 나다 HSK6

📚 문법
이 문장은 단순히 감정을 표현하는 형용사 문장입니다. "恶心"은 상태나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로, 주로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我觉得恶心" (나는 메스껍다)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막 #367 | 00:15:50,166 → 00:15:51,750
今天咱们在这过夜啊
📝 한어병음
jīn tiān zán men zài zhè guò yè a
🇰🇷 한글번역
오늘 여기서 묵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今天 jīntiān 오늘 HSK1 咱们 zánmen 우리 HSK3 在 zài ~에서 HSK1 过夜 guòyè 하룻밤을 보내다 HSK5

📚 문법
장소 부사구: 중국어에서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구는 주어와 동사 사이에 위치하여 동작이 일어나는 장소를 설명합니다.
형태: 주어 + 在 + 장소 + 동사 (오늘 우리는 여기서 하룻밤을 보낸다)
자막 #368 | 00:15:51,750 → 00:15:53,333
洗洗澡干净干净
📝 한어병음
xǐ xǐ zǎo gān jìng gān jìng
🇰🇷 한글번역
씻고 깨끗하게 하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洗 xǐ 씻다 HSK2 澡 zǎo 목욕 HSK4 干净 gānjìng 깨끗하다 HSK3

📚 문법
중첩 동사: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의 짧음이나 가벼움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형태: 동사 + 동사 (씻다 씻다, 즉 가볍게 씻다)
중첩 형용사: 형용사를 반복하여 정도를 강조하거나 강조된 느낌을 줍니다.
형태: 형용사 + 형용사 (깨끗하다 깨끗하다, 즉 아주 깨끗하게)
자막 #369 | 00:15:53,333 → 00:15:54,833
这一身腥臭味
📝 한어병음
zhè yī shēn xīng chòu wèi
🇰🇷 한글번역
이 온몸에 나는 비린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HSK1 一 yī 한, 하나의 HSK1 身 shēn 몸, 전신 HSK4 腥臭 xīng chòu 비린내, 악취 HSK6 味 wèi 맛, 냄새 HSK3

📚 문법
이 문장은 주어와 명사를 사용하여 특정 상태나 특징을 설명하는 구조입니다. 여기서 "这一身腥臭味"는 "이 몸에 밴 비린내"라는 뜻으로, 주어 "这"와 명사구 "一身腥臭味"가 결합되어 특정한 상태나 특징을 묘사합니다.
자막 #370 | 00:15:54,833 → 00:15:56,208
好的叔叔
📝 한어병음
hǎo de shū shū
🇰🇷 한글번역
좋아요,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的 de ~의 (관형어를 만드는 구조조사) HSK1 叔叔 shū 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관형어 구조: '的'는 관형어를 만들어 명사를 수식합니다.
형태: 형용사/명사 + 的 + 명사 (좋은 아저씨)

이 문장에서 "好的"는 "叔叔"를 수식하여 "좋은 아저씨"라는 의미를 만듭니다.
자막 #371 | 00:15:59,375 → 00:15:59,875
海哥
📝 한어병음
hǎi gē
🇰🇷 한글번역
해거
🎯 AI 분석 결과
안녕하세요! "海哥"라는 단어는 특정한 문맥이나 인물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海哥"는 "바다 형"이라는 뜻으로, 친근하게 누군가를 부르는 표현일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더 구체적인 문장이 있다면, 추가적인 분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자막 #372 | 00:15:59,958 → 00:16:00,583
海哥
📝 한어병음
hǎi gē
🇰🇷 한글번역
해거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 hǎi 바다 HSK3 哥 gē 형, 오빠 HSK1

📚 문법
이 문장은 단순히 이름이나 별칭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특별한 문법 패턴이 없습니다. "海哥"는 "바다 형" 또는 "바다 오빠"라는 의미로, 특정 인물에 대한 친근한 호칭일 수 있습니다.
자막 #373 | 00:16:02,416 → 00:16:02,958
海哥
📝 한어병음
hǎi gē
🇰🇷 한글번역
해거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 hǎi 바다 HSK2 哥 gē 형, 오빠 HSK1

📚 문법
이 문장은 특정 문법 패턴을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海哥"는 "바다 형" 또는 "바다 오빠"라는 뜻으로, 특정 인물을 친근하게 부르는 표현일 수 있습니다.
자막 #374 | 00:16:03,125 → 00:16:03,541
海哥
📝 한어병음
hǎi gē
🇰🇷 한글번역
해거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 hǎi 바다 HSK2 哥 gē 형, 오빠 HSK1

📚 문법
이 문장은 특정한 문법 패턴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海哥"는 "바다 형" 또는 "바다 오빠"라는 의미로, 특정 인물의 별명이나 호칭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375 | 00:16:03,541 → 00:16:04,041
海哥
📝 한어병음
hǎi gē
🇰🇷 한글번역
하이거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 hǎi 바다 HSK2 哥 gē 형, 오빠 HSK1

📚 문법
이 문장은 주로 사람의 이름이나 별칭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海哥"는 "바다 형"이라는 뜻으로, 특정 인물에 대한 친근한 호칭일 수 있습니다. 중국어에서 이름이나 별칭은 종종 두 글자로 구성되며, 이는 발음의 리듬감과 기억하기 쉬운 점 때문에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376 | 00:16:05,375 → 00:16:06,000
海哥
📝 한어병음
hǎi gē
🇰🇷 한글번역
하이거
🎯 AI 분석 결과
안녕하세요! "海哥"라는 표현은 중국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별명이나 친근한 호칭일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문장이 주어지면 더 자세한 분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海哥"가 포함된 문장이 있다면 그 문장을 분석해드리겠습니다. 추가적인 정보나 문장이 있다면 제공해주세요!
자막 #377 | 00:16:06,000 → 00:16:06,625
您来了
📝 한어병음
nín lái liǎo
🇰🇷 한글번역
오셨군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您 nín 당신 (존칭) HSK2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주어 + 동사: 중국어에서 주어와 동사가 결합하여 가장 기본적인 문장을 구성합니다. 여기서는 "您"이 주어이고 "来了"가 동사로, "당신이 오셨습니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来"는 동사로 "오다"를 뜻하며, "了"는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자막 #378 | 00:16:06,625 → 00:16:07,333
又壮了啊
📝 한어병음
yòu zhuàng liǎo a
🇰🇷 한글번역
또 튼튼해졌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又 yòu 또, 다시 HSK2 壮 zhuàng 튼튼하다, 건장하다 HSK5 了 le ~했다 (완료) HSK1 啊 a ~구나 (감탄) HSK1

📚 문법
又字句: '又'는 반복이나 추가를 나타내며, 주로 과거의 반복된 동작이나 상태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又 + 동사/형용사 (다시 ~했다/또 ~하다)

了字句: '了'는 동작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며, 완료나 변화의 의미를 강조합니다.
형태: 동사/형용사 + 了 (변화나 완료를 나타냄)

이 문장에서 "又壮了啊"는 "또 건장해졌구나"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외모나 체격이 이전보다 더 좋아졌음을 감탄하며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자막 #379 | 00:16:09,541 → 00:16:10,125
海哥
📝 한어병음
hǎi gē
🇰🇷 한글번역
해거
🎯 AI 분석 결과
죄송하지만, 주어진 텍스트 "海哥"는 분석할 수 있는 충분한 문맥이나 정보가 없습니다. "海哥"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이름이나 별명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문장이 제공된다면 더 상세한 분석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자막 #380 | 00:16:12,291 → 00:16:12,916
海哥
📝 한어병음
hǎi gē
🇰🇷 한글번역
해거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 hǎi 바다 HSK2 哥 gē 형, 오빠 HSK1

📚 문법
이 문장은 주로 이름이나 별명으로 사용될 수 있는 표현입니다. "海哥"는 "바다 형" 또는 "바다 오빠"로 해석될 수 있으며, 특정 인물을 친근하게 부르는 호칭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문법적으로는 특별한 구조가 없으며, 명사 + 명사의 형태입니다.
자막 #381 | 00:16:12,916 → 00:16:14,625
这是您新收的徒弟啊
📝 한어병음
zhè shì nín xīn shōu de tú dì a
🇰🇷 한글번역
이분이 새로 받으신 제자군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您 nín 당신 (존칭) HSK3 新 xīn 새로운 HSK2 收 shōu 받다, 얻다 HSK4 徒弟 tú dì 제자 HSK5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강조를 나타냄 HSK2

📚 문법
这是...: "이것은 ...이다"라는 뜻으로,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설명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这是 + 명사 (이것은 당신이 새로 받은 제자입니다)
자막 #382 | 00:16:15,333 → 00:16:15,666
您好
📝 한어병음
nín hǎo
🇰🇷 한글번역
안녕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您 nín 당신 HSK1 好 hǎo 좋다, 안녕하세요 HSK1

📚 문법
인사 표현: "您好"는 중국어에서 공손하게 인사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您"은 '당신'을 뜻하며, "好"는 '좋다'라는 뜻으로, 합쳐서 '안녕하세요'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您"은 특히 존칭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383 | 00:16:15,666 → 00:16:16,208
我是小雨
📝 한어병음
wǒ shì xiǎo yǔ
🇰🇷 한글번역
저는 소우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是 shì 이다 HSK1 小 xiǎo 작은 HSK1 雨 yǔ 비 HSK2

📚 문법
주어 + 是 + 명사: 중국어에서 주어가 무엇인지 설명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예시: 我是小雨 (나는 샤오위입니다)
자막 #384 | 00:16:16,208 → 00:16:17,958
小雨朋友的同事家的孩子
📝 한어병음
xiǎo yǔ péng yǒu de tóng shì jiā de hái zǐ
🇰🇷 한글번역
소우 친구의 동료 집 아이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雨 xiǎo yǔ 샤오위 (이름) 朋友 péng yǒu 친구 HSK1 同事 tóng shì 동료 HSK3 家 jiā 집 HSK1 孩子 hái zi 아이 HSK1

📚 문법
명사구: 이 문장은 여러 명사가 결합하여 하나의 복잡한 명사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구조: [사람 이름] + 的 + [친구] + 的 + [동료] + 的 + [집] + 的 + [아이]
이 구조는 소유 관계를 나타내며, '샤오위의 친구의 동료의 집의 아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385 | 00:16:24,375 → 00:16:26,333
您这孩子可真可爱啊
📝 한어병음
nín zhè hái zǐ kě zhēn kě ài a
🇰🇷 한글번역
이 아이 정말 귀엽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您 nín 당신 HSK2 这 zhè 이 HSK1 孩子 hái zi 아이 HSK1 可爱 kě'ài 귀엽다 HSK3 真 zhēn 정말 HSK2

📚 문법
感叹句: 감탄문으로,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主语 + 真 + 形容词 + 啊 (당신의 이 아이는 정말 귀엽네요)

감탄문에서는 "啊"를 사용하여 감정을 강조합니다.
자막 #386 | 00:16:38,666 → 00:16:40,333
你又磨叽什么呢在这
📝 한어병음
nǐ yòu mó jī shén me ne zài zhè
🇰🇷 한글번역
여기서 또 뭘 꾸물거리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又 yòu 또, 다시 HSK3 磨叽 mó ji 꾸물거리다, 지체하다 (HSK 비등재) 什么 shénme 무엇 HSK1 在 zài ~에, ~에서 HSK1

📚 문법
- "又"의 사용: "又"는 반복이나 추가적인 행동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또"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상대방의 반복적인 행동에 대한 불만을 나타냅니다.
- "在"의 사용: "在"는 장소나 시간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在这"로 "여기에서"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자막 #387 | 00:16:40,666 → 00:16:42,208
这门好像坏了
📝 한어병음
zhè mén hǎo xiàng huài liǎo
🇰🇷 한글번역
이 문이 고장난 것 같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门 mén 문 HSK1 好像 hǎoxiàng 마치 ~인 것 같다 HSK3 坏 huài 고장나다, 나쁘다 HSK3

📚 문법
好像: 중국어에서 어떤 상황이나 상태가 추측되거나 예상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형태: 주어 + 好像 + 동사/형용사 (이 문은 마치 고장난 것 같다)
자막 #388 | 00:16:42,708 → 00:16:43,791
门坏了
📝 한어병음
mén huài liǎo
🇰🇷 한글번역
문이 고장 났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门 mén 문 HSK1 坏 huài 고장나다, 나쁘다 HSK3

📚 문법
주어 + 상태 동사: 중국어에서 주어의 상태를 설명할 때 주로 사용되는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주어 + 상태 동사 (문이 고장났다)
자막 #389 | 00:16:46,125 → 00:16:47,958
你怎么爱穿这种小孩衣服呢
📝 한어병음
nǐ zěn me ài chuān zhè zhǒng xiǎo hái yī fu ne
🇰🇷 한글번역
너는 왜 이런 어린이 옷을 좋아해서 입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爱 ài 사랑하다, 좋아하다 HSK1 穿 chuān 입다 HSK1 这种 zhè zhǒng 이런 종류의 HSK3 小孩 xiǎo hái 어린이 HSK3 衣服 yīfu 옷 HSK1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이유를 묻는 의문사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怎么 + 동사 + 목적어 (너는 어떻게 이런 어린이 옷을 좋아하니?)

이 문장에서 "怎么"는 이유를 묻는 의미로 사용되어, 상대방의 행동이나 선택에 대한 궁금증을 나타냅니다.
자막 #390 | 00:16:48,125 → 00:16:49,166
幼稚
📝 한어병음
yòu zhì
🇰🇷 한글번역
유치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幼稚 yòuzhì 유치하다, 미숙하다 HSK5

📚 문법
이 문장은 특정한 문법 패턴을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幼稚"는 형용사로, 사람이나 행동이 성숙하지 못하고 어린아이 같음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자막 #391 | 00:16:54,166 → 00:16:56,625
我爸觉得爱玩游戏的人都不成熟
📝 한어병음
wǒ bà jué dé ài wán yóu xì de rén dōu bù chéng shú
🇰🇷 한글번역
우리 아빠는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모두 미성숙하다고 생각하신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爸 bà 아빠 HSK1 觉得 juéde 생각하다, 느끼다 HSK3 爱 ài 사랑하다, 좋아하다 HSK1 玩 wán 놀다, 즐기다 HSK2

游戏 yóuxì 게임 HSK3 人 rén 사람 HSK1 都 dōu 모두 HSK1 不 bù 아니다 HSK1 成熟 chéngshú 성숙하다 HSK5

📚 문법
주어 + 觉得 + 명사/문장: '주어는 ~라고 생각하다'라는 의미로, 개인의 의견이나 느낌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예문: 我觉得这本书很好看。(나는 이 책이 재미있다고 생각해.)
자막 #392 | 00:16:56,625 → 00:16:58,625
你就先别提你的工作了
📝 한어병음
nǐ jiù xiān bié tí nǐ de gōng zuò liǎo
🇰🇷 한글번역
일단 네 일 얘기는 하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先 xiān 먼저 HSK2 别 bié ~하지 마라 HSK2 提 tí 언급하다 HSK4 工作 gōng zuò 일, 직업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别"는 금지를 나타내는 명령문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너는 일단 네 일을 언급하지 마라)
자막 #393 | 00:17:00,791 → 00:17:01,791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HSK2

📚 문법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들은 매우 구체적이며, 상대방의 나이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사용됩니다.
자막 #394 | 00:17:08,291 → 00:17:09,208
怎么的
📝 한어병음
zěn me de
🇰🇷 한글번역
어떻게 된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的 de ~의 (구조조사) HSK1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이유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 주로 동사 앞에 위치하여 "어떻게 ~하나요?"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형태: 怎么 + 동사 (어떻게 ~하다)
자막 #395 | 00:17:10,166 → 00:17:11,666
想亲叔叔啊
📝 한어병음
xiǎng qīn shū shū a
🇰🇷 한글번역
삼촌 보고 싶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想 xiǎng 생각하다, 그리워하다 HSK2 亲 qīn 친하다, 친밀하다 HSK3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1

📚 문법
동사 + 목적어: "想"은 동사로 "생각하다" 또는 "그리워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뒤에 목적어가 올 수 있습니다. 이 문장에서 "叔叔"는 "삼촌"이라는 뜻의 목적어입니다. 따라서 "想叔叔"는 "삼촌을 그리워하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삼촌을 그리워하다)
자막 #396 | 00:17:14,583 → 00:17:16,083
我就是想试试
📝 한어병음
wǒ jiù shì xiǎng shì shì
🇰🇷 한글번역
그냥 한번 해보고 싶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就是 jiù shì 바로, 단지 HSK4 想 xiǎng 생각하다, 원하다 HSK2 试试 shì shì 시도하다, 해보다 HSK3

📚 문법
동사 중첩: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을 가볍게 시도하거나 시험해보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동사 (试试는 '시험 삼아 해보다'라는 뜻으로, 가벼운 시도를 나타냅니다.)
자막 #397 | 00:17:16,083 → 00:17:17,791
这个门坏没坏
📝 한어병음
zhè gè mén huài méi huài
🇰🇷 한글번역
이 문이 고장 났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个 zhè ge 이, 이것 HSK1 门 mén 문 HSK2 坏 huài 고장나다, 나쁘다 HSK3

📚 문법
A-not-A 의문문: 중국어에서 상태나 동작의 여부를 물어볼 때 사용하는 의문문 형식입니다.
형태: 동사/형용사 + 没 + 동사/형용사 (이 문이 고장 났나요?)
자막 #398 | 00:17:19,291 → 00:17:20,541
现在坏了
📝 한어병음
xiàn zài huài liǎo
🇰🇷 한글번역
지금 고장났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现 xiàn 현재, 지금 HSK2 在 zài ~에 있다 HSK1 坏 huài 고장나다, 나쁘다 HSK3 了 le ~했다 (완료) HSK1

📚 문법
了字句: '了'는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了 (지금 고장났다)

'现在坏了'는 현재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며, '지금 고장났다'라는 뜻입니다.
자막 #399 | 00:17:20,541 → 00:17:22,333
自己花钱赔啊
📝 한어병음
zì jǐ huā qián péi a
🇰🇷 한글번역
자기 돈으로 배상해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自己 zìjǐ 자기 자신 HSK3 花钱 huā qián 돈을 쓰다 HSK4 赔 péi 배상하다, 물어주다 HSK5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명령이나 지시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주어가 생략된 형태로, 상대방에게 직접적으로 행동을 요구하는 표현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자기 돈으로 배상해라)
자막 #400 | 00:17:22,708 → 00:17:24,458
走吧 洗澡去吧
📝 한어병음
zǒu ba xǐ zǎo qù ba
🇰🇷 한글번역
가자, 목욕하러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가다 HSK1 洗澡 xǐ zǎo 목욕하다 HSK2 去 qù 가다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제안을 할 때 주로 "动词 + 吧" 형태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권유나 제안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吧 (가자, 목욕하러 가자)
자막 #401 | 00:17:30,208 → 00:17:31,916
你这腿又怎么的了
📝 한어병음
nǐ zhè tuǐ yòu zěn me de liǎo
🇰🇷 한글번역
너 다리는 또 왜 그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腿 tuǐ 다리 HSK4 又 yòu 또, 다시 HSK3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 문법
의문문: "怎么"는 상황이나 원인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怎么 + 동사/형용사 (너의 다리가 또 어떻게 된 거야?)

이 문장은 상대방의 다리에 무슨 문제가 생겼는지, 혹은 어떤 상황인지 궁금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402 | 00:17:31,916 → 00:17:33,583
可能有点麻了
📝 한어병음
kě néng yǒu diǎn má liǎo
🇰🇷 한글번역
약간 저릴 수도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可能 kě néng 아마도 HSK3 有点 yǒu diǎn 조금 HSK3 麻 má 저리다, 마비되다 HSK6

📚 문법
정도부사: '有点'은 부정적인 의미를 강조할 때 사용되는 정도부사입니다.
형태: 有点 + 형용사 (조금 저리다)

이 문장에서 '可能'은 추측을 나타내며, '有点'은 상태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麻'는 신체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저린 상태를 표현합니다.
자막 #403 | 00:17:34,375 → 00:17:36,625
洗个澡这个费劲
📝 한어병음
xǐ gè zǎo zhè gè fèi jìn
🇰🇷 한글번역
목욕하는 게 이렇게 힘들다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洗 xǐ 씻다, 세수하다, 목욕하다 HSK2
个 gè 개, 명 (양사) HSK1
澡 zǎo 목욕 HSK6
费劲 fèi jìn 힘들다, 애를 쓰다 HSK6

📚 문법
"洗个澡"는 "목욕을 하다"라는 의미로, 여기서 "个"는 양사로 사용되어 "목욕"이라는 명사를 수식합니다. "费劲"은 "힘들다"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일이 어렵거나 힘이 든다는 것을 표현합니다. 이 문장에서 "洗个澡这个费劲"는 "목욕하는 것이 이렇게 힘들다"라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자막 #404 | 00:17:41,208 → 00:17:42,333
快点啊
📝 한어병음
kuài diǎn a
🇰🇷 한글번역
빨리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快 kuài 빠르다 HSK2 点 diǎn 조금, 점 HSK3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명령, 제안 등을 나타냄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재촉의 의미를 전달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보조사 (啊) (빨리 해라)
자막 #405 | 00:17:42,750 → 00:17:43,875
来了
📝 한어병음
lái liǎo
🇰🇷 한글번역
왔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동사 "来"는 기본적으로 '오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행동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낼 때도 사용됩니다.
자막 #406 | 00:17:50,333 → 00:17:51,250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는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들이 많으며, 각각의 단어가 구체적인 관계를 설명합니다.
자막 #407 | 00:17:51,250 → 00:17:53,541
这里面太热了 我上去喝口水
📝 한어병음
zhè lǐ miàn tài rè liǎo wǒ shàng qù hē kǒu shuǐ
🇰🇷 한글번역
여기 안이 너무 더워서 위에 올라가서 물 한 모금 마실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里面 zhè lǐ miàn 여기 안 HSK4 太 tài 너무 HSK2 热 rè 덥다 HSK2 我 wǒ 나 HSK1 上去 shàng qù 올라가다 HSK3 喝 hē 마시다 HSK1 口 kǒu 한 모금 HSK4 水 shuǐ 물 HSK1

📚 문법
1. 形容词 + 了: 형용사 뒤에 '了'를 붙여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예: 太热了 - 너무 더워졌다)
2. 动词 + 去: 동사 뒤에 '去'를 붙여 동작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예: 上去 - 올라가다)
자막 #408 | 00:17:53,541 → 00:17:55,041
喝什么水啊
📝 한어병음
hē shén me shuǐ a
🇰🇷 한글번역
무슨 물을 마셔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喝 hē 마시다 HSK1 什么 shénme 무엇 HSK1 水 shuǐ 물 HSK1 啊 a 어기조사 (부드러운 어감을 나타냄) HSK2

📚 문법
의문문: "什么"는 의문대명사로, '무엇'이라는 뜻입니다. 주로 질문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什么 + 명사 (무엇을 마시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부드러운 어감을 주거나, 의문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409 | 00:17:55,041 → 00:17:56,625
洗 泡 蒸 搓 敲
📝 한어병음
xǐ pào zhēng cuō qiāo
🇰🇷 한글번역
세수, 거품, 찜질, 문지르기, 두드리기
🎯 AI 분석 결과
🔍 어휘
洗 xǐ 씻다 HSK1 泡 pào 담그다 HSK4 蒸 zhēng 찌다 HSK5 搓 cuō 비비다 HSK6 敲 qiāo 두드리다 HSK4

📚 문법
이번에는 주어진 어휘들이 모두 동사로, 특정 문법 패턴보다는 각각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들입니다. 이 동사들은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며, 특히 '씻다', '찌다'와 같은 동작을 설명할 때 유용합니다.
자막 #410 | 00:17:56,625 → 00:17:58,041
流程得走完啊
📝 한어병음
liú chéng dé zǒu wán a
🇰🇷 한글번역
절차를 끝까지 완료해야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流程 liúchéng 절차, 과정 HSK5 得 děi 해야 한다 HSK3 走完 zǒu wán 끝까지 가다, 완료하다 HSK4

📚 문법
得字句: '得'는 동사의 필요성을 나타내며, '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得 + 동사 (절차를 끝까지 완료해야 한다)
자막 #411 | 00:17:58,333 → 00:18:00,333
可我不太习惯搓澡
📝 한어병음
kě wǒ bù tài xí guàn cuō zǎo
🇰🇷 한글번역
하지만 저는 때밀이를 별로 익숙하지 않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可 kě 그러나 HSK2 我 wǒ 나 HSK1 不太 bù tài 그다지 ~하지 않다 HSK3 习惯 xíguàn 습관, 익숙하다 HSK3 搓澡 cuōzǎo 때를 밀다 (비HSK)

📚 문법
부정문: "不太"는 "그다지 ~하지 않다"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그다지 강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不太 + 동사/형용사 (나는 그다지 익숙하지 않다)
자막 #412 | 00:18:00,333 → 00:18:01,625
什么习不习惯的
📝 한어병음
shén me xí bù xí guàn de
🇰🇷 한글번역
뭐가 익숙하고 안 익숙한 건데?
🎯 AI 분석 결과
🔍 어휘
什么 shénme 무엇 HSK1 习惯 xíguàn 습관, 익숙하다 HSK3 不 bù 아니다 HSK1

📚 문법
의문문: "什么"는 의문사로 사용되어 "무엇"을 뜻하며, 질문을 형성합니다.
형태: 什么 + 명사/동사 (무엇이 익숙하지 않나요?)
자막 #413 | 00:18:01,625 → 00:18:03,166
不搓背能行吗 去 去 去
📝 한어병음
bù cuō bèi néng xíng ma qù qù qù
🇰🇷 한글번역
등 안 밀어도 괜찮아 가 가 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搓背 cuō bèi 등을 밀다 (일반 어휘)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行 xíng 가능하다, 괜찮다 HSK2 去 qù 가다 HSK1

📚 문법
중국어에서 "能"은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형태: 주어 + 能 + 동사 (등을 밀지 않아도 괜찮나요?)

"去"는 문장에서 "가다"라는 기본 의미 외에도 강조나 명령의 의미로 반복 사용될 수 있습니다.
형태: 동사 + 去 + 동사 + 去 (가라 가라 가라)
자막 #414 | 00:18:03,416 → 00:18:04,416
把这脱了
📝 한어병음
bǎ zhè tuō liǎo
🇰🇷 한글번역
이거 벗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把 bǎ 을/를 HSK3 这 zhè 이것 HSK1 脱 tuō 벗다 HSK4 了 le 완료, 변화의 어기조사 HSK1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이것을 벗어라)

이 문장에서는 결과보어가 생략되어 있지만, "把这脱了"는 "이것을 벗어라"라는 명령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415 | 00:18:04,416 → 00:18:05,541
趴那等我啊
📝 한어병음
pā nà děng wǒ a
🇰🇷 한글번역
거기서 기다려.
🎯 AI 분석 결과
🔍 어휘
趴 pā 엎드리다 HSK6 那 nà 그곳, 저기 HSK1 等 děng 기다리다 HSK2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동사로 시작합니다. 여기서는 "趴那等我啊"라는 문장이 "저기 엎드려서 기다려"라는 명령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啊"는 문장 끝에 사용되어 명령의 어감을 부드럽게 합니다.
자막 #416 | 00:18:07,250 → 00:18:07,958
海哥
📝 한어병음
hǎi gē
🇰🇷 한글번역
해거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 hǎi 바다 HSK3 哥 gē 형, 오빠 HSK1

📚 문법
이 문장은 단순히 이름이나 별칭을 나타내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 "海哥"는 "바다 형"이라는 뜻으로, 특정 인물을 친근하게 부르는 표현일 수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으니, 전체 문장을 통해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막 #417 | 00:18:08,291 → 00:18:09,750
上次油耗子偷我油
📝 한어병음
shàng cì yóu hào zǐ tōu wǒ yóu
🇰🇷 한글번역
지난번에 기름 도둑이 내 기름을 훔쳤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上次 shàng cì 지난번 HSK3 油 yóu 기름 HSK3 耗子 hào zi 쥐 (비유적으로 도둑) 비HSK 偷 tōu 훔치다 HSK4

📚 문법
명사구: "油耗子"는 직역하면 "기름 쥐"로, 비유적으로 기름을 훔치는 도둑을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는 비유적으로 어떤 행동을 하는 사람을 특정 동물에 비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장 구조: 주어(油耗子) + 동사(偷) + 목적어(我油)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자막 #418 | 00:18:09,750 → 00:18:12,375
得亏你找咱兄弟帮我送货
📝 한어병음
dé kuī nǐ zhǎo zán xiōng dì bāng wǒ sòng huò
🇰🇷 한글번역
네가 우리 형제에게 부탁해서 물건을 배달해줘서 다행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得亏 dé kuī 다행히, 덕분에 HSK6 你 nǐ 너 HSK1 找 zhǎo 찾다 HSK2 咱 zán 우리 HSK5 兄弟 xiōng dì 형제, 형 HSK4

📚 문법
- 得亏: "다행히, 덕분에"라는 뜻으로, 어떤 긍정적인 결과가 특정 조건이나 상황 덕분에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너가 우리 형제에게 도움을 요청한 덕분에"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도치문: 중국어에서는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문장 앞에 배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서는 "得亏"가 문장 맨 앞에 위치하여 강조되고 있습니다.
자막 #419 | 00:18:12,375 → 00:18:13,875
要不我得赔死了
📝 한어병음
yào bù wǒ dé péi sǐ liǎo
🇰🇷 한글번역
안 그러면 나 완전히 망할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要不 yàobù 그렇지 않으면 HSK4 我 wǒ 나 HSK1 得 děi 해야 한다 HSK3 赔死 péi sǐ 큰 손해를 보다 (비공식적 표현) 了 le 동작의 완료 또는 상태의 변화 HSK1

📚 문법
- 要不: "그렇지 않으면"이라는 뜻으로, 제안이나 대안을 제시할 때 사용됩니다.
- 得: "해야 한다"라는 의미로, 의무나 필요성을 나타냅니다.
- 了: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어기조사로,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상황의 변화를 강조합니다.
자막 #420 | 00:18:13,875 → 00:18:16,041
改天我请客啊 咱哥俩好好搓一顿
📝 한어병음
gǎi tiān wǒ qǐng kè a zán gē liǎ hǎo hǎo cuō yī dùn
🇰🇷 한글번역
다음에 내가 쏠게. 우리 둘이 맛있게 한 끼 먹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改天 gǎi tiān 다음에, 나중에 HSK4 请客 qǐng kè 한턱내다 HSK4 咱 zán 우리(들) HSK5 好好 hǎo hǎo 잘, 충분히 HSK3 搓 cuō 문지르다, 비비다 (구어체로 '먹다'의 의미로 사용) HSK6

📚 문법
- 改天: '다음에', '나중에'라는 뜻으로, 미래의 불특정한 시간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 请客: '한턱내다'라는 뜻으로, 누군가에게 식사나 음료를 제공할 때 사용합니다.
- 咱: '우리(들)'이라는 뜻으로,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모두를 포함할 때 사용합니다.
- 好好: '잘', '충분히'라는 뜻으로, 어떤 행동을 충분히 하거나 즐기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 搓一顿: 여기서 搓는 구어체로 '먹다'의 의미로 사용되며, 搓一顿은 '한 끼 잘 먹다'라는 뜻입니다.
자막 #421 | 00:18:16,041 → 00:18:18,250
咱老哥们 你别那么客气
📝 한어병음
zán lǎo gē men nǐ bié nà me kè qì
🇰🇷 한글번역
우리 형님, 그렇게 예의 차리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 zán 우리 HSK4 老哥们 lǎo gē men 친구들 (구어체) 你 nǐ 너 HSK1 别 bié ~하지 마라 HSK2 那么 nà me 그렇게 HSK3 客气 kè qì 예의 바르다 HSK3

📚 문법
- 祈使句 (명령문): "别"는 부정 명령을 나타내며 "~하지 마라"로 번역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상대방에게 너무 예의를 차리지 말라고 권유하는 의미입니다.
- 口语 표현: "咱老哥们"은 구어체로, 친밀한 사이에서 "우리 친구들"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친근함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422 | 00:18:19,208 → 00:18:20,458
你怎么还拿上手套了呢
📝 한어병음
nǐ zěn me hái ná shàng shǒu tào liǎo ne
🇰🇷 한글번역
너 왜 장갑까지 끼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怎么 zěn me 어떻게 HSK2 还 hái 아직도 HSK2 拿 ná 잡다, 들다 HSK3 手套 shǒu tào 장갑 HSK4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이유를 물을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怎么 + 동사 + (목적어) + 呢 (너는 어떻게 장갑을 들고 있니?)
- "呢"는 의문문 끝에 사용되어 부드럽게 질문하는 느낌을 줍니다.
자막 #423 | 00:18:20,458 → 00:18:21,916
怎么的你要给我搓啊
📝 한어병음
zěn me de nǐ yào gěi wǒ cuō a
🇰🇷 한글번역
왜 나를 괴롭히려고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你 nǐ 너 HSK1 要 yào 원하다, 필요하다 HSK1 给 gěi 주다 HSK2 我 wǒ 나 HSK1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이유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怎么 + 동사 (어떻게 ~하다)
예문: 你怎么做这个? (너는 이것을 어떻게 하니?)
자막 #424 | 00:18:22,708 → 00:18:24,708
不行你就给我 我给你搓
📝 한어병음
bù xíng nǐ jiù gěi wǒ wǒ gěi nǐ cuō
🇰🇷 한글번역
안 되면 나한테 줘, 내가 해줄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行 bù xíng 안 된다 HSK2 你 nǐ 너 HSK1 就 jiù 곧, 즉시 HSK2 给 gěi 주다 HSK2 我 wǒ 나 HSK1

搓 cuō 문지르다, 비비다 (HSK 비등재)

📚 문법
- "就"의 사용: "就"는 조건이나 상황이 충족되었을 때 즉시 어떤 행동을 취함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너가 안 되면, 즉시 나에게 줘"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给"의 중복 사용: "给"는 여기서 두 번 사용되며, 첫 번째는 "주다"의 의미로, 두 번째는 어떤 행동을 대신해 주겠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我给你搓"는 "내가 너를 위해 문질러 줄게"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425 | 00:18:26,333 → 00:18:27,333
别啊
📝 한어병음
bié a
🇰🇷 한글번역
그러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啊 a 어조사, 감탄사 HSK1

📚 문법
"别"는 금지를 나타내는 부정 명령문에서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하지 마라)
예: 别走 (가지 마라)
자막 #426 | 00:18:27,333 → 00:18:28,875
我搓叔叔 我搓
📝 한어병음
wǒ cuō shū shū wǒ cuō
🇰🇷 한글번역
나는 삼촌을 문질러, 나는 문질러.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搓 cuō 비비다, 문지르다 (HSK에 없는 단어)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 반복 구조: "我搓叔叔 我搓"는 반복적인 구조로, "나는 삼촌을 비빈다, 나는 비빈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 문장은 특정한 문법 패턴보다는 반복을 통해 동작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427 | 00:18:31,416 → 00:18:32,250
小万啊
📝 한어병음
xiǎo wàn a
🇰🇷 한글번역
소완아
🎯 AI 분석 결과
주어진 문장은 분석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小万啊"는 특정한 어휘나 문법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 단순한 호칭입니다. 그러나 이 문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어휘와 문법을 가정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万 wàn 만, 이름으로 사용될 때는 HSK 범위 외

📚 문법
호칭: "小"는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어린 나이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小万"은 "어린 만" 또는 "작은 만"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친근하게 부르는 호칭입니다. "啊"는 문장의 끝에 붙여 감탄이나 친근함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자막 #428 | 00:18:33,250 → 00:18:35,583
平常也不跟单位领导
📝 한어병음
píng cháng yě bù gēn dān wèi lǐng dǎo
🇰🇷 한글번역
평소에도 직장 상사와는 잘 어울리지 않는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平常 píngcháng 평소에 HSK4 也 yě 또한 HSK1 不 bù 아니다 HSK1 跟 gēn ~와 HSK2 单位 dānwèi 단위, 직장 HSK5 领导 lǐngdǎo 지도자, 리더 HSK5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不跟"으로 "따르지 않다" 또는 "연락하지 않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형태: 주어 + 不 + 동사 (평소에 직장 리더와 연락하지 않는다)
자막 #429 | 00:18:35,583 → 00:18:37,583
吃吃饭 喝喝酒 聊聊天
📝 한어병음
chī chī fàn hē hē jiǔ liáo liáo tiān
🇰🇷 한글번역
밥 먹고 술 마시고 이야기 나누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吃 chī 먹다 HSK1 饭 fàn 밥, 식사 HSK1 喝 hē 마시다 HSK1 酒 jiǔ 술 HSK2 聊 liáo 이야기하다 HSK4 天 tiān 하늘, 여기서는 '이야기'의 의미로 사용됨 HSK1

📚 문법
중첩 동사: 동사의 중첩은 동작의 가벼움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동작이 짧거나 가볍게 이루어짐을 의미합니다.
형태: 동사 + 동사 (吃吃, 喝喝, 聊聊)
예문: 吃吃饭 (밥을 좀 먹다), 喝喝酒 (술을 좀 마시다), 聊聊天 (이야기를 좀 나누다)
자막 #430 | 00:18:37,583 → 00:18:38,916
泡泡澡啥的
📝 한어병음
pào pào zǎo shá de
🇰🇷 한글번역
거품 목욕 같은 것
🎯 AI 분석 결과
🔍 어휘
泡泡 pào pào 거품 HSK5 澡 zǎo 목욕 HSK3 啥 shá 무엇 HSK5 的 de ~의 HSK1

📚 문법
명사구: "泡泡澡"는 "거품 목욕"이라는 명사구로, 중국어에서 두 개 이상의 명사가 결합하여 하나의 개념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啥的"는 "무엇"이라는 뜻으로,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자막 #431 | 00:18:38,916 → 00:18:39,916
没必要吧
📝 한어병음
méi bì yào ba
🇰🇷 한글번역
그럴 필요 없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HSK1 必要 bì yào 필요 HSK4 吧 ba ~지?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2

📚 문법
어기조사 "吧": 문장 끝에 위치하여 추측, 제안, 또는 동의를 구하는 뉘앙스를 더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필요 없지?"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자신의 의견을 부드럽게 표현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432 | 00:18:39,916 → 00:18:42,333
我觉得主要是把工作做好就行
📝 한어병음
wǒ jué dé zhǔ yào shì bǎ gōng zuò zuò hǎo jiù xíng
🇰🇷 한글번역
저는 주로 일을 잘하면 된다고 생각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觉得 jué de 생각하다 HSK3 主要 zhǔ yào 주로 HSK3 工作 gōng zuò 일, 업무 HSK1 做好 zuò hǎo 잘 하다 HSK3

📚 문법
把字句: 이 문장은 '把' 구조를 사용하여 동작의 결과를 강조합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나는 일을 잘 하면 된다)
이 문장에서 "把工作做好"는 '일을 잘 하다'라는 뜻으로, '做好'는 동작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자막 #433 | 00:18:42,333 → 00:18:43,583
没必要
📝 한어병음
méi bì yào
🇰🇷 한글번역
필요 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아니다 HSK2 必要 bì yào 필요하다 HSK4

📚 문법
부정 표현: "没"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내며, "필요 없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没 + 동사 (필요하다) = 필요 없다 (不 필요하다)
자막 #434 | 00:18:44,916 → 00:18:46,666
你到底是干什么的啊
📝 한어병음
nǐ dào dǐ shì gān shén me de a
🇰🇷 한글번역
너 도대체 뭐 하는 사람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到底 dàodǐ 도대체 HSK4 是 shì ~이다 HSK1 干什么 gàn shénme 무엇을 하다 HSK4

📚 문법
의문문: "到底"는 의문문에서 사용되어 화자가 알고 싶어하는 정보에 대한 강한 의문이나 궁금증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到底 + 동사 + 목적어 (너는 도대체 무엇을 하는 사람이니?)
자막 #435 | 00:18:47,041 → 00:18:47,583
📝 한어병음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대명사: "我"는 주어로 사용되어 자신을 지칭하는 대명사입니다. 기본적인 인칭 대명사로, 문장에서 주어의 역할을 합니다.
자막 #436 | 00:18:48,541 → 00:18:50,291
你使点劲 我吃劲
📝 한어병음
nǐ shǐ diǎn jìn wǒ chī jìn
🇰🇷 한글번역
네가 힘을 쓰면 내가 힘들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使 shǐ 사용하다, 쓰다 HSK4 点 diǎn 조금, 약간 HSK3 劲 jìn 힘 HSK5 我 wǒ 나 HSK1 吃 chī 먹다 HSK1

📚 문법
- 使: '使'는 '사용하다', '쓰다'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힘을 쓰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点: '点'은 '조금', '약간'이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조금 더 힘을 쓰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句형: "你使点劲"은 상대방에게 조금 더 힘을 쓰라는 요청을 나타내며, "我吃劲"은 상대방의 행동에 대해 자신이 힘들어한다는 것을 표현합니다. 두 문장은 서로 대조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막 #437 | 00:18:50,750 → 00:18:51,333
📝 한어병음
hǎo
🇰🇷 한글번역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好"는 형용사로 "좋다"의 의미를 가지며, 부사로 사용될 때는 "잘"이라는 의미로 동사를 수식합니다. 예를 들어 "好好学习"는 "잘 공부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438 | 00:18:59,875 → 00:19:01,083
有点劲
📝 한어병음
yǒu diǎn jìn
🇰🇷 한글번역
좀 힘이 있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点 yǒu diǎn 약간, 조금 HSK3 劲 jìn 힘, 기운 HSK4

📚 문법
형용사 + 有点: "有点"은 주로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진 형용사 앞에 사용되어 "약간 ~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有点劲"이 "약간 힘이 있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439 | 00:19:02,583 → 00:19:03,791
回答我问题
📝 한어병음
huí dá wǒ wèn tí
🇰🇷 한글번역
내 질문에 답해줘.
🎯 AI 분석 결과
물론입니다! 질문을 해주시면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자막 #440 | 00:19:04,958 → 00:19:05,875
工程师
📝 한어병음
gōng chéng shī
🇰🇷 한글번역
엔지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工程师 gōng chéng shī 엔지니어 HSK4

📚 문법
이 문장은 명사로, "엔지니어"라는 직업을 나타냅니다. 문법적으로 특별한 패턴은 없으며, 직업이나 직책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자막 #441 | 00:19:05,875 → 00:19:09,083
平常主要负责一些整体的规划和构建
📝 한어병음
píng cháng zhǔ yào fù zé yī xiē zhěng tǐ de guī huà hé gòu jiàn
🇰🇷 한글번역
평소에는 주로 전체적인 계획과 구성을 담당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平常 píngcháng 평소에, 보통 HSK4 主要 zhǔyào 주요한, 주로 HSK3 负责 fùzé 책임지다 HSK4 整体 zhěngtǐ 전체, 전체적인 HSK5 规划 guīhuà 계획하다 HSK5

📚 문법
주어 + 负责 + 명사/동사구: 주어가 어떤 일이나 책임을 맡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예문: 我负责这个项目。(나는 이 프로젝트를 책임진다.)

형용사 + 的 + 명사: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입니다.
예문: 整体的规划 (전체적인 계획)
자막 #442 | 00:19:10,916 → 00:19:12,375
那你是盖房子呀
📝 한어병음
nà nǐ shì gài fáng zǐ ya
🇰🇷 한글번역
그러면 너는 집을 짓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그렇다면 HSK1
你 nǐ 너 HSK1
是 shì 이다 HSK1
盖 gài 짓다, 덮다 HSK4
房子 fáng zi 집 HSK2
呀 ya 문장 끝에 쓰여 어기를 나타냄 HSK3

📚 문법
- 是字句: "是"는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주어의 상태나 신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 문장 구조: 주어 + 是 + 서술어 (너는 집을 짓는구나)
자막 #443 | 00:19:12,375 → 00:19:14,000
还是负责修桥修路的呀
📝 한어병음
hái shì fù zé xiū qiáo xiū lù de ya
🇰🇷 한글번역
아직도 다리와 도로를 수리하는 일을 맡고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是 hái shì 여전히, 아니면 HSK3
负责 fù zé 책임지다 HSK4
修 xiū 수리하다, 고치다 HSK4
桥 qiáo 다리 HSK4
路 lù 길 HSK1

📚 문법
还是: 선택이나 대조를 나타내는 접속사로, "여전히" 또는 "아니면"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문맥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시: 你想喝茶还是咖啡?(너는 차를 마실래 아니면 커피를 마실래?)

负责: 동사로, 어떤 일에 대해 책임을 지거나 맡는다는 의미입니다. 주로 직무나 역할에 대한 책임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시: 他负责这个项目。(그는 이 프로젝트를 책임진다.)
자막 #444 | 00:19:14,000 → 00:19:15,000
都会有
📝 한어병음
dōu huì yǒu
🇰🇷 한글번역
항상 있을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会 huì 할 수 있다, ~할 것이다 HSK2 有 yǒu 있다 HSK1

📚 문법
조동사 会: 미래의 가능성이나 능력을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형태: 주어 + 会 + 동사 (모두가 있을 것이다)

"都会有"는 "모두 있을 것이다" 또는 "모두가 가질 것이다"라는 의미로, 미래에 대한 확신이나 가능성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445 | 00:19:15,000 → 00:19:17,125
有时候也会做一些新地图
📝 한어병음
yǒu shí hòu yě huì zuò yī xiē xīn dì tú
🇰🇷 한글번역
가끔 새로운 지도를 만들기도 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时候 yǒu shí hòu 가끔, 때때로 HSK3
也 yě 또한, 역시 HSK1
会 huì 할 수 있다, ~할 것이다 HSK2
做 zuò 만들다, 하다 HSK1
一些 yī xiē 약간, 조금 HSK2
新 xīn 새로운 HSK2
地图 dì tú 지도 HSK4

📚 문법
부사어의 위치: 중국어 문장에서 부사어는 일반적으로 주어 뒤,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의 빈도나 정도를 설명합니다.
예문: 有时候也会做一些新地图 (가끔 새로운 지도를 만들기도 한다)에서 "有时候"와 "也"는 부사어로 사용되어 동작의 빈도와 추가적인 동작을 설명합니다.
자막 #446 | 00:19:18,375 → 00:19:20,000
那就是拿地皮呗
📝 한어병음
nà jiù shì ná dì pí bài
🇰🇷 한글번역
그건 땅을 사는 거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것, 그것 HSK1
就是 jiù shì 바로 ~이다 HSK2
拿 ná 잡다, 쥐다 HSK3
地皮 dì pí 땅, 토지 HSK6
呗 bei ~지 뭐 (어조사, 경미한 어감을 나타냄)

📚 문법
어조사 "呗": 중국어에서 문장 끝에 사용되어, 말하는 이의 태도나 의견을 부드럽게 표현합니다. 주로 상대방의 의견에 동의하거나, 상황을 인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그냥 땅을 사는 거지 뭐."
자막 #447 | 00:19:20,416 → 00:19:22,875
那你们单位挺有实力啊
📝 한어병음
nà nǐ men dān wèi tǐng yǒu shí lì a
🇰🇷 한글번역
그럼 당신네 회사는 꽤 실력 있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그럼 HSK1 你们 nǐ men 너희들 HSK1 单位 dān wèi 단위, 직장 HSK4 挺 tǐng 매우, 꽤 HSK4 有 yǒu 있다 HSK1 实力 shí lì 실력, 능력 HSK5

📚 문법
정도부사 "挺": "挺"은 '매우', '꽤'라는 뜻으로,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정도를 강조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挺有实力"가 '꽤 실력이 있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448 | 00:19:22,875 → 00:19:25,916
叔叔 其实我这工作也不是您想象的那样
📝 한어병음
shū shū qí shí wǒ zhè gōng zuò yě bù shì nín xiǎng xiàng de nà yàng
🇰🇷 한글번역
삼촌, 사실 제 일이 삼촌이 생각하시는 그런 게 아니에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其实 qíshí 사실은 HSK3 工作 gōngzuò 일, 직업 HSK1 想象 xiǎngxiàng 상상하다 HSK4

📚 문법
也不是: "아니다"의 부정형으로, 앞의 내용을 부정하면서 다른 내용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也 + 不是 (A) + 那样 (B) (A는 B와 같지 않다)
이 문장에서 "也不是您想象的那样"은 "당신이 상상하는 그런 것이 아니다"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예상이나 기대와 다름을 표현합니다.
자막 #449 | 00:19:25,916 → 00:19:27,958
那你这样也不是 那样也不是
📝 한어병음
nà nǐ zhè yàng yě bù shì nà yàng yě bù shì
🇰🇷 한글번역
그러면 너는 이렇게 해도 안 되고 저렇게 해도 안 되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그렇다면 HSK1 这样 zhè yàng 이렇게 HSK3 也 yě 또한 HSK1 不是 bú shì 아니다 HSK1

📚 문법
이 문장은 "A也不是, B也不是" 구조로, 어떤 상황에서도 만족스럽지 않거나 적절하지 않음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이는 한국어의 "이래도 저래도 아니다"와 비슷한 표현입니다.
자막 #450 | 00:19:27,958 → 00:19:29,583
你到底是干什么的呀
📝 한어병음
nǐ dào dǐ shì gān shén me de ya
🇰🇷 한글번역
도대체 무슨 일을 하시는 거예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到底 dào dǐ 도대체 HSK4 是 shì ~이다 HSK1 干什么 gàn shénme 무엇을 하다 HSK3 呀 ya ~이냐 (의문) HSK3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到底 + 동사 + 什么 + 呀 (너는 도대체 무엇을 하는 사람이냐?)

"到底"는 의문문에서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어, 상대방의 행동이나 상태에 대한 강한 호기심이나 의문을 나타냅니다.
자막 #451 | 00:19:30,916 → 00:19:31,625
📝 한어병음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인칭대명사: "我"는 주어로 사용되며, 자신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중국어에서 가장 기본적인 대명사 중 하나입니다.
자막 #452 | 00:19:32,333 → 00:19:32,958
📝 한어병음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주어: 문장에서 주어로 사용되며, '나' 또는 '저'를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 주어는 주로 문장의 시작 부분에 위치하여 주체를 나타냅니다.
자막 #453 | 00:19:32,958 → 00:19:34,041
你说啊
📝 한어병음
nǐ shuō a
🇰🇷 한글번역
말해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啊 a 어기조사 (문장 끝에 쓰여 감탄, 명령, 제의 등의 어기를 나타냄) HSK2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탄, 명령, 제의 등의 어기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상대방에게 말을 하도록 권유하거나 재촉하는 느낌을 줍니다.
자막 #454 | 00:19:38,000 → 00:19:38,625
我 我
📝 한어병음
wǒ wǒ
🇰🇷 한글번역
나 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대명사: "我"는 1인칭 대명사로, 화자가 자신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중국어에서 주어로 자주 사용되며, 문장의 주체를 나타냅니다.
자막 #455 | 00:19:38,625 → 00:19:40,333
我平时使用一些Unity3D
📝 한어병음
wǒ píng shí shǐ yòng yī xiē U n i t y 3 D
🇰🇷 한글번역
저는 평소에 Unity3D를 사용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平时 píng shí 평소에 HSK4 使用 shǐ yòng 사용하다 HSK3 一些 yī xiē 약간, 조금 HSK2 Unity3D (전문 용어, HSK 등급 없음)

📚 문법
정상문: 이 문장은 주어(我)와 동사(使用), 목적어(一些Unity3D)로 구성된 간단한 주어-동사-목적어(SVO) 구조입니다. "一些"는 "약간의, 조금의"라는 뜻으로, Unity3D를 수식하여 사용 빈도나 양을 나타냅니다.
자막 #456 | 00:19:40,333 → 00:19:42,250
对一些 RPG项目进行开发
📝 한어병음
duì yī xiē R P G xiàng mù jìn xíng kāi fā
🇰🇷 한글번역
일부 RPG 프로젝트를 개발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에 대해 HSK3 一些 yì xiē 약간의, 몇몇의 HSK2 项目 xiàng mù 프로젝트 HSK4 进行 jìn xíng 진행하다 HSK4 开发 kāi fā 개발하다 HSK5

📚 문법
介词结构: "对"는 어떤 대상에 대해 동작이나 태도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对 + 대상 + 동사 (RPG 프로젝트에 대해 개발을 진행하다)

"进行"은 동작이나 활동을 진행할 때 사용되며, 뒤에 주로 명사나 명사구가 옵니다. (개발을 진행하다)
자막 #457 | 00:19:42,250 → 00:19:43,250
也会做一些Debug
📝 한어병음
yě huì zuò yī xiē D e b u g
🇰🇷 한글번역
디버깅도 할 수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也 yě 또한, 역시 HSK1
会 huì 할 수 있다, ~할 것이다 HSK2
做 zuò 하다, 만들다 HSK1
一些 yīxiē 약간, 조금 HSK2
Debug (디버그) - 중국어에서는 주로 영어 그대로 사용되며, 프로그래밍에서 오류를 찾아 수정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 문법
조동사 会: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며, "~할 수 있다" 또는 미래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할 것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会 + 동사 (나는 디버깅을 할 수 있다)

부사 也: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가 다른 주어와 동일함을 나타내며, "또한" 또는 "역시"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也 + 동사 (나도 디버깅을 할 것이다)
자막 #458 | 00:19:43,250 → 00:19:44,750
还有UI布局的优化
📝 한어병음
hái yǒu U I bù jú de yōu huà
🇰🇷 한글번역
UI 레이아웃 최적화도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有 hái yǒu 또한, 그리고 HSK2 布局 bù jú 배치, 레이아웃 HSK5 优化 yōu huà 최적화 HSK6 的 de ~의 HSK1

📚 문법
还有: '还有'는 문장에서 추가적인 항목이나 정보를 소개할 때 사용됩니다. "또한" 또는 "그리고"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문: 还有UI布局的优化 (UI 레이아웃의 최적화도 있습니다)

- 이 문장에서 '还有'는 앞서 언급된 내용에 덧붙여 추가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459 | 00:19:44,750 → 00:19:46,541
熟练掌握C++和C#
📝 한어병음
shú liàn zhǎng wò C + + hé C #
🇰🇷 한글번역
C++와 C#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熟练 shúliàn 능숙하다, 숙련되다 HSK5 掌握 zhǎngwò 숙달하다, 장악하다 HSK4 和 hé 그리고 HSK1

📚 문법
병렬구조: "和"는 두 개 이상의 대상을 나열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A 和 B (C++와 C#을 능숙하게 다루다)

이 문장은 두 가지 프로그래밍 언어인 C++와 C#을 능숙하게 다룬다는 의미입니다. "熟练掌握"는 특정 기술이나 능력에 대한 높은 수준의 숙련도를 나타냅니다.
자막 #460 | 00:19:46,541 → 00:19:48,166
CocosUI经验丰富
📝 한어병음
C o c o s U I jīng yàn fēng fù
🇰🇷 한글번역
CocosUI 경험이 풍부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经验 jīng yàn 경험 HSK4 丰富 fēng fù 풍부하다 HSK4

📚 문법
형용사 중첩: 중국어에서 형용사를 강조하거나 생동감을 더하기 위해 형용사를 반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 丰富丰富 (풍부하다) -> 강조의 의미로 사용됨.

이 문장에서는 "CocosUI 경험이 풍부하다"라는 의미로, 특정 분야에서의 경험이 많고 능숙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자막 #461 | 00:19:48,166 → 00:19:49,625
OpenGL熟悉
📝 한어병음
O p e n G L shú xī
🇰🇷 한글번역
OpenGL에 익숙함
🎯 AI 분석 결과
🔍 어휘
OpenGL: 컴퓨터 그래픽스를 위한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
熟悉 shúxī 익숙하다, 잘 알다 HSK4

📚 문법
주어 + 熟悉 + 명사: 주어가 특정 사물이나 개념에 익숙하거나 잘 알고 있음을 나타내는 문장 구조입니다.
예: 我对OpenGL很熟悉 (나는 OpenGL에 익숙하다)
자막 #462 | 00:19:49,625 → 00:19:51,333
也曾经开发过一些 UE5 的项目
📝 한어병음
yě céng jīng kāi fā guò yī xiē U E 5 de xiàng mù
🇰🇷 한글번역
예전에 UE5 프로젝트도 개발한 적이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也 yě 또한 HSK1 曾经 céng jīng 일찍이, 이전에 HSK4 开发 kāi fā 개발하다 HSK5 一些 yì xiē 약간의, 몇몇 HSK3 项目 xiàng mù 프로젝트 HSK4

📚 문법
曾经: 과거의 경험이나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주로 "曾经 + 동사" 형태로 쓰이며, 한국어의 "일찍이", "이전에"와 유사합니다.
예: 我曾经去过中国。(나는 이전에 중국에 가본 적이 있다.)
자막 #463 | 00:19:51,333 → 00:19:53,166
这就是我的工作
📝 한어병음
zhè jiù shì wǒ de gōng zuò
🇰🇷 한글번역
이것이 바로 제 일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就 jiù 바로 HSK2 是 shì ~이다 HSK1 我的 wǒ de 나의 HSK1 工作 gōng zuò 일, 직업 HSK2

📚 문법
这是句: '이것은 ~이다'라는 의미로, 사물이나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这 + 是 + 명사 (이것은 나의 일이다)
자막 #464 | 00:20:00,666 → 00:20:01,500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한 어른 남성을 부를 때 사용합니다. 중국어에서는 이러한 친족 명칭이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465 | 00:20:08,541 → 00:20:09,666
海哥你没事吧
📝 한어병음
hǎi gē nǐ méi shì ba
🇰🇷 한글번역
해거, 너 괜찮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哥 Hǎi gē (사람 이름, '해'라는 이름의 형을 부르는 말) 你 nǐ 너 HSK1 没事 méi shì 괜찮다, 문제없다 HSK2 吧 ba ~지?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2

📚 문법
어기조사 "吧":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추측, 제안, 권유 등의 어감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상대방의 상태에 대해 추측하며 "괜찮지?"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466 | 00:20:10,000 → 00:20:11,541
背都搓冒血了
📝 한어병음
bèi dōu cuō mào xuè liǎo
🇰🇷 한글번역
등이 피가 날 정도로 문질렀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背 bèi 등 HSK4 搓 cuō 문지르다, 비비다 HSK6 冒 mào 나오다, 드러나다 HSK5 血 xuè 피 HSK4

📚 문법
결과보어: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결과보어 (문지르다가 피가 나왔다)

이 문장에서 "搓冒血了"는 "문지르다가 피가 나왔다"라는 결과를 나타내며, 동작의 결과를 강조합니다.
자막 #467 | 00:20:11,958 → 00:20:12,750
没事
📝 한어병음
méi shì
🇰🇷 한글번역
괜찮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事 méi shì 괜찮다, 문제없다 HSK2

📚 문법
부정문: "没事"는 "문제없다" 또는 "괜찮다"는 의미로, 상황이 문제없음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간단한 긍정 또는 안심의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468 | 00:20:13,416 → 00:20:15,458
最近湿气比较重
📝 한어병음
zuì jìn shī qì bǐ jiào zhòng
🇰🇷 한글번역
최근 습기가 많이 차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最近 zuì jìn 최근 HSK3 湿气 shī qì 습기 HSK4 比较 bǐ jiào 비교적 HSK3 重 zhòng 무겁다, 심하다 HSK3

📚 문법
정도부사: "比较"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로, 비교적 ~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그 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比较 + 형용사 (습기가 비교적 심하다)
자막 #469 | 00:20:15,458 → 00:20:17,458
在冷库里受了点寒
📝 한어병음
zài lěng kù lǐ shòu liǎo diǎn hán
🇰🇷 한글번역
냉동 창고에서 조금 추위를 탔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在 zài ~에서 HSK1 冷库 lěng kù 냉동창고 HSK6 里 lǐ 안에 HSK1 受 shòu 받다, 당하다 HSK3 点 diǎn 조금 HSK2 寒 hán 추위 HSK5

📚 문법
- 里 (lǐ):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 '안에'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冷库里는 '냉동창고 안에'라는 의미입니다.
- 受 (shòu): 동사로 '받다' 또는 '당하다'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추위를 당했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点 (diǎn): 양을 나타내는 명사 앞에 붙어 '조금'이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受了点寒'은 '조금 추위를 당했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470 | 00:20:17,458 → 00:20:18,708
海哥真行啊
📝 한어병음
hǎi gē zhēn xíng a
🇰🇷 한글번역
해거 정말 대단하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哥 Hǎi gē 해거 (사람 이름) 真 zhēn 정말로 HSK3 行 xíng 능력 있다, 잘하다 HSK2 啊 a ~구나 (감탄사) HSK1

📚 문법
감탄문: 감탄사 "啊"를 사용하여 감탄의 의미를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真 + 형용사 + 啊 (해거는 정말 잘한다)
자막 #471 | 00:20:19,958 → 00:20:21,333
外国公司
📝 한어병음
wài guó gōng sī
🇰🇷 한글번역
외국 회사
🎯 AI 분석 결과
🔍 어휘
外国 wài guó 외국 HSK3 公司 gōng sī 회사 HSK2

📚 문법
명사구: "外国公司"는 "외국 회사"라는 의미의 명사구로, '외국'이라는 형용사가 '회사'라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태입니다. 중국어에서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는 일반적으로 형용사가 앞에 위치합니다.
자막 #472 | 00:20:21,666 → 00:20:23,708
你是在国外拿地皮的
📝 한어병음
nǐ shì zài guó wài ná dì pí de
🇰🇷 한글번역
당신은 해외에서 토지를 매입하고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是 shì 이다 HSK1 在 zài ~에서 HSK1 国外 guówài 해외 HSK4 拿 ná 얻다, 취득하다 HSK4 地皮 dìpí 땅, 토지 비HSK

📚 문법
是字句: "是"는 중국어에서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상태나 신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是 + 서술어 (너는 해외에서 땅을 취득하는 사람이다)

在字句: "在"는 장소나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在 + 장소 + 동사 (너는 해외에서 땅을 취득한다)
자막 #473 | 00:20:24,250 → 00:20:25,750
叔叔 其实我
📝 한어병음
shū shū qí shí wǒ
🇰🇷 한글번역
삼촌, 사실 저는
🎯 AI 분석 결과
주어진 문장은 "叔叔 其实我"로, 이는 "삼촌, 사실 저는"이라는 의미입니다. 이 문장을 기반으로 분석을 제공하겠습니다.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其实 qíshí 사실은 HSK3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주어 + 부사 + 주어: 이 구조는 주어를 강조하거나, 어떤 사실을 부드럽게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사실은"이라는 부사 "其实"이 사용되어, 뒤에 이어질 내용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474 | 00:20:26,291 → 00:20:28,041
不管是国外还是国内
📝 한어병음
bù guǎn shì guó wài hái shì guó nèi
🇰🇷 한글번역
해외든 국내든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管 bùguǎn 상관하지 않다, ~에 관계없이 HSK4 是 shì ~이다 HSK1 国外 guówài 해외, 외국 HSK4 还是 háishì 아니면, 여전히 HSK3 国内 guónèi 국내 HSK4

📚 문법
"不管...还是..." 구조: 선택이나 조건에 관계없이 결과가 동일함을 나타내는 문장 패턴입니다.
형태: 不管 + A + 还是 + B, 주어 + 동사 (해외든 국내든 상관없이)
자막 #475 | 00:20:28,333 → 00:20:29,750
都得跟上司处好关系
📝 한어병음
dōu dé gēn shàng sī chù hǎo guān xì
🇰🇷 한글번역
상사와 좋은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得 děi 해야 한다 HSK4 跟 gēn ~와 HSK2 上司 shàng sī 상사 HSK5 处 chǔ 지내다 HSK5 关系 guān xì 관계 HSK3

📚 문법
- "得" (děi): 필요성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 "跟" (gēn): 전치사로 사용되어 "~와 함께" 또는 "~와"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 문장 구조: 주어 + 得 + 동사 + 목적어 (모두 상사와 관계를 잘 지내야 한다)
자막 #476 | 00:20:29,750 → 00:20:31,083
这个道理你没弄明白
📝 한어병음
zhè gè dào lǐ nǐ méi nòng míng bái
🇰🇷 한글번역
이 이치를 이해하지 못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个 zhè ge 이것 HSK1 道理 dào lǐ 이치, 도리 HSK4 你 nǐ 너 HSK1 没 méi ~하지 않았다 HSK2 弄明白 nòng míng bái 이해하다 HSK5

📚 문법
부정문: 没(有) + 동사: 과거의 경험이나 완료되지 않은 동작을 부정할 때 사용합니다.
예시: 你没弄明白 (너는 이해하지 못했다)
자막 #477 | 00:20:31,083 → 00:20:33,333
你没啥大出息 知不知道
📝 한어병음
nǐ méi shá dà chū xī zhī bù zhī dào
🇰🇷 한글번역
너 별로 성공 못 할 거야, 알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没 méi 없다 HSK1 知道 zhī dào 알다 HSK1 大 dà 크다 HSK1 出息 chū xi 발전, 장래성 (HSK 비급수)

📚 문법
부정문: 没(有) + 동사 형태로 과거의 경험이나 사실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没啥大出息"로 "큰 발전이 없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478 | 00:20:33,666 → 00:20:36,083
你呀还是太不成熟了
📝 한어병음
nǐ ya hái shì tài bù chéng shú liǎo
🇰🇷 한글번역
너는 아직 너무 미숙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呀 ya 문장 끝에 쓰여 부드러움을 나타냄 HSK4 还是 hái shì 여전히, 아직도 HSK3 太 tài 너무 HSK2 不 bù 아니다 HSK1 成熟 chéng shú 성숙하다 HSK5

📚 문법
정도부사 "太": '너무'라는 뜻으로,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정도를 강조합니다.
예문: 你太不成熟了 (너는 너무 성숙하지 못했다)

문장 끝의 "了":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상대방이 아직 성숙하지 않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자막 #479 | 00:20:36,875 → 00:20:37,958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이 단어는 주로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사용됩니다. '삼촌'은 아버지의 남동생을, '아저씨'는 일반적으로 나이가 많은 남성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자막 #480 | 00:20:38,416 → 00:20:40,166
该搓正面了
📝 한어병음
gāi cuō zhèng miàn liǎo
🇰🇷 한글번역
이제 앞면을 문질러야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该 gāi ~해야 한다 HSK4 搓 cuō 문지르다, 비비다 HSK6 正面 zhèng miàn 앞면, 정면 HSK5

📚 문법
- "该"는 "해야 한다"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필요함을 나타냅니다.
- 이 문장에서 "该搓正面了"는 "앞면을 문질러야 한다"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을 시작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了"는 동작의 시작이나 변화를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자막 #481 | 00:20:41,541 → 00:20:44,250
这里面有点热 我得上去喝口水去
📝 한어병음
zhè lǐ miàn yǒu diǎn rè wǒ dé shàng qù hē kǒu shuǐ qù
🇰🇷 한글번역
여기 안이 좀 덥네요. 위로 올라가서 물 한 잔 마셔야겠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里面 zhè lǐ miàn 여기 안 HSK4 热 rè 덥다 HSK2 得 děi 해야 한다 HSK4 上去 shàng qù 올라가다 HSK3 喝 hē 마시다 HSK1 水 shuǐ 물 HSK1

📚 문법
- 得字句: "得"는 필요나 의무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我得上去"에서 "나는 올라가야 한다"라는 의미로 쓰였습니다.
- 方向补语: "上去"는 방향 보어로, 동작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上"은 위로의 방향을, "去"는 멀어짐을 나타내어 "올라가다"라는 뜻이 됩니다.
자막 #482 | 00:20:54,375 → 00:20:57,166
他以为你是在国外拿地皮的工程师
📝 한어병음
tā yǐ wèi nǐ shì zài guó wài ná dì pí de gōng chéng shī
🇰🇷 한글번역
그는 당신이 해외에서 토지를 매입하는 엔지니어라고 생각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HSK1 以为 yǐwéi ~라고 여기다 HSK4 你 nǐ 너 HSK1 是 shì ~이다 HSK1 在 zài ~에서 HSK1

国外 guówài 해외 HSK4 拿 ná 가지다, 얻다 HSK2 地皮 dìpí 땅, 부지 HSK6 工程师 gōngchéngshī 엔지니어 HSK5

📚 문법
- 以为: '~라고 여기다'라는 뜻으로, 주로 어떤 사실이나 상황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是: '이다'라는 뜻으로,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 在: 장소나 위치를 나타낼 때 사용되며, '~에서'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자막 #483 | 00:20:57,166 → 00:21:00,041
而且他们都管你爸海哥 海哥的叫
📝 한어병음
ér qiě tā men dōu guǎn nǐ bà hǎi gē hǎi gē de jiào
🇰🇷 한글번역
그리고 그들은 모두 당신의 아버지를 해거, 해거라고 부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而且 ér qiě 게다가 HSK3 他们 tā men 그들 HSK1 管 guǎn 부르다, 칭하다 HSK4 爸 bà 아빠 HSK1 叫 jiào 부르다 HSK1

📚 문법
명사구: "他们都管你爸海哥"에서 "他们"은 주어, "都"는 부사로 '모두'라는 뜻을 강조합니다. "管"은 '부르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你爸"는 목적어, "海哥"는 별명입니다. 이 문장은 '그들은 모두 당신의 아버지를 해거라고 부릅니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484 | 00:21:00,041 → 00:21:01,541
他有一个自己的车队
📝 한어병음
tā yǒu yī gè zì jǐ de chē duì
🇰🇷 한글번역
그는 자신의 팀을 가지고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HSK1 有 yǒu 있다 HSK1 一个 yí gè 하나의 HSK1 自己 zì jǐ 자기 자신 HSK2 车队 chē duì 차량 팀, 차대

📚 문법
주어 + 有 + 명사: 소유를 나타내는 문장 구조입니다.
예문: 他有一个自己的车队 (그는 자신의 차량 팀이 있다)
자막 #485 | 00:21:01,541 → 00:21:03,250
天南地北的兄弟比较多
📝 한어병음
tiān nán dì běi de xiōng dì bǐ jiào duō
🇰🇷 한글번역
천남지북의 형제가 비교적 많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天南地北 tiān nán dì běi 천남지북, 여기저기 HSK6 兄弟 xiōng dì 형제 HSK4 比较 bǐ jiào 비교적, 상대적으로 HSK3 多 duō 많다 HSK1

📚 문법
형용사 중첩: "天南地北"은 형용사 중첩 구조로, 원래 의미는 '남쪽 하늘과 북쪽 땅'이지만, 여기서는 '여기저기'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는 형용사를 강조하거나 생동감 있게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비교문: "比较"는 비교적 또는 상대적으로라는 의미로, 뒤에 오는 형용사를 수식하여 그 정도를 나타냅니다.
자막 #486 | 00:21:03,250 → 00:21:05,333
那不就是江湖大哥吗
📝 한어병음
nà bù jiù shì jiāng hú dà gē ma
🇰🇷 한글번역
그 사람은 바로 강호의 대형이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것, 그 HSK1 不 bù 아니다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是 shì ~이다 HSK1 江湖 jiānghú 강호 (비유적으로 사회나 특정 집단) HSK6 大哥 dàgē 형, 큰형님 HSK5

📚 문법
是字句: 중국어에서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是 + 서술어 (저것은 바로 강호의 큰형님이다)

이 문장은 "저것은 바로 강호의 큰형님이다"라는 의미로, 특정 인물을 강조하여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자막 #487 | 00:21:05,333 → 00:21:06,916
都是看着彪悍
📝 한어병음
dōu shì kàn zhe biāo hàn
🇰🇷 한글번역
모두 다 강해 보인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是 shì 이다 HSK1 看着 kàn zhe 보고 있다 HSK3 彪悍 biāo hàn 용맹하다, 강인하다 HSK6

📚 문법
진행형: 동사 뒤에 着(zhe)를 붙여 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着 (보고 있다)

이 문장에서 "看着"는 '보고 있다'는 진행형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彪悍"은 '용맹하다'는 뜻으로, 대상의 외형적 또는 내면적 강인함을 묘사합니다.
자막 #488 | 00:21:06,916 → 00:21:08,125
其实都是好人
📝 한어병음
qí shí dōu shì hǎo rén
🇰🇷 한글번역
사실 모두 좋은 사람들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其实 qí shí 사실은 HSK3 都是 dōu shì 모두 HSK2 好人 hǎo rén 좋은 사람 HSK1

📚 문법
주어 + 都是 + 명사: "모두 ~이다"라는 뜻으로, 여러 대상이 동일한 속성을 가질 때 사용합니다. 이 문장에서 "都是好人"은 "모두 좋은 사람이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489 | 00:21:08,125 → 00:21:09,458
你都不知道
📝 한어병음
nǐ dōu bù zhī dào
🇰🇷 한글번역
너는 전혀 몰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都 dōu 모두, 전부 HSK2 不知道 bù zhī dào 모르다 HSK1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이나 상태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不 + 동사 (너는 모른다)

이 문장에서 "你都不知道"는 "너는 전혀 모른다"라는 의미로, "都"는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어 "전혀" 또는 "모두"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자막 #490 | 00:21:09,458 → 00:21:11,416
刚才他们的杀气有多重
📝 한어병음
gāng cái tā men de shā qì yǒu duō zhòng
🇰🇷 한글번역
방금 그들의 살기가 얼마나 무거웠는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刚才 gāngcái 방금, 조금 전 HSK3 他们 tāmen 그들 HSK1 杀气 shāqì 살기 (적대적이고 공격적인 기운) 多重 duōzhòng 얼마나 무겁다, 얼마나 강하다

📚 문법
정도보어: 중국어에서 정도를 묻거나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有 + 多 + 형용사 (그들의 살기가 얼마나 강했는가)

이 문장은 "그들의 살기가 얼마나 강했는가"라는 의미로, 정도를 묻는 표현입니다.
자막 #491 | 00:21:12,583 → 00:21:13,625
好了
📝 한어병음
hǎo liǎo
🇰🇷 한글번역
됐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了 le 완료, 변화의 표시 HSK1

📚 문법
了: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형태: 동사/형용사 + 了 (동작이 완료되었거나 상태가 변화했음을 나타냅니다)

예문: 好了 (잘 되었다, 완료되었다)
자막 #492 | 00:21:13,875 → 00:21:15,958
他不喜欢你 我喜欢你
📝 한어병음
tā bù xǐ huān nǐ wǒ xǐ huān nǐ
🇰🇷 한글번역
그는 너를 좋아하지 않아. 나는 너를 좋아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HSK1 不 bù 아니다 HSK1 喜欢 xǐ huān 좋아하다 HSK2 你 nǐ 너 HSK1 我 wǒ 나 HSK1

📚 문법
대조구문: 두 문장을 대조하여 서로 다른 주체의 감정을 표현합니다.
형태: 주어1 + 동사 + 목적어, 주어2 + 동사 + 목적어 (그는 너를 좋아하지 않지만, 나는 너를 좋아한다)
자막 #493 | 00:21:15,958 → 00:21:16,791
他要是再欺负你
📝 한어병음
tā yào shì zài qī fù nǐ
🇰🇷 한글번역
그가 너를 또 괴롭히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要是 yàoshì 만약 ~라면 HSK4 再 zài 다시, 또 HSK3 欺负 qīfu 괴롭히다, 못살게 굴다 HSK5 你 nǐ 너 HSK1

📚 문법
조건문: "要是"는 가정이나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만약 ~라면"의 의미를 갖습니다. 이 문장은 "그가 만약 다시 너를 괴롭히면"이라는 조건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자막 #494 | 00:21:16,791 → 00:21:18,083
我去跟他说 好不好
📝 한어병음
wǒ qù gēn tā shuō hǎo bù hǎo
🇰🇷 한글번역
내가 가서 그에게 말할게, 괜찮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去 qù 가다 HSK1 跟 gēn ~와 함께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好不好 hǎo bu hǎo 좋은가? HSK1

📚 문법
A-not-A 질문 형식: 중국어에서 긍정과 부정을 함께 제시하여 상대방의 의견을 묻는 형식입니다.
형태: 형용사/동사 + 不 + 형용사/동사 (좋은가?)

이 문장에서 "好不好"는 상대방에게 제안이나 의견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我去跟他说"는 "내가 가서 그에게 말할까?"라는 의미로, 뒤에 "好不好"를 붙여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는 형태입니다.
자막 #495 | 00:21:18,958 → 00:21:19,958
算了
📝 한어병음
suàn liǎo
🇰🇷 한글번역
됐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算了 suàn le 됐다, 그만두다, 됐어 HSK4

📚 문법
"算了"는 주로 어떤 일을 포기하거나 더 이상 논의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대화나 상황에서 더 이상 진행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그만두자" 또는 "됐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496 | 00:21:21,791 → 00:21:22,916
我决定了
📝 한어병음
wǒ jué dìng liǎo
🇰🇷 한글번역
결정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决定 juédìng 결정하다 HSK3 了 le 완료, 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문법 패턴입니다.
예문: 我决定了 (나는 결정했다) - 여기서 '了'는 결정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497 | 00:21:23,541 → 00:21:25,041
从今天开始
📝 한어병음
cóng jīn tiān kāi shǐ
🇰🇷 한글번역
오늘부터
🎯 AI 분석 결과
🔍 어휘
从 cóng ~부터 HSK2 今天 jīn tiān 오늘 HSK1 开始 kāi shǐ 시작하다 HSK2

📚 문법
时间词 + 开始: "从今天开始"는 "오늘부터 시작하다"라는 의미로, 시간의 시작점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이 구조는 특정 시간부터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시작됨을 표현합니다.
자막 #498 | 00:21:26,125 → 00:21:27,958
我不想再让你为难了
📝 한어병음
wǒ bù xiǎng zài ràng nǐ wèi nán liǎo
🇰🇷 한글번역
더 이상 너를 곤란하게 하고 싶지 않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不 bù 아니다 HSK1 想 xiǎng 생각하다, 원하다 HSK2 再 zài 다시 HSK2 让 ràng ~하게 하다 HSK3

📚 문법
사역문: "让"은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거나 허락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让 + 대상 + 동사 (나는 너를 더 이상 곤란하게 하고 싶지 않다)
자막 #499 | 00:21:28,583 → 00:21:29,458
我呢
📝 한어병음
wǒ ne
🇰🇷 한글번역
나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呢 ne ~는요? (문장 끝에 쓰여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呢"는 중국어에서 문장 끝에 사용되어 의문을 나타내거나, 앞에서 언급된 상황이나 내용을 이어받아 질문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我呢?"는 "나는요?"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자신의 상황이나 상태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
자막 #500 | 00:21:30,125 → 00:21:31,791
要变得成熟起来
📝 한어병음
yào biàn dé chéng shú qǐ lái
🇰🇷 한글번역
성숙해져야 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要 yào 필요하다, ~하려고 하다 HSK2 变得 biàn de ~하게 되다 HSK4 成熟 chéng shú 성숙하다 HSK5 起来 qǐ lái 시작하다, ~해지다 HSK3

📚 문법
동사 + 起来: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시작되거나 변화함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起来 (성숙해지기 시작하다)
자막 #501 | 00:21:54,625 → 00:21:55,958
买个标记
📝 한어병음
mǎi gè biāo jì
🇰🇷 한글번역
표시를 하나 사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买 mǎi 사다 HSK1 个 gè 개, 명 (양사) HSK1 标记 biāo jì 표지, 표시 HSK5

📚 문법
명사구: "买个标记"는 "표시를 하나 사다"라는 의미의 간단한 명사구입니다. 여기서 "个"는 일반적인 양사로 사용되어 "표시"의 수량을 나타냅니다.
자막 #502 | 00:22:04,750 → 00:22:06,166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근한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503 | 00:22:14,958 → 00:22:15,958
塞进去
📝 한어병음
sāi jìn qù
🇰🇷 한글번역
집어넣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塞 sài 넣다, 채우다 HSK4 进 jìn 들어가다 HSK1 去 qù 가다 HSK1

📚 문법
결과보어: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문법 구조입니다.
형태: 동사 + 결과보어 (塞进去: 넣어서 들어가다)
이 문장에서 "塞进去"는 어떤 물건을 안으로 넣어 들어가게 하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자막 #504 | 00:22:18,375 → 00:22:19,916
衬衫盖着裤
📝 한어병음
chèn shān gài zhe kù
🇰🇷 한글번역
셔츠가 바지를 덮고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衬衫 chènshān 셔츠 HSK3 盖 gài 덮다 HSK4 着 zhe ~하고 있다 (진행) HSK3 裤 kù 바지 HSK4

📚 문법
진행형: 着(zhe)는 동작이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형태: 동사 + 着 (셔츠가 바지를 덮고 있다)

이 문장에서 "盖着"는 "덮고 있다"라는 진행형을 나타내며, "衬衫盖着裤"는 "셔츠가 바지를 덮고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505 | 00:22:19,916 → 00:22:22,083
男人靠不住
📝 한어병음
nán rén kào bù zhù
🇰🇷 한글번역
남자는 믿을 수 없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男人 nán rén 남자 HSK2 靠 kào 의지하다, 믿다 HSK4 不 bù 아니다 HSK1 住 zhù 살다, 머무르다 HSK1

📚 문법
부정문: "靠不住"는 "믿을 수 없다"는 뜻으로, "靠"에 부정형 "不"을 결합하여 신뢰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不 + 동사 (의지할 수 없다)
자막 #506 | 00:22:23,083 → 00:22:24,708
衣服塞进腰
📝 한어병음
yī fu sāi jìn yāo
🇰🇷 한글번역
옷을 허리에 넣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衣服 yīfu 옷 HSK1 塞 sài 넣다, 채우다 HSK4 进 jìn 들어가다 HSK2 腰 yāo 허리 HSK5

📚 문법
동사구: 동사와 방향보어의 결합으로 동작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방향보어 (옷을 허리에 넣다)
자막 #507 | 00:22:24,708 → 00:22:26,458
显瘦又显高
📝 한어병음
xiǎn shòu yòu xiǎn gāo
🇰🇷 한글번역
날씬해 보이고 키가 커 보인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显 xiǎn 나타나다, 드러나다 HSK4 瘦 shòu 마르다, 날씬하다 HSK3 又 yòu 또, 다시 HSK2 高 gāo 높다, 키가 크다 HSK1

📚 문법
병렬구조: "又...又..."는 두 가지 이상의 성질이나 상태를 동시에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형태: 又 + 형용사1 + 又 + 형용사2 (날씬해 보이면서 키도 커 보인다)
자막 #508 | 00:22:26,458 → 00:22:27,416
记住没
📝 한어병음
jì zhù méi
🇰🇷 한글번역
기억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记住 jì zhù 기억하다 HSK4 没 méi 없다, 하지 않았다 HSK1

📚 문법
동사 + 住: 동사 뒤에 '住'가 붙으면 동작이 완료되어 그 상태가 유지됨을 나타냅니다.
예: 记住 (기억하다) - 기억하는 동작이 완료되어 그 상태가 유지됨을 의미합니다.
자막 #509 | 00:22:28,375 → 00:22:29,291
记住了
📝 한어병음
jì zhù liǎo
🇰🇷 한글번역
기억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记住 jì zhù 기억하다, 암기하다 HSK3 了 le 완료, 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동사 + 住: 동사 뒤에 '住'가 붙으면 동작이 완료되거나 지속됨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记住"는 '기억하다' 또는 '암기하다'라는 의미로,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강조합니다.
자막 #510 | 00:22:33,041 → 00:22:34,666
叔叔 我接个电话啊
📝 한어병음
shū shū wǒ jiē gè diàn huà a
🇰🇷 한글번역
삼촌, 저 전화 좀 받을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3 我 wǒ 나 HSK1 接 jiē 받다 HSK3 电话 diànhuà 전화 HSK2

📚 문법
동사 + 목적어: 중국어에서 동사가 목적어를 직접 취하는 구조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接电话: 전화를 받다)

이 문장은 "삼촌, 저 전화 좀 받을게요"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양해를 구하며 전화를 받겠다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자막 #511 | 00:22:35,125 → 00:22:36,125
接去吧
📝 한어병음
jiē qù ba
🇰🇷 한글번역
받아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接 jiē 받다, 마중하다 HSK2 去 qù 가다 HSK1 吧 ba ~하자 (제안) HSK1

📚 문법
제안문: 중국어에서 '吧'는 제안을 하거나 권유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去 + 吧 (가서 ~하자)
자막 #512 | 00:22:36,666 → 00:22:37,708
喂 老田
📝 한어병음
wèi lǎo tián
🇰🇷 한글번역
여보세요, 노전.
🎯 AI 분석 결과
🔍 어휘
喂 wèi 여보세요, (전화할 때) HSK3 老 lǎo 늙다, 오래된 HSK3 田 tián 밭, 성씨 (문맥에 따라) HSK5

📚 문법
호칭과 인사: "喂"는 전화 통화 시 상대방의 주의를 끌기 위해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老田"은 친근하게 부르는 이름으로, "老"는 성이나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을 나타냅니다.
자막 #513 | 00:22:37,708 → 00:22:39,750
帆哥 我不小心把代码弄崩了
📝 한어병음
fān gē wǒ bù xiǎo xīn bǎ dài mǎ nòng bēng liǎo
🇰🇷 한글번역
형, 내가 실수로 코드를 망가뜨렸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帆哥 fān gē 범 형님 (이름) 不小心 bù xiǎo xīn 부주의하게 HSK4 把 bǎ 을/를 HSK3 代码 dài mǎ 코드 HSK4 弄崩 nòng bēng 망가뜨리다 (일반적인 표현)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영향을 받는 대상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기타 성분 (나는 코드를 망가뜨렸다)

이 문장에서 "把"는 "代码"가 동작의 영향을 받는 대상을 나타내며, "弄崩"은 그 결과를 설명합니다.
자막 #514 | 00:22:39,750 → 00:22:40,791
我搞不定了
📝 한어병음
wǒ gǎo bù dìng liǎo
🇰🇷 한글번역
나는 해결할 수 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搞 gǎo 하다, 처리하다 HSK4 不定 bùdìng 정하지 못하다, 확실하지 않다 HSK5 了 le 완료, 변화 HSK1

📚 문법
결과보어: '搞不定'은 '搞'라는 동사 뒤에 '不定'이라는 결과보어가 붙어 동작의 결과가 부정적임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처리할 수 없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515 | 00:22:40,791 → 00:22:42,333
你今天能来公司加班吗
📝 한어병음
nǐ jīn tiān néng lái gōng sī jiā bān ma
🇰🇷 한글번역
오늘 회사에 와서 야근할 수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今天 jīn tiān 오늘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来 lái 오다 HSK1 公司 gōng sī 회사 HSK3 加班 jiā bān 초과 근무하다 HSK4

📚 문법
능력 표현: "能"은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문장 구조: 주어 + 能 + 동사 + 목적어 (너는 오늘 회사에 와서 초과 근무할 수 있니?)
자막 #516 | 00:22:42,333 → 00:22:44,333
这大过节的不都放假了吗
📝 한어병음
zhè dà guò jié de bù dōu fàng jiǎ liǎo ma
🇰🇷 한글번역
이 큰 명절에 다들 쉬지 않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大 dà 크다, 매우 HSK1 过节 guò jié 명절을 보내다 HSK4 放假 fàng jià 휴가를 보내다 HSK3 吗 ma ~니?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反问句: 중국어에서 부정적인 의문문으로,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반박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不 + 동사 + 吗? (모두 휴가가 아닌가요?)
자막 #517 | 00:22:44,333 → 00:22:45,250
我在外地呢呀
📝 한어병음
wǒ zài wài dì ne ya
🇰🇷 한글번역
저는 지금 타지에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在 zài ~에 있다 HSK1 外地 wài dì 외지, 다른 지역 HSK4 呢 ne ~하고 있다 HSK1 呀 ya ~이야 HSK5

📚 문법
진행형 문장: 중국어에서 동작이나 상태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在 + 장소/상태 + 呢 (나는 외지에 있어)

"呢"는 진행 중인 상태를 강조하며, "呀"는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자막 #518 | 00:22:45,250 → 00:22:47,125
你外星也没有用啊
📝 한어병음
nǐ wài xīng yě méi yǒu yòng a
🇰🇷 한글번역
너 외계인이라도 소용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外星 wài xīng 외계 HSK6 也 yě 또한, ~도 HSK1 没有用 méi yǒu yòng 쓸모없다 HSK4

📚 문법
부정문: "没有用"은 "쓸모없다"라는 의미로, 어떤 것이 효과적이지 않거나 가치가 없음을 나타냅니다. "也"는 앞의 내용을 강조하거나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也 + 没有用 (너는 외계에서도 쓸모없다)
자막 #519 | 00:22:47,125 → 00:22:49,208
你又不是不知道咱们经理那个狗
📝 한어병음
nǐ yòu bù shì bù zhī dào zán men jīng lǐ nà gè gǒu
🇰🇷 한글번역
너도 우리 매니저가 어떤 사람인지 모르지 않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又 yòu 다시, 또 HSK3 知道 zhī dào 알다 HSK1 咱们 zán men 우리 HSK2 经理 jīng lǐ 매니저, 관리자 HSK3

📚 문법
- "又"의 사용: "又"는 반복이나 추가적인 행동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다시, 또"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不是...吗"의 구조: 이 구조는 반문이나 강조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상대방이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너도 우리 매니저가 어떤 사람인지 모르지 않잖아)
자막 #520 | 00:22:49,875 → 00:22:50,875
喂 老田
📝 한어병음
wèi lǎo tián
🇰🇷 한글번역
여보세요, 노태 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喂 wèi 여보세요, (전화할 때) HSK2 老 lǎo 늙다, 나이가 많다 HSK3 田 tián 밭, 성씨 (문맥에 따라) HSK4

📚 문법
호칭과 인사: "喂"는 전화 통화 시 상대방의 주의를 끌기 위해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老田"은 "田"이라는 성을 가진 사람을 친근하게 부르는 표현입니다. "老"는 나이 많은 사람이나 친근한 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자막 #521 | 00:22:51,333 → 00:22:51,958
📝 한어병음
wèi
🇰🇷 한글번역
여보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喂 wèi 여보세요 HSK1

📚 문법
호칭 및 인사: "喂"는 전화 통화 시 상대방의 주의를 끌거나 대화를 시작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여보세요"로 번역됩니다.
자막 #522 | 00:22:51,958 → 00:22:52,875
经理
📝 한어병음
jīng lǐ
🇰🇷 한글번역
매니저
🎯 AI 분석 결과
🔍 어휘
经理 jīng lǐ 매니저, 관리자 HSK3

📚 문법
이 단어는 명사로, 회사나 조직에서 관리나 운영을 담당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주로 직책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자막 #523 | 00:22:54,458 → 00:22:55,708
万一帆人呢
📝 한어병음
wàn yī fān rén ne
🇰🇷 한글번역
만일 범은 어디에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万一 wàn yī 만약에, 혹시 HSK4 帆 fān 돛 HSK6 人 rén 사람 HSK1 呢 ne ~는요?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의문문: 呢는 의문문에서 주로 사용되어, 앞에 나온 내용에 대한 질문이나 반문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呢? (사람은 어디 있나요?)
자막 #524 | 00:22:56,208 → 00:22:57,208
没联系上
📝 한어병음
méi lián xì shàng
🇰🇷 한글번역
연락이 닿지 않았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못하다 HSK2 联系 lián xì 연락하다 HSK3 上 shàng ~에, ~에 도달하다 HSK1

📚 문법
동사 + 结果补语: 중국어에서 동사의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결과보어를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결과보어 (联系上: 연락이 닿다, 연락이 되다)
"没联系上"는 "연락이 닿지 않았다"는 의미로, 동작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525 | 00:22:58,416 → 00:22:59,791
抓紧时间啊
📝 한어병음
zhuā jǐn shí jiān a
🇰🇷 한글번역
시간을 아껴 써.
🎯 AI 분석 결과
🔍 어휘
抓紧 zhuā jǐn 서두르다, 꽉 잡다 HSK4 时间 shí jiān 시간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동작을 재촉하거나 권장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시간을 서두르세요)
자막 #526 | 00:23:04,125 → 00:23:05,916
经理 慢点啊
📝 한어병음
jīng lǐ màn diǎn a
🇰🇷 한글번역
매니저님, 천천히 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经理 jīng lǐ 매니저, 관리자 HSK3 慢 màn 천천히 HSK2 点 diǎn 점, 조금 HSK1 啊 a 문장 끝에 쓰여 부드러움을 나타냄 HSK1

📚 문법
-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정이나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는 "천천히 하세요"라는 요청을 부드럽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527 | 00:23:14,416 → 00:23:15,250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근한 어른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528 | 00:23:15,875 → 00:23:16,708
咋啦
📝 한어병음
zǎ lā
🇰🇷 한글번역
왜 그래?
🎯 AI 분석 결과
🔍 어휘
咋 zǎ 어찌, 어떻게 HSK5 啦 la 어조사,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의문을 나타냄 HSK6

📚 문법
어조사 啦: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咋啦"는 "어떻게 된 거야?" 또는 "무슨 일이야?"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529 | 00:23:17,166 → 00:23:18,291
出什么事了
📝 한어병음
chū shén me shì liǎo
🇰🇷 한글번역
무슨 일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出 chū 나가다, 발생하다 HSK1 什么 shénme 무엇 HSK1 事 shì 일, 사건 HSK2 了 le 완료, 변화 HSK1

📚 문법
"出什么事了"는 "무슨 일이 발생했나요?"라는 뜻으로, 중국어에서 사건이나 상황의 변화를 묻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了"는 동작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530 | 00:23:18,291 → 00:23:19,458
就是业务上
📝 한어병음
jiù shì yè wù shàng
🇰🇷 한글번역
바로 업무상으로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是 shì ~이다 HSK1 业务 yèwù 업무, 사업 HSK4 上 shàng 위, ~에 관하여 HSK1

📚 문법
명사구: "业务上"은 "업무에 관하여"라는 의미로, 특정 주제나 분야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上"은 여기서 "~에 관하여"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자막 #531 | 00:23:19,666 → 00:23:20,333
小事
📝 한어병음
xiǎo shì
🇰🇷 한글번역
사소한 일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事 shì 일, 사건 HSK2

📚 문법
'小事'는 '작은 일' 또는 '사소한 일'이라는 의미로, 일상적인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이는 두 개의 명사가 결합된 형태로, 형용사 '小'가 명사 '事'를 수식하는 구조입니다.
자막 #532 | 00:23:20,458 → 00:23:21,458
小事
📝 한어병음
xiǎo shì
🇰🇷 한글번역
작은 일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事 shì 일, 사건 HSK2

📚 문법
'小事'는 '작은 일' 또는 '사소한 일'이라는 의미로, 일상적인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이 단어는 어떤 일이 중요하지 않거나 큰 문제가 아님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小'는 형용사로 '작다'는 뜻이며, '事'는 명사로 '일' 또는 '사건'을 의미합니다. 두 단어가 결합하여 '작은 일'이라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자막 #533 | 00:23:23,333 → 00:23:24,208
好啊
📝 한어병음
hǎo a
🇰🇷 한글번역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동의를 나타냄 HSK2

📚 문법
감탄문: "好啊"는 감탄사로 사용되어 상대방의 제안이나 의견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냅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감탄이나 동의를 강조합니다.
자막 #534 | 00:23:25,000 → 00:23:26,250
忙点好
📝 한어병음
máng diǎn hǎo
🇰🇷 한글번역
바쁜 게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忙 máng 바쁘다 HSK2 点 diǎn 조금, 약간 HSK3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형용사 + 点: 형용사 뒤에 点을 붙여서 "조금 더 ~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예: 忙点好 (조금 더 바쁜 것이 좋다)
자막 #535 | 00:23:27,375 → 00:23:28,541
小事
📝 한어병음
xiǎo shì
🇰🇷 한글번역
사소한 일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事 shì 일, 사건 HSK2

📚 문법
'小事'는 '작은 일' 또는 '사소한 일'이라는 의미로, 일상적인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小'는 형용사로 '작다'는 뜻이고, '事'는 명사로 '일' 또는 '사건'을 의미합니다. 두 단어가 결합되어 '사소한 일'이라는 복합 명사를 형성합니다.
자막 #536 | 00:23:33,791 → 00:23:34,666
怎么样
📝 한어병음
zěn me yàng
🇰🇷 한글번역
어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 me 어떻게 HSK2 样 yàng 모양, 방식 HSK3

📚 문법
의문문: "怎么样"은 "어떻게" 또는 "어때"라는 뜻으로, 상태나 의견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怎么样 (예: 你觉得这个电影怎么样? - 너는 이 영화가 어때?)
자막 #537 | 00:23:35,000 → 00:23:36,000
上相不
📝 한어병음
shàng xiāng bù
🇰🇷 한글번역
상상하지 마십시오.
🎯 AI 분석 결과
죄송합니다. 주어진 텍스트 "上相不"는 완전한 문장이 아니며, 문맥이 부족하여 분석하기 어렵습니다. 추가적인 문맥이나 문장을 제공해 주시면 더 정확한 분석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자막 #538 | 00:23:36,875 → 00:23:40,333
我发现万一帆这小子有点不对劲啊
📝 한어병음
wǒ fā xiàn wàn yī fān zhè xiǎo zǐ yǒu diǎn bù duì jìn a
🇰🇷 한글번역
나는 만일범 이 친구가 좀 이상하다는 걸 발견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发现 fā xiàn 발견하다 HSK4 万一 wàn yī 만약에 HSK5 小子 xiǎo zi 녀석, 놈 HSK6 不对劲 bù duì jìn 이상하다, 수상하다 (HSK 비공식)

📚 문법
- "万一"는 가정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만약에" 또는 "혹시"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문장에서 어떤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언급할 때 사용됩니다.
- "不对劲"은 구어체 표현으로, 어떤 상황이나 사람이 평소와 다르거나 수상할 때 사용됩니다. 공식적인 HSK 단어는 아니지만 일상 회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539 | 00:23:41,250 → 00:23:42,583
我就发现
📝 한어병음
wǒ jiù fā xiàn
🇰🇷 한글번역
나는 발견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就 jiù 곧, 바로 HSK2 发现 fā xiàn 발견하다 HSK4

📚 문법
'就'의 사용: '就'는 어떤 일이 곧바로 일어남을 나타내는 부사로, 문장에서 시간적 순서나 인과 관계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예: 我就发现 (나는 곧바로 발견했다)
자막 #540 | 00:23:42,583 → 00:23:43,875
我今天这身
📝 한어병음
wǒ jīn tiān zhè shēn
🇰🇷 한글번역
오늘 내 복장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今天 jīn tiān 오늘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身 shēn 몸, 옷차림 HSK4

📚 문법
명사구: "这身"은 "이 옷차림"이라는 뜻으로, 특정한 옷차림이나 스타일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我今天这身"은 "내 오늘 이 옷차림"이라는 의미로, 주어의 현재 상태나 스타일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541 | 00:23:43,875 → 00:23:45,375
和这地方太搭了
📝 한어병음
hé zhè dì fāng tài dā liǎo
🇰🇷 한글번역
이 장소와 정말 잘 어울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和 hé 와, ~와 HSK2 这 zhè 이, 이곳 HSK1 地方 dì fāng 장소, 곳 HSK2 太 tài 너무, 매우 HSK2 搭 dā 어울리다, 맞다 (HSK에는 포함되지 않음)

📚 문법
형용사 중첩: "太"는 정도를 강조하는 부사로,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너무' 또는 '매우'의 의미를 더합니다. 이 문장에서 "太搭了"는 '너무 잘 어울린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542 | 00:23:47,708 → 00:23:49,333
他老是不敢正面面对我
📝 한어병음
tā lǎo shì bù gǎn zhèng miàn miàn duì wǒ
🇰🇷 한글번역
그는 항상 나를 정면으로 마주할 용기가 없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老是 lǎo shì 항상, 늘 HSK4 不敢 bù gǎn 감히 ~하지 못하다 HSK4 正面 zhèng miàn 정면 HSK5 面对 miàn duì 직면하다, 마주하다 HSK4

📚 문법
부정문: "不敢"은 "감히 ~하지 못하다"라는 뜻으로, 주어가 어떤 행동을 두려워하거나 주저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不敢 + 동사 (그는 감히 나를 정면으로 마주하지 못한다)
자막 #543 | 00:23:49,333 → 00:23:50,291
正面面对你
📝 한어병음
zhèng miàn miàn duì nǐ
🇰🇷 한글번역
당신을 정면으로 마주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正面 zhèng miàn 정면 HSK5 面对 miàn duì 직면하다, 마주하다 HSK4 你 nǐ 너 HSK1

📚 문법
동사구: "正面面对你"는 "정면으로 너를 마주하다"라는 의미로, 동사 "面对" 앞에 "正面"이라는 부사구가 위치하여 동작의 방향성을 강조합니다.
자막 #544 | 00:23:50,291 → 00:23:51,250
你给我拍个正脸
📝 한어병음
nǐ gěi wǒ pāi gè zhèng liǎn
🇰🇷 한글번역
내 정면 사진 좀 찍어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给 gěi 주다 HSK2 我 wǒ 나 HSK1 拍 pāi 찍다 HSK4 正脸 zhèng liǎn 정면 얼굴 (비HSK)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동작을 요청하거나 명령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너는 나의 정면 얼굴을 찍어줘)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정면 얼굴 사진을 찍어달라고 요청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545 | 00:23:51,250 → 00:23:52,625
显脸小的啊
📝 한어병음
xiǎn liǎn xiǎo de a
🇰🇷 한글번역
얼굴이 작아 보이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显 xiǎn 나타내다, 드러내다 HSK4 脸 liǎn 얼굴 HSK2 小 xiǎo 작다 HSK1 的 de ~의 (관형어를 만드는 구조조사) HSK1 啊 a ~구나, ~네 (감탄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관형어 구조: '的'는 관형어를 만들어 명사를 수식합니다. 여기서는 '显脸小的'가 '얼굴을 작게 보이게 하는'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작게 보이는구나'라는 감탄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546 | 00:23:54,125 → 00:23:55,333
洗澡的时候
📝 한어병음
xǐ zǎo de shí hòu
🇰🇷 한글번역
목욕할 때
🎯 AI 분석 결과
🔍 어휘
洗澡 xǐ zǎo 목욕하다 HSK2 的时候 de shí hòu ~할 때 HSK3

📚 문법
时间 부사구: "~할 때"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사건이 발생하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형태: 动词 + 的时候 (목욕할 때)
자막 #547 | 00:23:55,333 → 00:23:57,000
老是在那跟我遮遮掩掩
📝 한어병음
lǎo shì zài nà gēn wǒ zhē zhē yǎn yǎn
🇰🇷 한글번역
항상 거기서 나에게 숨기고 감추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老是 lǎo shì 항상, 자주 HSK4 那 nà 그, 저 HSK1 跟 gēn ~와 함께 HSK2 遮掩 zhē yǎn 숨기다, 감추다 (HSK 비급수)

📚 문법
동사 중첩: "遮遮掩掩"은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의 지속성이나 강도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이 경우, "숨기고 감추다"라는 동작이 지속적이거나 강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548 | 00:23:57,000 → 00:23:58,083
朦胧
📝 한어병음
méng lóng
🇰🇷 한글번역
몽롱
🎯 AI 분석 결과
🔍 어휘
朦胧 méng lóng 희미하다, 어렴풋하다 HSK6

📚 문법
이 단어는 형용사로, 사물이나 상황이 명확하지 않고 흐릿하거나 불분명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月光朦胧"는 "달빛이 희미하다"라는 뜻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막 #549 | 00:23:58,083 → 00:23:59,166
也是一种美
📝 한어병음
yě shì yī zhǒng měi
🇰🇷 한글번역
그것도 하나의 아름다움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也 yě 또한, 역시 HSK1 是 shì ~이다 HSK1 一种 yī zhǒng 일종의 HSK3 美 měi 아름다움 HSK4

📚 문법
명사구: "一种美"는 "일종의 아름다움"으로 해석됩니다. "一种"은 어떤 종류나 유형을 나타내며, 뒤에 오는 명사를 수식합니다. 이 문장에서 "也是一种美"는 "또한 일종의 아름다움이다"라는 의미로, 어떤 상황이나 사물이 아름다움의 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550 | 00:23:59,166 → 00:24:00,041
这小子吧
📝 한어병음
zhè xiǎo zǐ ba
🇰🇷 한글번역
이 녀석 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小子 xiǎo zi 녀석, 아이 HSK4

📚 문법
명사구: "这小子"는 "이 녀석"이라는 뜻으로, 특정한 사람이나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这"는 지시대명사로 명사 앞에 위치하여 특정 대상을 지칭합니다.
자막 #551 | 00:24:00,041 → 00:24:02,000
老是鬼鬼祟祟的
📝 한어병음
lǎo shì guǐ guǐ suì suì de
🇰🇷 한글번역
항상 수상쩍게 행동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老是 lǎo shì 항상, 자주 HSK4 鬼鬼祟祟 guǐ guǐ suì suì 수상쩍은, 은밀한 HSK6

📚 문법
형용사 중첩: '鬼鬼祟祟'와 같은 형용사는 중첩하여 사용되어 그 의미를 강조합니다. 이 경우, '수상쩍고 은밀한'이라는 의미가 더욱 강조됩니다. '老是'는 '항상, 자주'라는 뜻으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반복적으로 발생함을 나타냅니다.
자막 #552 | 00:24:02,458 → 00:24:04,458
就像王八探头似的
📝 한어병음
jiù xiàng wáng bā tàn tóu sì de
🇰🇷 한글번역
마치 거북이가 머리를 내미는 것처럼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像 jiù xiàng 마치 ...처럼 HSK4 王八 wáng bā 자라 (동물) 探头 tàn tóu 머리를 내밀다 似的 shì de ...처럼

📚 문법
비유 표현: "就像...似的"는 "마치 ...처럼"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물이나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就像 + 명사/구 + 似的 (마치 ~인 것처럼)
자막 #553 | 00:24:06,458 → 00:24:08,208
你怎么还骂人呢
📝 한어병음
nǐ zěn me hái mà rén ne
🇰🇷 한글번역
너 왜 아직도 사람을 욕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怎么 zěn me 어떻게 HSK2 还 hái 아직도 HSK2 骂人 mà rén 욕하다, 사람을 꾸짖다 HSK4

📚 문법
의문문: "怎么"는 이유나 방법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왜 아직도 사람을 꾸짖고 있니?"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놀라움이나 이해할 수 없음을 표현합니다.
형태: 주어 + 怎么 + 동사 + 목적어 (너는 어떻게 아직도 사람을 꾸짖고 있니?)
자막 #554 | 00:24:08,208 → 00:24:09,583
你看你 我又没说你
📝 한어병음
nǐ kàn nǐ wǒ yòu méi shuō nǐ
🇰🇷 한글번역
너 봐, 내가 너한테 뭐라고 한 것도 아니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 kàn 보다 HSK1 又 yòu 또, 다시 HSK3 没 méi 없다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 反问句: 이 문장은 반문 형식으로, 상대방이 오해하거나 잘못 이해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我又没说你"는 "나는 너에 대해 말한 적이 없다"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오해를 풀기 위한 표현입니다.
- "又"는 과거의 반복을 나타내며, 부정문에서 "다시" 또는 "또"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555 | 00:24:09,583 → 00:24:10,875
你探什么头呢
📝 한어병음
nǐ tàn shén me tóu ne
🇰🇷 한글번역
뭘 그렇게 기웃거리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探 tàn 살피다, 엿보다 HSK6 什么 shénme 무엇 HSK1 头 tóu 머리 HSK2

📚 문법
의문문: "你探什么头呢"는 의문문으로, 상대방의 행동이나 상태에 대해 물어보는 문장입니다. "呢"는 의문을 강조하거나 부드럽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什么 + 명사 + 呢 (너는 무엇을 엿보고 있니?)
자막 #556 | 00:24:10,875 → 00:24:13,250
那我这造型都是探头的造型啊
📝 한어병음
nà wǒ zhè zào xíng dōu shì tàn tóu de zào xíng a
🇰🇷 한글번역
그럼 내 이 스타일은 전부 고개를 내미는 스타일이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그렇다면 HSK1 我 wǒ 나, 저 HSK1 造型 zàoxíng 스타일, 모양 HSK5 都是 dōushì 모두, 전부 HSK2 探头 tàntóu 머리를 내밀다 HSK6

📚 문법
1. "那"는 문장의 시작에서 앞 문장의 내용을 받아 "그러면" 또는 "그렇다면"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는 대화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2. "都是"는 "모두"라는 뜻으로, 앞의 명사나 대명사가 가리키는 모든 것을 포함함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造型"이 모두 "探头的造型"임을 강조합니다.
3. "的"는 명사구를 형성하여 앞의 명사가 뒤의 명사를 수식하게 합니다. 여기서는 "探头的造型"으로 "머리를 내미는 스타일"이라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자막 #557 | 00:24:13,791 → 00:24:15,250
我这心里不踏实
📝 한어병음
wǒ zhè xīn lǐ bù tà shí
🇰🇷 한글번역
마음이 불안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心里 xīn lǐ 마음속, 심리 HSK4 不 bù 아니다, ~않다 HSK1 踏实 tā shi 마음이 놓이다, 편안하다 HSK6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踏实" 앞에 사용되어 "마음이 편안하지 않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558 | 00:24:15,250 → 00:24:16,333
你先别不踏实
📝 한어병음
nǐ xiān bié bù tà shí
🇰🇷 한글번역
당신은 먼저 불안해하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先 xiān 먼저 HSK2 别 bié ~하지 마라 HSK2 踏实 tā shi 마음이 놓이다, 편안하다 HSK6

📚 문법
부정 명령문: "别"는 "~하지 마라"라는 뜻으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别 + 동사 (너는 먼저 불안해하지 마라)

이 문장에서 "你先别不踏实"는 "너는 먼저 불안해하지 마라"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안심하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자막 #559 | 00:24:16,333 → 00:24:17,916
你这样 你赶紧的
📝 한어병음
nǐ zhè yàng nǐ gǎn jǐn de
🇰🇷 한글번역
너 이렇게 해, 빨리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样 zhè yàng 이렇게 HSK3 赶紧 gǎn jǐn 서둘러 HSK4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상대방에게 행동을 촉구하거나 명령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보어) (너는 서둘러라)

이 문장에서 "你赶紧的"는 상대방에게 빠르게 행동할 것을 촉구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560 | 00:24:17,916 → 00:24:20,000
把我这几个造型先给我拍完啊
📝 한어병음
bǎ wǒ zhè jǐ gè zào xíng xiān gěi wǒ pāi wán a
🇰🇷 한글번역
내 이 몇 가지 스타일 먼저 다 찍어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把 bǎ 을/를 HSK3
我 wǒ 나, 저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几个 jǐ gè 몇 개 HSK2
造型 zàoxíng 스타일, 포즈 (HSK에 포함되지 않음)
先 xiān 먼저 HSK3
给 gěi ~에게, ~을/를 위해 HSK2
拍完 pāi wán 찍다 + 끝내다 (HSK에 포함되지 않음)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내 포즈 몇 개를 먼저 다 찍어줘)

이 문장에서 "把我这几个造型"은 "내 이 몇 가지 포즈를"이라는 목적어이고, "拍完"은 "찍다"라는 동사와 "완성하다"라는 결과보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막 #561 | 00:24:20,000 → 00:24:21,125
走你
📝 한어병음
zǒu nǐ
🇰🇷 한글번역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걷다, 가다 HSK1 你 nǐ 너 HSK1

📚 문법
구어체 표현: "走你"는 구어체로 사용되는 표현으로, 누군가에게 출발하거나 시작하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직역하면 "너 가"이지만, 실제로는 "출발하자", "가자"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 표현은 주로 친구들 사이에서 가볍게 사용됩니다.
자막 #562 | 00:24:25,083 → 00:24:26,958
这怎么又有个探头的呢
📝 한어병음
zhè zěn me yòu yǒu gè tàn tóu de ne
🇰🇷 한글번역
이게 또 왜 카메라가 있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又 yòu 또 HSK3 探头 tàn tóu 카메라, 감시 카메라 (일반적인 의미) 呢 ne ~는가?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의문문: "呢"는 의문을 강조하거나, 상황에 대한 의문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怎么 + 동사 + 呢? (이것은 어떻게 또 카메라가 있는가?)
자막 #563 | 00:24:27,875 → 00:24:29,000
老贾
📝 한어병음
lǎo jiǎ
🇰🇷 한글번역
노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老 lǎo 늙다, 오래되다 HSK2 贾 jiǎ 성씨, 값 HSK6

📚 문법
호칭: "老"는 사람의 성이나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존경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老贾"는 "贾씨"라는 성을 가진 사람을 친근하게 부르는 방식입니다.
자막 #564 | 00:24:29,750 → 00:24:31,041
小周啊
📝 한어병음
xiǎo zhōu a
🇰🇷 한글번역
샤오저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리다 HSK1 周 zhōu 주, 주위 (이름에서 사용될 때는 성씨) HSK4

📚 문법
호칭: "小"는 사람의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친밀감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小周"는 "어린 주씨" 또는 "주씨"라는 의미로, 친근하게 부르는 표현입니다.
자막 #565 | 00:24:31,958 → 00:24:32,791
梅子
📝 한어병음
méi zǐ
🇰🇷 한글번역
매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梅子 méi zi 매실, 자두 HSK6

📚 문법
명사: '梅子'는 과일의 일종으로, 문맥에 따라 매실 또는 자두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HSK6 수준의 어휘로, 고급 학습자에게 적합합니다.
자막 #566 | 00:24:33,416 → 00:24:37,416
没想到啊你们也能来房车营地玩
📝 한어병음
méi xiǎng dào a nǐ men yě néng lái fáng chē yíng dì wán
🇰🇷 한글번역
생각지도 못했는데, 너희도 캠핑카 캠핑장에 올 줄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想到 méi xiǎng dào 생각지 못하다 HSK4 你们 nǐ men 너희들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房车 fáng chē 캠핑카 HSK6 营地 yíng dì 캠프장 HSK6 玩 wán 놀다 HSK1

📚 문법
- 也: "도, 또한"이라는 뜻으로, 앞의 주어나 주제에 대해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너희들도 올 수 있다"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 能: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문장에서 "너희들이 올 수 있다"는 가능성을 표현합니다.
자막 #567 | 00:24:37,416 → 00:24:40,291
这里真是越来越大众化了
📝 한어병음
zhè lǐ zhēn shì yuè lái yuè dà zhòng huà liǎo
🇰🇷 한글번역
여기가 정말 점점 대중화되고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里 zhè lǐ 여기 HSK1 真 zhēn 정말 HSK2 越来越 yuè lái yuè 점점 더 HSK3 大众化 dà zhòng huà 대중화되다 (HSK 범위 외)

📚 문법
"越来越" 구문: 어떤 상태나 정도가 점점 더 강해지거나 변해가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형태: 越来越 + 형용사 (여기는 점점 더 대중화되고 있다)
자막 #568 | 00:24:40,291 → 00:24:42,291
梅子 你瘦了啊
📝 한어병음
méi zǐ nǐ shòu liǎo a
🇰🇷 한글번역
매자, 너 살 빠졌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梅子 Méizi 매이쯔 (사람 이름) - 고유명사로 HSK 급수 없음
你 nǐ 너 HSK1
瘦 shòu 마르다, 날씬하다 HSK4
了 le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냄 HSK1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강조를 나타냄 HSK2

📚 문법
상태 변화: '了'는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瘦了'로 '살이 빠졌다'는 상태 변화를 의미합니다.
문장 구조: 주어 + 동사 + 了 + (감탄사) - "너 살 빠졌구나!"라는 의미로, 상태의 변화를 강조합니다.
자막 #569 | 00:24:42,291 → 00:24:44,041
家里有啥困难
📝 한어병음
jiā lǐ yǒu shá kùn nán
🇰🇷 한글번역
집에 무슨 어려움이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家 jiā 집 HSK1 里 lǐ 안, 속 HSK1 有 yǒu 있다 HSK1 啥 shá 무엇 HSK4 困难 kùnnan 어려움 HSK3

📚 문법
의문문: "啥"는 "什么"의 구어체 표현으로, 의문문에서 '무엇'을 의미합니다.
형태: 주어 + 有 + 啥 + 명사 (집에 무슨 어려움이 있나요?)

이 문장은 집 안에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입니다.
자막 #570 | 00:24:44,041 → 00:24:45,583
就跟我说
📝 한어병음
jiù gēn wǒ shuō
🇰🇷 한글번역
그냥 나한테 말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跟 gēn ~와 함께, ~에게 HSK2 我 wǒ 나, 저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동사구: "跟"은 "~와 함께" 또는 "~에게"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동작의 대상을 나타냅니다.
형태: 跟 + 대상 + 동사 (나에게 말해)
자막 #571 | 00:24:45,958 → 00:24:48,500
给孩子这个 安排个工作啊啥的
📝 한어병음
gěi hái zǐ zhè gè ān pái gè gōng zuò a shá de
🇰🇷 한글번역
아이에게 이거, 일자리라도 마련해 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给 gěi 주다 HSK2 孩子 hái zi 아이 HSK1 安排 ān pái 배치하다, 안배하다 HSK4 工作 gōng zuò 일, 직업 HSK1

📚 문법
把字句: 이 문장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安排行个工作"와 같은 표현에서 동작의 결과를 강조할 수 있습니다.
형태: 给 + 사람 + 동사 + 목적어 (아이에게 일을 배치해 주다)

이 문장은 "아이에게 어떤 일을 배치해 주다"라는 의미로, "给"를 사용하여 수혜자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자막 #572 | 00:24:48,500 → 00:24:51,500
你那余热留着给你们家姑娘找工作用吧
📝 한어병음
nǐ nà yú rè liú zhe gěi nǐ men jiā gū niáng zhǎo gōng zuò yòng ba
🇰🇷 한글번역
너의 남은 열정을 너희 집 딸의 취업에 쓰도록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余热 yú rè 남은 열, 여력 (HSK 비급수) 留 liú 남기다 HSK3 家 jiā 집, 가족 HSK1 姑娘 gū niang 소녀, 딸 HSK3 找 zhǎo 찾다 HSK2 工作 gōng zuò 일, 직업 HSK1 用 yòng 사용하다 HSK1

📚 문법
把字句: 이 문장에서는 把字句가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대신, 명령문 형태로 "留着"가 사용되어 어떤 행동을 하도록 권유하는 표현입니다.
형태: 동사 + 着 (着는 동작의 지속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留着"가 "남겨두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573 | 00:24:51,500 → 00:24:52,750
可别提她了
📝 한어병음
kě bié tí tā liǎo
🇰🇷 한글번역
그녀에 대해서는 말하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可 kě 가능하다, ~할 수 있다 HSK2 别 bié ~하지 마라 HSK2 提 tí 언급하다, 말하다 HSK4 她 tā 그녀 HSK1 了 le ~했다 (동작의 완료) HSK1

📚 문법
- "别"는 금지를 나타내는 부정 명령문에서 사용됩니다. 예: 别说话 (말하지 마라).
- "了"는 동작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완료 조사입니다. 예: 我吃了 (나는 먹었다).
- 이 문장에서 "可别提她了"는 "그녀에 대해 언급하지 마"라는 뜻으로, "可"는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574 | 00:24:53,250 → 00:24:54,583
一提我这姑娘啊
📝 한어병음
yī tí wǒ zhè gū niáng a
🇰🇷 한글번역
우리 딸 얘기만 나오면 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 yī 하나 HSK1 提 tí 언급하다, 꺼내다 HSK4 我 wǒ 나 HSK1 这 zhè 이 HSK1 姑娘 gūniang 소녀, 아가씨 HSK3

📚 문법
주어 + 一 + 동사: 여기서 "一"는 동작이 시작됨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一提"는 "언급하기만 하면"이라는 의미로, 어떤 주제를 꺼내는 순간을 강조합니다.
자막 #575 | 00:24:54,583 → 00:24:55,625
我就来气
📝 한어병음
wǒ jiù lái qì
🇰🇷 한글번역
화가 나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就 jiù 곧, 바로 HSK2 来 lái 오다 HSK1 气 qì 화나다, 기 HSK4

📚 문법
"就"의 사용: "就"는 문장에서 어떤 일이 곧바로 일어남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바로 화가 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576 | 00:24:55,625 → 00:24:56,458
怎么呢
📝 한어병음
zěn me ne
🇰🇷 한글번역
어떻게 된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이유를 물을 때 사용되는 의문사입니다.
형태: 怎么 + 동사 (어떻게 ~하나요?)

"怎么呢"는 상대방의 상태나 상황에 대해 궁금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577 | 00:24:56,458 → 00:24:57,291
你说说
📝 한어병음
nǐ shuō shuō
🇰🇷 한글번역
말해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동사 중첩 (说说) - 동사의 중첩은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해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말해봐)
자막 #578 | 00:24:57,291 → 00:24:59,750
我本来呢 想让她给找一个
📝 한어병음
wǒ běn lái ne xiǎng ràng tā gěi zhǎo yī gè
🇰🇷 한글번역
원래는 그녀에게 하나 찾아달라고 하려고 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本来 běn lái 원래, 본래 HSK4 想 xiǎng 생각하다 HSK2 让 ràng ~하게 하다 HSK3 她 tā 그녀 HSK1

📚 문법
- "本来"는 원래의 상태나 계획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문장에서 "원래는 ~하려고 했다"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 "让"은 사역동사로,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킬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让 + 대상 + 동사 (나는 그녀에게 ~하게 했다)
자막 #579 | 00:24:59,750 → 00:25:02,958
像我一样的 有文化的人
📝 한어병음
xiàng wǒ yī yàng de yǒu wén huà de rén
🇰🇷 한글번역
나처럼 교양 있는 사람
🎯 AI 분석 결과
🔍 어휘
像 xiàng ~와 같다 HSK3 我 wǒ 나 HSK1 一样 yíyàng 같다, 동일하다 HSK3 文化 wénhuà 문화 HSK3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像...一样" 구조: 이 표현은 "마치 ~와 같다"라는 의미로, 비교나 유사성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像 + 명사/대명사 + 一样 + 형용사/동사 (예: 像我一样的 사람, 나와 같은 사람)
자막 #580 | 00:25:02,958 → 00:25:04,333
可是她呢 偏不
📝 한어병음
kě shì tā ne piān bù
🇰🇷 한글번역
하지만 그녀는 그렇지 않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可是 kě shì 그러나, 하지만 HSK3
她 tā 그녀 HSK1
偏 piān 일부러, 고의로 HSK4
不 bù 아니다, 않다 HSK1

📚 문법
"可是"는 접속사로, 앞뒤 문장을 대조하거나 반대되는 내용을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我想去, 可是下雨了。(나는 가고 싶지만, 비가 온다.)

"偏"은 부사로, 어떤 행동이나 상황을 고의적으로 하거나 반대되는 행동을 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大家都不去, 他偏要去。(모두 안 가는데, 그는 굳이 가려고 한다.)
자막 #581 | 00:25:04,875 → 00:25:06,041
找了一个什么
📝 한어병음
zhǎo liǎo yī gè shén me
🇰🇷 한글번역
무엇을 찾았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找 zhǎo 찾다 HSK2 一个 yí ge 하나의 HSK1 什么 shénme 무엇 HSK1

📚 문법
의문문: "什么"는 '무엇'이라는 뜻으로, 의문문에서 사용되어 질문의 대상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什么 (무엇을 찾았니?)
자막 #582 | 00:25:06,041 → 00:25:08,041
这个上市公司的老板
📝 한어병음
zhè gè shàng shì gōng sī de lǎo bǎn
🇰🇷 한글번역
이 상장 회사의 사장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곳 HSK1 个 gè 개, 명 (양사) HSK1 上市 shàngshì 상장하다 HSK5 公司 gōngsī 회사 HSK3 老板 lǎobǎn 사장, 주인 HSK4

📚 문법
定语 구조: '这个上市公司的老板'에서 '这个', '上市公司'는 '老板'을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 定语 + 的 + 명사 (이 상장 회사의 사장)
자막 #583 | 00:25:08,041 → 00:25:09,125
特别有钱
📝 한어병음
tè bié yǒu qián
🇰🇷 한글번역
특히 부자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特别 tè bié 특별히, 매우 HSK3 有钱 yǒu qián 돈이 많다 HSK3

📚 문법
정도부사: '特别'는 정도를 강조하는 부사로, 형용사나 동사 앞에 위치하여 그 정도를 강조합니다.
예문: 他特别有钱。 (그는 매우 돈이 많다.)
자막 #584 | 00:25:09,125 → 00:25:11,000
这家伙把我给气的啊
📝 한어병음
zhè jiā huǒ bǎ wǒ gěi qì de a
🇰🇷 한글번역
이 녀석 때문에 정말 화가 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家伙 jiā huǒ 녀석, 놈 (구어체) HSK6 把 bǎ 을/를 HSK3 给 gěi ~에게 HSK2 气 qì 화나게 하다 HSK4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기타 성분 (이 녀석이 나를 화나게 했다)

이 문장에서 "把我给气的"는 "나를 화나게 했다"는 의미로, 화가 난 상태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585 | 00:25:11,000 → 00:25:12,750
话说的是气人啊
📝 한어병음
huà shuō de shì qì rén a
🇰🇷 한글번역
그 말은 정말 화나게 하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话 huà 말, 이야기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气 qì 화나다 HSK4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话说"는 일반적으로 이야기를 시작하거나 어떤 사건에 대해 말할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여기서는 "말하자면" 또는 "이야기를 하자면"으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气人"은 "화나게 하다"라는 의미로, 어떤 일이 사람을 화나게 만든다는 뜻입니다. 이 문장은 전체적으로 "말하자면 정말 화나는 일이야"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586 | 00:25:14,000 → 00:25:15,083
行了 媳妇
📝 한어병음
xíng liǎo xí fù
🇰🇷 한글번역
됐어, 여보.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괜찮다, 좋다 HSK2 媳妇 xífu 아내, 부인 HSK6

📚 문법
간단한 구문: "行了"는 "괜찮다" 또는 "좋다"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말을 받아들이거나 동의할 때 사용합니다. "媳妇"는 "아내"를 뜻하며, 친근한 호칭으로 사용됩니다. 이 문장은 "괜찮아, 여보"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587 | 00:25:15,500 → 00:25:17,708
看我媳妇 今天穿的真漂亮
📝 한어병음
kàn wǒ xí fù jīn tiān chuān de zhēn piāo liàng
🇰🇷 한글번역
내 아내 오늘 정말 예쁘게 입었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看 kàn 보다 HSK1 我 wǒ 나, 저 HSK1 媳妇 xí fù 아내 HSK5 今天 jīn tiān 오늘 HSK1 穿 chuān 입다 HSK2 真 zhēn 정말로 HSK2 漂亮 piào liang 예쁘다 HSK3

📚 문법
정도보어: 중국어에서 정도를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得 + 정도보어 (오늘 아내가 입은 옷이 정말 예쁘다)
자막 #588 | 00:25:18,166 → 00:25:19,333
正好照相
📝 한어병음
zhèng hǎo zhào xiāng
🇰🇷 한글번역
딱 사진을 찍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正好 zhèng hǎo 마침, 딱 HSK4 照相 zhào xiàng 사진을 찍다 HSK3

📚 문법
정도부사: "正好"는 '마침', '딱'이라는 뜻의 정도부사로, 어떤 상황이나 조건이 적절하게 맞아떨어질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正好照相"는 '마침 사진을 찍다'라는 의미로, 사진을 찍기에 적절한 순간임을 나타냅니다.
자막 #589 | 00:25:19,541 → 00:25:20,458
去啊
📝 한어병음
qù a
🇰🇷 한글번역
가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去 qù 가다 HSK1 啊 a 어기조사 (감탄, 강조) HSK2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붙어 감탄, 강조, 또는 부드러운 어감을 더하는 역할을 합니다. "去啊"는 "가!" 또는 "가자!"와 같은 의미로, 상대방에게 동작을 권유하거나 독려하는 뉘앙스를 줍니다.
자막 #590 | 00:25:20,458 → 00:25:21,708
这边景我看挺好的
📝 한어병음
zhè biān jǐng wǒ kàn tǐng hǎo de
🇰🇷 한글번역
이쪽 경치가 참 좋아 보여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边 zhè biān 이쪽, 여기 HSK2 景 jǐng 경치 HSK4 我 wǒ 나 HSK1 看 kàn 보다 HSK1 挺 tǐng 꽤, 매우 HSK4 好 hǎo 좋다 HSK1

📚 문법
정도보어: 중국어에서 형용사 앞에 '挺'을 사용하여 정도를 강조할 수 있습니다.
형태: 挺 + 형용사 + 的 (나는 이쪽 경치가 꽤 좋다고 본다)
자막 #591 | 00:25:21,708 → 00:25:22,458
-行 -梅梅
📝 한어병음
- xíng - méi méi
🇰🇷 한글번역
-행 -메이메이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háng 행, 줄 HSK2 行 xíng 가다, 걷다 HSK1 梅 méi 매화 HSK6 梅梅 Méiméi (이름)

📚 문법
중국어에서는 동일한 한자가 여러 뜻을 가질 수 있습니다. "行"은 문맥에 따라 "가다" 또는 "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梅梅"는 일반적으로 이름으로 사용되며, 문맥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592 | 00:25:22,458 → 00:25:23,083
我们拍照去
📝 한어병음
wǒ men pāi zhào qù
🇰🇷 한글번역
우리 사진 찍으러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拍照 pāizhào 사진을 찍다 HSK3 去 qù 가다 HSK1

📚 문법
동사구: "동사 + 목적지" 형태로, 어떤 행동을 하러 가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문: 我们拍照去 (우리는 사진을 찍으러 간다)
자막 #593 | 00:25:23,083 → 00:25:23,541
走 走 走
📝 한어병음
zǒu zǒu zǒu
🇰🇷 한글번역
가자 가자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걷다, 가다 HSK1

📚 문법
중복 동사: 중국어에서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의 지속이나 시도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동사 (예: 走走走 - 가다 가다 가다)
이 경우, "走走走"는 "가자 가자 가자" 또는 "한번 가보자"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는 동작을 강조하거나 제안하는 뉘앙스를 줍니다.
자막 #594 | 00:25:23,541 → 00:25:24,583
这一起吧
📝 한어병음
zhè yī qǐ ba
🇰🇷 한글번역
같이 하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一起 yīqǐ 함께 HSK2 吧 ba ~하자, ~해라 (권유나 제안을 나타냄) HSK2

📚 문법
권유문: "吧"는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권유하거나 제안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구문 + 吧 (함께 하자)
자막 #595 | 00:25:24,583 → 00:25:25,416
慢点啊 宝贝儿
📝 한어병음
màn diǎn a bǎo bèi ér
🇰🇷 한글번역
천천히 해, 자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慢点 màn diǎn 천천히 HSK4 啊 a 어기조사 (부드러운 어감을 나타냄) HSK1 宝贝儿 bǎo bèi ér 보배, 귀염둥이 (애칭) HSK5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의 끝에 붙여서 부드러운 어감을 더하거나 감정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는 "천천히 해, 귀염둥이"라는 말에 친근한 느낌을 더해줍니다.
자막 #596 | 00:25:25,416 → 00:25:26,541
我们自己拍
📝 한어병음
wǒ men zì jǐ pāi
🇰🇷 한글번역
우리 스스로 찍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自己 zìjǐ 스스로 HSK2 拍 pāi 찍다 HSK3

📚 문법
주어 + 自己 + 동사: 주어가 스스로 어떤 행동을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구조입니다.
예: 我们自己拍 (우리가 스스로 찍는다)
자막 #597 | 00:25:27,333 → 00:25:28,625
来 往这边来
📝 한어병음
lái wǎng zhè biān lái
🇰🇷 한글번역
이쪽으로 와.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往 wǎng ~로, ~쪽으로 HSK3 这边 zhè biān 이쪽 HSK2

📚 문법
방향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형태: 동사 + 방향보어 (来)
예문: 往这边来 (이쪽으로 오다) - '往'은 방향을 나타내며, '来'는 동작이 화자 쪽으로 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막 #598 | 00:25:32,250 → 00:25:33,250
随便坐
📝 한어병음
suí biàn zuò
🇰🇷 한글번역
편하게 앉으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随便 suí biàn 마음대로, 자유롭게 HSK3 坐 zuò 앉다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동작이나 행동을 권유하거나 지시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마음대로 앉으세요)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자유롭게 앉으라는 의미로, 격식을 차리지 않고 편안하게 행동하도록 권유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599 | 00:25:33,583 → 00:25:34,625
我这里是
📝 한어병음
wǒ zhè lǐ shì
🇰🇷 한글번역
여기는 제가 있는 곳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这里 zhè lǐ 여기 HSK1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주어 + 是 + 장소: 중국어에서 주어가 특정 장소에 있음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是 + 장소 (나는 여기 있다)
자막 #600 | 00:25:34,625 → 00:25:36,125
以天为被
📝 한어병음
yǐ tiān wèi bèi
🇰🇷 한글번역
하늘을 이불 삼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以 yǐ ~로써, ~을/를 가지고 HSK3 天 tiān 하늘 HSK1 为 wèi ~로 여기다, ~로 삼다 HSK4 被 bèi 이불 HSK4

📚 문법
介词结构: "以"는 전치사로 사용되어 "~로써"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하늘을 이불로 삼다"라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형태: 以 + 명사 + 为 + 명사 (하늘을 이불로 삼다)
자막 #601 | 00:25:36,125 → 00:25:37,666
以地为褥
📝 한어병음
yǐ dì wèi rù
🇰🇷 한글번역
땅을 이불 삼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以 yǐ ~로써, ~을/를 가지고 HSK3 地 dì 땅, 바닥 HSK1 为 wéi ~로 삼다, ~로 하다 HSK3 褥 rù 요, 매트리스 (HSK 등급 없음)

📚 문법
介词结构: "以"는 전치사로, 어떤 것을 수단이나 방법으로 사용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以 + 명사 + 为 + 명사 (땅을 요로 삼다)

이 문장은 "땅을 요로 삼다"라는 의미로, 땅을 매트리스처럼 사용한다는 뜻입니다.
자막 #602 | 00:25:37,666 → 00:25:39,708
这就是我的客厅了
📝 한어병음
zhè jiù shì wǒ de kè tīng liǎo
🇰🇷 한글번역
이곳이 바로 저의 거실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就 jiù 바로 HSK2 是 shì ~이다 HSK1 我的 wǒ de 나의 HSK1 客厅 kètīng 거실 HSK4

📚 문법
这是句: 중국어에서 존재나 상태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这 + 是 + 명사 (이것은 ~이다)

이 문장에서 "这就是"는 "이것이 바로"라는 의미로, 화자가 강조하고자 하는 대상을 직접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603 | 00:25:39,708 → 00:25:41,291
我那边还有个房车呢
📝 한어병음
wǒ nà biān hái yǒu gè fáng chē ne
🇰🇷 한글번역
저쪽에 캠핑카도 하나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那边 nà biān 저쪽 HSK3 还有 hái yǒu 아직 있다 HSK2 个 gè 개 HSK1 房车 fáng chē 캠핑카, 주거용 차량 HSK5

📚 문법
存在문: 존재나 소유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还有 + 명사 (나에게는 저쪽에 아직 캠핑카가 있다)

이 문장에서 "还有"는 '아직 있다'라는 뜻으로, 주어가 소유하거나 존재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자막 #604 | 00:25:41,291 → 00:25:42,333
爷爷 爷爷
📝 한어병음
yé yé yé yé
🇰🇷 한글번역
할아버지 할아버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爷爷 yé ye 할아버지 HSK3

📚 문법
중복된 명사: 중국어에서는 감정이나 친근함을 나타내기 위해 명사를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爷爷 爷爷"는 할아버지를 친근하게 부르는 표현입니다.
자막 #605 | 00:25:42,958 → 00:25:44,208
你来陪我玩一会吧
📝 한어병음
nǐ lái péi wǒ wán yī huì ba
🇰🇷 한글번역
너 와서 나랑 잠깐 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来 lái 오다 HSK1 陪 péi 동반하다, 함께하다 HSK4 玩 wán 놀다 HSK1 一会 yī huì 잠시, 잠깐 HSK3

📚 문법
청유문: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함께 하자고 제안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一会 + 吧 (잠시 놀자)

이 문장에서 "吧"는 제안이나 권유의 의미를 나타내며, "一会"는 짧은 시간을 의미하여 행동의 지속 시간을 나타냅니다.
자막 #606 | 00:25:44,208 → 00:25:45,208
马丁
📝 한어병음
mǎ dīng
🇰🇷 한글번역
마틴
🎯 AI 분석 결과
🔍 어휘
马丁 Mǎdīng 마틴 (인명) 고유명사

📚 문법
이름이나 고유명사는 일반적으로 문법 설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马丁"은 사람의 이름으로, 문맥에 따라 주어 또는 다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자막 #607 | 00:25:45,208 → 00:25:46,208
胡闹嘛
📝 한어병음
hú nào ma
🇰🇷 한글번역
장난치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胡闹 hú nào 말썽을 부리다, 장난치다 HSK6

📚 문법
감탄문: 감정이나 놀라움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干嘛 (gàn má) / 什么 (shén me) + 동사 (왜 ~하는 거야?)

이 문장에서 "胡闹嘛"는 "왜 말썽을 부리는 거야?"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불만이나 놀라움을 표현하는 감탄문입니다.
자막 #608 | 00:25:46,208 → 00:25:47,958
没看见爷爷在这
📝 한어병음
méi kàn jiàn yé yé zài zhè
🇰🇷 한글번역
할아버지가 여기 계신 걸 못 봤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못하다 HSK2 看见 kàn jiàn 보다, 보이다 HSK3 爷爷 yé ye 할아버지 HSK3 在 zài ~에 있다 HSK1 这 zhè 이, 여기 HSK1

📚 문법
부정문: "没"는 과거의 경험이나 완료되지 않은 상태를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没 + 동사 (할아버지가 여기 있는 것을 못 봤다)

위 문장은 "할아버지가 여기 있는 것을 못 봤다"라는 의미로, 과거에 할아버지를 보지 못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자막 #609 | 00:25:47,958 → 00:25:49,125
会客呢嘛
📝 한어병음
huì kè ne ma
🇰🇷 한글번역
손님을 만나고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会 huì 만나다, 회의하다 HSK2 客 kè 손님 HSK2 呢 ne ~하고 있는 중 HSK1 嘛 ma ~잖아 (강조) HSK4

📚 문법
진행형: "呢"는 동작이나 상태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呢 (손님을 만나고 있는 중이야)

강조: "嘛"는 문장 끝에 위치하여 상대방에게 당연한 사실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문장 + 嘛 (손님을 만나고 있는 중이잖아)
자막 #610 | 00:25:49,125 → 00:25:49,791
📝 한어병음
lái
🇰🇷 한글번역
오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동사 사용: "来"는 기본적으로 '오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로,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동작을 시작하거나 제안할 때도 사용됩니다.
자막 #611 | 00:25:49,791 → 00:25:50,791
我陪你玩
📝 한어병음
wǒ péi nǐ wán
🇰🇷 한글번역
내가 너랑 놀아줄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陪 péi 동반하다, 함께하다 HSK4 你 nǐ 너 HSK1 玩 wán 놀다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입니다.
예문: 我陪你玩 (나는 너와 함께 놀다)
자막 #612 | 00:25:50,791 → 00:25:52,583
谢谢沙发叔叔
📝 한어병음
xiè xiè shā fā shū shū
🇰🇷 한글번역
소파 아저씨 감사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谢谢 xièxie 감사합니다 HSK1 沙发 shāfā 소파 HSK3 叔叔 shūshu 아저씨, 삼촌 HSK2

📚 문법
감사의 표현: "谢谢"는 중국어에서 기본적인 감사의 표현으로, 뒤에 사람을 붙여 누구에게 감사하는지를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谢谢沙发叔叔"는 "소파 아저씨에게 감사합니다"라는 뜻입니다.
자막 #613 | 00:25:54,291 → 00:25:55,916
我这个每天啊
📝 한어병음
wǒ zhè gè měi tiān a
🇰🇷 한글번역
나는 매일 이렇다니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这个 zhè ge 이것, 이 HSK1 每天 měi tiān 매일 HSK2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를 나타냄 HSK3

📚 문법
"啊"의 사용: 문장 끝에 "啊"를 붙여서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이 경우 "每天啊"는 "매일"이라는 말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614 | 00:25:55,916 → 00:25:57,958
我这个不挥挥杆啊
📝 한어병음
wǒ zhè gè bù huī huī gān a
🇰🇷 한글번역
나는 이걸 휘두르지 않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这个 zhè ge 이것 HSK1 不 bù 아니다 HSK1 挥杆 huī gān 스윙하다 (골프)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이나 상태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不 + 동사 (나는 스윙하지 않는다)

이 문장은 "나는 이 스윙을 하지 않는다"라는 의미로, 골프나 유사한 스포츠에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자막 #615 | 00:25:57,958 → 00:25:59,458
我这浑身我都皱得慌
📝 한어병음
wǒ zhè hún shēn wǒ dōu zhòu dé huāng
🇰🇷 한글번역
온몸이 다 쪼글쪼글해졌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浑身 hún shēn 온몸 皱 zhòu 주름지다 得慌 de huāng ~해서 어지럽다, ~해서 불안하다

📚 문법
得慌: 이 표현은 어떤 상태가 극단적이거나 불편함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주름져서 불편하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형태: 형용사 + 得慌 (상태가 극단적임을 강조)
자막 #616 | 00:25:59,458 → 00:26:00,166
小周啊
📝 한어병음
xiǎo zhōu a
🇰🇷 한글번역
소주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周 zhōu 주, 주위 (이름에서 사용될 때는 성) HSK4

📚 문법
호칭: 중국어에서 친근함을 나타내기 위해 이름 앞에 "小"를 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상대방이 나이가 어리거나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小周"는 "어린 주 씨" 또는 "주 씨"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617 | 00:26:00,166 → 00:26:01,125
我羡慕你啊
📝 한어병음
wǒ xiàn mù nǐ a
🇰🇷 한글번역
너가 부러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羡慕 xiàn mù 부러워하다 HSK4 你 nǐ 너 HSK1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강조를 나타냄 HSK2

📚 문법
감탄문: 중국어에서 감탄이나 강조를 나타내기 위해 문장 끝에 '啊'를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啊 (나는 너를 부러워해)
자막 #618 | 00:26:01,125 → 00:26:02,333
你说你都这把年纪了
📝 한어병음
nǐ shuō nǐ dōu zhè bǎ nián jì liǎo
🇰🇷 한글번역
당신이 이 나이가 되었다고 말했잖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都 dōu 모두, 이미 HSK1 这 zhè 이 HSK1 年纪 nián jì 나이 HSK4

📚 문법
这把年纪: "이 나이"라는 표현으로, 나이가 많거나 어느 정도 나이가 든 상태를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把"는 여기서 특정한 나이를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 这 + 把 + 年纪 (이 나이)
자막 #619 | 00:26:02,333 → 00:26:03,666
还有事情要做
📝 한어병음
hái yǒu shì qíng yào zuò
🇰🇷 한글번역
아직 할 일이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아직 HSK2 有 yǒu 있다 HSK1 事情 shì qing 일, 사건 HSK3 要 yào 필요하다, ~하려고 하다 HSK2 做 zuò 하다 HSK1

📚 문법
동사구: "还有事情要做"는 "아직 할 일이 있다"라는 의미로, '还有'는 '아직 있다'라는 뜻을 나타내며, 뒤에 '事情要做'가 이어져 할 일이 남아 있음을 표현합니다. 이 문장은 주어가 생략된 형태로, 일반적으로 화자가 자신을 주어로 암시합니다.
자막 #620 | 00:26:03,666 → 00:26:05,166
我跟你不一样啊
📝 한어병음
wǒ gēn nǐ bù yī yàng a
🇰🇷 한글번역
나는 너와 다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跟 gēn ~와/과 HSK2 你 nǐ 너 HSK1 不一样 bù yí yàng 다르다 HSK3 啊 a 어기조사 HSK1

📚 문법
- 跟字句: "跟"은 "~와/과"의 의미로, 비교나 동반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비교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붙어 말하는 사람의 감정을 강조하거나, 문장을 부드럽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는 화자의 감정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621 | 00:26:05,166 → 00:26:07,416
我手底下有一堆兄弟要养啊
📝 한어병음
wǒ shǒu dǐ xià yǒu yī duī xiōng dì yào yǎng a
🇰🇷 한글번역
내 밑에 먹여 살려야 할 형제들이 많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手底下 shǒu dǐ xià 부하, 휘하 (일반적인 HSK 단어는 아님) 一堆 yī duī 한 무더기, 많은 수량 (일반적인 HSK 단어는 아님) 兄弟 xiōng dì 형제, 동료 HSK4 养 yǎng 부양하다, 기르다 HSK3

📚 문법
- "有" 문장: 소유나 존재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여기서는 "我手底下有一堆兄弟"로 "내 휘하에 많은 형제(동료)가 있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要"의 사용: "要"는 필요나 의무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养"과 함께 사용되어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622 | 00:26:07,416 → 00:26:09,916
人呐 总得为社会做点贡献吧
📝 한어병음
rén nà zǒng dé wèi shè huì zuò diǎn gòng xiàn ba
🇰🇷 한글번역
사람은 사회에 조금이라도 기여해야 하지 않겠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人 rén 사람 HSK1 总得 zǒng děi 반드시, 꼭 HSK4 为 wèi ~을 위해 HSK3 社会 shè huì 사회 HSK3 做 zuò 하다 HSK1 贡献 gòng xiàn 공헌하다 HSK5

📚 문법
- 总得: "반드시, 꼭"이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필수적임을 나타냅니다.
- 为: "~을 위해"라는 의미로, 목적이나 대상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문장 구조: 주어 + 总得 + 为 + 목적 + 동사 + 명사 (사람은 반드시 사회를 위해 공헌해야 한다)
자막 #623 | 00:26:09,916 → 00:26:11,750
那个那个 小万 是吧
📝 한어병음
nà gè nà gè xiǎo wàn shì ba
🇰🇷 한글번역
그 그 소만 맞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个 nà ge 그, 저 HSK1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万 wàn 만 (이름) HSK4 是 shì ~이다 HSK1 吧 ba ~지요?, ~죠? (추측, 제안) HSK3

📚 문법
- 是字句: "是"는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A는 B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小万은 맞죠?"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吧: 문장 끝에 사용되어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내며,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는 뉘앙스를 줍니다.
자막 #624 | 00:26:11,750 → 00:26:13,750
小万你在哪里做贡献啊
📝 한어병음
xiǎo wàn nǐ zài nǎ lǐ zuò gòng xiàn a
🇰🇷 한글번역
소완, 너는 어디에서 기여하고 있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万 wàn 만 (숫자) HSK3 你 nǐ 너 HSK1 在 zài ~에, ~에서 HSK1 哪里 nǎ lǐ 어디 HSK2 做 zuò 하다 HSK1 贡献 gòng xiàn 공헌하다 HSK5

📚 문법
- 의문문: "哪里"는 장소를 묻는 의문사로, "어디에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문장의 구조: 주어(小万) + 의문사(在哪里) + 동사(做) + 명사(贡献)
이 문장은 "小万, 너는 어디에서 공헌하고 있니?"라는 의미로, 주어가 특정 장소에서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묻습니다.
자막 #625 | 00:26:16,541 → 00:26:17,541
工程师
📝 한어병음
gōng chéng shī
🇰🇷 한글번역
엔지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工程师 gōng chéng shī 엔지니어 HSK4

📚 문법
명사: '工程师'는 직업을 나타내는 명사로, '엔지니어'라는 뜻입니다. 중국어에서 직업을 나타낼 때 주로 명사 형태로 사용됩니다.
자막 #626 | 00:26:17,625 → 00:26:19,333
工程师
📝 한어병음
gōng chéng shī
🇰🇷 한글번역
엔지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工程师 gōng chéng shī 엔지니어 HSK4

📚 문법
명사: '工程师'는 직업을 나타내는 명사로, 특정 분야에서 기술적 전문 지식을 가진 사람을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는 직업을 나타낼 때 주로 명사 형태로 사용됩니다.
자막 #627 | 00:26:19,333 → 00:26:20,541
搞工程的
📝 한어병음
gǎo gōng chéng de
🇰🇷 한글번역
엔지니어링을 하는 사람
🎯 AI 분석 결과
🔍 어휘
搞 gǎo 하다, 처리하다 HSK4 工程 gōngchéng 공사, 프로젝트 HSK4 的 de ~의 (관형어를 만드는 구조조사) HSK1

📚 문법
관형어 구조: '的'는 명사 앞에 위치하여 관형어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는 '搞工程的'가 '공사를 하는'이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자막 #628 | 00:26:21,625 → 00:26:22,625
就是
📝 한어병음
jiù shì
🇰🇷 한글번역
바로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就是"는 강조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어떤 사실이나 상황을 확정적으로 말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이것이 바로 내가 찾던 책이다"와 같은 문장에서 사용됩니다.
자막 #629 | 00:26:22,625 → 00:26:23,666
搬搬砖
📝 한어병음
bān bān zhuān
🇰🇷 한글번역
벽돌을 나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搬 bān 옮기다, 나르다 HSK3 砖 zhuān 벽돌 HSK5

📚 문법
중첩 동사: 중국어에서 동사의 중첩은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가집니다.
형태: 동사 + 동사 (예: 搬搬)
설명: "搬搬砖"은 문자 그대로 "벽돌을 옮겨보다"라는 의미로, 일상적으로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육체 노동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630 | 00:26:24,333 → 00:26:25,083
他啊
📝 한어병음
tā a
🇰🇷 한글번역
그 사람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 문법
대명사: "他"는 주로 남성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사용되며, 문장에서 주어로 쓰일 수 있습니다.
자막 #631 | 00:26:25,541 → 00:26:27,291
就是掌握点高新技术
📝 한어병음
jiù shì zhǎng wò diǎn gāo xīn jì shù
🇰🇷 한글번역
그냥 첨단 기술을 좀 익히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是 jiù shì 바로, 즉 HSK3 掌握 zhǎng wò 습득하다, 파악하다 HSK4 点 diǎn 점, 조금 HSK3 高新技术 gāo xīn jì shù 첨단 기술 (비HSK)

📚 문법
정의문: "就是"는 어떤 것을 강조하거나 정의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就是 + 설명 (바로 ~이다)
이 문장에서는 "바로 첨단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632 | 00:26:27,291 → 00:26:29,041
是吧 在国外拿点地皮
📝 한어병음
shì ba zài guó wài ná diǎn dì pí
🇰🇷 한글번역
그렇지 외국에서 땅을 좀 사는 거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吧 ba ~지요, ~죠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냄) HSK2 在 zài ~에서 HSK1 国外 guówài 해외, 외국 HSK4 拿 ná 잡다, 가지다 HSK3

📚 문법
1. 吧 (ba): 문장 끝에 위치하여 추측이나 제안을 부드럽게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是吧"는 "그렇죠?" 또는 "맞지요?"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는 표현입니다.
2. 在 + 장소: "在"는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사로, 뒤에 장소를 붙여 "~에서"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在国外"는 "해외에서"라는 뜻입니다.
자막 #633 | 00:26:29,041 → 00:26:31,125
这个 在单位有点话语权呗
📝 한어병음
zhè gè zài dān wèi yǒu diǎn huà yǔ quán bài
🇰🇷 한글번역
이 사람은 직장에서 어느 정도 발언권이 있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个 gè 개 HSK1 在 zài ~에 HSK1 单位 dān wèi 단위, 직장 HSK4 有 yǒu 있다 HSK1 点 diǎn 조금 HSK2 话语权 huà yǔ quán 발언권 (비HSK) 呗 bei ~이지 (비HSK)

📚 문법
- 有点: '조금'이라는 뜻으로, 형용사나 동사 앞에 사용되어 정도를 약간 강조합니다.
- 呗: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가벼운 추측이나 당연함을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한국어로는 '~이지' 정도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634 | 00:26:31,500 → 00:26:33,125
低调 不能骄傲
📝 한어병음
dī tiáo bù néng jiāo ào
🇰🇷 한글번역
겸손해야 하고 교만해서는 안 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低调 dīdiào 겸손하다, 낮은 자세를 취하다 HSK6
不能 bùnéng ~할 수 없다 HSK2
骄傲 jiāo'ào 자랑스럽다, 거만하다 HSK4

📚 문법
부정문: "不能"은 능력이나 가능성을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겸손해야 하며 거만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형태: 주어 + 不能 + 동사 (낮은 자세를 취해야 하며 거만해서는 안 된다)
자막 #635 | 00:26:33,125 → 00:26:35,625
以后到哪去 说自己是凡人就行
📝 한어병음
yǐ hòu dào nǎ qù shuō zì jǐ shì fán rén jiù xíng
🇰🇷 한글번역
앞으로 어디 가든지 자신이 평범한 사람이라고 말하면 돼.
🎯 AI 분석 결과
🔍 어휘
以后 yǐ hòu 이후, 나중에 HSK3 到 dào 도착하다, 가다 HSK1 哪 nǎ 어디 HSK2 去 qù 가다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 时间词 + 动词: "以后"는 시간 부사로, 미래의 어느 시점을 나타냅니다. "以后到哪去"는 "나중에 어디에 가다"라는 의미로, 시간 부사와 동사의 결합을 보여줍니다.
- 简单句: "说自己是凡人就行"는 주어가 생략된 명령문 형태로, "자신이 평범한 사람이라고 말하면 된다"라는 의미입니다. "就行"은 "하면 된다"라는 뜻으로,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자막 #636 | 00:26:38,791 → 00:26:40,291
爷爷
📝 한어병음
yé yé
🇰🇷 한글번역
할아버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爷爷 yéye 할아버지 HSK2

📚 문법
이 문장은 단일 명사로, 특별한 문법 패턴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爷爷"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주로 친가 쪽의 할아버지를 의미합니다.
자막 #637 | 00:26:40,291 → 00:26:42,916
-他太烦人了 -怎么了
📝 한어병음
- tā tài fán rén liǎo - zěn me liǎo
🇰🇷 한글번역
- 그는 너무 성가셔. - 왜 그래?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HSK1 太 tài 너무 HSK2 烦人 fán rén 성가시다, 짜증나다 (HSK에 없음)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了 le ~했다 (상황의 변화) HSK1

📚 문법
- 了: 동사나 형용사 뒤에 붙어 상황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여기서는 "怎么了"에서 사용되어 "어떻게 된 거야?"라는 의미로, 상황의 변화를 묻는 표현입니다.
자막 #638 | 00:26:42,916 → 00:26:45,291
我们学校从来没人敢赢我
📝 한어병음
wǒ men xué xiào cóng lái méi rén gǎn yíng wǒ
🇰🇷 한글번역
우리 학교에서는 아무도 나를 이긴 적이 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学校 xuéxiào 학교 HSK1 从来 cónglái 지금까지, 여태껏 HSK3 没人 méirén 아무도 HSK3 敢 gǎn 감히 ~하다 HSK4 赢 yíng 이기다 HSK4 我 wǒ 나 HSK1

📚 문법
부정문: "从来"는 주로 부정문에서 사용되어 지금까지의 경험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형태: 从来 + 没(有) + 동사 (지금까지 ~한 적이 없다)
자막 #639 | 00:26:45,291 → 00:26:47,625
你说你比他小这么多
📝 한어병음
nǐ shuō nǐ bǐ tā xiǎo zhè me duō
🇰🇷 한글번역
너는 그보다 훨씬 어리다고 말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比 bǐ ~보다 HSK3 他 tā 그 HSK1 小 xiǎo 작다 HSK1 这么 zhème 이렇게 HSK3 多 duō 많다 HSK1

📚 문법
비교문: 중국어에서 비교를 할 때 "比"를 사용하여 두 대상을 비교합니다.
형태: A + 比 + B + 형용사 (너는 그보다 이렇게 많이 어리다)

이 문장에서 "你说你比他小这么多"는 "너는 그보다 이렇게 많이 어리다고 말한다"는 뜻으로, 비교 대상(너와 그)과 비교 기준(나이)을 나타냅니다.
자막 #640 | 00:26:47,625 → 00:26:48,375
对不对
📝 한어병음
duì bù duì
🇰🇷 한글번역
맞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맞다, 옳다 HSK1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 문법
중국어에서 "对不对"는 "맞습니까?" 또는 "옳습니까?"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의견이나 사실 여부를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이는 긍정과 부정을 함께 사용하여 의문을 제기하는 형태입니다.
자막 #641 | 00:26:48,375 → 00:26:50,166
你不知道让着点他吗
📝 한어병음
nǐ bù zhī dào ràng zhe diǎn tā ma
🇰🇷 한글번역
너는 그에게 좀 양보할 줄 모르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不知道 bù zhī dào 모르다 HSK2 让 ràng 양보하다, ~하게 하다 HSK2 点 diǎn 조금 HSK1 他 tā 그 HSK1

📚 문법
- 让字句: '让'은 '양보하다', '하게 하다' 등의 의미로, 뒤에 동사나 형용사가 와서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하거나 상태를 만들도록 할 때 사용됩니다.
- 문장 구조: 주어 + 让 + 대상 + 동사/형용사 (너는 그에게 조금 양보할 줄 모르니?)
자막 #642 | 00:26:50,166 → 00:26:51,125
他不懂事
📝 한어병음
tā bù dǒng shì
🇰🇷 한글번역
그는 철이 없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懂事 dǒng shì 철이 들다, 사리를 분별하다 HSK4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不懂事"로 "철이 들지 않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643 | 00:26:51,125 → 00:26:52,875
你还不懂事吗
📝 한어병음
nǐ hái bù dǒng shì ma
🇰🇷 한글번역
너 아직 철이 덜 들었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还 hái 아직 HSK2 不 bù 아니다 HSK1 懂事 dǒng shì 철들다, 사리를 분별하다 (HSK에 없음) 吗 ma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의문문: "吗"는 문장 끝에 위치하여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이 문장은 상대방이 아직 철이 들지 않았는지를 묻는 질문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너는 아직 철이 들지 않았니?)
자막 #644 | 00:26:55,875 → 00:26:57,416
你们家这个小万
📝 한어병음
nǐ men jiā zhè gè xiǎo wàn
🇰🇷 한글번역
너희 집 이 작은 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们 nǐmen 너희들 HSK1 家 jiā 집, 가족 HSK1 这个 zhège 이, 이것 HSK1 小 xiǎo 작은 HSK1 万 wàn 만 (이름으로 사용됨)

📚 문법
이 문장에서는 특정 문법 패턴보다는 일반적인 명사와 대명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문장입니다. "你们家这个小万"은 "너희 집의 이 작은 만"이라는 의미로, 여기서 "小万"은 사람의 이름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어에서는 종종 이름 앞에 "小"를 붙여 친근함을 나타냅니다.
자막 #645 | 00:26:57,416 → 00:26:58,375
不错啊
📝 한어병음
bù cuò a
🇰🇷 한글번역
괜찮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错 bù cuò 괜찮다, 좋다 HSK3 啊 a 어기조사 (감탄, 강조)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不错啊"는 "괜찮다"에 감탄의 의미를 더해 "정말 괜찮다" 또는 "좋다"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646 | 00:26:59,041 → 00:27:00,916
把个八岁的孩子
📝 한어병음
bǎ gè bā suì de hái zǐ
🇰🇷 한글번역
여덟 살짜리 아이를
🎯 AI 분석 결과
🔍 어휘
把 bǎ 을/를 HSK3 个 gè 개, 명 (양사) HSK1 八 bā 여덟 HSK1 岁 suì 살 (나이) HSK1 孩子 hái zi 아이, 어린이 HSK1

📚 문법
把字句: '把'는 문장에서 목적어를 동사 앞에 두어 동작의 대상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八岁的孩子'가 강조되는 대상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여기서는 동사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자막 #647 | 00:27:00,916 → 00:27:02,916
都给打哭了
📝 한어병음
dōu gěi dǎ kū liǎo
🇰🇷 한글번역
다 울게 만들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给 gěi ~에게 HSK2 打 dǎ 때리다 HSK2 哭 kū 울다 HSK3

📚 문법
사역문: "给"는 여기서 사역의 의미로 사용되어 "~하게 하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给 + 목적어 + 동사 (모두를 울게 만들었다)

이 문장은 "모두를 울게 만들었다"라는 의미로, "给"가 사역의 의미를 강조합니다.
자막 #648 | 00:27:02,916 → 00:27:04,583
少年有为啊
📝 한어병음
shǎo nián yǒu wèi a
🇰🇷 한글번역
소년이 유능하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少年 shàonián 젊은이, 소년 HSK4 有为 yǒuwéi 유능하다, 장래가 밝다 HSK6

📚 문법
"少年有为"는 중국어에서 젊은이가 유능하고 장래가 밝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주로 젊은이의 가능성과 능력을 칭찬할 때 사용됩니다. "有为"는 "유능하다"는 의미로, "少年"과 함께 사용되어 젊은이의 장래성을 강조합니다.
자막 #649 | 00:27:04,583 → 00:27:06,375
小万是少年老成
📝 한어병음
xiǎo wàn shì shǎo nián lǎo chéng
🇰🇷 한글번역
샤오완은 어린 나이에 성숙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万 wàn 만, 이름에서 사용됨 HSK5
是 shì ~이다 HSK1
少年 shàonián 소년 HSK4
老成 lǎochéng 노련하다, 성숙하다 HSK6

📚 문법
명사구: "小万"은 이름으로 사용되며, "少年老成"은 형용사구로 "소년답지 않게 성숙하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문장은 주어 "小万"과 서술어 "是少年老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어가 서술어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구조입니다.
자막 #650 | 00:27:06,375 → 00:27:08,666
平常也不碰这些玩物丧志的游戏
📝 한어병음
píng cháng yě bù pèng zhè xiē wán wù sàng zhì de yóu xì
🇰🇷 한글번역
평소에도 이런 정신을 해치는 게임은 하지 않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平常 píngcháng 평소에 HSK3 碰 pèng 만지다, 건드리다 HSK5 玩物丧志 wán wù sàng zhì 놀이에 빠져 뜻을 잃다 (성어) 游戏 yóuxì 게임, 놀이 HSK3

📚 문법
부정문: "也不"는 '또한 ~하지 않다'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을 하지 않음을 강조합니다.
형태: 주어 + 也不 + 동사 (평소에도 이러한 게임을 하지 않는다)

성어: 玩物丧志는 '놀이에 빠져 뜻을 잃다'라는 의미의 성어로, 주로 어떤 활동에 지나치게 몰두하여 본래의 목표나 뜻을 잃는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651 | 00:27:09,333 → 00:27:10,333
马丁 去那
📝 한어병음
mǎ dīng qù nà
🇰🇷 한글번역
마틴, 거기에 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马丁 Mǎdīng 마틴 (인명) 去 qù 가다 HSK1 那 nà 저기, 그곳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입니다.
예: 马丁 去 那 (마틴이 저기에 간다)
자막 #652 | 00:27:10,333 → 00:27:12,000
离他们远点咱们啊
📝 한어병음
lí tā men yuǎn diǎn zán men a
🇰🇷 한글번역
그들과 멀리 떨어져 있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离 lí ~에서, ~로부터 HSK2 他们 tā men 그들 HSK1 远 yuǎn 멀다 HSK3 点 diǎn 조금, 약간 HSK3 咱们 zán men 우리(들) HSK2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명령이나 충고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离"는 "~에서 멀리"라는 의미로, 뒤에 거리나 대상을 나타내는 명사구가 옵니다. "远点"은 "좀 더 멀리"라는 의미로, 행동의 정도를 강조합니다. 전체적으로 "그들로부터 좀 더 멀리 떨어져 있어라"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653 | 00:27:12,000 → 00:27:14,250
咱们在那儿常思一下己过
📝 한어병음
zán men zài nà ér cháng sī yī xià jǐ guò
🇰🇷 한글번역
우리는 그곳에서 자주 자신의 과오를 반성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们 zánmen 우리 HSK2 在 zài ~에서 HSK1 那儿 nàr 그곳 HSK2 常 cháng 자주 HSK3 思 sī 생각하다 HSK4 己 jǐ 자기 자신 HSK4 过 guò 과거 HSK2

📚 문법
- 介词 "在":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사로, "~에서"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在那儿"는 "그곳에서"라는 뜻입니다.
- 动词 "思": "생각하다"라는 의미로, 주로 어떤 주제나 과거의 일에 대해 깊이 생각할 때 사용됩니다.
- 代词 "己": "자기 자신"을 뜻하는 대명사로, 주로 반성하거나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654 | 00:27:14,625 → 00:27:15,416
好不好
📝 한어병음
hǎo bù hǎo
🇰🇷 한글번역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 문법
A-not-A 질문형: 중국어에서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제시하여 상대방의 의견이나 상태를 물어보는 형식입니다.
형태: 형용사 + 不 + 형용사 (좋아? 안 좋아?)
자막 #655 | 00:27:16,250 → 00:27:17,000
行吧 咱吃饭去吧
📝 한어병음
xíng ba zán chī fàn qù ba
🇰🇷 한글번역
좋아, 밥 먹으러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좋다, 괜찮다 HSK2 吧 ba ~하자 (제안) HSK1 咱 zán 우리 HSK5 吃饭 chī fàn 밥을 먹다 HSK1 去 qù 가다 HSK1

📚 문법
1. 吧 (제안문): 문장 끝에 쓰여 제안이나 권유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가자", "하자" 등의 의미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2. 咱 (대명사): '우리'라는 의미로, 화자와 청자를 모두 포함하는 대명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구어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자막 #656 | 00:27:17,000 → 00:27:17,500
有点饿了
📝 한어병음
yǒu diǎn è liǎo
🇰🇷 한글번역
조금 배고프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点 yǒu diǎn 조금, 약간 HSK3 饿 è 배고프다 HSK2 了 le ~했다 (상태의 변화) HSK1

📚 문법
상태 변화: "了"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 붙어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배고프다"라는 상태가 새롭게 발생했음을 의미합니다.
자막 #657 | 00:27:17,500 → 00:27:18,291
别别别
📝 한어병음
bié bié bié
🇰🇷 한글번역
안 돼, 안 돼, 안 돼.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 문법
금지 표현: "别"는 명령이나 요청을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하지 마라)
자막 #658 | 00:27:18,291 → 00:27:20,958
要不我 到我这个房车里边
📝 한어병음
yào bù wǒ dào wǒ zhè gè fáng chē lǐ biān
🇰🇷 한글번역
그럼 내 이 캠핑카 안으로 들어올래?
🎯 AI 분석 결과
🔍 어휘
要不 yào bù 그렇지 않으면, 아니면 HSK4 我 wǒ 나, 저 HSK1 到 dào ~에 도착하다, ~까지 HSK2 房车 fáng chē 캠핑카, 카라반 HSK6 里边 lǐ biān 안, 내부 HSK3

📚 문법
제안의 표현: "要不"는 제안을 하거나 대안을 제시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要不 + 제안 내용 (아니면 내가 이 캠핑카 안으로 들어갈까?)

이 문장은 대안을 제시하는 상황에서 사용되며, "要不"는 상대방에게 선택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659 | 00:27:20,958 → 00:27:22,333
亲自给你们
📝 한어병음
qīn zì gěi nǐ men
🇰🇷 한글번역
직접 여러분에게 드립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亲自 qīn zì 직접 HSK4 给 gěi 주다 HSK2 你们 nǐ men 너희들 HSK1

📚 문법
주어 + 亲自 + 동사: '직접'이라는 의미를 강조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주어가 직접 어떤 행동을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직접 너희들에게 준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660 | 00:27:22,916 → 00:27:23,875
小万啊
📝 한어병음
xiǎo wàn a
🇰🇷 한글번역
소완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万 wàn 만 (사람 이름에서 사용될 때는 보통 성 또는 이름의 일부로 사용됨) HSK3

📚 문법
호칭: "小"는 사람의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친밀함을 나타냅니다. 보통 나이가 적거나 친근한 사이에서 사용됩니다. "小万"은 "어린 만" 또는 "작은 만"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친근하게 "만"이라는 사람을 부르는 표현입니다.
자막 #661 | 00:27:24,416 → 00:27:25,541
不光学历高
📝 한어병음
bù guāng xué lì gāo
🇰🇷 한글번역
학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光 bùguāng ~뿐만 아니라 HSK4 学历 xuélì 학력 HSK5 高 gāo 높다 HSK1

📚 문법
"不光...": "뿐만 아니라"라는 의미로, 뒤에 추가적인 정보를 덧붙일 때 사용됩니다. 이는 두 가지 이상의 사실이나 특성을 연결할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그는 학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경험도 풍부하다"라는 문장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662 | 00:27:25,541 → 00:27:27,125
做饭还好吃呢
📝 한어병음
zuò fàn hái hǎo chī ne
🇰🇷 한글번역
요리도 맛있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做饭 zuò fàn 요리하다 HSK3 还 hái 여전히, 또한 HSK2 好吃 hǎo chī 맛있다 HSK1 呢 ne ~네 (어기조사) HSK1

📚 문법
어기조사 "呢": 문장 끝에 사용되어 말하는 사람의 감탄이나 강조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요리도 잘하고 맛있네"라는 감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663 | 00:27:28,583 → 00:27:29,250
不用不用
📝 한어병음
bù yòng bù yòng
🇰🇷 한글번역
괜찮아요, 괜찮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用 bù yòng 필요 없다 HSK2

📚 문법
부정문: 不用은 "필요 없다"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필요성을 부정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不用 + 동사 (할 필요 없다)
자막 #664 | 00:27:29,375 → 00:27:29,958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근한 남성 어른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665 | 00:27:30,500 → 00:27:31,041
我来
📝 한어병음
wǒ lái
🇰🇷 한글번역
왔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주어 + 동사: "我来"는 "내가 온다"라는 의미로, 주어(我)와 동사(来)로 구성된 간단한 문장입니다.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형태입니다.
자막 #666 | 00:27:31,333 → 00:27:32,083
我来
📝 한어병음
wǒ lái
🇰🇷 한글번역
왔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주어 + 동사: "我来"는 주어 "나"와 동사 "오다"로 구성된 간단한 문장입니다. 이 문장은 "내가 온다" 또는 "내가 가겠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내가 하겠다"라는 의지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자막 #667 | 00:27:32,333 → 00:27:33,750
你别着急 年轻人
📝 한어병음
nǐ bié zhe jí nián qīng rén
🇰🇷 한글번역
너무 서두르지 마세요, 젊은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别 bié ~하지 마라 HSK2 着急 zháo jí 조급해하다, 서두르다 HSK3 年轻人 nián qīng rén 젊은이 HSK3

📚 문법
명령문: "别"는 부정 명령을 나타내며 "~하지 마라"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너는 서두르지 마라)
자막 #668 | 00:27:34,583 → 00:27:35,333
这个
📝 한어병음
zhè gè
🇰🇷 한글번역
이것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个 gè 개, 명 (양사) HSK1

📚 문법
指示대명사: '这个'는 '이것'이라는 뜻으로, 특정한 사물이나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这'는 '이'라는 뜻의 지시대명사이고, '个'는 일반적인 양사로 사용됩니다.
자막 #669 | 00:27:36,000 → 00:27:37,458
这么高级的房车
📝 한어병음
zhè me gāo jí de fáng chē
🇰🇷 한글번역
이렇게 고급스러운 캠핑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么 zhème 이렇게, 이처럼 HSK3
高级 gāojí 고급의 HSK4
房车 fángchē 캠핑카, 카라반 (HSK 비급수)

📚 문법
정도보어: "这么"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로, 뒤에 오는 형용사의 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这么 + 형용사 (이렇게 고급스러운)

이 문장에서 "这么高级的房车"는 "이렇게 고급스러운 캠핑카"라는 뜻으로, "这么"가 "高级"의 정도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670 | 00:27:37,625 → 00:27:38,583
见过么
📝 한어병음
jiàn guò me
🇰🇷 한글번역
본 적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见 jiàn 보다, 만나다 HSK1 过 guò ~한 적이 있다 HSK2 么 me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见过么"는 중국어에서 과거 경험을 묻는 질문입니다.
형태: 동사 + 过 + 么 (너는 본 적이 있니?)
- "过"는 과거의 경험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동사 뒤에 붙어 사용됩니다.
- "么"는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로, 질문의 끝에 붙어 사용됩니다.
자막 #671 | 00:27:39,375 → 00:27:40,125
要不要还是
📝 한어병음
yào bù yào hái shì
🇰🇷 한글번역
할까요, 말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要 yào 필요하다, 원하다 HSK1 不要 bù yào ~하지 마라 HSK2 还是 hái shì 여전히, 아니면 HSK3

📚 문법
选择疑问句: '还是'는 선택 의문문에서 사용되어 두 가지 이상의 선택지를 제시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A 还是 B? (A 아니면 B?)
자막 #672 | 00:27:40,125 → 00:27:41,250
叔叔先教教你
📝 한어병음
shū shū xiān jiào jiào nǐ
🇰🇷 한글번역
삼촌이 먼저 가르쳐 줄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先 xiān 먼저 HSK2 教 jiāo 가르치다 HSK2 你 nǐ 너 HSK1

📚 문법
동사 중첩: '教教'는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하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동사 (가볍게 가르쳐주다)
자막 #673 | 00:27:41,250 → 00:27:44,041
人家就是搞高科技的人家能不明白吗
📝 한어병음
rén jiā jiù shì gǎo gāo kē jì de rén jiā néng bù míng bái ma
🇰🇷 한글번역
그 사람들은 첨단 기술을 다루는 사람들이니 이해하지 못할 리가 없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人家 rén jiā 남, 타인 HSK4 就是 jiù shì 바로 ~이다 HSK3 搞 gǎo 하다, 종사하다 HSK4 高科技 gāo kē jì 첨단 기술 HSK5 明白 míng bái 이해하다 HSK3

📚 문법
1. 就是: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어, 특정 사실이나 상황을 확실하게 지적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바로 ~이다"라는 의미로, 문장에서 "바로 첨단 기술을 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강조합니다.
2. 能: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할 수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문장에서 "이해할 수 있겠는가?"라는 반문으로 사용되어, 상대방이 당연히 이해할 것이라는 것을 암시합니다.
자막 #674 | 00:27:44,041 → 00:27:44,708
是不是
📝 한어병음
shì bù shì
🇰🇷 한글번역
맞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不 bù 아니다 HSK1

📚 문법
"是不是"는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으로, "A는 B입니까?"라는 형태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제시하여 상대방의 확인을 요구하는 질문 형식입니다. 예를 들어, "你是不是学生?"는 "당신은 학생입니까?"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675 | 00:27:44,708 → 00:27:47,458
上次人家都跟我说那个弄的是3D啊
📝 한어병음
shàng cì rén jiā dōu gēn wǒ shuō nà gè nòng de shì 3 D a
🇰🇷 한글번역
지난번에 사람들이 나한테 그거 3D로 만들었다고 하더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上次 shàng cì 지난번 HSK3 人家 rén jiā 사람들, 남들 HSK4 跟 gēn ~와/과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弄 nòng 만들다, 하다 HSK5 3D 삼디 (3차원)

📚 문법
- "都"의 사용: 여기서 "都"는 '모두'라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동일한 의견이나 행동을 가졌음을 강조합니다.
- "跟"의 사용: "~와/과"라는 뜻으로, 뒤에 나오는 대상과 함께 어떤 행동이나 대화를 할 때 사용됩니다.
- "是...的" 구조: 과거의 특정 사실이나 상황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弄的是3D"로, '3D로 만든 것이다'라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자막 #676 | 00:27:47,458 → 00:27:48,250
BUG啊
📝 한어병음
B U G a
🇰🇷 한글번역
버그야.
🎯 AI 분석 결과
죄송하지만, "BUG啊"라는 표현은 중국어 문법이나 어휘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표현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나 시스템에서의 오류를 나타내는 비공식적인 표현입니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어휘나 문법 분석이 필요하다면 다른 문장을 제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막 #677 | 00:27:48,250 → 00:27:49,375
Rap
📝 한어병음
R a p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죄송하지만, 주어진 정보로는 분석할 수 있는 중국어 자막이 없습니다. 중국어 자막을 제공해주시면 어휘와 문법 분석을 도와드리겠습니다.
자막 #678 | 00:27:51,041 → 00:27:51,875
是不是
📝 한어병음
shì bù shì
🇰🇷 한글번역
맞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不 bù 아니다 HSK1

📚 문법
A-不-A 질문 패턴: 중국어에서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제시하여 질문하는 방식입니다.
형태: 是不是 (A-不-A) - "맞습니까?" 또는 "그렇습니까?"와 같은 의미로, 상대방의 확인을 요구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679 | 00:27:51,875 → 00:27:53,875
-都明白 对吧 -我跟你说
📝 한어병음
- dōu míng bái duì ba - wǒ gēn nǐ shuō
🇰🇷 한글번역
- 다 이해했지, 그렇지? - 내가 너한테 말할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明白 míngbai 이해하다 HSK2 对 duì 맞다, 옳다 HSK1 我 wǒ 나 HSK1 跟 gēn ~와 함께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 反问句: "对吧"는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확인하는 반문문입니다. 한국어의 "~죠?", "~지요?"에 해당합니다.
- 动词 + 说: "跟你说"는 "~에게 말하다"라는 뜻으로, 동사 "说" 앞에 전치사 "跟"을 사용하여 말의 대상(청자)을 나타냅니다.
자막 #680 | 00:27:54,625 → 00:27:55,916
这个车里啊
📝 한어병음
zhè gè chē lǐ a
🇰🇷 한글번역
이 차 안에 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个 gè 개, 명 (양사) HSK1 车 chē 차, 차량 HSK1 里 lǐ 안, 속 HSK2 啊 a 어기조사 (문장 끝에 쓰여 감탄, 찬탄, 동의를 나타냄)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 찬탄, 동의 등의 어감을 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这个车里啊"는 "이 차 안은 말이야"라는 뉘앙스를 줍니다.
자막 #681 | 00:27:55,916 → 00:27:57,625
都是这个智能家居
📝 한어병음
dōu shì zhè gè zhì néng jiā jū
🇰🇷 한글번역
모두 이 스마트 홈 때문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是 shì 이다 HSK1
这个 zhè ge 이것 HSK1
智能 zhì néng 지능, 스마트 HSK5
家居 jiā jū 가정, 가정용품 HSK6

📚 문법
명사구: "智能家居"는 '스마트 홈' 또는 '스마트 가정용품'을 의미하며, 현대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기기를 지칭합니다.
형태: 定语 + 名词 (이 문장에서 "智能"이 "家居"를 수식하여 '스마트 가정용품'이라는 의미를 만듭니다.)
자막 #682 | 00:27:57,625 → 00:27:58,583
你要用什么
📝 한어병음
nǐ yào yòng shén me
🇰🇷 한글번역
뭘 사용할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要 yào 필요하다, ~하려고 하다 HSK1 用 yòng 사용하다 HSK2 什么 shénme 무엇 HSK1

📚 문법
의문문: "什么"는 의문대명사로, 무엇을 의미하며, 주로 물건이나 사물을 물을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要 + 用 + 什么 (너는 무엇을 사용하려고 하니?)
자막 #683 | 00:27:58,583 → 00:28:00,250
你就直接说 你说
📝 한어병음
nǐ jiù zhí jiē shuō nǐ shuō
🇰🇷 한글번역
너 그냥 말해, 너 말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당신 HSK1 就 jiù 바로, 곧 HSK3 直接 zhíjiē 직접적으로 HSK4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할 때 주로 동사로 시작하는 문장을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너는 바로 말해라)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직접적으로 말하라는 요청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684 | 00:28:01,041 → 00:28:02,083
贾主任
📝 한어병음
jiǎ zhǔ rèn
🇰🇷 한글번역
가 주임
🎯 AI 분석 결과
죄송하지만, "贾主任"은 특정한 문맥이나 추가적인 정보 없이 분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贾主任"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이름이나 직책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贾"는 성씨일 수 있고, "主任"은 '주임'이라는 뜻으로 직책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문장이 제공되면 더 상세한 분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자막 #685 | 00:28:02,458 → 00:28:03,291
贾主任
📝 한어병음
jiǎ zhǔ rèn
🇰🇷 한글번역
가 주임
🎯 AI 분석 결과
죄송합니다, 제공된 텍스트는 분석할 수 있는 충분한 문장이 아닙니다. "贾主任"은 "가 주임"이라는 뜻으로, 특정 인물의 직함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추가적인 문장이 제공되면 더 상세한 분석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자막 #686 | 00:28:03,375 → 00:28:04,333
贾主任
📝 한어병음
jiǎ zhǔ rèn
🇰🇷 한글번역
가 주임
🎯 AI 분석 결과
죄송합니다, 주어진 텍스트 "贾主任"은 분석할 수 있는 충분한 문장이 아닙니다. "贾主任"은 특정 인물의 직함이나 이름일 수 있습니다. 더 많은 문맥이나 문장을 제공해 주시면 분석을 도와드리겠습니다.
자막 #687 | 00:28:06,750 → 00:28:07,916
贾主任
📝 한어병음
jiǎ zhǔ rèn
🇰🇷 한글번역
가 주임
🎯 AI 분석 결과
🔍 어휘
贾 jiǎ 성씨 (주로 성으로 사용됨) 비HSK 主任 zhǔ rèn 주임, 책임자 HSK6

📚 문법
이 문장은 특정 문법 구조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贾主任"은 사람의 이름이나 직위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贾"는 성씨로 사용되며, "主任"은 직위나 역할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자막 #688 | 00:28:07,916 → 00:28:09,083
我在呢
📝 한어병음
wǒ zài ne
🇰🇷 한글번역
저 여기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在 zài ~에 있다 HSK1 呢 ne ~하고 있다 HSK2

📚 문법
진행형 문장: 중국어에서 동작이나 상태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在 + 동사 + 呢 (나는 여기 있다)
자막 #689 | 00:28:09,083 → 00:28:10,750
有什么需要汇报的
📝 한어병음
yǒu shén me xū yào huì bào de
🇰🇷 한글번역
보고할 사항이 있습니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什么 shénme 무엇 HSK1 需要 xūyào 필요하다 HSK2 汇报 huìbào 보고하다 HSK4

📚 문법
의문문: "有什么需要汇报的"는 의문문 형태로, "有什么"는 "무엇이 있습니까?"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이 문장은 "보고할 필요가 있는 것이 있습니까?"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的"는 명사화 역할을 하여 "필요한 것"이라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자막 #690 | 00:28:11,708 → 00:28:12,666
开灯
📝 한어병음
kāi dēng
🇰🇷 한글번역
불을 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开 kāi 켜다, 열다 HSK1 灯 dēng 등, 램프 HSK2

📚 문법
동사 + 목적어: 중국어에서 동사가 목적어를 직접 취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등을 켜다)
자막 #691 | 00:28:12,666 → 00:28:14,041
你跟谁说话呢
📝 한어병음
nǐ gēn shuí shuō huà ne
🇰🇷 한글번역
너 누구랑 얘기하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跟 gēn ~와/과 HSK2 谁 shuí/shéi 누구 HSK2 说话 shuō huà 말하다 HSK1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사를 사용하여 질문을 형성합니다.
형태: 주어 + 跟 + 의문사 + 동사 (너는 누구와 이야기하고 있니?)

이 문장에서 "谁"는 의문사로 사용되어 질문의 대상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자막 #692 | 00:28:16,000 → 00:28:16,875
开灯
📝 한어병음
kāi dēng
🇰🇷 한글번역
불을 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开 kāi 켜다, 열다 HSK1 灯 dēng 등, 램프 HSK2

📚 문법
동사 + 목적어: 중국어에서 동사가 목적어를 직접 취하는 형태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등을 켜다)
자막 #693 | 00:28:16,875 → 00:28:18,458
注意你的态度啊
📝 한어병음
zhù yì nǐ de tài dù a
🇰🇷 한글번역
태도를 조심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注意 zhù yì 주의하다 HSK3 你 nǐ 너 HSK1 态度 tài dù 태도 HSK4 啊 a 어조사 (강조)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주의를 줄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주의하다 + 너의 태도)
이 문장에서는 상대방에게 태도에 대해 주의하라는 경고나 충고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694 | 00:28:21,666 → 00:28:22,791
贾主任
📝 한어병음
jiǎ zhǔ rèn
🇰🇷 한글번역
가 주임
🎯 AI 분석 결과
🔍 어휘
贾 jiǎ 성씨 (특정한 의미 없음) 主任 zhǔ rèn 주임, 책임자 HSK5

📚 문법
이 문장은 특정한 문법 패턴이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贾主任"은 사람의 이름이나 직위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贾"는 성씨이고 "主任"은 직위를 나타냅니다.
자막 #695 | 00:28:22,791 → 00:28:25,500
我能 请您开灯吗
📝 한어병음
wǒ néng qǐng nín kāi dēng ma
🇰🇷 한글번역
불을 켜 주실 수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请 qǐng 부탁하다 HSK2 您 nín 당신 (존칭) HSK2 开 kāi 켜다 HSK2 灯 dēng 등, 전등 HSK2

📚 문법
청유문: 상대방에게 정중하게 요청하거나 부탁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能 + 请 +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제가 전등을 켤 수 있을까요?)
자막 #696 | 00:28:26,208 → 00:28:27,458
批准
📝 한어병음
pī zhǔn
🇰🇷 한글번역
승인
🎯 AI 분석 결과
🔍 어휘
批准 pī zhǔn 승인하다, 허가하다 HSK5

📚 문법
승인하다, 허가하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로, 주로 공식적인 문서나 요청에 대한 허가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문장에서 주어가 어떤 요청이나 계획을 승인하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697 | 00:28:48,000 → 00:28:48,916
阿力
📝 한어병음
ā lì
🇰🇷 한글번역
알리
🎯 AI 분석 결과
죄송합니다. "阿力"는 특정한 문맥 없이 제공된 단어로,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阿力"는 사람의 이름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만약 더 많은 문장이 제공된다면, 그 문맥에 맞는 분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문장을 제공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막 #698 | 00:28:49,291 → 00:28:50,083
别急
📝 한어병음
bié jí
🇰🇷 한글번역
서두르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急 jí 급하다 HSK3

📚 문법
명령문: "别"는 부정 명령문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别 + 동사" 형태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할 때 사용합니다. (예: "别急"는 "서두르지 마라"라는 뜻입니다.)
자막 #699 | 00:28:50,083 → 00:28:51,291
待会给你做
📝 한어병음
dài huì gěi nǐ zuò
🇰🇷 한글번역
잠시 후에 해줄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待会儿 dài huìr 잠시 후에 HSK4 给 gěi ~에게 HSK2 你 nǐ 너 HSK1 做 zuò 하다, 만들다 HSK1

📚 문법
동사 + 给: '给'는 수여 동사로 사용되어, 동작의 대상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给 + 대상 (잠시 후에 너에게 만들어 줄게)

이 문장에서 '给'는 '너에게'라는 의미로, '做'의 대상이 '너'임을 나타냅니다.
자막 #700 | 00:29:07,916 → 00:29:09,541
这馆子啊 下腻了
📝 한어병음
zhè guǎn zǐ a xià nì liǎo
🇰🇷 한글번역
이 식당은 이제 질렸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HSK1 馆子 guǎn zi 식당, 음식점 (비공식적 표현) 下 xià (음식을) 먹다, 내려가다 HSK1 腻 nì 질리다, 싫증나다

📚 문법
구어체 표현: "下腻了"는 특정한 음식이나 장소에 대해 질리거나 싫증이 났음을 표현하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여기서 "下"는 음식을 먹는 행위를, "腻"는 질리거나 싫증이 난 상태를 나타냅니다. "这馆子啊 下腻了"는 "이 음식점에 질렸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701 | 00:29:09,541 → 00:29:12,041
在你这凑合凑合吃顿简餐啊
📝 한어병음
zài nǐ zhè còu hé còu hé chī dùn jiǎn cān a
🇰🇷 한글번역
여기서 대충 간단하게 한 끼 먹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在 zài ~에서, ~에 HSK1
你 nǐ 너, 당신 HSK1
凑合 còuhe 그럭저럭, 대충 HSK6
吃 chī 먹다 HSK1
简餐 jiǎncān 간단한 식사 HSK6

📚 문법
- 在: 장소나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로, "~에서" 또는 "~에"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动词重叠 (동사 중첩): "凑合凑合"와 같이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의 가벼움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이 경우, "그럭저럭" 또는 "대충"이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702 | 00:29:12,041 → 00:29:12,916
还真挺好
📝 한어병음
hái zhēn tǐng hǎo
🇰🇷 한글번역
정말 괜찮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정말로, 꽤 HSK2 真 zhēn 진짜로, 정말로 HSK2 挺 tǐng 매우, 꽤 HSK4 好 hǎo 좋다 HSK1

📚 문법
정도부사: "还", "真", "挺"은 모두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로,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그 정도를 강조합니다.
- 还真挺好: "정말로 꽤 좋다"라는 의미로, "还"와 "真" 그리고 "挺"이 함께 사용되어 좋다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자막 #703 | 00:29:12,916 → 00:29:15,750
馆子里那些垃圾食品 能吃吗
📝 한어병음
guǎn zǐ lǐ nà xiē lā jī shí pǐn néng chī ma
🇰🇷 한글번역
식당에서 파는 그 정크푸드 먹어도 되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馆子 guǎn zi 식당, 음식점 HSK6 那些 nà xiē 저것들, 그것들 HSK3 垃圾食品 lā jī shí pǐn 정크 푸드 HSK6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吃 chī 먹다 HSK1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는 주로 문장 끝에 "吗"를 붙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정크 푸드를 먹을 수 있나요?)
자막 #704 | 00:29:16,500 → 00:29:18,000
我现在吃的都是
📝 한어병음
wǒ xiàn zài chī de dōu shì
🇰🇷 한글번역
제가 지금 먹고 있는 것은 모두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现在 xiàn zài 지금 HSK1 吃 chī 먹다 HSK1 都 dōu 모두 HSK2

📚 문법
"的" 자구: '的'는 명사 앞에 위치하여 형용사나 동사구가 명사를 수식하게 합니다. 이 문장에서 "吃的"는 "먹는 것"이라는 의미로, 앞의 내용을 수식합니다.
자막 #705 | 00:29:18,000 → 00:29:19,041
当天的
📝 한어병음
dāng tiān de
🇰🇷 한글번역
그날의
🎯 AI 분석 결과
🔍 어휘
当 dāng ~의 때에 HSK3 天 tiān 날, 하루 HSK1 的 de ~의 (관형어 뒤에 쓰여 수식 관계를 나타냄) HSK1

📚 문법
관형어 구조: '的'는 관형어와 중심어 사이에 위치하여 수식 관계를 나타냅니다. 여기서 '当天的'는 '그 날의'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706 | 00:29:19,041 → 00:29:20,166
有机的食品
📝 한어병음
yǒu jī de shí pǐn
🇰🇷 한글번역
유기농 식품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机 yǒujī 유기농의 HSK5 食品 shípǐn 식품 HSK4

📚 문법
이 문장은 명사구로, "유기농의 식품"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有机的"는 형용사구로 "유기농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食品"을 수식합니다. "的"는 형용사와 명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707 | 00:29:20,166 → 00:29:21,083
你说
📝 한어병음
nǐ shuō
🇰🇷 한글번역
너가 말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주어 + 동사: 중국어에서 가장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你"가 주어이고 "说"가 동사입니다. (너는 말한다)
자막 #708 | 00:29:21,083 → 00:29:22,458
我房车里那些鱼
📝 한어병음
wǒ fáng chē lǐ nà xiē yú
🇰🇷 한글번역
내 캠핑카 안에 있는 그 물고기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房车 fáng chē 캠핑카, RV HSK6 里 lǐ 안, 속 HSK1 那些 nà xiē 저것들, 그것들 HSK2 鱼 yú 물고기, 생선 HSK1

📚 문법
명사구: "我房车里那些鱼"는 명사구로, "내 캠핑카 안의 저 물고기들"이라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里"는 장소를 나타내며, "那些"는 특정한 대상을 지칭하는 대명사입니다.
자막 #709 | 00:29:22,458 → 00:29:24,000
那都是活蹦乱跳的
📝 한어병음
nà dōu shì huó bèng luàn tiào de
🇰🇷 한글번역
그것들은 모두 생기발랄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것 HSK1 都 dōu 모두 HSK1 是 shì ~이다 HSK1 活蹦乱跳 huó bèng luàn tiào 생기발랄하다, 활기차다 (비유적 표현)

📚 문법
비유적 표현: "活蹦乱跳"는 문자 그대로는 '활발하게 뛰어다니다'라는 뜻이지만, 비유적으로 '생기발랄하다' 또는 '활기차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와 같은 표현은 상황에 따라 적절한 번역이 필요합니다.
자막 #710 | 00:29:24,000 → 00:29:25,166
那么新鲜
📝 한어병음
nà me xīn xiān
🇰🇷 한글번역
정말 신선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것 HSK1 么 me 어조사 (의문을 나타냄) HSK1 新鲜 xīnxiān 신선하다 HSK4

📚 문법
那么 (nàme): 중국어에서 정도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그렇게" 또는 "저렇게"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주로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그 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那么 + 형용사 (그렇게 신선하다)
자막 #711 | 00:29:31,000 → 00:29:31,875
阿力
📝 한어병음
ā lì
🇰🇷 한글번역
알리
🎯 AI 분석 결과
죄송하지만, "阿力"라는 단어는 일반적인 중국어 어휘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특정한 이름이나 별명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HSK 급수나 일반적인 뜻을 제공하기 어렵습니다. 추가적인 문맥이 제공된다면 더 정확한 분석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자막 #712 | 00:29:32,458 → 00:29:33,291
住嘴
📝 한어병음
zhù zuǐ
🇰🇷 한글번역
입 다물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住 zhù 멈추다, 그치다 HSK2 嘴 zuǐ 입 HSK3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구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입을 다물다)

"住嘴"는 직역하면 "입을 멈추다"라는 뜻으로, 한국어로는 "입 다물어" 또는 "조용히 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명령이나 요구를 강하게 표현할 때 쓰입니다.
자막 #713 | 00:29:33,291 → 00:29:34,125
阿力
📝 한어병음
ā lì
🇰🇷 한글번역
알리
🎯 AI 분석 결과
안녕하세요! "阿力"는 특정한 문맥 없이 단독으로 제공된 단어입니다. 이 단어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이름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阿"는 친근감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이름 앞에 붙여 사용되며, "力"는 힘을 의미합니다.

이제 학습을 위해 관련된 어휘와 문법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 어휘
阿 ā 접두사 (친근함을 나타냄) 力 lì 힘, 능력 HSK2

📚 문법
- 접두사 "阿"는 보통 사람의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애정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阿力"는 "리"라는 사람을 친근하게 부르는 형태입니다.
- "力"는 명사로 사용되어 "힘"이나 "능력"을 나타냅니다.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714 | 00:29:35,000 → 00:29:36,000
阿力
📝 한어병음
ā lì
🇰🇷 한글번역
알리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 ā 접두어, 친근함을 나타냄 HSK5 力 lì 힘 HSK2

📚 문법
접두어 "阿": 중국어에서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애정을 나타내는 접두어입니다. 주로 사람의 이름 앞에 붙여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阿力"는 "리"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을 친근하게 부르는 표현입니다.
자막 #715 | 00:29:36,500 → 00:29:37,541
阿力
📝 한어병음
ā lì
🇰🇷 한글번역
알리
🎯 AI 분석 결과
"阿力"는 특정한 문맥이 없으면 고유명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이름이나 별명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단어에 대한 어휘 분석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추가적인 문장이 주어지면 더 많은 분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자막 #716 | 00:29:39,083 → 00:29:39,958
阿力
📝 한어병음
ā lì
🇰🇷 한글번역
아리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 ā 접두사, 친근함을 나타냄 HSK5 力 lì 힘 HSK2

📚 문법
접두사 "阿": 중국어에서 "阿"는 종종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친밀감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阿力"는 "리"라는 이름 앞에 "아"를 붙여 친근하게 부르는 형태입니다.
자막 #717 | 00:29:41,333 → 00:29:42,208
阿力
📝 한어병음
ā lì
🇰🇷 한글번역
알리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 ā 접두사, 친근함을 나타냄 HSK6 力 lì 힘 HSK2

📚 문법
접두사 "阿": 중국어에서 "阿"는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애정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阿力"는 "힘"이라는 뜻의 "力" 앞에 "阿"를 붙여 친근하게 부르는 형태입니다.
자막 #718 | 00:29:42,958 → 00:29:44,041
阿力
📝 한어병음
ā lì
🇰🇷 한글번역
알리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 ā 접두사, 친근함을 나타냄 HSK6 力 lì 힘, 능력 HSK3

📚 문법
접두사 "阿": 중국어에서 "阿"는 주로 사람의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친밀감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阿力"는 "힘"이라는 뜻의 "力" 앞에 "阿"를 붙여 친근하게 부르는 형태입니다.
자막 #719 | 00:29:48,416 → 00:29:49,791
我这个女婿啊
📝 한어병음
wǒ zhè gè nǚ xù a
🇰🇷 한글번역
우리 사위 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这个 zhè ge 이, 이것 HSK1 女婿 nǚ xù 사위 HSK6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 등을 나타냄 HSK2

📚 문법
- "啊"의 사용: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강조의 느낌을 더해줍니다. 이 문장에서는 화자가 사위에 대해 특별한 감정을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720 | 00:29:49,791 → 00:29:50,791
我现在跟他说
📝 한어병음
wǒ xiàn zài gēn tā shuō
🇰🇷 한글번역
지금 그에게 말할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现在 xiàn zài 지금 HSK2 跟 gēn ~와, ~에게 HSK2 他 tā 그, 그 사람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동작의 진행: 이 문장은 현재 시점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며, "지금 ~에게 말하다"라는 뜻입니다.
형태: 주어 + 现在 + 동사 + (목적어) (나는 지금 그에게 말한다)
자막 #721 | 00:29:50,791 → 00:29:52,375
三个亿以下的项目
📝 한어병음
sān gè yì yǐ xià de xiàng mù
🇰🇷 한글번역
3억 이하의 프로젝트
🎯 AI 분석 결과
🔍 어휘
三 sān 삼, 셋 HSK1 个 gè 개 (양사) HSK1 亿 yì 억 HSK4 以下 yǐ xià 이하 HSK4 项目 xiàng mù 프로젝트, 항목 HSK4

📚 문법
수량 표현: 중국어에서 수량을 나타낼 때, 숫자 뒤에 양사를 붙여 구체적인 수량을 나타냅니다.
형태: 数字 + 量词 + 명사 (세 개의 억 이하의 프로젝트)

"以下"는 특정 수나 기준을 기준으로 그 이하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자막 #722 | 00:29:52,375 → 00:29:54,083
就不要亲自去了
📝 한어병음
jiù bù yào qīn zì qù liǎo
🇰🇷 한글번역
굳이 직접 가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不要 bù yào ~하지 마라 HSK2 亲自 qīn zì 직접 HSK4 去 qù 가다 HSK1

📚 문법
부정 명령문: "不要"는 "~하지 마라"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권유하거나 명령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不要 + 동사 (직접 가지 마라)
자막 #723 | 00:29:54,083 → 00:29:55,791
这外头多乱啊
📝 한어병음
zhè wài tóu duō luàn a
🇰🇷 한글번역
밖이 정말 혼란스럽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外头 wài tóu 밖, 외부 HSK4 多 duō 얼마나, 매우 HSK1 乱 luàn 어지럽다, 혼란스럽다 HSK4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를 나타냄 HSK2

📚 문법
감탄문: 감탄문은 감정을 표현하거나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多"와 "啊"를 사용하여 밖이 얼마나 혼란스러운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형태: 多 + 형용사 + 啊 (얼마나 ~한가)
자막 #724 | 00:29:55,791 → 00:29:57,750
花天酒地 乌烟瘴气的
📝 한어병음
huā tiān jiǔ dì wū yān zhàng qì de
🇰🇷 한글번역
방탕한 생활과 혼란스러운 분위기
🎯 AI 분석 결과
🔍 어휘
花天酒地 huā tiān jiǔ dì 흥청망청하다, 방탕하게 지내다 HSK6
乌烟瘴气 wū yān zhàng qì 혼란스럽고 어지러운 상태 HSK6

📚 문법
이 두 표현은 주로 부정적인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花天酒地"는 주로 과도한 유흥이나 방탕한 생활을 나타내며, "乌烟瘴气"는 혼란스럽고 어지러운 환경을 묘사합니다. 두 표현 모두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문맥에 따라 적절히 해석해야 합니다.
자막 #725 | 00:29:57,750 → 00:29:59,541
什么就乌烟瘴气啊
📝 한어병음
shén me jiù wū yān zhàng qì a
🇰🇷 한글번역
뭐가 이렇게 어수선하고 혼란스러운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什么 shénme 무엇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乌烟瘴气 wū yān zhàng qì 혼탁하다, 어수선하다 (HSK 비해당)

📚 문법
반어문: 중국어에서 반어문은 의문문 형식을 사용하여 반대로 긍정이나 부정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는 "什么"를 사용하여 특정 상황이나 상태에 대한 불만이나 의문을 강조합니다.
형태: 什么 + 명사/형용사 (무엇이 그렇게 어수선하단 말인가?)
자막 #726 | 00:29:59,541 → 00:30:00,791
哪有乌烟瘴气嘛
📝 한어병음
nǎ yǒu wū yān zhàng qì ma
🇰🇷 한글번역
어디가 그렇게 혼란스럽다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哪 nǎ 어디 HSK1 有 yǒu 있다 HSK1 乌烟瘴气 wū yān zhàng qì 혼란스럽고 어지러운 상태 (관용어)

📚 문법
관용어: "乌烟瘴气"는 혼란스럽고 어지러운 상태를 묘사하는 중국어 관용어입니다. 이 표현은 주로 환경이나 분위기가 매우 나쁘거나 혼란스러운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자막 #727 | 00:30:00,791 → 00:30:02,250
你看看 看看 看看
📝 한어병음
nǐ kàn kàn kàn kàn kàn kàn
🇰🇷 한글번역
너 한번 봐봐, 봐봐, 봐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 kàn 보다 HSK1

📚 문법
중첩 동사: 중국어에서 동사를 반복하여 사용하면 동작의 짧은 지속이나 시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看看"는 "한번 보다"라는 의미로, 동작을 가볍게 시도하거나 권유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728 | 00:30:02,250 → 00:30:03,791
哪有乌烟瘴气 哪有
📝 한어병음
nǎ yǒu wū yān zhàng qì nǎ yǒu
🇰🇷 한글번역
어디에 어수선하고 혼란스러운 분위기가 있나요? 어디에?
🎯 AI 분석 결과
🔍 어휘
哪 nǎ 어디 HSK2 有 yǒu 있다 HSK1 乌烟瘴气 wū yān zhàng qì 오염된 공기, 혼란스러운 상황 (비유적 표현) 哪 nǎ 어디 HSK2

📚 문법
반복구문: "哪有...哪有..."는 "어디에...어디에..."라는 의미로, 특정 상황이나 상태가 존재하지 않음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어디에 오염된 공기가 있어, 어디에"라는 의미로, 실제로 그런 상황이 존재하지 않음을 강조합니다.
자막 #729 | 00:30:03,791 → 00:30:04,750
贾主任
📝 한어병음
jiǎ zhǔ rèn
🇰🇷 한글번역
가 주임
🎯 AI 분석 결과
🔍 어휘
贾 jiǎ 성씨, 값 HSK6 主任 zhǔ rèn 주임, 책임자 HSK5

📚 문법
이 문장은 특정한 문법 패턴을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贾主任"은 "주임"이라는 직책을 가진 사람의 성씨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중국어에서는 성씨와 직책을 함께 사용하여 사람을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막 #730 | 00:30:05,541 → 00:30:07,333
请你打开抽油烟机
📝 한어병음
qǐng nǐ dǎ kāi chōu yóu yān jī
🇰🇷 한글번역
환풍기를 켜 주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请 qǐng 부탁하다, 청하다 HSK1
你 nǐ 너 HSK1
打开 dǎkāi 열다, 켜다 HSK2
抽油烟机 chōu yóuyān jī 환풍기, 레인지 후드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동작을 요청하거나 명령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请 + 동사 + 목적어 (환풍기를 켜주세요)

이 문장에서 "请"은 상대방에게 정중하게 요청하는 표현으로 사용되며, "打开"는 기계를 켜거나 문을 여는 등의 동작을 나타냅니다. "抽油烟机"는 주방에서 사용하는 환풍기나 레인지 후드를 의미합니다.
자막 #731 | 00:30:07,708 → 00:30:09,500
我不知道你在说什么
📝 한어병음
wǒ bù zhī dào nǐ zài shuō shén me
🇰🇷 한글번역
나는 네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不知道 bù zhī dào 모르다 HSK2 你 nǐ 너 HSK1 在 zài ~에 있다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什么 shén me 무엇 HSK1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不知道"로 '모르다'라는 뜻을 형성합니다.
의문문: "什么"는 의문대명사로, '무엇'이라는 뜻을 가지며, 문장에서 질문의 의미를 더합니다.
자막 #732 | 00:30:10,416 → 00:30:12,375
你快点打开抽油烟机啊
📝 한어병음
nǐ kuài diǎn dǎ kāi chōu yóu yān jī a
🇰🇷 한글번역
빨리 환풍기를 켜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快点 kuài diǎn 빨리 HSK3 打开 dǎ kāi 열다 HSK2 抽油烟机 chōu yóu yān jī 환풍기, 레인지 후드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요청하거나 명령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너는 빨리 환풍기를 켜라)

이 문장에서 "你快点打开抽油烟机啊"는 상대방에게 빠르게 환풍기를 켜달라는 요청을 나타냅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명령이나 요청의 어감을 부드럽게 합니다.
자막 #733 | 00:30:12,375 → 00:30:13,416
好好说话
📝 한어병음
hǎo hǎo shuō huà
🇰🇷 한글번역
말을 잘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好 hǎo hǎo 잘, 제대로 HSK2 说话 shuō huà 말하다 HSK1

📚 문법
중첩형용사: 형용사를 중첩하여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好好"는 "잘" 또는 "제대로"라는 의미로, 동작을 더 신중하고 철저하게 수행할 것을 강조합니다.
형태: 형용사 + 형용사 + 동사 (제대로 말하다)
자막 #734 | 00:30:13,708 → 00:30:14,750
人工智障是吧
📝 한어병음
rén gōng zhì zhàng shì ba
🇰🇷 한글번역
인공지능 바보 맞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人工 réngōng 인공의 HSK4 智障 zhìzhàng 지적 장애 (일반적인 단어, HSK에 포함되지 않음)

📚 문법
이 문장은 감정이나 의견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是吧"는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자신의 의견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人工智障"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인공지능에 대한 비판적이거나 유머러스한 의견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자막 #735 | 00:30:15,333 → 00:30:16,583
检测到烟雾
📝 한어병음
jiǎn cè dào yān wù
🇰🇷 한글번역
연기가 감지되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检测 jiǎn cè 감지하다, 탐지하다 HSK5 到 dào ~에 도달하다 HSK2 烟雾 yān wù 연기, 스모그 HSK6

📚 문법
동사 + 到: 동작의 결과나 도달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예: 检测到 (감지하다 + 도달하다) -> 감지되었다, 탐지되었다

이 문장은 "연기가 감지되었습니다"라는 의미로, 어떤 장소나 상황에서 연기가 탐지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736 | 00:30:16,583 → 00:30:18,000
判定为火灾
📝 한어병음
pàn dìng wèi huǒ zāi
🇰🇷 한글번역
화재로 판정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判定 pàn dìng 판정하다 HSK6 为 wéi ~로 여기다 HSK4 火灾 huǒ zāi 화재 HSK5

📚 문법
为字句: "为"는 어떤 사물이나 상황을 특정한 상태로 여기거나 간주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判定 + 为 + 명사 (화재로 판정하다)
자막 #737 | 00:30:18,000 → 00:30:20,041
启动逃生程序
📝 한어병음
qǐ dòng táo shēng chéng xù
🇰🇷 한글번역
탈출 프로그램 시작
🎯 AI 분석 결과
🔍 어휘
启动 qǐdòng 시작하다, 작동시키다 HSK4 逃生 táoshēng 탈출하다, 도망치다 HSK6 程序 chéngxù 절차, 프로그램 HSK5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지시를 내릴 때 주로 동사로 시작하는 문장을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탈출 절차를 시작하다)
자막 #738 | 00:30:28,333 → 00:30:29,583
冷啦
📝 한어병음
lěng lā
🇰🇷 한글번역
추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冷 lěng 춥다, 차갑다 HSK2

📚 문법
형용사 술어문: 중국어에서 형용사가 술어로 사용될 때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설명합니다.
예시: 冷啦 (추워졌다) - '啦'는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로, '추워졌다'라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자막 #739 | 00:30:29,583 → 00:30:32,000
要不要到我房车里去暖和暖和啊
📝 한어병음
yào bù yào dào wǒ fáng chē lǐ qù nuǎn hé nuǎn hé a
🇰🇷 한글번역
우리 캠핑카에 가서 좀 따뜻하게 지낼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要不要 yào bù yào ~할래? (선택을 제안할 때) HSK2 到 dào ~에, ~까지 HSK1 我 wǒ 나 HSK1 房车 fáng chē 캠핑카, RV HSK5 里 lǐ 안 HSK1

📚 문법
중첩 동사: 중국어에서 동사의 중첩은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가집니다.
형태: 동사 + 동사 (暖和暖和: 따뜻하게 하다, 따뜻해지다)
자막 #740 | 00:30:32,000 → 00:30:35,125
我跟你说我坐这浑身呼呼冒汗呐
📝 한어병음
wǒ gēn nǐ shuō wǒ zuò zhè hún shēn hū hū mào hàn nà
🇰🇷 한글번역
내가 너한테 말했잖아, 여기 앉아 있는데 온몸에서 땀이 줄줄 흐른다고.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跟 gēn ~와/과 HSK2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坐 zuò 앉다 HSK2

浑身 hún shēn 온몸 呼呼 hū hū 후후 (바람 소리) 冒汗 mào hàn 땀이 나다

📚 문법
동사 중첩: 중국어에서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의 가벼움을 나타냅니다.
예: 说说 (말해보다)

상태 묘사: '浑身'과 같은 표현은 상태를 강조하여 묘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 浑身冒汗 (온몸에 땀이 나다)
자막 #741 | 00:30:35,125 → 00:30:36,708
我现在钓鱼钓得我也是
📝 한어병음
wǒ xiàn zài diào yú diào dé wǒ yě shì
🇰🇷 한글번역
저도 지금 낚시에 푹 빠졌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现在 xiàn zài 지금 HSK1 钓鱼 diào yú 낚시하다 HSK4 得 de 정도보어를 만드는 구조조사 HSK3 我 wǒ 나 HSK1 也是 yě shì 역시, 또한 HSK2

📚 문법
정도보어: 동작의 정도나 상태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得 + 형용사/부사 (钓鱼钓得好: 낚시를 잘하다)

이 문장에서 "钓鱼钓得我也是"는 문맥상 "낚시를 하다 보니 나도 역시..."라는 의미로, 뒤에 이어질 내용을 기대하게 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742 | 00:30:36,708 → 00:30:38,250
热血沸腾啊
📝 한어병음
rè xuè fèi téng a
🇰🇷 한글번역
열정이 끓어오르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热血 rè xuè 뜨거운 피, 열정 HSK5 沸腾 fèi téng 끓어오르다, 흥분하다 HSK6

📚 문법
감정 표현: "热血沸腾"은 감정이 고조되거나 매우 흥분된 상태를 묘사하는 표현입니다. 직역하면 '뜨거운 피가 끓어오르다'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나 상황에 대해 매우 열정적이거나 흥분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자막 #743 | 00:30:38,541 → 00:30:40,291
我都快燃起来了我
📝 한어병음
wǒ dōu kuài rán qǐ lái liǎo wǒ
🇰🇷 한글번역
나 거의 불타오를 것 같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都 dōu 모두, 벌써 HSK1 快 kuài 빠르다, 곧 HSK2 燃 rán 타다, 불타다 HSK5 起来 qǐ lái 일어나다, 시작하다 HSK3

📚 문법
동사 + 起来: 동작의 시작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예시: 燃起来 (불타오르다) - 어떤 감정이나 상태가 시작되거나 강해짐을 표현합니다.
자막 #744 | 00:30:50,958 → 00:30:52,750
火灾很残酷
📝 한어병음
huǒ zāi hěn cán kù
🇰🇷 한글번역
화재는 매우 잔인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火灾 huǒzāi 화재 HSK5 很 hěn 매우 HSK1 残酷 cánkù 잔혹하다 HSK6

📚 문법
형용사 술어문: 중국어에서 형용사가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很 + 형용사 (화재는 매우 잔혹하다)

이 문장에서 "很"은 형용사를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745 | 00:30:52,750 → 00:30:54,583
撤离要迅速
📝 한어병음
chè lí yào xùn sù
🇰🇷 한글번역
철수는 신속하게 해야 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撤离 chèlí 철수하다, 대피하다 HSK6 要 yào 필요하다, 해야 한다 HSK1 迅速 xùnsù 신속하다 HSK5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명령이나 지시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주어가 생략되어 있으며, 동사와 부사로 구성되어 있어 행동의 신속함을 강조합니다.
형태: 동사 + 부사 (철수는 신속하게 해야 한다)
자막 #746 | 00:30:54,583 → 00:30:56,250
漫漫人生路
📝 한어병음
màn màn rén shēng lù
🇰🇷 한글번역
긴 인생의 길
🎯 AI 분석 결과
🔍 어휘
漫漫 màn màn 길고 긴, 멀고 먼 HSK6 人生 rén shēng 인생 HSK4 路 lù 길 HSK1

📚 문법
명사구: "漫漫人生路"는 "길고 긴 인생의 길"이라는 의미로, 형용사 "漫漫"이 명사 "人生路"를 수식하는 구조입니다. 중국어에서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는 일반적으로 형용사가 앞에 위치합니다.
자막 #747 | 00:30:56,250 → 00:30:58,458
我先走一步
📝 한어병음
wǒ xiān zǒu yī bù
🇰🇷 한글번역
먼저 갈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先 xiān 먼저 HSK2 走 zǒu 걷다, 떠나다 HSK1 一步 yī bù 한 걸음 HSK3

📚 문법
순서 강조: "先"은 어떤 행동을 먼저 하겠다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형태: 주어 + 先 + 동사 (나는 먼저 떠난다)
자막 #748 | 00:30:58,458 → 00:30:59,333
拜拜
📝 한어병음
bài bài
🇰🇷 한글번역
안녕
🎯 AI 분석 결과
🔍 어휘
拜拜 bài bài 잘 가, 안녕 (작별 인사) HSK5

📚 문법
작별 인사: "拜拜"는 영어의 "bye-bye"에서 유래된 중국어 표현으로, 비격식적인 상황에서 작별 인사를 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친구나 가까운 사람들 사이에서 사용됩니다.
자막 #749 | 00:30:59,333 → 00:31:00,916
说着说着来了
📝 한어병음
shuō zhe shuō zhe lái liǎo
🇰🇷 한글번역
말하다 보니 왔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说 shuō 말하다 HSK1 着 zhe ~하면서 (진행형을 나타냄) HSK3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중첩 동사: '说着说着'는 동사의 중첩 형태로, 어떤 동작이 계속 진행됨을 나타냅니다. 이 경우 '말하다'라는 동작이 계속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결과보어: '来了'는 '오다'라는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며, 어떤 일이 발생했음을 강조합니다. 이 문장은 "말하다 보니 왔다"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750 | 00:31:03,708 → 00:31:04,583
怎么样
📝 한어병음
zěn me yàng
🇰🇷 한글번역
어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 zěn 어떻게 HSK2 么 me 어조사 HSK1 样 yàng 모양, 방식 HSK3

📚 문법
의문문: "怎么样"은 "어떻게" 또는 "어때?"라는 의미로, 상황이나 상태에 대한 질문을 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怎么样? (예: 你怎么样? - 너는 어때?)
자막 #751 | 00:31:05,333 → 00:31:07,250
我这钓技还是比你厉害吧
📝 한어병음
wǒ zhè diào jì hái shì bǐ nǐ lì hài ba
🇰🇷 한글번역
내 낚시 실력이 너보다 더 뛰어나지 않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这 zhè 이 HSK1 钓技 diào jì 낚시 기술 (비교적 고급 어휘) 还是 hái shì 여전히, 그래도 HSK3 比 bǐ ~보다 HSK2 你 nǐ 너 HSK1 厉害 lì hai 대단하다, 뛰어나다 HSK4

📚 문법
비교문: 중국어에서 두 대상을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A + 比 + B + 형용사 (나의 낚시 기술이 너보다 뛰어나다)
자막 #752 | 00:31:08,333 → 00:31:09,791
我这个也来了 看着
📝 한어병음
wǒ zhè gè yě lái liǎo kàn zhe
🇰🇷 한글번역
나도 이거 왔어, 봐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这个 zhè ge 이것 HSK1 也 yě 또한, 역시 HSK2 来 lái 오다 HSK1 看着 kàn zhe 보면서 HSK2

📚 문법
- 也(yě): '또한', '역시'라는 뜻으로, 앞의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 着(zhe):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이나 상태의 지속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여기서는 '보면서'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753 | 00:31:09,791 → 00:31:10,458
不小啊
📝 한어병음
bù xiǎo a
🇰🇷 한글번역
작지 않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HSK1 小 xiǎo 작다 HSK1 啊 a 어기조사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 동의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작지 않다"는 의미를 강조하여 "작지 않구나" 또는 "크구나"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754 | 00:31:10,458 → 00:31:12,333
你看 你看 这是不是叫
📝 한어병음
nǐ kàn nǐ kàn zhè shì bù shì jiào
🇰🇷 한글번역
너 봐, 너 봐, 이게 바로 그거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 kàn 보다 HSK1 是 shì ~이다 HSK1 叫 jiào 부르다 HSK2

📚 문법
是...的: 중국어에서 어떤 사실이나 상태를 강조할 때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형태: 是 + 명사/형용사 + 的 (이것은 ~라고 불린다)
자막 #755 | 00:31:12,333 → 00:31:13,958
略胜一筹
📝 한어병음
lüè shèng yī chóu
🇰🇷 한글번역
조금 더 우세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略 lüè 약간, 조금 HSK4 胜 shèng 이기다, 승리하다 HSK4 一 yī 하나 HSK1 筹 chóu 계획, 수단 HSK6

📚 문법
성어: "略胜一筹"는 중국어 성어로, "조금 더 우세하다" 또는 "약간 더 뛰어나다"는 뜻입니다. 이 표현은 두 대상을 비교할 때, 한쪽이 다른 쪽보다 약간 더 우월하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문법적으로는 주어가 약간 더 우세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자막 #756 | 00:31:13,958 → 00:31:16,500
胜出一大筹来 是不是
📝 한어병음
shèng chū yī dà chóu lái shì bù shì
🇰🇷 한글번역
한 수 앞서 나간 것 아닌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胜出 shèng chū 이기다, 승리하다 HSK5
一大筹 yī dà chóu 큰 차이로
来 lái 오다 HSK1
是 shì ~이다 HSK1
不 bù 아니다 HSK1

📚 문법
정도보어: '胜出一大筹来'에서 '一大筹'은 정도보어로 사용되어 '큰 차이로 이기다'라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형태: 동사 + 정도보어 (그는 큰 차이로 승리했다)
자막 #757 | 00:31:19,125 → 00:31:20,250
你愁不愁
📝 한어병음
nǐ chóu bù chóu
🇰🇷 한글번역
너 걱정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愁 chóu 걱정하다, 근심하다 HSK6 不 bù 아니다 HSK1

📚 문법
A-not-A 질문 형식: 중국어에서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묻는 질문 형식입니다.
형태: 동사 + 不 + 동사 (너는 걱정하니, 걱정하지 않니?)
자막 #758 | 00:31:20,250 → 00:31:21,416
我这地不对
📝 한어병음
wǒ zhè dì bù duì
🇰🇷 한글번역
여기 내 위치가 맞지 않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这 zhè 이, 이곳 HSK1 地 dì 장소, 곳 HSK3 不对 bú duì 맞지 않다, 틀리다 HSK3

📚 문법
"不对"는 "맞지 않다" 또는 "틀리다"라는 의미로, 상태나 상황이 올바르지 않음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이 문장에서 "我这地不对"는 "내가 있는 이곳이 맞지 않다"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759 | 00:31:21,666 → 00:31:22,625
我换个地
📝 한어병음
wǒ huàn gè dì
🇰🇷 한글번역
저는 장소를 바꿀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换 huàn 바꾸다 HSK3 个 gè 개 HSK1 地 dì 장소 HSK2

📚 문법
"换个地"는 "地"가 "地方"의 줄임말로 사용된 구어체 표현입니다. 여기서 "换"은 동사로 "바꾸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个"는 양사로 사용되어 "地"를 수식합니다. 전체적으로 "장소를 바꾸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760 | 00:31:25,250 → 00:31:26,958
得有一斤多啊这个
📝 한어병음
dé yǒu yī jīn duō a zhè gè
🇰🇷 한글번역
이거 1근은 넘겠는데.
🎯 AI 분석 결과
🔍 어휘
得 děi ~해야 한다 HSK3 有 yǒu 있다 HSK1 一斤 yì jīn 500그램 HSK4 多 duō 많다 HSK1 这个 zhè ge 이것 HSK1

📚 문법
정도보어: 문장에서 어떤 상태나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得 + 정도보어 (이것은 500그램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 문장에서 "得有一斤多"는 "이것은 500그램 이상이 되어야 한다"라는 의미로, 물건의 무게를 추측하거나 예상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자막 #761 | 00:31:29,458 → 00:31:30,291
老贾
📝 한어병음
lǎo jiǎ
🇰🇷 한글번역
노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老 lǎo 늙다, 오래되다 HSK2 贾 jiǎ 성씨 (문맥상 이름의 일부로 사용됨)

📚 문법
이름 사용: 중국어에서 "老"는 사람의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존경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老贾"는 "贾"라는 성을 가진 사람을 친근하게 부르는 표현입니다.
자막 #762 | 00:31:31,000 → 00:31:33,083
你钓鱼钓得这么厉害
📝 한어병음
nǐ diào yú diào dé zhè me lì hài
🇰🇷 한글번역
너는 낚시를 정말 잘하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钓鱼 diào yú 낚시하다 HSK4 得 de 정도보어를 연결하는 조사 HSK3 这么 zhème 이렇게 HSK3 厉害 lìhai 대단하다 HSK4

📚 문법
정도보어: 동사나 형용사 뒤에 '得'를 사용하여 동작이나 상태의 정도를 설명합니다.
형태: 동사/형용사 + 得 + 정도 (너는 낚시를 정말 잘한다)
자막 #763 | 00:31:33,083 → 00:31:35,333
你能把你的房车钓上来吗
📝 한어병음
nǐ néng bǎ nǐ de fáng chē diào shàng lái ma
🇰🇷 한글번역
당신의 캠핑카를 끌어올릴 수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把 bǎ 을/를 HSK3 你的 nǐ de 너의 HSK1 房车 fáng chē 캠핑카 HSK5

🔍 어휘
钓 diào 낚다, 끌어올리다 HSK6 上来 shàng lái 올라오다 HSK3 吗 ma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방향보어 (너는 너의 캠핑카를 끌어올릴 수 있니?)

이 문장에서 "把你的房车钓上来"는 '너의 캠핑카를 끌어올리다'라는 동작의 완성을 강조합니다.
자막 #764 | 00:31:35,875 → 00:31:37,083
啥意思啊
📝 한어병음
shá yì sī a
🇰🇷 한글번역
무슨 뜻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啥 shá 무엇, 무슨 HSK5 意思 yì si 의미, 뜻 HSK3

📚 문법
의문문: "啥意思啊"는 "무슨 뜻이야?"라는 의미의 구어체 표현입니다. "啥"는 "什么(shénme)"의 구어체로, "意思"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의문이나 감탄을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자막 #765 | 00:31:42,333 → 00:31:44,166
小万这孩子
📝 한어병음
xiǎo wàn zhè hái zǐ
🇰🇷 한글번역
소완 이 아이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万 wàn 만 (숫자) HSK3 这 zhè 이, 이곳의 HSK1 孩子 hái zi 아이 HSK1

📚 문법
명사구: "小万这孩子"는 "어린 만이라는 아이"라는 의미로, '小万'이 아이의 이름이고 '这孩子'가 그 아이를 지칭하는 명사구입니다. 중국어에서는 이름 앞에 '小'를 붙여 친근함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자막 #766 | 00:31:44,166 → 00:31:45,666
心是好心
📝 한어병음
xīn shì hǎo xīn
🇰🇷 한글번역
마음은 착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心 xīn 마음 HSK2 是 shì ~이다 HSK1 好心 hǎo xīn 선의, 좋은 마음 HSK4

📚 문법
주어 + 是 + 명사: 중국어에서 주어가 무엇인지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예문: 心是好心 (마음은 선의이다)
자막 #767 | 00:31:45,666 → 00:31:47,000
可 那个
📝 한어병음
kě nà gè
🇰🇷 한글번역
그거 괜찮아.
🎯 AI 분석 결과
주어진 문장은 단어가 부족하여 완전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可"와 "那个"의 기본적인 의미를 설명드리겠습니다.

🔍 어휘
可 kě 가능하다, ~할 수 있다 HSK2
那个 nà ge 그, 저 HSK1

📚 문법
- "可"는 주로 가능성을 나타내거나 허락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你可去"는 "너는 갈 수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 "那个"는 특정한 대상을 지칭할 때 사용되며, 영어의 "that"에 해당합니다. 문맥에 따라 특정 사물이나 사람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주어진 문장이 짧아 더 깊은 분석은 어렵지만, 각 단어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자막 #768 | 00:31:47,000 → 00:31:48,250
车坏了
📝 한어병음
chē huài liǎo
🇰🇷 한글번역
차가 고장 났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车 chē 차 HSK1 坏 huài 고장나다 HSK3

📚 문법
주어 + 동사 + 결과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결과보어 (차가 고장났다)

이 문장에서 "车坏了"는 "차가 고장났다"라는 의미로, "坏了"는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보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769 | 00:31:48,583 → 00:31:50,291
饼煎得不错啊
📝 한어병음
bǐng jiān dé bù cuò a
🇰🇷 한글번역
전병이 잘 구워졌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饼 bǐng 전병, 빵 HSK4 煎 jiān 부치다, 지지다 HSK5 得 de 정도보어를 연결하는 조사 HSK3 不错 bù cuò 괜찮다, 좋다 HSK3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강조를 나타냄 HSK2

📚 문법
정도보어: 동작이나 상태의 정도를 설명하는 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得 + 형용사 (전병이 잘 부쳐졌다)

이 문장에서 "煎得不错"는 "부쳐진 정도가 괜찮다"라는 의미로, 전병이 잘 부쳐졌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770 | 00:31:51,250 → 00:31:53,208
叔叔怎么煎了一盘煤
📝 한어병음
shū shū zěn me jiān liǎo yī pán méi
🇰🇷 한글번역
삼촌이 왜 석탄을 한 접시 구웠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煎 jiān (기름에) 지지다, 부치다 HSK5 一盘 yī pán 한 접시 HSK4 煤 méi 석탄 HSK6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이유를 묻는 의문사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怎么 + 동사 + 목적어 (삼촌은 어떻게 한 접시의 석탄을 부쳤나요?)

이 문장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다소 비현실적일 수 있지만, 문맥에 따라 비유적이거나 유머러스한 표현일 수 있습니다.
자막 #771 | 00:31:53,375 → 00:31:54,125
小周
📝 한어병음
xiǎo zhōu
🇰🇷 한글번역
샤오저우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周 zhōu 주, 주위 HSK5

📚 문법
이 문장은 특정한 문법 패턴을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小"는 형용사로서 "작은" 또는 "어린"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周"는 일반적으로 "주" 또는 "주위"를 뜻하지만, 이름이나 별명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小周"는 "어린 주" 또는 "작은 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772 | 00:31:54,583 → 00:31:55,916
这事咋算吧
📝 한어병음
zhè shì zǎ suàn ba
🇰🇷 한글번역
이 일을 어떻게 처리할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事 shì 일 HSK2 咋 zǎ 어떻게 (구어체) 算 suàn 계산하다, 여기다 HSK3 吧 ba ~하자 (제안) HSK1

📚 문법
문장 끝의 '吧'는 제안이나 권유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어떻게 할지 결정하자"라는 제안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773 | 00:31:55,916 → 00:31:57,000
那车坏了
📝 한어병음
nà chē huài liǎo
🇰🇷 한글번역
그 차가 고장 났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 HSK1 车 chē 차, 자동차 HSK1 坏 huài 고장나다, 나쁘다 HSK3

📚 문법
주어 + 동사 + 보어: 이 문장은 주어(那车)와 동사(坏了)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了"는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로, "차가 고장났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774 | 00:31:57,541 → 00:31:58,750
拉修理厂修去不就得了
📝 한어병음
lā xiū lǐ chǎng xiū qù bù jiù dé liǎo
🇰🇷 한글번역
수리점에 가져가서 수리하면 되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拉 lā 끌다, 당기다 HSK3 修理厂 xiū lǐ chǎng 수리 공장 HSK6 修 xiū 수리하다 HSK4 去 qù 가다 HSK1 不就得了 bù jiù dé le ~하면 되지 않겠니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제안하거나 권유하는 명령문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 동사 + 기타 (수리 공장에 가서 수리하면 되지 않겠니)

이 문장에서는 "拉修理厂修去不就得了"라는 구조로, "수리 공장에 가서 수리하면 되지 않겠니"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775 | 00:31:58,750 → 00:32:00,250
这是修的事儿吗
📝 한어병음
zhè shì xiū de shì ér ma
🇰🇷 한글번역
이것이 수리할 일인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修 xiū 수리하다 HSK4 事儿 shìr 일, 사건 HSK3

📚 문법
这是~吗?: 중국어에서 "这是~吗?"는 "이것은 ~입니까?"라는 의미로, 어떤 사물이나 상황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这是 + 명사/구 + 吗? (이것은 수리할 일입니까?)
자막 #776 | 00:32:00,250 → 00:32:01,875
精神也得给我赔偿
📝 한어병음
jīng shén yě dé gěi wǒ péi cháng
🇰🇷 한글번역
정신적 피해 보상도 해줘야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精神 jīng shén 정신 HSK4 也 yě 또한, ~도 HSK1 得 děi ~해야 한다 HSK3 给 gěi ~에게, ~을/를 위해 HSK2 赔偿 péi cháng 배상하다 HSK5

📚 문법
병렬구조: "也"는 앞뒤로 병렬된 두 가지 이상의 내용을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정신"과 "배상"을 연결하여 강조하고 있습니다.
형태: 주어 + 也 + 동사/목적어 (정신도 배상해야 한다)
자막 #777 | 00:32:02,458 → 00:32:04,375
你那修理厂是修货车的
📝 한어병음
nǐ nà xiū lǐ chǎng shì xiū huò chē de
🇰🇷 한글번역
당신의 정비소는 화물차를 수리하는 곳인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那 nà 그, 저 HSK1 修理 xiū lǐ 수리하다 HSK4 厂 chǎng 공장 HSK5 货车 huò chē 화물차 HSK5

📚 문법
是字句: '是'는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주어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 주어 + 是 + 명사구 (너의 수리공장은 화물차를 수리하는 곳이다)

이 문장에서 "你那修理厂是修货车的"는 '너의 수리공장은 화물차를 수리하는 곳이다'라는 의미로, '是'를 사용하여 주어(수리공장)와 그 기능(화물차 수리)을 연결하고 있습니다.
자막 #778 | 00:32:04,375 → 00:32:06,541
人家这是豪华大房车
📝 한어병음
rén jiā zhè shì háo huá dà fáng chē
🇰🇷 한글번역
이건 사람들의 럭셔리 대형 캠핑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人家 rén jiā 다른 사람, 남 HSK4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豪华 háo huá 호화롭다 HSK5 大房车 dà fáng chē 대형 캠핑카 (비표준어)

📚 문법
这是句형: 중국어에서 '이것은 ~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기본적인 주어-술어 문장입니다.
형태: 这 + 是 + 명사 (이것은 대형 캠핑카이다)
자막 #779 | 00:32:06,541 → 00:32:07,583
智能的
📝 한어병음
zhì néng de
🇰🇷 한글번역
스마트한
🎯 AI 분석 결과
🔍 어휘
智 zhì 지혜 HSK6 能 néng 능력 HSK2 的 de ~의 (구조조사) HSK1

📚 문법
定语 구조: '的'는 앞의 형용사나 명사가 뒤의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 형용사/명사 + 的 + 명사 (지혜로운 능력)

'智能的'는 '지능적인' 또는 '스마트한'이라는 뜻으로, '的'가 '智能'을 수식하여 특정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780 | 00:32:07,583 → 00:32:09,250
你再给人修弱智了呢
📝 한어병음
nǐ zài gěi rén xiū ruò zhì liǎo ne
🇰🇷 한글번역
너 또 사람들한테 멍청하다고 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再 zài 다시, 또 HSK3 给 gěi 주다, ~에게 HSK2 人 rén 사람 HSK1 修 xiū 고치다, 수리하다 HSK4 弱智 ruòzhì 지능이 낮다, 지능 장애

📚 문법
- "再"의 사용: "再"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의 반복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다시"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给"의 사용: "给"는 동작의 대상을 나타내며, "~에게"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给人"으로 "사람에게"라는 뜻입니다.
자막 #781 | 00:32:09,250 → 00:32:11,333
我是说这不是修的事儿
📝 한어병음
wǒ shì shuō zhè bù shì xiū de shì ér
🇰🇷 한글번역
내 말은 이건 수리할 문제가 아니라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是 shì ~이다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这 zhè 이것 HSK1 不是 bù shì ~이 아니다 HSK1 修 xiū 수리하다 HSK4 事儿 shìr 일, 사건 HSK3

📚 문법
- 是...的: 과거의 특정한 행동이나 사건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这不是修的事儿"에서 "不是"와 함께 사용되어, "이것은 수리할 일이 아니다"라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 这: 지시대명사로, 문장에서 특정한 사물이나 상황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이것"이라는 뜻입니다.
자막 #782 | 00:32:11,333 → 00:32:13,291
是 你这是修的事吗
📝 한어병음
shì nǐ zhè shì xiū de shì ma
🇰🇷 한글번역
이것이 당신이 수리한 것인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것 HSK1 修 xiū 수리하다, 고치다 HSK4 事 shì 일 HSK2

📚 문법
这是: "이것은 ~이다"라는 의미로,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설명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这是 + 명사/구 (이것은 ~이다)

吗: 의문문을 만들 때 문장 끝에 붙이는 조사로,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바꿉니다.
형태: 평서문 + 吗? (의문문)
자막 #783 | 00:32:13,625 → 00:32:14,750
小万啊 来
📝 한어병음
xiǎo wàn a lái
🇰🇷 한글번역
소완아, 이리 와.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친근하게 부르는 호칭 HSK1 万 wàn 만, 이름에서 사용됨 HSK3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호칭과 동사: "小万啊 来"는 친근하게 누군가를 부르며 "오다"라는 동작을 요청하는 문장입니다. "小"는 친근함을 나타내며, "啊"는 부드러운 어감을 더해줍니다.
자막 #784 | 00:32:16,291 → 00:32:17,666
你看看人家贾主任
📝 한어병음
nǐ kàn kàn rén jiā jiǎ zhǔ rèn
🇰🇷 한글번역
너도 가 주임 좀 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看 kàn kàn 보다 (한번 보세요) HSK1 人家 rén jiā 다른 사람, 남 HSK4 贾主任 Jiǎ zhǔ rèn 가 주임 (고유명사)

📚 문법
- 동사 중첩: "看看"는 동사의 중첩 형태로,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경우 "한번 보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人家": 여기서는 "다른 사람" 또는 "남"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비교나 예시를 들 때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785 | 00:32:17,666 → 00:32:19,500
贾主任这心胸多宽广啊
📝 한어병음
jiǎ zhǔ rèn zhè xīn xiōng duō kuān guǎng a
🇰🇷 한글번역
가 주임님은 정말 마음이 넓으시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贾 jiǎ 성(姓) - 일반적으로 성씨로 사용됨 主任 zhǔ rèn 주임, 책임자 HSK5 心胸 xīn xiōng 마음, 도량 HSK6 多 duō 얼마나, 매우 HSK1 宽广 kuān guǎng 넓다, 너그럽다 HSK6

📚 문법
감탄문: 감탄을 나타내는 문장으로, 주로 "多"를 사용하여 감탄의 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주어 + 多 + 형용사 + 啊 (贾主任这心胸多宽广啊 - 주임의 마음이 얼마나 넓은가!)
자막 #786 | 00:32:19,500 → 00:32:21,583
人家就想要一个真诚的道歉
📝 한어병음
rén jiā jiù xiǎng yào yī gè zhēn chéng de dào qiàn
🇰🇷 한글번역
그 사람은 진심 어린 사과를 원할 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人家 rén jiā 사람, 남 HSK4 想要 xiǎng yào 원하다, 바라다 HSK3 一个 yī gè 하나의 HSK1 真诚 zhēn chéng 진실한, 진정한 HSK5 道歉 dào qiàn 사과하다 HSK4

📚 문법
명사구: "一个真诚的道歉"은 '하나의 진실한 사과'라는 뜻으로, 수량사 "一个"와 형용사 "真诚的"가 명사 "道歉"을 수식하는 구조입니다.
형태: 수량사 + 형용사 + 명사 (하나의 진실한 사과)
자막 #787 | 00:32:22,208 → 00:32:22,875
不是
📝 한어병음
bù shì
🇰🇷 한글번역
아니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HSK1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부정문: "不是"는 "아니다"라는 의미로, 주어가 어떤 상태나 사실이 아님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명사/형용사 (예: 그는 학생이 아니다)
자막 #788 | 00:32:22,875 → 00:32:24,333
-对不起叔叔 -谢谢贾主任
📝 한어병음
- duì bù qǐ shū shū - xiè xiè jiǎ zhǔ rèn
🇰🇷 한글번역
- 죄송합니다, 아저씨 - 감사합니다, 가 주임님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不起 duìbuqǐ 미안합니다 HSK2 叔叔 shūshu 아저씨, 삼촌 HSK2 谢谢 xièxie 감사합니다 HSK1 主任 zhǔrèn 주임 HSK4

📚 문법
- 호칭과 인사: 중국어에서는 상대방의 직책이나 관계를 나타내는 호칭을 자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叔叔"는 친근한 관계에서 어른 남성을 부를 때 사용하고, "主任"은 직책을 나타내며 존중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대화의 흐름: "对不起"와 "谢谢"는 각각 사과와 감사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대화의 시작이나 끝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789 | 00:32:24,333 → 00:32:26,250
-谢谢贾主任 -对不起叔叔
📝 한어병음
- xiè xiè jiǎ zhǔ rèn - duì bù qǐ shū shū
🇰🇷 한글번역
- 감사합니다, 가 주임님 - 죄송해요,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谢谢 xièxiè 감사합니다 HSK1 主任 zhǔrèn 주임, 책임자 HSK4 对不起 duìbuqǐ 미안합니다 HSK1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 "谢谢"와 "对不起"는 일상적인 감사와 사과를 표현하는 기본적인 표현입니다.
- "谢谢 + 대상" 형태로 감사의 대상을 명시할 수 있습니다. 예: 谢谢贾主任 (가 주임님 감사합니다)
- "对不起"는 사과의 기본 표현으로, 상대방에게 미안함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790 | 00:32:26,666 → 00:32:27,583
📝 한어병음
chè
🇰🇷 한글번역
철회
🎯 AI 분석 결과
🔍 어휘
撤 chè 철수하다, 철회하다 HSK6

📚 문법
철수하다 또는 철회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동사입니다. 주로 어떤 계획이나 행동을 중단하거나 물러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撤退"는 "철수하다"라는 뜻으로 군대나 조직이 물러날 때 사용됩니다.
자막 #791 | 00:32:28,125 → 00:32:29,458
你俩给我站住
📝 한어병음
nǐ liǎ gěi wǒ zhàn zhù
🇰🇷 한글번역
너희 둘 거기 서!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给 gěi ~에게 HSK2 我 wǒ 나 HSK1 站住 zhàn zhù 멈추다, 서다 HSK5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보어 (서라, 멈춰라)
이 문장에서 "站住"는 "멈추다"라는 명령을 나타냅니다. "你俩给我站住"는 "너희 둘, 나에게 멈춰라"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즉시 행동을 멈추라는 강한 요청을 나타냅니다.
자막 #792 | 00:32:29,458 → 00:32:31,583
太不负责任了你们 让不让人笑话
📝 한어병음
tài bù fù zé rèn liǎo nǐ men ràng bù ràng rén xiào huà
🇰🇷 한글번역
너무 무책임하네요. 사람들 웃음거리로 만들 작정인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太 tài 너무 HSK2 不 bù 아니다 HSK1 负责任 fù zérèn 책임을 지다 HSK4 让 ràng 하게 하다 HSK2 笑话 xiàohuà 웃음거리 HSK4

📚 문법
1. 太 + 형용사/부사: "너무 ~하다"라는 의미로, 정도가 지나침을 나타냅니다. (예: 太不负责任了 - 너무 무책임하다)
2. 让 + 주어 + 동사: "~하게 하다"라는 의미로, 허락이나 명령을 나타냅니다. (예: 让不让人笑话 - 사람들을 웃음거리로 만들다)
자막 #793 | 00:32:31,875 → 00:32:33,166
这么贵个房车
📝 한어병음
zhè me guì gè fáng chē
🇰🇷 한글번역
이렇게 비싼 캠핑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么 zhème 이렇게, 이처럼 HSK3
贵 guì 비싸다 HSK2
个 gè 개 (양사) HSK1
房车 fángchē 캠핑카, 카라반 (비HSK)

📚 문법
정도부사: "这么"는 정도를 강조하는 부사로, 뒤에 형용사가 와서 그 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这么 + 형용사 (이렇게 비싸다)

양사 사용: "个"는 일반적인 사물에 사용되는 양사로, 여기서는 "房车"를 수량화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794 | 00:32:33,166 → 00:32:34,916
开个玩笑就能过去了这事
📝 한어병음
kāi gè wán xiào jiù néng guò qù liǎo zhè shì
🇰🇷 한글번역
농담으로 넘길 수 있는 일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开 kāi 열다, 시작하다 HSK1 玩笑 wán xiào 농담 HSK4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过去 guò qù 지나가다 HSK3 事 shì 일, 사건 HSK2

📚 문법
"就"의 사용: 여기서 "就"는 어떤 일이 쉽게 이루어짐을 나타내며, "단지 ~만으로도"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문장 구조: 동사 + 就 + 결과 (농담을 하면 이 일이 지나갈 수 있다)
자막 #795 | 00:32:36,916 → 00:32:37,916
老贾啊
📝 한어병음
lǎo jiǎ a
🇰🇷 한글번역
노가야
🎯 AI 분석 결과
주어진 문장은 "老贾啊"입니다. 이 문장은 분석할 수 있는 어휘나 문법 요소가 많지 않지만, 가능한 분석을 제공하겠습니다.

🔍 어휘
老 lǎo 늙다, 오래된 HSK2 贾 jiǎ 성(姓) - 고유명사

📚 문법
호칭: "老"는 사람의 성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존경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老贾"는 "贾"라는 성을 가진 사람을 친근하게 부르는 방식입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여 감탄이나 친근함을 더하는 어기조사입니다.
자막 #796 | 00:32:38,333 → 00:32:39,791
车这事我说的算
📝 한어병음
chē zhè shì wǒ shuō de suàn
🇰🇷 한글번역
차에 관한 일은 내가 결정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车 chē 차, 자동차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事 shì 일, 사건 HSK2 我 wǒ 나, 저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算 suàn 계산하다, 여기다 HSK4

📚 문법
주어 + 说了算: 이 표현은 "주어가 결정권을 가진다"는 의미로, 어떤 일에 대해 주어가 최종적인 결정권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예문: 车这事我说的算 (이 차에 관한 일은 내가 결정한다)
자막 #797 | 00:32:40,458 → 00:32:42,333
实在不行啊 这车
📝 한어병음
shí zài bù xíng a zhè chē
🇰🇷 한글번역
정말 안 되겠네, 이 차.
🎯 AI 분석 결과
🔍 어휘
实在 shí zài 정말로, 참으로 HSK4 不行 bù xíng 안 되다, 좋지 않다 HSK3 这 zhè 이, 이것 HSK1 车 chē 차, 차량 HSK1

📚 문법
부정문: '不行'은 어떤 것이 불가능하거나 좋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부정 표현입니다.
형태: 주어 + 实在 + 不行 (정말로 안 된다)
자막 #798 | 00:32:42,791 → 00:32:44,375
我就捎带脚帮你扔了吧
📝 한어병음
wǒ jiù shāo dài jiǎo bāng nǐ rēng liǎo ba
🇰🇷 한글번역
내가 가는 김에 버려줄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就 jiù 곧, 즉시 HSK2 捎带脚 shāo dài jiǎo 겸사겸사 (비공식 표현) 帮 bāng 돕다 HSK2 扔 rēng 버리다 HSK4

📚 문법
- 捎带脚: 이 표현은 구어체로, '겸사겸사'라는 뜻입니다. 어떤 일을 하면서 다른 일을 동시에 처리할 때 사용됩니다.
- 把字句: 이 문장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扔了(버리다)는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了'가 사용되어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799 | 00:32:44,375 → 00:32:45,625
你瞅着也闹心
📝 한어병음
nǐ chǒu zhe yě nào xīn
🇰🇷 한글번역
너를 보면 마음이 불편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瞅 chǒu 보다, 쳐다보다 (HSK 비급수) 也 yě 또한 HSK1 闹心 nào xīn 마음이 불편하다, 속상하다 (HSK 비급수)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이 문장은 주어(你)가 동사(瞅着)를 통해 감정 상태(闹心)를 표현하는 구조입니다. "너는 그것을 보면 마음이 불편하다"라는 의미로, 감정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자막 #800 | 00:32:48,791 → 00:32:49,458
不是
📝 한어병음
bù shì
🇰🇷 한글번역
아니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HSK1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부정문: "不是"는 "아니다"라는 뜻으로, 주어가 어떤 상태나 사실이 아님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명사/형용사 (예: 他不是学生 - 그는 학생이 아니다)
자막 #801 | 00:32:49,458 → 00:32:51,583
你总得给我找个拖车吧你
📝 한어병음
nǐ zǒng dé gěi wǒ zhǎo gè tuō chē ba nǐ
🇰🇷 한글번역
당신은 나에게 견인차를 찾아줘야 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总得 zǒngděi 반드시, 꼭 HSK4 给 gěi 주다 HSK2 找 zhǎo 찾다 HSK2 拖车 tuōchē 견인차, 트레일러 HSK6

📚 문법
1. 总得: "总得"는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지며, 필수적인 행동이나 상황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예: 你总得给我找个拖车吧 (너는 반드시 나에게 견인차를 찾아줘야 해)

2. 吧: 문장 끝에 사용되어 제안이나 명령, 추측을 부드럽게 표현합니다.
예: 找个拖车吧 (견인차를 찾아줘)
자막 #802 | 00:32:51,583 → 00:32:52,666
逗你呢 老贾
📝 한어병음
dòu nǐ ne lǎo jiǎ
🇰🇷 한글번역
농담이야, 노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逗 dòu 놀리다, 장난치다 HSK4 你 nǐ 너 HSK1 呢 ne ~하고 있다 (진행형) HSK1 老 lǎo 늙다, 나이든 HSK3 贾 Jiǎ (성씨)

📚 문법
- 진행형: 呢는 문장 끝에 위치하여 동작이나 상태가 진행 중임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逗你呢"는 "너를 놀리고 있어"라는 뜻입니다.
- 호칭: "老"는 사람의 성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존경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老贾"로, "贾씨"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803 | 00:32:52,666 → 00:32:54,041
媳妇把修车钱给他转过去
📝 한어병음
xí fù bǎ xiū chē qián gěi tā zhuǎn guò qù
🇰🇷 한글번역
아내가 그에게 수리비를 송금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媳妇 xífù 아내, 부인 HSK5 把 bǎ 을/를 HSK3 修车 xiū chē 차를 수리하다 HSK5 钱 qián 돈 HSK1 给 gěi 주다 HSK2 转 zhuǎn 송금하다, 보내다 HSK4 过去 guòqù 가다 HSK3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아내가 차 수리비를 그에게 송금했다)

이 문장에서 "把"는 "修车钱"이라는 목적어가 "转过去"라는 동작을 통해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강조합니다.
자막 #804 | 00:32:54,041 → 00:32:54,791
批准
📝 한어병음
pī zhǔn
🇰🇷 한글번역
승인
🎯 AI 분석 결과
🔍 어휘
批准 pī zhǔn 승인하다, 허가하다 HSK5

📚 문법
'批准'은 동사로, 어떤 요청이나 계획을 공식적으로 허가하거나 승인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상급자나 권한을 가진 사람이 하급자나 신청자의 요청을 승인할 때 사용됩니다. 문장에서 주어가 '批准'의 주체가 되며, 목적어는 승인받는 대상이 됩니다. 예를 들어, "经理批准了我的假期" (매니저가 내 휴가를 승인했다)에서 '批准'은 '승인하다'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805 | 00:32:54,791 → 00:32:55,875
走走走
📝 한어병음
zǒu zǒu zǒu
🇰🇷 한글번역
가자 가자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걷다, 가다 HSK1

📚 문법
중첩 동사: 중국어에서 동사를 중첩하여 사용하면 동작의 가벼움을 나타내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가집니다.
형태: 동사 + 동사 (예: 走走走 - 가볍게 걸어보자)
자막 #806 | 00:32:56,541 → 00:32:58,125
快点的 跟上 跟上
📝 한어병음
kuài diǎn de gēn shàng gēn shàng
🇰🇷 한글번역
빨리 와, 따라와, 따라와.
🎯 AI 분석 결과
🔍 어휘
快点 kuài diǎn 빨리 HSK2 跟上 gēn shàng 따라가다, 따라붙다 HSK4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동사 앞에 '快点'을 사용하여 '빨리'라는 의미를 더합니다.
형태: 快点 + 동사 (빨리 따라와)
자막 #807 | 00:33:15,666 → 00:33:16,416
📝 한어병음
🇰🇷 한글번역
엄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妈 mā 엄마 HSK1

📚 문법
이 단어는 주로 가족을 부를 때 사용되는 명사입니다. 간단한 형태로, 문법적인 복잡성은 없지만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808 | 00:33:16,416 → 00:33:17,541
今天要不是你啊
📝 한어병음
jīn tiān yào bù shì nǐ a
🇰🇷 한글번역
오늘 너 아니었으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今天 jīntiān 오늘 HSK1 要不是 yàobúshì ~이 아니었다면 HSK5 你 nǐ 너 HSK1 啊 a 어조사 HSK1

📚 문법
假设句: 가정문으로, 어떤 상황이 사실이 아니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말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要不是 + 원인/상황 + 결과 (오늘 너가 아니었다면)
자막 #809 | 00:33:17,541 → 00:33:19,333
小万可就倒霉了
📝 한어병음
xiǎo wàn kě jiù dǎo méi liǎo
🇰🇷 한글번역
소완은 정말 재수가 없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万 wàn 만, 이름에서 사용될 수 있음
可 kě 정말로, 참으로 (강조)
倒霉 dǎo méi 재수 없다, 운이 나쁘다 HSK5

📚 문법
정도부사: "可"는 여기서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어, "정말로" 또는 "참으로"의 뜻을 가집니다. 주로 감정이나 상태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他可高兴了 (그는 정말로 기뻐했다)
자막 #810 | 00:33:19,333 → 00:33:20,541
妈真厉害
📝 한어병음
mā zhēn lì hài
🇰🇷 한글번역
엄마 정말 대단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妈 mā 엄마 HSK1 真 zhēn 정말로 HSK2 厉害 lì hài 대단하다, 뛰어나다 HSK4

📚 문법
형용사 강조: "真"은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그 형용사의 정도를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 真 + 형용사 (엄마는 정말로 대단하다)
자막 #811 | 00:33:23,458 → 00:33:25,416
还是你厉害啊 闺女
📝 한어병음
hái shì nǐ lì hài a guī nǚ
🇰🇷 한글번역
역시 너가 대단해, 딸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是 hái shì 여전히, 역시 HSK3
你 nǐ 너 HSK1
厉害 lì hai 대단하다, 뛰어나다 HSK4
闺女 guī nǚ 딸 (구어체) HSK6

📚 문법
감탄문: 감탄을 나타내는 문장으로, 주로 칭찬이나 놀라움을 표현합니다.
형태: 주어 + 형용사 + 啊 (너는 정말 대단하구나, 딸아)
자막 #812 | 00:33:25,416 → 00:33:27,166
都敢纹身了
📝 한어병음
dōu gǎn wén shēn liǎo
🇰🇷 한글번역
문신까지 했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다 HSK1
敢 gǎn 감히 ~하다 HSK4
纹身 wén shēn 문신하다, 타투하다 (일반 어휘)
了 le ~했다 (동작의 완료) HSK1

📚 문법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문법 구조입니다.
예문에서 "纹身了"는 "문신을 했다"라는 완료된 동작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了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강조)
자막 #813 | 00:33:28,916 → 00:33:30,375
这能洗掉
📝 한어병음
zhè néng xǐ diào
🇰🇷 한글번역
이거 지울 수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洗 xǐ 씻다 HSK2 掉 diào 떨어지다, 없애다 HSK4

📚 문법
가능보어: 동사 뒤에 보어를 붙여 어떤 행동이 가능함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得/不 + 보어 (씻어낼 수 있다/없다)

이 문장에서 "洗掉"는 "씻어내다"라는 의미로, "能"과 함께 사용되어 "씻어낼 수 있다"라는 가능성을 표현합니다.
자막 #814 | 00:33:30,375 → 00:33:31,791
但是我不洗啊
📝 한어병음
dàn shì wǒ bù xǐ a
🇰🇷 한글번역
하지만 나는 씻지 않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但是 dàn shì 그러나 HSK3 我 wǒ 나 HSK1 不 bù 아니다 HSK1 洗 xǐ 씻다 HSK2 啊 a 어기조사 HSK1

📚 문법
否定문: "不"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나는 씻지 않는다)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정을 강조하거나 설명을 덧붙이는 역할을 합니다. (나는 씻지 않는다니까)
자막 #815 | 00:33:33,541 → 00:33:35,500
你啊 你就皮吧啊
📝 한어병음
nǐ a nǐ jiù pí ba a
🇰🇷 한글번역
너 정말 장난꾸러기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皮 pí 장난스럽다, 까불다 (일반적인 표현)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직접적으로 말을 걸며, 장난스럽거나 까불지 말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你就皮吧"는 상대방이 계속해서 장난을 치거나 까불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吧"는 제안이나 명령을 부드럽게 만드는 어기를 나타냅니다.
자막 #816 | 00:33:35,500 → 00:33:36,666
你别让你爸看见
📝 한어병음
nǐ bié ràng nǐ bà kàn jiàn
🇰🇷 한글번역
너 아빠가 못 보게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别 bié ~하지 마라 HSK2 让 ràng ~하게 하다 HSK3 爸 bà 아빠 HSK1 看见 kàn jiàn 보다, 보이다 HSK2

📚 문법
사역문: '让'은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거나 허락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형태: 让 + 사람 + 동사 (너의 아빠가 보지 못하게 해라)

부정명령문: '别'은 명령이나 권유를 부정하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보지 마라)
자막 #817 | 00:33:36,666 → 00:33:38,166
看见又得跟你急
📝 한어병음
kàn jiàn yòu dé gēn nǐ jí
🇰🇷 한글번역
보면 또 너랑 싸워야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看见 kàn jiàn 보다, 보이다 HSK2 又 yòu 또, 다시 HSK2 得 děi 해야 한다 HSK3 跟 gēn ~와/과 HSK1 急 jí 화내다, 급하다 HSK4

📚 문법
- 又字句: "又"는 반복이나 추가적인 행동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또"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반복된 행동이나 상황을 강조합니다.
- 得字句: "得"는 필요성이나 의무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해야 한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어떤 행동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자막 #818 | 00:33:38,166 → 00:33:39,083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는 매우 다양하며, 각 명사는 특정한 가족 관계를 정확하게 나타냅니다.
자막 #819 | 00:33:39,083 → 00:33:41,041
我把修房车的钱转给阿姨了
📝 한어병음
wǒ bǎ xiū fáng chē de qián zhuǎn gěi ā yí liǎo
🇰🇷 한글번역
저는 아줌마에게 캠핑카 수리비를 송금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把 bǎ 을/를 HSK3 修 xiū 수리하다 HSK4 房车 fáng chē 캠핑카 HSK6 钱 qián 돈 HSK1

转 zhuǎn 보내다 HSK4 给 gěi ~에게 HSK2 阿姨 ā yí 이모, 아줌마 HSK3 了 le ~했다 (완료) HSK1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나는 캠핑카 수리비를 이모에게 보냈다)

了: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820 | 00:33:41,041 → 00:33:42,000
这事儿赖我
📝 한어병음
zhè shì ér lài wǒ
🇰🇷 한글번역
이 일은 내 탓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事儿 shìr 일, 사건 HSK3 赖 lài 탓하다, 책임지다 HSK6 我 wǒ 나 HSK1

📚 문법
주어 + 谓语: 중국어에서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기본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주어 + 서술어 (이것은 나의 책임이다)
자막 #821 | 00:33:42,000 → 00:33:42,916
我负责到底
📝 한어병음
wǒ fù zé dào dǐ
🇰🇷 한글번역
제가 끝까지 책임지겠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负责 fùzé 책임지다 HSK4 到底 dàodǐ 끝까지, 마침내 HSK4

📚 문법
동사 + 到底: "끝까지 ~하다"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책임을 끝까지 수행하겠다는 결심이나 의지를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到底 (나는 끝까지 책임진다)
자막 #822 | 00:33:42,916 → 00:33:43,958
先不提这个
📝 한어병음
xiān bù tí zhè gè
🇰🇷 한글번역
일단 이 얘기는 하지 말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先 xiān 먼저 HSK2 不 bù 아니다 HSK1 提 tí 언급하다 HSK4 这个 zhè ge 이것 HSK1

📚 문법
"先...": 어떤 행동을 먼저 하겠다는 의미로, '우선' 또는 '먼저'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不提": '언급하지 않다'라는 의미로, 어떤 주제나 내용을 일단 논의하지 않겠다는 뜻입니다.
자막 #823 | 00:33:44,291 → 00:33:45,666
刚才房车这事
📝 한어병음
gāng cái fáng chē zhè shì
🇰🇷 한글번역
아까 캠핑카 일
🎯 AI 분석 결과
🔍 어휘
刚才 gāngcái 방금, 조금 전 HSK3 房车 fángchē 캠핑카, RV HSK6 这 zhè 이, 이것 HSK1 事 shì 일, 사건 HSK2

📚 문법
명사구: "刚才房车这事"는 "방금 캠핑카에 관한 이 일"이라는 의미로, 명사와 대명사가 결합하여 특정 사건이나 상황을 지칭합니다. "刚才"는 시간 부사로, 최근의 과거를 나타내며, "这事"는 특정한 사건이나 일을 가리킵니다.
자막 #824 | 00:33:46,583 → 00:33:48,000
你是故意的吧
📝 한어병음
nǐ shì gù yì de ba
🇰🇷 한글번역
너 일부러 그런 거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是 shì 이다 HSK1 故意 gù yì 고의로 HSK4 的 de ~의 HSK1 吧 ba ~지? (추측) HSK2

📚 문법
吧 (ba) 조사: 문장 끝에 쓰여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상대방의 의도를 추측하여 "고의로 한 거지?"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825 | 00:33:48,000 → 00:33:49,250
叔叔 对不起
📝 한어병음
shū shū duì bù qǐ
🇰🇷 한글번역
삼촌, 미안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对不起 duìbuqǐ 미안합니다 HSK1

📚 문법
- "对不起"는 사과할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상대방에게 미안함을 전할 때 사용합니다.
- 이 문장은 간단한 사과의 표현으로, "삼촌, 미안합니다"라는 뜻입니다.
자막 #826 | 00:33:49,250 → 00:33:50,583
我 我真不是故意的
📝 한어병음
wǒ wǒ zhēn bù shì gù yì de
🇰🇷 한글번역
나 정말 일부러 그런 게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真 zhēn 정말로 HSK2 不是 bù shì 아니다 HSK1 故意 gù yì 고의로 HSK4

📚 문법
부정문: "不是"는 "아니다"라는 뜻으로, 주어가 어떤 상태나 사실을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명사/형용사/동사 (나는 고의가 아니다)
자막 #827 | 00:33:50,583 → 00:33:51,583
还不是故意的
📝 한어병음
hái bù shì gù yì de
🇰🇷 한글번역
일부러 그런 건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아직, 여전히 HSK2 不 bù 아니다 HSK1 是 shì 이다 HSK1 故意 gù yì 고의로 HSK4 的 de ~의 (관형어 뒤에 쓰여 수식 관계를 나타냄) HSK1

📚 문법
부정문: '不是'는 '아니다'라는 뜻으로, 어떤 사실이나 상태를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故意的'를 부정하여 '고의가 아니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828 | 00:33:51,583 → 00:33:54,500
但凡是个正常人谁能把车开湖里去
📝 한어병음
dàn fán shì gè zhèng cháng rén shuí néng bǎ chē kāi hú lǐ qù
🇰🇷 한글번역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누가 차를 호수에 몰고 가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但凡 dàn fán 무릇, 대개 (일반적으로) 正常 zhèng cháng 정상적인 HSK4 人 rén 사람 HSK1 谁 shéi 누가 HSK2 车 chē 차 HSK1

把 bǎ 을/를 HSK3 开 kāi 운전하다 HSK1 湖 hú 호수 HSK5 里 lǐ 안 HSK1 去 qù 가다 HSK1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방향보어 (차를 호수 안으로 몰고 가다)

이 문장은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누가 차를 호수 안으로 몰고 가겠는가?"라는 의미로, 일반적인 상식을 벗어난 행동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829 | 00:33:57,916 → 00:33:59,250
你看出来
📝 한어병음
nǐ kàn chū lái
🇰🇷 한글번역
너 알아차렸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 kàn 보다 HSK1 出来 chū lái 나오다, 드러나다 HSK3

📚 문법
결과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结果补语 (보다 + 드러나다 = 알아보다)
"看出来"는 "알아보다" 또는 "식별하다"라는 의미로, 어떤 것을 보고 그 의미나 본질을 이해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830 | 00:33:59,250 → 00:34:01,708
我和老贾不对付了是不是
📝 한어병음
wǒ hé lǎo jiǎ bù duì fù liǎo shì bù shì
🇰🇷 한글번역
나와 라오자 사이가 틀어진 건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和 hé 그리고, ~와 HSK1 老 lǎo 늙다, 오래된 HSK3 贾 jiǎ 성씨 (문맥상 이름) 不对付 bù duìfu 사이가 좋지 않다 (HSK 비해당)

📚 문법
A和B: 두 사람 또는 사물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접속사입니다. (나와 노자)
不对付: 구어체 표현으로, 두 사람 간의 관계가 좋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인 HSK 시험 범위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831 | 00:34:05,500 → 00:34:08,416
我是真没想到你还挺有眼力见
📝 한어병음
wǒ shì zhēn méi xiǎng dào nǐ hái tǐng yǒu yǎn lì jiàn
🇰🇷 한글번역
정말 네가 이렇게 눈치가 빠를 줄은 몰랐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真 zhēn 정말로 HSK2 没想到 méi xiǎngdào 예상하지 못하다 HSK4 你 nǐ 너 HSK1 挺 tǐng 꽤 HSK4

有 yǒu 있다 HSK1 眼力见 yǎnlìjiàn 안목, 통찰력 (HSK 비급수)

📚 문법
1. 强调句: "我是真没想到"에서 "真"은 '정말로'라는 의미로, 화자의 놀라움이나 감정을 강조합니다.
2. 口语表达: "眼力见"은 일상적인 구어체 표현으로, 누군가의 통찰력이나 상황 판단 능력을 칭찬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832 | 00:34:09,708 → 00:34:11,166
这招声东击西
📝 한어병음
zhè zhāo shēng dōng jī xī
🇰🇷 한글번역
이것은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을 치는 전략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招 zhāo 방법, 수단 HSK4 声东击西 shēng dōng jī xī 성동격서 (전략)

📚 문법
성어: "声东击西"는 중국어의 성어로,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을 공격하다"라는 뜻입니다. 이는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려 실제 목표를 감추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주로 전술이나 전략적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자막 #833 | 00:34:11,166 → 00:34:12,458
可谓妙哉
📝 한어병음
kě wèi miào zāi
🇰🇷 한글번역
정말 훌륭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可谓 kě wèi ~라고 할 수 있다 HSK6 妙 miào 훌륭하다, 묘하다 HSK5 哉 zāi 감탄을 나타내는 어조사 HSK6

📚 문법
감탄문: 감탄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로 형용사나 감탄사를 사용하여 감정을 강조합니다. (정말 훌륭하다고 할 수 있다)
자막 #834 | 00:34:14,125 → 00:34:16,041
果然没白跟我待两天
📝 한어병음
guǒ rán méi bái gēn wǒ dài liǎng tiān
🇰🇷 한글번역
역시 나와 이틀을 함께 보낸 보람이 있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果然 guǒ rán 과연 HSK4 没 méi ~하지 않았다 HSK1 白 bái 헛되이, 보람 없이 HSK4 跟 gēn ~와 함께 HSK2 待 dài 머물다 HSK4 两 liǎng 둘 HSK1 天 tiān 날 HSK1

📚 문법
결과보어: '没白'는 '헛되지 않았다'라는 의미로, 동작의 결과가 기대에 부합했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没 + 白 + 동사 (헛되이 ~하지 않았다)

이 문장은 "과연 나와 함께 이틀을 보낸 것이 헛되지 않았다"라는 의미로, 상대방이 이틀 동안 함께 하면서 배운 것이나 얻은 것이 있음을 강조합니다.
자막 #835 | 00:34:16,041 → 00:34:17,583
成熟了不少啊
📝 한어병음
chéng shú liǎo bù shǎo a
🇰🇷 한글번역
많이 성숙해졌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成熟 chéng shú 성숙하다, 익다 HSK4 了 le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 표시 HSK1 不少 bù shǎo 적지 않다, 꽤 많다 HSK3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강조를 나타냄 HSK2

📚 문법
了: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여기서는 "성숙해졌다"라는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형용사 + 了 (성숙해졌다)

不少: "적지 않다"라는 의미로, 양이나 정도가 많음을 강조합니다. 여기서는 "많이 성숙해졌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836 | 00:34:18,333 → 00:34:19,125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근한 어른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837 | 00:34:19,666 → 00:34:21,500
你跟这大哥是
📝 한어병음
nǐ gēn zhè dà gē shì
🇰🇷 한글번역
너 이 형이랑은 무슨 사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跟 gēn ~와/과 HSK2 这 zhè 이 HSK1 大哥 dà gē 형, 오빠 HSK3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주어 + 跟 + 명사 + 是: 이 문장은 주어가 특정 인물과의 관계를 묻거나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너와 이 형은"이라는 의미로, 뒤에 관계를 설명하는 부분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막 #838 | 00:34:21,958 → 00:34:23,333
这个老贾吧
📝 한어병음
zhè gè lǎo jiǎ ba
🇰🇷 한글번역
이 노자 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个 zhè ge 이것 HSK1 老 lǎo 늙은, 오래된 HSK3 贾 Jiǎ (성씨) 고유명사

📚 문법
명사구: "这个老贾"는 특정 인물이나 사물을 지칭하는 명사구입니다. 여기서 "老贾"는 사람의 성씨로, "이 사람" 또는 "이 분"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吧"는 문장의 끝에 사용되어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냅니다.
자막 #839 | 00:34:23,333 → 00:34:25,500
当初我和你阿姨刚创业的时候
📝 한어병음
dāng chū wǒ hé nǐ ā yí gāng chuàng yè de shí hòu
🇰🇷 한글번역
처음에 나와 너의 이모가 막 창업했을 때
🎯 AI 분석 결과
🔍 어휘
当初 dāng chū 처음에, 당초에 HSK5 和 hé 그리고, ~와/과 HSK1 你 nǐ 너 HSK1 阿姨 ā yí 이모, 아줌마 HSK3 刚 gāng 막, 방금 HSK3

📚 문법
시간 표현: "当初"는 과거의 특정 시점을 나타내며, "처음에" 또는 "당초에"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병렬 구조: "和"는 두 개 이상의 대상을 연결할 때 사용되며, "~와/과"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문장에서는 "我"와 "你阿姨"를 연결합니다.
동사 + 的: "刚"은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이 막 이루어졌음을 나타냅니다. "刚创业的时候"는 "막 창업했을 때"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840 | 00:34:25,500 → 00:34:27,416
他是集团里的采购主任
📝 한어병음
tā shì jí tuán lǐ de cǎi gòu zhǔ rèn
🇰🇷 한글번역
그는 그룹의 구매 책임자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是 shì ~이다 HSK1 集团 jítuán 그룹, 집단 HSK4 里 lǐ 안, 속 HSK1 采购 cǎigòu 구매하다 HSK5 主任 zhǔrèn 주임, 책임자 HSK5

📚 문법
명사구: "集团里的采购主任"은 "그룹의 구매 주임"이라는 의미로, 명사와 명사를 연결하여 소속이나 관계를 나타냅니다. '의'에 해당하는 '的'를 사용하여 소속 관계를 명확히 합니다.
자막 #841 | 00:34:27,875 → 00:34:29,208
他没少难为我们
📝 한어병음
tā méi shǎo nán wèi wǒ men
🇰🇷 한글번역
그는 우리를 꽤나 힘들게 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没少 méi shǎo 적지 않다, 많이
难为 nán wéi 곤란하게 하다, 난처하게 하다
我们 wǒ men 우리, 우리들 HSK1

📚 문법
부정형: "没少"는 "적지 않게, 많이"라는 의미로, 부정의 의미를 강조하면서도 실제로는 긍정적인 양을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많이 발생했음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에서 "他没少难为我们"는 "그는 우리를 적지 않게 곤란하게 했다"라는 뜻으로, 그가 우리를 많이 곤란하게 했음을 의미합니다.
자막 #842 | 00:34:29,208 → 00:34:30,541
吃拿卡要的
📝 한어병음
chī ná kǎ yào de
🇰🇷 한글번역
뇌물을 요구하거나 부당한 이익을 취하는 것.
🎯 AI 분석 결과
🔍 어휘
吃 chī 먹다 HSK1 拿 ná 잡다, 쥐다 HSK2 卡 kǎ 카드, 막히다 HSK4 要 yào 필요하다, 요구하다 HSK1

📚 문법
병렬구조: '吃拿卡要'는 네 개의 동사가 병렬로 나열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이는 각각의 동작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주로 부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되며, 권력을 남용하여 부당한 이득을 취하는 행위를 묘사합니다.
자막 #843 | 00:34:31,916 → 00:34:34,208
今天你算帮我解了气了
📝 한어병음
jīn tiān nǐ suàn bāng wǒ jiě liǎo qì liǎo
🇰🇷 한글번역
오늘 네가 나를 대신해 화를 풀어줬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今天 jīntiān 오늘 HSK1 算 suàn ~로 간주하다 HSK4 帮 bāng 돕다 HSK2 解气 jiě qì 화를 풀다 HSK6

📚 문법
"算"의 사용: "~로 간주하다"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상황을 특정한 방식으로 평가하거나 받아들일 때 사용됩니다.
문장 구조: 주어 + 算 + 동사/형용사 + 기타 (오늘 너는 나의 화를 풀어준 것으로 간주된다)
자막 #844 | 00:34:34,208 → 00:34:35,666
你算立功了啊
📝 한어병음
nǐ suàn lì gōng liǎo a
🇰🇷 한글번역
너는 공을 세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算 suàn ~로 간주하다 HSK4 立功 lì gōng 공을 세우다, 공로를 세우다 (비교적 고급 어휘)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동의를 나타냄 HSK2

📚 문법
감탄문: 문장 끝에 '啊'를 사용하여 감탄이나 동의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啊'가 사용되어 상대방의 공로를 인정하며 감탄하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845 | 00:34:37,000 → 00:34:37,916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호칭: 중국어에서 "叔叔"은 일반적으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가리키거나, 친근하게 나이가 많은 남성을 부를 때 사용합니다.
자막 #846 | 00:34:38,583 → 00:34:40,583
我看干你们这一行的
📝 한어병음
wǒ kàn gān nǐ men zhè yī xíng de
🇰🇷 한글번역
내가 너희 하는 일을 봤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看 kàn 보다 HSK1 干 gàn 하다, 일하다 HSK4 你们 nǐ men 너희들 HSK1 行 háng 직업, 업종 HSK4

📚 문법
- "干"의 사용: 여기서 "干"은 "일하다" 또는 "종사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는 특정 직업이나 업종에 종사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 "这一行"의 표현: "这一行"은 "이 업종" 또는 "이 직업"을 의미하며, 특정한 직업군이나 업종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847 | 00:34:40,583 → 00:34:42,666
好像都挺辛苦的
📝 한어병음
hǎo xiàng dōu tǐng xīn kǔ de
🇰🇷 한글번역
모두 다 힘든 것 같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像 hǎoxiàng 마치 ~인 것 같다 HSK3 都 dōu 모두 HSK1 挺 tǐng 매우, 꽤 HSK4 辛苦 xīnkǔ 고생스럽다, 수고롭다 HSK4

📚 문법
정도부사: '挺'은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로, '매우', '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주로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그 정도를 강조합니다.
예문: 挺 + 형용사 (매우 고생스럽다)
자막 #848 | 00:34:48,208 → 00:34:50,458
辛苦吧 倒没个啥
📝 한어병음
xīn kǔ ba dǎo méi gè shá
🇰🇷 한글번역
수고했어, 별일 없었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辛苦 xīn kǔ 고생스럽다, 수고롭다 HSK4 吧 ba ~지, ~죠 (추측이나 제안) HSK1 倒 dào 오히려, 도리어 HSK4 没 méi 없다 HSK1 个 gè 개 (양사) HSK1 啥 shá 무엇 (구어체) HSK5

📚 문법
- 吧 (ba): 문장 끝에 쓰여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예를 들어, "辛苦吧"는 "고생스럽죠"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상태를 추측하는 표현입니다.
- 倒 (dào): 예상과 다른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倒没个啥"는 "오히려 별거 없다"라는 의미로, 예상과 달리 별 문제가 없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849 | 00:34:51,500 → 00:34:52,541
不也就是
📝 한어병음
bù yě jiù shì
🇰🇷 한글번역
그렇지 않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HSK1 也 yě 또한 HSK1 就 jiù 바로 HSK2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부정문: "不"는 중국어에서 일반적인 부정을 나타내며,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그 의미를 부정합니다.
형태: 不 + 동사/형용사 (아니다/하지 않다)

"也就是"는 강조나 특정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되며, "바로 ~이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형태: 也就是 + 설명/강조하고자 하는 내용 (바로 ~이다)
자막 #850 | 00:34:52,541 → 00:34:54,083
风里来雨里去
📝 한어병음
fēng lǐ lái yǔ lǐ qù
🇰🇷 한글번역
바람 속을 지나고 비 속을 헤치며
🎯 AI 분석 결과
🔍 어휘
风 fēng 바람 HSK2 里 lǐ 안, 속 HSK1 来 lái 오다 HSK1 雨 yǔ 비 HSK2 去 qù 가다 HSK1

📚 문법
병렬구조: "风里来雨里去"는 병렬 구조로, 두 개 이상의 동작이나 상태가 나란히 제시됩니다. 이 표현은 어려운 환경에서 끊임없이 노력하거나 일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바람 속에서 오고, 비 속에서 간다"라는 뜻으로, 힘든 상황에서도 계속해서 일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막 #851 | 00:34:54,958 → 00:34:56,166
我们这行啊
📝 한어병음
wǒ men zhè xíng a
🇰🇷 한글번역
우리 이 업계는 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行 háng 직업, 업종 HSK4

📚 문법
명사구: "我们这行"은 "우리 이 업종"이라는 의미로, 특정 직업이나 업종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这"는 "이"라는 뜻으로, 가까운 대상을 지칭합니다.
자막 #852 | 00:34:56,166 → 00:34:57,750
是好人不愿意干
📝 한어병음
shì hǎo rén bù yuàn yì gān
🇰🇷 한글번역
좋은 사람은 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好人 hǎo rén 좋은 사람 HSK3 不愿意 bù yuàn yì 원하지 않다 HSK4 干 gàn 하다 HSK3

📚 문법
부정문: 중국어에서 '不'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이나 상태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不 + 동사 (좋은 사람은 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이 문장에서 "不愿意"는 '원하지 않다'라는 뜻으로, 어떤 행동이나 일을 하고 싶지 않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853 | 00:34:58,291 → 00:35:00,791
孬人呢还干不了
📝 한어병음
nāo rén ne hái gān bù liǎo
🇰🇷 한글번역
나쁜 사람은 그 일도 못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孬 nǎo 나쁜, 못된 HSK6 人 rén 사람 HSK1 呢 ne ~는요? (문장 끝에 쓰여 의문을 나타냄) HSK2 干 gàn 하다 HSK3 不了 bù liǎo ~할 수 없다 HSK3

📚 문법
부정 가능형: 동사 뒤에 "不了"를 붙여서 어떤 행동이나 일을 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不了 (못된 사람은 할 수 없다)
자막 #854 | 00:35:02,958 → 00:35:03,958
扯远了
📝 한어병음
chě yuǎn liǎo
🇰🇷 한글번역
말이 옆길로 샜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扯 chě 끌다, 잡아당기다 HSK5 远 yuǎn 멀다 HSK2

📚 문법
비유적 표현: "扯远了"는 대화나 주제가 본래의 주제에서 벗어나 멀어졌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한국어로는 "주제가 벗어났다" 또는 "딴소리로 빠졌다"와 유사합니다.
자막 #855 | 00:35:03,958 → 00:35:06,625
万儿 帮我导个航 看一下路线
📝 한어병음
wàn ér bāng wǒ dǎo gè háng kàn yī xià lù xiàn
🇰🇷 한글번역
만아, 길 안내 좀 해줘. 경로 좀 봐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万儿 wàn ér 만 (사람 이름)
帮 bāng 돕다 HSK2
我 wǒ 나 HSK1
导航 dǎo háng 길을 안내하다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부탁을 할 때 주로 동사로 시작하는 문장을 사용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帮我导个航"이 "나를 도와 길을 안내해줘"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看一下"는 "한번 보다"라는 의미로, 동작을 부드럽게 요청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856 | 00:35:06,916 → 00:35:09,041
已为您找到一条新路线
📝 한어병음
yǐ wèi nín zhǎo dào yī tiáo xīn lù xiàn
🇰🇷 한글번역
새로운 경로를 찾았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已 yǐ 이미, 벌써 HSK4 为 wèi ~을 위해 HSK3 您 nín 당신(존칭) HSK2 找到 zhǎo dào 찾다, 발견하다 HSK3 新 xīn 새로운 HSK1 路线 lù xiàn 경로, 루트 HSK4

📚 문법
- 为: 전치사로 "~을 위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주로 목적이나 이유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已: 부사로 "이미, 벌써"라는 의미로, 동작이나 상태가 이미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857 | 00:35:09,041 → 00:35:09,791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HSK2

📚 문법
이 문장은 단어 자체로 특별한 문법 패턴을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삼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막 #858 | 00:35:10,208 → 00:35:11,958
我刚才导航了一下
📝 한어병음
wǒ gāng cái dǎo háng liǎo yī xià
🇰🇷 한글번역
방금 내비게이션을 확인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刚才 gāng cái 방금, 막 HSK3 导航 dǎo háng 길을 안내하다, 네비게이션하다 HSK6 一下 yí xià 좀, 잠시 HSK2

📚 문법
동사 + 一下: 동작의 짧은 지속이나 시도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형태: 동사 + 一下 (나는 방금 길을 잠시 안내했다)
자막 #859 | 00:35:11,958 → 00:35:13,625
我发现了一条最快的路
📝 한어병음
wǒ fā xiàn liǎo yī tiáo zuì kuài de lù
🇰🇷 한글번역
가장 빠른 길을 발견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发现 fā xiàn 발견하다 HSK4 一 yī 하나 HSK1 条 tiáo 조각, 가늘고 긴 것 HSK3 最快 zuì kuài 가장 빠르다 HSK4 路 lù 길 HSK2

📚 문법
정관사 "了"의 사용: 동작의 완료나 새로운 상황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문장 구조: 주어 + 동사 + 了 + 목적어 (나는 가장 빠른 길을 발견했다)
자막 #860 | 00:35:13,625 → 00:35:14,625
根据我的计算
📝 한어병음
gēn jù wǒ de jì suàn
🇰🇷 한글번역
내 계산에 따르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根据 gēn jù ~에 따라, 근거하여 HSK4 我 wǒ 나, 저 HSK1 的 de ~의 (소유를 나타냄) HSK1 计算 jì suàn 계산하다 HSK4

📚 문법
명사구: "根据 + 명사"는 "~에 따라"라는 의미로, 어떤 근거나 기준을 제시할 때 사용합니다.
예: 根据我的计算 (내 계산에 따르면)
자막 #861 | 00:35:14,625 → 00:35:17,083
咱们可以提前两小时十三分到达下一站
📝 한어병음
zán men kě yǐ tí qián liǎng xiǎo shí shí sān fēn dào dá xià yī zhàn
🇰🇷 한글번역
우리는 다음 역에 두 시간 열세 분 일찍 도착할 수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们 zánmen 우리 HSK3 可以 kěyǐ ~할 수 있다 HSK2 提前 tíqián 앞당기다, 미리 HSK4 小时 xiǎoshí 시간 HSK3 到达 dàodá 도착하다 HSK4

📚 문법
시간 명사: "提前两小时十三分"은 "두 시간 십삼 분 앞당겨"라는 의미로, 시간 명사를 사용하여 동작의 시점을 구체적으로 나타냅니다.
형태: 提前 + 시간 + 동사 (우리는 두 시간 십삼 분 앞당겨 다음 역에 도착할 수 있다)
자막 #862 | 00:35:17,083 → 00:35:18,458
咱要不走这条路
📝 한어병음
zán yào bù zǒu zhè tiáo lù
🇰🇷 한글번역
우리 이 길로 가지 않을래?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 zán 우리(들) HSK4 要不 yào bù ~하지 않으면, ~하는 게 어떨까 HSK5 走 zǒu 걷다, 가다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条 tiáo (길, 강 등을 세는 단위) HSK4 路 lù 길 HSK2

📚 문법
제안문: "要不"는 제안이나 대안을 제시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형태: 要不 + 제안/대안 (우리 이 길로 가지 않을래?)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다른 길을 선택할 것을 제안하는 의미입니다.
자막 #863 | 00:35:19,041 → 00:35:20,708
这样您还能多休息一会
📝 한어병음
zhè yàng nín hái néng duō xiū xī yī huì
🇰🇷 한글번역
이렇게 하면 조금 더 쉴 수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样 zhèyàng 이렇게 HSK3 您 nín 당신(존칭) HSK2 还能 hái néng 여전히 ~할 수 있다 HSK3 多 duō 많이, 더 HSK1 休息 xiūxi 쉬다 HSK2 一会 yíhuì 잠시, 잠깐 HSK3

📚 문법
时间状语: 중국어에서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구는 주로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의 시간을 설명합니다.
형태: 时间状语 + 主语 + 动词 (잠시 더 쉬다)
자막 #864 | 00:35:21,208 → 00:35:21,791
📝 한어병음
xíng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가다, 걷다 HSK1 行 háng 줄, 행 HSK3 行为 xíngwéi 행동 HSK4 行动 xíngdòng 행동하다 HSK5

📚 문법
중국어에서 "行"은 문맥에 따라 다양한 뜻을 가질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동사로 사용될 때는 "가다" 또는 "걷다"라는 뜻을 가지며, 명사로 사용될 때는 "줄" 또는 "행"을 의미합니다. 또한, "行"은 형용사로 사용될 때 "괜찮다"라는 의미로도 쓰입니다. 문맥에 따라 적절한 뜻을 선택해야 합니다.
자막 #865 | 00:35:22,291 → 00:35:23,125
今儿听你的
📝 한어병음
jīn ér tīng nǐ de
🇰🇷 한글번역
오늘은 네 말을 들을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今儿 jīn er 오늘 (구어체) 听 tīng 듣다, 따르다 HSK1 你 nǐ 너 HSK1

📚 문법
구어체 표현: "今儿"는 "오늘"을 뜻하는 구어체 표현으로,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문장 구조: "听你的"는 "너의 말을 듣다" 또는 "너를 따르다"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의견이나 결정을 따르겠다는 뜻입니다.
자막 #866 | 00:35:23,125 → 00:35:24,333
按你走一回
📝 한어병음
àn nǐ zǒu yī huí
🇰🇷 한글번역
너를 따라 한 번 가볼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按 àn ~에 따라, ~에 의하여 HSK4 你 nǐ 너 HSK1 走 zǒu 걷다, 가다 HSK1 一 yī 한 번 HSK1 回 huí 돌아가다, 회 HSK2

📚 문법
"按"字句: "按"은 "~에 따라"라는 의미로, 어떤 기준이나 방법에 따라 행동을 지시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按 + 명사/구 + 동사 (너의 방식에 따라 한 번 가다)

이 문장은 "너의 방식에 따라 한 번 가다"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방법이나 방식을 따르겠다는 뜻을 전달합니다.
자막 #867 | 00:35:24,500 → 00:35:25,250
好嘞
📝 한어병음
hǎo lē
🇰🇷 한글번역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감탄사: "好嘞"는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으로, 상대방의 요청이나 명령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할 때 사용됩니다. "알겠습니다", "좋습니다"와 같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868 | 00:35:29,791 → 00:35:30,416
📝 한어병음
🇰🇷 한글번역
엄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妈 mā 엄마 HSK1

📚 문법
이 단어는 명사로, 가족 구성원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중국어에서 가족을 부를 때는 일반적으로 단어 하나로 간단히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妈妈"는 "엄마"를 의미하며,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869 | 00:35:30,416 → 00:35:32,166
你看我爸这卡车开哪去了
📝 한어병음
nǐ kàn wǒ bà zhè kǎ chē kāi nǎ qù liǎo
🇰🇷 한글번역
너 우리 아빠 트럭 어디 갔는지 봤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 kàn 보다 HSK1 我 wǒ 나 HSK1 爸 bà 아빠 HSK1 卡车 kǎ chē 트럭 HSK5 开 kāi 운전하다 HSK2 哪 nǎ 어디 HSK1 去 qù 가다 HSK1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 의문문: "哪"는 의문사로, "어디"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문장에서 장소나 방향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 완료의 의미: "了"는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나타내는 어기조사로, 문장 끝에 위치하여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예: 트럭이 어디로 갔는지 물어보는 상황에서 사용)
자막 #870 | 00:35:32,166 → 00:35:33,666
他是不是走错路了
📝 한어병음
tā shì bù shì zǒu cuò lù liǎo
🇰🇷 한글번역
그가 길을 잘못 든 건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是 shì ~이다 HSK1 不 bù 아니다 HSK1 走 zǒu 걷다, 가다 HSK1 错 cuò 틀리다 HSK3 路 lù 길 HSK1

📚 문법
의문문: "是不是"는 중국어에서 긍정과 부정을 함께 물어보는 의문문 형태입니다.
형태: 주어 + 是不是 + 동사 + 기타 (그가 길을 잘못 간 것인가요?)
자막 #871 | 00:35:34,000 → 00:35:35,041
不能够
📝 한어병음
bù néng gòu
🇰🇷 한글번역
할 수 없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够 gòu 충분하다 HSK4

📚 문법
부정형: '不能够'는 '할 수 없다' 또는 '충분하지 않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不'는 부정을 나타내며, '能够'는 '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不能够'는 어떤 능력이나 조건이 부족하여 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872 | 00:35:35,041 → 00:35:36,583
你爸开车靠谱
📝 한어병음
nǐ bà kāi chē kào pǔ
🇰🇷 한글번역
네 아빠는 운전 잘하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爸 bà 아빠 HSK1 开车 kāi chē 운전하다 HSK2 靠谱 kào pǔ 믿을 만하다, 신뢰할 수 있다 HSK6

📚 문법
주어 + 동사 + 형용사: 중국어에서 주어가 동사를 하고 그 결과가 형용사로 표현되는 구조입니다.
예: 你爸开车靠谱 (너희 아빠는 운전을 믿을 만하게 한다)
자막 #873 | 00:35:41,041 → 00:35:42,291
不可能出岔头
📝 한어병음
bù kě néng chū chà tóu
🇰🇷 한글번역
문제가 발생할 리가 없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可能 bù kě néng 불가능하다 HSK3 出 chū 나가다, 발생하다 HSK1 岔头 chà tóu 문제, 실수 (일상 표현)

📚 문법
부정형: "不可能"은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전혀 없음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不"는 부정을 나타내며, "可能"은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형태: 不可能 + 동사/구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
자막 #874 | 00:35:56,750 → 00:35:58,208
妈 他们在那
📝 한어병음
mā tā men zài nà
🇰🇷 한글번역
엄마, 그들은 거기에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妈 mā 엄마 HSK1 他们 tā men 그들 HSK1 在 zài ~에 HSK1 那 nà 저기, 거기 HSK1

📚 문법
장소를 나타내는 문장: 중국어에서 "在"는 주로 장소를 나타내며, 주어가 어디에 있는지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在 + 장소 (엄마, 그들은 거기에 있어요)
자막 #875 | 00:36:01,875 → 00:36:03,958
怎么开的车呀 你们俩
📝 한어병음
zěn me kāi de chē ya nǐ men liǎ
🇰🇷 한글번역
너희 둘은 어떻게 차를 운전한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开 kāi 운전하다, 열다 HSK1 车 chē 차 HSK1 你们 nǐmen 너희들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 문법
- 疑问句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원인을 묻는 의문사로 사용됩니다. "怎么开的车呀"는 "어떻게 차를 운전했니?"라는 의미로, 운전 방식이나 상황에 대한 질문을 나타냅니다.
- "你们俩"는 "너희 둘"이라는 의미로, 두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俩"는 구어체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자막 #876 | 00:36:03,958 → 00:36:05,875
怎么还往田里开呢
📝 한어병음
zěn me hái wǎng tián lǐ kāi ne
🇰🇷 한글번역
왜 아직도 밭으로 들어가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 me 어떻게, 왜 HSK2
还 hái 여전히, 아직도 HSK2
往 wǎng ~로, ~을 향해 HSK3
田 tián 밭, 논 HSK5
里 lǐ 안, 속 HSK1
开 kāi 운전하다, 열다 HSK1

📚 문법
- 疑问句: "怎么"는 의문을 나타내며, 이유나 방법을 묻는 문장입니다.
예: 你怎么知道的? (너는 어떻게 알았니?)
- 方向补语: "往"은 방향을 나타내며, 동작의 방향을 설명합니다.
예: 他往家走。 (그는 집으로 간다.)
자막 #877 | 00:36:05,875 → 00:36:08,666
阿姨 我是真不知道用货车模式的导航
📝 한어병음
ā yí wǒ shì zhēn bù zhī dào yòng huò chē mó shì de dǎo háng
🇰🇷 한글번역
이모, 저는 정말로 화물차 모드의 내비게이션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몰라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姨 ā yí 아주머니, 이모 HSK3 真 zhēn 정말로 HSK3 不知道 bù zhī dào 모르다 HSK1 用 yòng 사용하다 HSK2 货车 huò chē 화물차 HSK5

📚 문법
1. 主谓宾 구조: 주어 + 술어 + 목적어의 기본 문장 구조입니다. (예: 我是真不知道)
2. 强调结构: "真"은 "정말로"라는 의미로, 말하는 사람의 감정을 강조합니다. (예: 我是真不知道)
3. 명사 수식: "货车模式的导航"에서 "货车模式"는 "导航"을 수식하여 "화물차 모드의 내비게이션"이라는 의미를 만듭니다.
자막 #878 | 00:36:08,666 → 00:36:09,625
所以我才
📝 한어병음
suǒ yǐ wǒ cái
🇰🇷 한글번역
그래서 내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所以 suǒ yǐ 그래서 HSK3 我 wǒ 나, 저 HSK1 才 cái 겨우, 비로소 HSK3

📚 문법
인과관계: "所以"는 앞 문장의 원인이나 이유를 설명하고, 뒤 문장에서 그 결과를 나타내는 접속사입니다.
형태: 원인 + 所以 + 결과 (그래서 내가 비로소)
자막 #879 | 00:36:09,625 → 00:36:10,708
你才个屁
📝 한어병음
nǐ cái gè pì
🇰🇷 한글번역
너나 잘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才 cái 방금, 이제야 HSK3 个 gè 개, 명 (양사) HSK1 屁 pì 방귀 (비속어)

📚 문법
비속어 사용: "你才个屁"는 감정이 섞인 비속어 표현으로, 상대방의 말을 부정하거나 경멸할 때 사용됩니다. 문법적으로는 "你才"가 "너야말로"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뒤에 부정적인 표현이 따라옵니다.
자막 #880 | 00:36:10,708 → 00:36:11,500
这能走吗 这道
📝 한어병음
zhè néng zǒu ma zhè dào
🇰🇷 한글번역
이 길로 갈 수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走 zǒu 걷다, 가다 HSK1 道 dào 길, 도로 HSK3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는 일반적으로 문장의 끝에 吗를 붙입니다. 이 문장은 "이 길로 갈 수 있나요?"라는 의미로, 주어가 생략된 형태입니다.
자막 #881 | 00:36:11,500 → 00:36:12,541
跟过山车似的
📝 한어병음
gēn guò shān chē sì de
🇰🇷 한글번역
롤러코스터처럼
🎯 AI 분석 결과
🔍 어휘
跟 gēn ~와/과 HSK1 过山车 guò shān chē 롤러코스터 HSK6 似的 shì de ~처럼, ~같이 HSK5

📚 문법
"似的" 구문: 중국어에서 어떤 사물이나 상황을 비유하거나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명사/동사 + 似的 (롤러코스터처럼)

이 문장에서 "跟过山车似的"는 "롤러코스터처럼"이라는 의미로, 어떤 상황이나 감정의 변화를 롤러코스터에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882 | 00:36:12,541 → 00:36:13,833
你们俩没事吧
📝 한어병음
nǐ men liǎ méi shì ba
🇰🇷 한글번역
너희 둘 괜찮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们 nǐmen 너희들 HSK1 俩 liǎ 두 사람, 둘 HSK4 没事 méishì 괜찮다, 문제없다 HSK3 吧 ba ~지? (추측, 제안) HSK2

📚 문법
"没事吧"는 상대방의 상태나 상황이 괜찮은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吧"는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내며,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상황을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没事 + 吧 (너희들 괜찮지?)
자막 #883 | 00:36:13,833 → 00:36:15,291
能有啥事啊
📝 한어병음
néng yǒu shá shì a
🇰🇷 한글번역
무슨 일이 있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有 yǒu 있다 HSK1 啥 shá 무엇 HSK4 事 shì 일 HSK2

📚 문법
의문문: "能有啥事啊"는 의문문으로, "무슨 일이 있을 수 있겠어?"라는 뜻입니다. "啥"는 "什么"의 구어체 표현으로, 의문을 나타냅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어감을 부드럽게 하거나 감탄을 나타냅니다.
자막 #884 | 00:36:15,291 → 00:36:16,833
我几十年的驾车技术
📝 한어병음
wǒ jǐ shí nián de jià chē jì shù
🇰🇷 한글번역
내 수십 년의 운전 기술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几十年 jǐ shí nián 수십 년 驾车 jià chē 운전하다 技术 jì shù 기술 HSK4

📚 문법
명사구: "我几十年的驾车技术"는 "나의 수십 년간의 운전 기술"이라는 명사구입니다. 여기서 "几十年"은 시간의 길이를 나타내며, "的"는 소유를 나타내는 구조로 사용되었습니다. "驾车技术"는 "운전 기술"이라는 의미로, 전체적으로 나의 오랜 운전 경험과 능력을 강조합니다.
자막 #885 | 00:36:16,833 → 00:36:17,250
📝 한어병음
duì
🇰🇷 한글번역
맞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맞다, 옳다 HSK1

📚 문법
"对"는 동사로 사용되어 "맞다" 또는 "옳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대화나 질문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886 | 00:36:17,250 → 00:36:18,625
多亏了叔叔
📝 한어병음
duō kuī liǎo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덕분에
🎯 AI 분석 결과
🔍 어휘
多亏 duō kuī 덕분에 HSK5 了 le 완료, 변화의 어기조사 HSK1 叔叔 shū shu 삼촌 HSK2

📚 문법
"多亏"는 "덕분에"라는 의미로, 주로 긍정적인 결과나 상황에 대해 감사의 뜻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문장에서는 "多亏了叔叔"로 "삼촌 덕분에"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了"는 완료나 변화를 나타내는 어기조사로, 여기서는 "多亏"의 의미를 강조합니다.
자막 #887 | 00:36:18,625 → 00:36:20,416
我们才能化险为夷
📝 한어병음
wǒ men cái néng huà xiǎn wèi yí
🇰🇷 한글번역
우리는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才能 cái néng ~해야만 비로소 HSK4 化 huà 변화하다 HSK5 险 xiǎn 위험 HSK6 夷 yí 평탄하다 HSK6

📚 문법
"化险为夷"는 고정된 표현으로, "위험을 평탄하게 변화시키다"라는 의미입니다. 이 표현은 어려운 상황을 무사히 극복하거나 위험을 해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문장에서 "才能"은 "~해야만 비로소"라는 의미로, 조건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我们才能化险为夷"는 "우리가 비로소 위험을 평탄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888 | 00:36:34,541 → 00:36:35,500
别吹了
📝 한어병음
bié chuī liǎo
🇰🇷 한글번역
그만 자랑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吹 chuī 불다, 과장하다 HSK4

📚 문법
명령문: "别 + 동사"는 "~하지 마라"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지시할 때 사용합니다.
예문: 别吹了 (과장하지 마라)
자막 #889 | 00:36:35,500 → 00:36:37,458
车胎都让你俩吹爆了
📝 한어병음
chē tāi dōu ràng nǐ liǎ chuī bào liǎo
🇰🇷 한글번역
타이어가 너희 둘 때문에 터졌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车胎 chē tāi 타이어 HSK5 都 dōu 모두 HSK1 让 ràng ~하게 하다 HSK3 你俩 nǐ liǎ 너희 둘 HSK5 吹爆 chuī bào (바람을) 불어 터뜨리다 (비HSK)

📚 문법
사역문: '让'은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거나 허락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让 + 주어 + 동사 (너희 둘이 타이어를 모두 불어 터뜨렸다)

이 문장에서 '让'은 '너희 둘이 타이어를 모두 불어 터뜨리게 했다'는 의미로,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게 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자막 #890 | 00:36:37,458 → 00:36:39,708
叔叔 咱要不还是叫路政吧
📝 한어병음
shū shū zán yào bù hái shì jiào lù zhèng ba
🇰🇷 한글번역
삼촌, 우리 도로관리청을 부르는 게 어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咱 zán 우리(들) HSK4 要不 yàobù 그렇지 않으면, 아니면 HSK5 还是 háishi 여전히, 그래도 HSK3 叫 jiào 부르다, 요청하다 HSK1

📚 문법
选择疑问句: 선택 의문문으로, 두 가지 이상의 선택지를 제시하며 질문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要不 + 선택지1 + 还是 + 선택지2 (우리 아니면 여전히 路政을 부를까?)

이 문장은 "우리 아니면 여전히 路政을 부를까?"라는 의미로, 두 가지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안하는 형태입니다.
자막 #891 | 00:36:39,708 → 00:36:40,916
别碰我
📝 한어병음
bié pèng wǒ
🇰🇷 한글번역
건드리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碰 pèng 건드리다, 만지다 HSK4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别"는 금지를 나타내는 명령문에서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나를 건드리지 마라)
자막 #892 | 00:36:40,916 → 00:36:41,833
不用你管
📝 한어병음
bù yòng nǐ guǎn
🇰🇷 한글번역
신경 쓰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用 bù yòng 필요 없다 HSK2 你 nǐ 너 HSK1 管 guǎn 간섭하다, 돌보다 HSK4

📚 문법
부정문: "不用"은 "필요 없다"라는 뜻으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필요 없음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너의 간섭이 필요 없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893 | 00:36:41,833 → 00:36:42,666
我都叫人了
📝 한어병음
wǒ dōu jiào rén liǎo
🇰🇷 한글번역
사람을 불렀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都 dōu 모두, 이미 HSK2
叫 jiào 부르다, 시키다 HSK2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 "都"의 사용: 여기서 "都"는 '이미'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어떤 행동이 완료되었음을 강조합니다.
- "叫"의 사용: "叫"는 '부르다' 또는 '시키다'라는 의미로, 여기서는 다른 사람에게 어떤 일을 하도록 요청했음을 나타냅니다.
- 전체 문장 해석: "나는 이미 사람을 불렀다"라는 의미로, 어떤 일을 위해 사람을 불렀거나 요청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894 | 00:36:42,666 → 00:36:43,500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이 단어는 주로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사용됩니다. '삼촌'이라는 뜻으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문맥에 따라 친근한 어른 남성을 부를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막 #895 | 00:36:44,291 → 00:36:45,166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이 단어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지칭합니다. 중국어에서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가 다양하며, 각 단어는 특정한 친족 관계를 명확히 구분합니다.
자막 #896 | 00:36:54,958 → 00:36:55,458
来了 光子
📝 한어병음
lái liǎo guāng zǐ
🇰🇷 한글번역
왔어, 광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光子 guāng zǐ 광자 (일반적인 HSK 단어는 아님)

📚 문법
주어 + 동사: 중국어에서 가장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来了"가 "왔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주어가 생략된 형태입니다. "光子"는 주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光子来了"는 "광자가 왔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자막 #897 | 00:36:55,458 → 00:36:56,041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근한 남성 어른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898 | 00:36:56,041 → 00:36:56,916
光子 光子
📝 한어병음
guāng zǐ guāng zǐ
🇰🇷 한글번역
광자 광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光子 guāngzǐ 광자 HSK6

📚 문법
이 문장은 단어의 반복으로, 특정한 문법 구조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光子'는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빛의 기본 입자를 의미합니다. 이 단어는 주로 과학적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자막 #899 | 00:36:56,916 → 00:36:58,791
别别 不行 我这身上太脏了
📝 한어병음
bié bié bù xíng wǒ zhè shēn shàng tài zāng liǎo
🇰🇷 한글번역
안 돼, 안 돼. 내 몸이 너무 더러워.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不行 bù xíng 안 된다 HSK3 身上 shēn shang 몸 HSK4 太 tài 너무 HSK3 脏 zāng 더럽다 HSK4

📚 문법
1. "别" + 동사: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금지하거나 충고할 때 사용합니다.
예: 别走 (가지 마라)

2. "太" + 형용사 + "了": 어떤 상태가 지나치게 강하다는 것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예: 太好了 (너무 좋다)

이 문장은 "내 몸이 너무 더럽다"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하는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900 | 00:36:59,291 → 00:37:00,291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척 중 나이가 어린 남성을 지칭합니다. 중국어에서는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가 다양하고 구체적입니다.
자막 #901 | 00:37:00,291 → 00:37:01,375
我来晚了
📝 한어병음
wǒ lái wǎn liǎo
🇰🇷 한글번역
제가 늦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来 lái 오다 HSK1 晚 wǎn 늦다 HSK2 了 le ~했다 (완료) HSK1

📚 문법
了字句: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了 (나는 늦게 왔다)
자막 #902 | 00:37:01,375 → 00:37:02,083
你这小子
📝 한어병음
nǐ zhè xiǎo zǐ
🇰🇷 한글번역
이 녀석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小子 xiǎo zi 녀석, 자식 (구어체) HSK4

📚 문법
칭호 및 호칭: "你这小子"는 구어체에서 친근하게 누군가를 부를 때 사용합니다. 직역하면 "너 이 녀석"이라는 뜻으로, 친근하거나 가벼운 꾸짖음의 뉘앙스를 가질 수 있습니다.
자막 #903 | 00:37:02,083 → 00:37:03,375
你看多认亲
📝 한어병음
nǐ kàn duō rèn qīn
🇰🇷 한글번역
너는 얼마나 자주 가족을 만나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 kàn 보다 HSK1 多 duō 많이 HSK1 认亲 rèn qīn 친척을 알아보다 (HSK 비등재)

📚 문법
명령문: "你看"은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청하거나 제안하는 표현입니다. 여기서는 "봐라"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너는 봐라)

"多认亲"은 "많이 친척을 알아보다"라는 의미로, 여기서는 친척을 알아보는 횟수나 빈도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904 | 00:37:03,791 → 00:37:04,750
阿姨
📝 한어병음
ā yí
🇰🇷 한글번역
이모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姨 ā yí 이모, 아주머니 HSK3

📚 문법
호칭: "阿姨"는 친척 관계에서 어머니의 자매를 지칭하거나, 나이가 비슷한 여성에게 예의 있게 부르는 호칭입니다. 중국 문화에서 친근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905 | 00:37:04,750 → 00:37:06,000
我来晚了
📝 한어병음
wǒ lái wǎn liǎo
🇰🇷 한글번역
늦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来 lái 오다 HSK1 晚 wǎn 늦다 HSK2 了 le 완료, 변화 HSK1

📚 문법
了字句: '了'는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了 (나는 늦게 왔다)
자막 #906 | 00:37:06,000 → 00:37:06,833
妹妹
📝 한어병음
mèi mèi
🇰🇷 한글번역
여동생
🎯 AI 분석 결과
🔍 어휘
妹妹 mèimei 여동생 HSK1

📚 문법
명사: '妹妹'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여동생'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족 구성원을 소개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907 | 00:37:07,291 → 00:37:08,291
我来了
📝 한어병음
wǒ lái liǎo
🇰🇷 한글번역
왔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주어 + 동사: 중국어에서 가장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我"가 주어이고 "来了"가 동사로, "내가 왔다"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자막 #908 | 00:37:10,083 → 00:37:11,083
全家人
📝 한어병음
quán jiā rén
🇰🇷 한글번역
온 가족
🎯 AI 분석 결과
🔍 어휘
全 quán 전체, 모두 HSK2
家 jiā 집, 가족 HSK1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명사구: "全家人"은 "온 가족"이라는 의미의 명사구입니다. "全"은 "전체"를 의미하며, "家人"과 결합하여 가족 구성원 전체를 나타냅니다. 이와 같은 명사구는 주어, 목적어 등으로 문장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909 | 00:37:11,083 → 00:37:11,916
都来了
📝 한어병음
dōu lái liǎo
🇰🇷 한글번역
모두 왔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来了 lái le 왔다 HSK1

📚 문법
완료상: "来了"는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며, 어떤 일이 이미 발생했음을 강조합니다.
형태: 동사 + 了 (모두 왔다)
자막 #910 | 00:37:11,916 → 00:37:13,458
多一个没看出来啊
📝 한어병음
duō yī gè méi kàn chū lái a
🇰🇷 한글번역
하나 더 있는 줄 몰랐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多 duō 많다, 더하다 HSK1 一个 yī gè 하나 HSK1 没 méi ~하지 않다 HSK2 看出来 kàn chū lái 알아차리다, 식별하다 HSK4

📚 문법
결과보어: "看出来"는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로, '알아차리다' 또는 '식별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형태: 동사 + 结果补语 (결과보어) (예: 알아차리지 못했다)
자막 #911 | 00:37:15,208 → 00:37:15,958
阿力
📝 한어병음
ā lì
🇰🇷 한글번역
알리
🎯 AI 분석 결과
죄송하지만, "阿力"라는 단어는 문맥 없이 단독으로 제공되어 있어 분석하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阿力"는 사람의 이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문장이나 추가적인 맥락이 제공된다면 더 정확한 분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른 질문이나 문장이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자막 #912 | 00:37:16,416 → 00:37:17,541
你也来了
📝 한어병음
nǐ yě lái liǎo
🇰🇷 한글번역
너도 왔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也 yě 또한 HSK1 来 lái 오다 HSK1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了(le) 어기조사: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형태: 동사 + 了 (너도 왔구나)
자막 #913 | 00:37:17,541 → 00:37:18,041
不是
📝 한어병음
bù shì
🇰🇷 한글번역
아니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HSK1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부정문: "不是"는 "아니다"라는 의미로, 어떤 것이 사실이 아님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명사/형용사 (예: 그는 학생이 아니다)
자막 #914 | 00:37:18,041 → 00:37:18,541
好久不见
📝 한어병음
hǎo jiǔ bù jiàn
🇰🇷 한글번역
오랜만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久 hǎo jiǔ 오래간만에 HSK3 不见 bú jiàn 보지 못하다 HSK2

📚 문법
인사 표현: "好久不见"은 "오래간만이에요"라는 뜻으로, 오랜만에 만난 사람에게 인사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이 문장은 주어와 술어가 생략된 형태로, 문맥상 서로 오랜만에 만난 상황을 전제로 합니다.
자막 #915 | 00:37:18,541 → 00:37:19,791
阿姨 他是
📝 한어병음
ā yí tā shì
🇰🇷 한글번역
이모, 그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姨 ā yí 이모, 아주머니 HSK3 他 tā 그, 그 사람 HSK1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주어 + 是 + 명사: 중국어에서 주어가 무엇인지 설명하거나 정의할 때 사용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주어 + 是 + 명사 (그는 ~이다)
자막 #916 | 00:37:20,416 → 00:37:21,416
我们邻居
📝 한어병음
wǒ men lín jū
🇰🇷 한글번역
우리 이웃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邻居 línjū 이웃 HSK3

📚 문법
주어 + 명사 구조: "我们邻居"는 "우리 이웃"이라는 뜻으로, 주어(我们)와 명사(邻居)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이 구조는 소유나 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자막 #917 | 00:37:21,625 → 00:37:23,875
从小跟她一块长大的
📝 한어병음
cóng xiǎo gēn tā yī kuài cháng dà de
🇰🇷 한글번역
어릴 때부터 그녀와 함께 자랐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从小 cóng xiǎo 어릴 때부터 HSK4 跟 gēn ~와 함께 HSK2 她 tā 그녀 HSK1 一块 yī kuài 함께 HSK5 长大 zhǎng dà 자라다 HSK4

📚 문법
从小: '어릴 때부터'라는 의미로, 시간의 시작점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跟: '~와 함께'라는 의미로, 동작의 대상을 나타냅니다.
一块: '함께'라는 의미로, 동작을 같이 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 문장은 "어릴 때부터 그녀와 함께 자랐다"는 의미로, 과거의 경험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자막 #918 | 00:37:25,000 → 00:37:26,416
那狗挺凶的
📝 한어병음
nà gǒu tǐng xiōng de
🇰🇷 한글번역
그 개는 꽤 사나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 HSK1 狗 gǒu 개 HSK2 挺 tǐng 매우, 꽤 HSK4 凶 xiōng 사납다, 무섭다 HSK5

📚 문법
정도 부사: '挺'은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로,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매우', '꽤'의 의미를 더합니다.
형태: 挺 + 형용사 (그 개는 꽤 사납다)
자막 #919 | 00:37:26,416 → 00:37:27,791
你小心点
📝 한어병음
nǐ xiǎo xīn diǎn
🇰🇷 한글번역
조심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小心 xiǎo xīn 조심하다 HSK3 点 diǎn 조금, 약간 HSK2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상대방에게 주의를 주거나 명령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약간의 강조어)
예: 你小心点 (너 조심해)
자막 #920 | 00:37:28,083 → 00:37:29,250
最近怎么样
📝 한어병음
zuì jìn zěn me yàng
🇰🇷 한글번역
요즘 어떻게 지내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最近 zuì jìn 최근, 요즘 HSK3 怎么样 zěn me yàng 어떠하다 HSK2

📚 문법
의문문: "怎么样"은 상태나 상황을 물어볼 때 사용하는 의문사입니다.
형태: 주어 + 最近 + 怎么样? (요즘 어떻게 지내?)
자막 #921 | 00:37:30,916 → 00:37:32,958
阿力还是这么有礼貌
📝 한어병음
ā lì hái shì zhè me yǒu lǐ mào
🇰🇷 한글번역
알리는 여전히 예의가 바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力 Ā lì 알리 (사람 이름) - 还是 hái shì 여전히, 아직도 HSK3 这么 zhè me 이렇게, 이처럼 HSK3 有礼貌 yǒu lǐ mào 예의가 있다 HSK4

📚 문법
정도보어: '这么'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로,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그 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这么 + 형용사 (이렇게 예의가 있다)

이 문장은 "알리는 여전히 이렇게 예의가 있다"라는 의미로, 주어의 성격이나 상태가 변하지 않았음을 강조합니다.
자막 #922 | 00:37:33,208 → 00:37:35,083
这位兵马俑是
📝 한어병음
zhè wèi bīng mǎ yǒng shì
🇰🇷 한글번역
이 병마용은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位 wèi 분 (사람을 세는 단위) HSK3 兵马俑 bīngmǎyǒng 병마용 (중국의 유명한 테라코타 전사) HSK6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명사구: "这位兵马俑"은 "이 병마용"이라는 의미로, '这'는 지시대명사로 사용되어 특정 대상을 가리킵니다. '位'는 사람을 세는 단위로 주로 존칭의 의미를 가집니다. 여기서는 병마용을 마치 사람처럼 존중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923 | 00:37:35,083 → 00:37:36,958
我男朋友 万一帆
📝 한어병음
wǒ nán péng yǒu wàn yī fān
🇰🇷 한글번역
내 남자친구 만일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男朋友 nán péng yǒu 남자친구 HSK3 万一 wàn yī 만약에, 혹시 HSK4 帆 fān 돛 HSK6

📚 문법
이 문장에는 특별한 문법 패턴이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주어(我)와 명사구(男朋友 万一帆)가 결합된 형태로, 문맥에 따라 남자친구의 이름이 "万一帆"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막 #924 | 00:37:37,750 → 00:37:39,000
挺接地气的
📝 한어병음
tǐng jiē dì qì de
🇰🇷 한글번역
현실적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挺 tǐng 매우, 꽤 HSK4 接地气 jiē dì qì 현실적이다, 실용적이다 (HSK 등급 없음)

📚 문법
형용사 사용: "挺"은 형용사 앞에 사용되어 정도를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는 "接地气"라는 형용사를 강조하여 "매우 현실적이다"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자막 #925 | 00:37:40,333 → 00:37:41,458
你好 你好
📝 한어병음
nǐ hǎo nǐ hǎo
🇰🇷 한글번역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好 hǎo 안녕, 좋다 HSK1

📚 문법
인사 표현: "你好"는 가장 기본적인 중국어 인사말로, 상대방에게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할 때 사용합니다. "你"는 "너"를 의미하고, "好"는 "좋다"라는 뜻으로, 직역하면 "너 좋다"라는 의미지만, 관용적으로 "안녕하세요"로 해석됩니다.
자막 #926 | 00:37:43,041 → 00:37:44,500
那这辆玩具车
📝 한어병음
nà zhè liàng wán jù chē
🇰🇷 한글번역
그럼 이 장난감 자동차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辆 liàng 대 (차량을 세는 단위) HSK3 玩具 wán jù 장난감 HSK4 车 chē 차 HSK1

📚 문법
명사구: "这辆玩具车"는 "이 장난감 차"라는 의미로, '这'는 지시대명사로 명사를 수식하며, '辆'은 차량을 세는 양사입니다. '玩具车'는 '장난감 차'라는 복합 명사입니다.
자막 #927 | 00:37:45,083 → 00:37:46,250
也是你开来的
📝 한어병음
yě shì nǐ kāi lái de
🇰🇷 한글번역
너도 여기로 온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也 yě 또한 HSK1 是 shì ~이다 HSK1 你 nǐ 너 HSK1 开 kāi 운전하다, 열다 HSK2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주어 + 也是 + 명사/동사: '주어도 ~이다/한다'라는 의미로, 앞서 언급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예문: 也是你开来的 (너도 운전해서 온 거야)
자막 #928 | 00:37:46,250 → 00:37:47,291
我开来的
📝 한어병음
wǒ kāi lái de
🇰🇷 한글번역
내가 운전해서 왔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开 kāi 열다, 운전하다 HSK1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동사 중첩: "开来"는 동사 "开"와 방향 보어 "来"의 결합으로, "운전해서 오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방향 보어는 동작의 방향이나 결과를 나타내며, "来"는 화자 쪽으로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자막 #929 | 00:37:47,291 → 00:37:48,416
有品位
📝 한어병음
yǒu pǐn wèi
🇰🇷 한글번역
품위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品位 pǐn wèi 품위, 품격 HSK6

📚 문법
"有"는 '있다'라는 뜻으로, 소유나 존재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여기서는 "有品位"라는 표현으로 '품위가 있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有 + 명사" 형태로 사용되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930 | 00:37:48,416 → 00:37:50,541
阿姨 还是这么低调
📝 한어병음
ā yí hái shì zhè me dī tiáo
🇰🇷 한글번역
이모는 여전히 이렇게 조용하시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姨 ā yí 아주머니, 이모 HSK3 还是 hái shì 여전히, 아직도 HSK3 这么 zhè me 이렇게, 이처럼 HSK3 低调 dī diào 겸손하다, 낮추다 (비교적 고급 어휘, HSK 범위 외)

📚 문법
정도부사: "还是"와 "这么"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로, 상태나 행동이 변하지 않았음을 강조합니다.
형태: 주어 + 还是 + 상태/행동 (아주머니는 여전히 이렇게 겸손하시다)
자막 #931 | 00:37:50,916 → 00:37:51,750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는 매우 다양하며, '叔叔'는 그 중 하나로 비교적 기본적인 단어입니다.
자막 #932 | 00:37:51,750 → 00:37:53,291
车我派人拖去修
📝 한어병음
chē wǒ pài rén tuō qù xiū
🇰🇷 한글번역
차는 내가 사람을 보내서 수리하러 보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车 chē 차 HSK1 派 pài 파견하다, 보내다 HSK5 人 rén 사람 HSK1 拖 tuō 끌다 HSK6 修 xiū 수리하다 HSK4

📚 문법
把字句: 이 문장은 把字句가 아닌 다른 구조를 사용하여 동작의 결과를 설명합니다.
문장 구조: 주어 + 동사 + 목적어 + 동사 + 결과 (나는 사람을 보내 차를 끌고 가서 수리했다)

이 문장에서는 "我派人"이 주어와 동사 역할을 하며, "拖去修"가 목적어에 대한 동작과 결과를 설명합니다.
자막 #933 | 00:37:53,291 → 00:37:54,166
晚上
📝 한어병음
wǎn shàng
🇰🇷 한글번역
저녁
🎯 AI 분석 결과
🔍 어휘
晚上 wǎnshàng 저녁, 밤 HSK1

📚 문법
시간 부사어: "晚上"는 시간 부사어로 사용되어, 동작이나 상태가 발생하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我晚上吃饭" (나는 저녁에 밥을 먹는다)에서 "晚上"는 "저녁에"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934 | 00:37:54,166 → 00:37:55,250
大家都住我那
📝 한어병음
dà jiā dōu zhù wǒ nà
🇰🇷 한글번역
모두 내 집에 산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大家 dà jiā 모두, 다들 HSK2 住 zhù 살다, 거주하다 HSK1 我 wǒ 나, 저 HSK1 那 nà 그곳, 저기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장소구: 이 문장은 주어가 특정 장소에 거주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예: 大家都住我那 (모두가 내 그곳에 산다) - 여기서 "我那"는 "내 그곳"이라는 의미로, 특정한 장소를 지칭합니다.
자막 #935 | 00:37:55,250 → 00:37:56,291
来 叔叔上车
📝 한어병음
lái shū shū shàng chē
🇰🇷 한글번역
어서 타세요,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上车 shàng chē 차에 타다 HSK2

📚 문법
명령문: 상대방에게 동작을 요청하거나 지시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차에 타세요)
자막 #936 | 00:37:56,291 → 00:37:57,083
别 别 别
📝 한어병음
bié bié bié
🇰🇷 한글번역
안 돼, 안 돼, 안 돼.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 문법
중복된 "别"의 사용: 중국어에서 "别"을 반복하여 사용하면 상대방에게 강하게 금지하거나 멈추도록 요청하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别 别 别"는 "하지 마, 하지 마, 하지 마"로 번역되며, 긴박하거나 강한 금지의 의미를 강조합니다.
자막 #937 | 00:37:57,083 → 00:37:58,541
你看我这一身弄得特脏
📝 한어병음
nǐ kàn wǒ zhè yī shēn nòng dé tè zāng
🇰🇷 한글번역
너 보니까 내 옷이 완전 더러워졌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 kàn 보다 HSK1 身 shēn 몸 HSK4 弄 nòng 만들다, 하다 HSK4 脏 zāng 더럽다 HSK4

📚 문법
정도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이나 상태의 정도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得 + 형용사 (弄得特脏: 아주 더럽게 만들다)

이 문장에서 "弄得特脏"은 "아주 더럽게 만들다"라는 의미로, 동작의 결과가 어떤 상태인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자막 #938 | 00:37:58,541 → 00:38:00,166
我这上你这车 你这
📝 한어병음
wǒ zhè shàng nǐ zhè chē nǐ zhè
🇰🇷 한글번역
내가 너의 차에 타고 있어, 너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上 shàng 오르다, 타다 HSK2 车 chē 차 HSK1 你 nǐ 너 HSK1

📚 문법
-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我这上你这车"에서 "我"가 주어, "上"이 동사, "你这车"가 목적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문장은 "내가 너의 차에 탄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 반복된 "你这"는 문맥에 따라 강조나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구어체에서 상대방의 소유나 상태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939 | 00:38:00,166 → 00:38:01,625
挺贵吧 这车
📝 한어병음
tǐng guì ba zhè chē
🇰🇷 한글번역
이 차 꽤 비싸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挺 tǐng 꽤, 매우 HSK4 贵 guì 비싸다 HSK3 车 chē 차, 자동차 HSK1

📚 문법
주어 + 형용사 + 吧: 중국어에서 추측이나 의견을 부드럽게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예문: 这车挺贵吧 (이 차 꽤 비싸죠?)
자막 #940 | 00:38:01,625 → 00:38:03,083
说什么呢 叔叔
📝 한어병음
shuō shén me ne shū shū
🇰🇷 한글번역
무슨 말씀하시는 거예요,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说 shuō 말하다 HSK1 什么 shénme 무엇, 무슨 HSK1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의문문: "什么"는 의문사로, '무엇' 또는 '무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질문을 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什么 (무엇을 말하나요?)
자막 #941 | 00:38:03,083 → 00:38:05,083
这能贵到哪去啊
📝 한어병음
zhè néng guì dào nǎ qù a
🇰🇷 한글번역
이게 얼마나 비싸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贵 guì 비싸다 HSK2 到 dào ~까지 HSK1 哪 nǎ 어디 HSK1

📚 문법
반어문: 중국어에서 반어문은 의문문의 형태를 취하지만, 실제로는 반대의 의미를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이 문장에서 "这能贵到哪去啊"는 "이게 얼마나 비싸겠어?"라는 의미로, 실제로는 그렇게 비싸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942 | 00:38:05,083 → 00:38:06,250
这么贵的车呀
📝 한어병음
zhè me guì de chē ya
🇰🇷 한글번역
이렇게 비싼 차라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么 zhème 이렇게 HSK3 贵 guì 비싸다 HSK2 的 de ~의 (관형어 구조조사) HSK1 车 chē 차 HSK1 呀 ya ~구나 (감탄의 어기조사) HSK4

📚 문법
감탄문: 감탄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장입니다. 주로 "这么"와 같은 정도부사와 어기조사 "呀"를 사용하여 감탄의 느낌을 강조합니다.
형태: 这么 + 형용사 + 的 + 명사 + 呀 (정말 비싼 차구나)
자막 #943 | 00:38:06,250 → 00:38:07,333
我买了两辆
📝 한어병음
wǒ mǎi liǎo liǎng liàng
🇰🇷 한글번역
나는 두 대를 샀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买 mǎi 사다 HSK1
了 le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2
两 liǎng 두, 둘 HSK2
辆 liàng 대 (차량을 세는 단위) HSK3

📚 문법
양사(量词) 사용: 중국어에서 명사를 세는 단위로 양사를 사용합니다. "辆"은 차량을 셀 때 사용하는 양사입니다.
문장 구조: 주어 + 동사 + 수량사 + 양사 + 명사 (나는 두 대를 샀다)
자막 #944 | 00:38:07,333 → 00:38:09,000
怎么 第二个半价呀
📝 한어병음
zěn me dì èr gè bàn jià ya
🇰🇷 한글번역
왜 두 번째는 반값인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第二 dì èr 두 번째 HSK2 个 gè 개 HSK1 半价 bàn jià 반값 HSK4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이유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怎么 + 동사 (어떻게 ~하나요?)
예문: 第二个半价 어떻게 두 번째가 반값인가요?
자막 #945 | 00:38:09,000 → 00:38:09,833
阿姨
📝 한어병음
ā yí
🇰🇷 한글번역
이모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姨 ā yí 이모, 아주머니 HSK3

📚 문법
호칭: "阿姨"는 친척 관계에서 '이모'를 의미할 수 있으며, 또한 나이가 비슷한 어머니의 친구나 낯선 여성에게도 예의 있게 부를 수 있는 호칭입니다. 중국 문화에서는 이러한 호칭을 통해 친근감을 표현합니다.
자막 #946 | 00:38:10,875 → 00:38:12,000
我这人啊
📝 한어병음
wǒ zhè rén a
🇰🇷 한글번역
나는 이런 사람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这 zhè 이 HSK1 人 rén 사람 HSK1 啊 a 어조사 (감탄, 강조) HSK2

📚 문법
주어 + 어조사(啊): 이 문장은 주어 뒤에 어조사 "啊"를 사용하여 화자의 감정이나 태도를 강조합니다. "我这人啊"는 "나는 이런 사람이야"라는 뜻으로, 화자가 자신의 성격이나 행동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947 | 00:38:12,291 → 00:38:13,333
对车
📝 한어병음
duì chē
🇰🇷 한글번역
차에 대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에 대해, ~에게 HSK2 车 chē 차, 자동차 HSK1

📚 문법
介词 "对": "对"는 전치사로 사용되어 "~에 대해" 또는 "~에게"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주로 어떤 대상에 대한 태도나 행동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예: 我对这辆车很满意。(나는 이 차에 대해 매우 만족한다.)
자막 #948 | 00:38:13,333 → 00:38:14,750
和对人一样
📝 한어병음
hé duì rén yī yàng
🇰🇷 한글번역
사람에게도 마찬가지로
🎯 AI 분석 결과
🔍 어휘
和 hé 그리고, ~와 HSK1 对 duì ~에 대해, ~에게 HSK2 人 rén 사람 HSK1 一样 yíyàng 같다, 동일하다 HSK3

📚 문법
비교문: "A和B一样"은 두 대상이 동일하거나 비슷함을 나타내는 비교문입니다.
형태: A + 和 + B + 一样 (A는 B와 같다)
자막 #949 | 00:38:16,458 → 00:38:17,833
比较专一
📝 한어병음
bǐ jiào zhuān yī
🇰🇷 한글번역
비교적 전념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比较 bǐ jiào 비교적, 상대적으로 HSK3 专一 zhuān yī 전념하다, 한 가지에 집중하다 HSK4

📚 문법
정도부사 "比较": 비교적, 상대적으로라는 뜻으로, 형용사나 동사의 정도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比较专一"는 "상대적으로 전념하다"라는 뜻입니다.
자막 #950 | 00:38:30,250 → 00:38:31,083
光子
📝 한어병음
guāng zǐ
🇰🇷 한글번역
광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光子 guāngzǐ 광자 HSK 비해당

📚 문법
이 문장은 단일 명사로, 특별한 문법 패턴이 없습니다. "光子"는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빛의 기본 입자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회화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으며, 과학적 맥락에서 주로 등장합니다.
자막 #951 | 00:38:32,541 → 00:38:33,500
阿姨
📝 한어병음
ā yí
🇰🇷 한글번역
이모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姨 ā yí 이모, 아주머니 HSK3

📚 문법
호칭어: '阿姨'는 친척 관계에서 '이모'를 뜻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나이가 비슷한 어머니 친구나 여성에게도 사용할 수 있는 호칭입니다. 중국 문화에서는 친근함을 나타내기 위해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952 | 00:38:33,500 → 00:38:34,666
上车吧
📝 한어병음
shàng chē ba
🇰🇷 한글번역
타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上 shàng 오르다, 타다 HSK1
车 chē 차, 차량 HSK1
吧 ba ~하자 (제안) HSK2

📚 문법
권유문: '吧'는 제안이나 권유를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형태: 동사 + 车 + 吧 (차에 타자)
자막 #953 | 00:38:34,666 → 00:38:35,416
📝 한어병음
duì
🇰🇷 한글번역
맞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맞다, 옳다 HSK1

📚 문법
"对"는 중국어에서 동의하거나 맞다는 것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간단한 대답으로 "네" 또는 "맞습니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954 | 00:38:35,416 → 00:38:37,083
叔叔 您坐头车
📝 한어병음
shū shū nín zuò tóu chē
🇰🇷 한글번역
삼촌, 앞차에 타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아저씨, 삼촌 HSK2 您 nín 당신 (존칭) HSK2 坐 zuò 앉다, 타다 HSK1 头车 tóuchē 첫 차, 앞차 (일반적인 HSK 단어는 아님)

📚 문법
존칭 표현: "您"은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표현으로, 한국어의 "당신"에 해당합니다. 주로 어른이나 존경하는 사람에게 사용합니다.

문장의 구조: 주어(叔叔) + 존칭(您) + 동사(坐) + 명사(头车) 형태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권유하거나 제안하는 문장입니다. "아저씨, 앞차에 타세요"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955 | 00:38:37,083 → 00:38:38,041
你看 这
📝 한어병음
nǐ kàn zhè
🇰🇷 한글번역
너 이거 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 kàn 보다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입니다. 여기서 "你看 这"는 "너 이것 봐"라는 뜻으로, 주어(你)와 동사(看), 목적어(这)로 이루어진 간단한 명령문입니다.
자막 #956 | 00:38:39,041 → 00:38:40,250
这孩子 怎么样 最近
📝 한어병음
zhè hái zǐ zěn me yàng zuì jìn
🇰🇷 한글번역
이 아이 요즘 어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곳 HSK1 孩子 hái zi 아이, 어린이 HSK2 怎么样 zěn me yàng 어떻다, 어떻게 HSK2 最近 zuì jìn 최근, 요즘 HSK3

📚 문법
정도부사 "怎么样": 상태나 상황을 묻는 질문에 사용됩니다. "어떻다"라는 의미로, 주로 사람이나 사물의 상태를 물을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怎么样 (이 아이는 요즘 어떻습니까?)
자막 #957 | 00:38:40,250 → 00:38:42,000
怎么脸又长了呢 怎么
📝 한어병음
zěn me liǎn yòu cháng liǎo ne zěn me
🇰🇷 한글번역
왜 또 얼굴이 길어졌어, 왜?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왜 HSK2 脸 liǎn 얼굴 HSK3 又 yòu 또, 다시 HSK2 长 cháng 길다 HSK3

📚 문법
1. 의문문: "怎么"는 이유나 방법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怎么脸又长了呢"는 "왜 얼굴이 또 길어졌지?"라는 의미로, 이유를 묻는 표현입니다.
2. "又"는 과거의 반복된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또"라는 뜻으로, 이전에 발생한 일이 다시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958 | 00:38:48,541 → 00:38:50,208
大家先休整休整
📝 한어병음
dà jiā xiān xiū zhěng xiū zhěng
🇰🇷 한글번역
여러분, 먼저 잠시 쉬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大家 dà jiā 모두, 여러분 HSK2 先 xiān 먼저 HSK2 休整 xiū zhěng 휴식하고 정비하다 (HSK 비급수)

📚 문법
중첩형 동사: "休整休整"처럼 동사를 중첩하여 사용하면 동작의 짧음이나 가벼움을 나타냅니다. 이는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잠시 동안 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형태: 동사 + 동사 (잠시 휴식하고 정비합시다)
자막 #959 | 00:38:50,208 → 00:38:51,375
换身衣服
📝 한어병음
huàn shēn yī fu
🇰🇷 한글번역
옷을 갈아입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换 huàn 갈아입다, 바꾸다 HSK3 身 shēn 몸 HSK4 衣服 yīfu 옷 HSK1

📚 문법
동사 + 명사: 중국어에서 동사와 명사가 결합하여 동작과 그 대상을 나타냅니다.
예: 换 + 衣服 (옷을 갈아입다)
자막 #960 | 00:38:51,375 → 00:38:53,250
我带大家参观一下
📝 한어병음
wǒ dài dà jiā cān guān yī xià
🇰🇷 한글번역
제가 여러분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带 dài 데리다, 안내하다 HSK2
大家 dà jiā 모두, 여러분 HSK2
参观 cān guān 참관하다, 견학하다 HSK3
一下 yí xià 좀, 잠시 HSK2

📚 문법
동사 + 一下: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一下 (나는 여러분을 잠시 안내하겠다)
자막 #961 | 00:38:54,750 → 00:38:55,958
光总好
📝 한어병음
guāng zǒng hǎo
🇰🇷 한글번역
빛이 최고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光 guāng 빛, 단지 HSK3 总 zǒng 항상, 총 HSK3 好 hǎo 좋다 HSK1

📚 문법
형용사 중첩: 중국어에서 형용사를 반복하여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好好"는 "잘" 또는 "충분히"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光总好"가 "항상 좋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962 | 00:38:56,208 → 00:38:57,625
你们好
📝 한어병음
nǐ men hǎo
🇰🇷 한글번역
여러분, 안녕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们 men ~들 (복수형) HSK1 好 hǎo 안녕, 좋다 HSK1

📚 문법
인사 표현: "你们好"는 "여러분 안녕하세요"라는 뜻으로, 복수형 인사말입니다. "你"는 "너"를 뜻하고, "们"은 복수형을 나타내며, "好"는 "안녕" 또는 "좋다"라는 의미입니다. 중국어에서 사람들을 만날 때 흔히 사용하는 인사말입니다.
자막 #963 | 00:39:02,041 → 00:39:03,416
悠然山庄
📝 한어병음
yōu rán shān zhuāng
🇰🇷 한글번역
유연산장
🎯 AI 분석 결과
🔍 어휘
悠然 yōurán 유유자적하게, 한가롭게 HSK6 山庄 shānzhuāng 산장, 산속 별장 HSK6

📚 문법
명사구: "悠然山庄"은 "유유자적한 산속 별장"이라는 의미로, 두 개의 명사가 결합되어 하나의 명사구를 형성합니다. "悠然"은 형용사로서 "한가롭게"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山庄"은 명사로 "산속 별장"을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명사구는 장소나 상태를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964 | 00:39:03,416 → 00:39:05,000
光总好
📝 한어병음
guāng zǒng hǎo
🇰🇷 한글번역
빛이 최고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光 guāng 빛, 단지 HSK3 总 zǒng 항상, 총 HSK3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중국어에서 "光"은 "단지, 오직"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제한적임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光吃不做"는 "먹기만 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라는 뜻입니다. "总"은 "항상, 늘"이라는 의미로, 반복적인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好"는 형용사로 "좋다"라는 뜻이지만, 부사로 사용될 때는 "잘"이라는 의미로 동사를 수식합니다.
자막 #965 | 00:39:05,458 → 00:39:06,041
📝 한어병음
hǎo
🇰🇷 한글번역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好"는 형용사로 "좋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부사로 사용될 때는 "잘"이라는 뜻으로 동사의 상태나 정도를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做好"는 "잘 하다"라는 의미로, 동작이 잘 수행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966 | 00:39:06,500 → 00:39:08,041
来 大家里边请
📝 한어병음
lái dà jiā lǐ biān qǐng
🇰🇷 한글번역
어서 오세요, 안으로 들어오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大家 dà jiā 모두, 여러분 HSK2 里边 lǐ biān 안쪽, 내부 HSK3 请 qǐng 청하다, 초대하다 HSK2

📚 문법
명령문: "里边请"은 상대방에게 안으로 들어오도록 권유하거나 초대하는 표현입니다. "请"은 공손하게 요청하거나 초대할 때 사용됩니다. "大家里边请"은 "여러분, 안으로 들어오세요"라는 의미로, 여러 사람에게 정중하게 초대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967 | 00:39:08,041 → 00:39:10,916
我的天啊 这得多少亩地啊 光子
📝 한어병음
wǒ de tiān a zhè dé duō shǎo mǔ dì a guāng zǐ
🇰🇷 한글번역
세상에, 이게 얼마나 많은 땅이야, 광자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的 wǒ de 나의 HSK1 天啊 tiān a 세상에 (감탄사) 这 zhè 이것 HSK1 得 děi ~해야 한다 HSK4 多少 duōshǎo 얼마나 HSK2

📚 문법
感叹句: 감탄문으로, 놀라움이나 감탄을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감탄사 + 주어 + 술어 (我的天啊, 세상에)
자막 #968 | 00:39:10,916 → 00:39:11,750
没多大
📝 한어병음
méi duō dà
🇰🇷 한글번역
별로 크지 않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아니다 HSK2 多大 duō dà 얼마나 큰, 얼마나 많은 HSK1

📚 문법
"没多大"는 크기나 양이 크지 않음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주로 "크지 않다" 또는 "많지 않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这个房间没多大"는 "이 방은 크지 않다"라는 뜻입니다.
자막 #969 | 00:39:11,750 → 00:39:14,000
一千六百三十八亩地
📝 한어병음
yī qiān liù bǎi sān shí bā mǔ dì
🇰🇷 한글번역
1,638묘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 yī 하나 HSK1 千 qiān 천 HSK3 六 liù 여섯 HSK1 百 bǎi 백 HSK3 三 sān 셋 HSK1 十 shí 열 HSK2 八 bā 여덟 HSK1 亩 mǔ 묘(면적 단위) 地 dì 땅 HSK1

📚 문법
수사와 양사: 중국어에서 숫자와 양사를 결합하여 특정한 수량을 나타냅니다.
형태: 숫자 + 양사 + 명사 (예: 一千六百三十八亩地 - 1638 묘의 땅)

이 문장은 특정한 면적의 땅을 나타내며, 숫자와 양사의 조합을 통해 구체적인 수량을 표현합니다.
자막 #970 | 00:39:14,000 → 00:39:15,791
我简单给您介绍一下
📝 한어병음
wǒ jiǎn dān gěi nín jiè shào yī xià
🇰🇷 한글번역
제가 간단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简单 jiǎn dān 간단하다 HSK3 给 gěi ~에게 HSK2 您 nín 당신 (존칭) HSK2 介绍 jiè shào 소개하다 HSK2

📚 문법
동사 + 一下: 중국어에서 동작의 짧음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형태: 동사 + 一下 (잠깐 ~하다)
예문: 介绍一下 (잠깐 소개하다)
자막 #971 | 00:39:15,791 → 00:39:16,625
这里呢
📝 한어병음
zhè lǐ ne
🇰🇷 한글번역
여기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HSK1 里 lǐ 안, 속 HSK1 呢 ne ~는요? (문장 끝에 쓰여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呢"는 문장 끝에 사용되어 의문이나 강조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주로 상대방의 반응을 기대하거나, 특정 상황이나 상태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这里呢?"는 "여기는요?"라는 의미로, 특정 장소에 대한 정보를 묻거나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972 | 00:39:16,625 → 00:39:18,958
养的是休闲野山猪
📝 한어병음
yǎng de shì xiū xián yě shān zhū
🇰🇷 한글번역
기르는 것은 휴양용 야생 멧돼지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养 yǎng 기르다, 키우다 HSK3 是 shì ~이다 HSK1 休闲 xiūxián 휴식, 여가 HSK4 野山猪 yěshānzhū 야생 멧돼지 (HSK 비급수)

📚 문법
명사구: "休闲野山猪"는 '여가용 야생 멧돼지'라는 명사구로, 특정한 종류의 동물을 설명합니다.
형태: 형용사 + 명사 (休闲 + 野山猪)
자막 #973 | 00:39:18,958 → 00:39:21,333
这养的是休闲鲤鱼
📝 한어병음
zhè yǎng de shì xiū xián lǐ yú
🇰🇷 한글번역
이것은 휴양용 잉어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养 yǎng 기르다, 양육하다 HSK4 是 shì ~이다 HSK1 休闲 xiūxián 휴식, 레저 HSK4 鲤鱼 lǐyú 잉어 HSK6

📚 문법
명사구: "这养的是休闲鲤鱼"는 "이것은 레저용으로 기르는 잉어이다"라는 의미의 명사구입니다. "是"는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974 | 00:39:21,333 → 00:39:24,083
这养着休闲野山鸡
📝 한어병음
zhè yǎng zhe xiū xián yě shān jī
🇰🇷 한글번역
이것은 야생 꿩을 기르는 것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养 yǎng 기르다, 키우다 HSK4 着 zhe ~하고 있다 (진행형) HSK3 休闲 xiūxián 휴식, 여가 HSK5 野山鸡 yěshānjī 야생 꿩 (비HSK)

📚 문법
진행형: 중국어에서 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문법입니다.
형태: 동사 + 着 (예: 养着 - 기르고 있다)
자막 #975 | 00:39:24,083 → 00:39:25,708
可以说我们这什么都养
📝 한어병음
kě yǐ shuō wǒ men zhè shén me dōu yǎng
🇰🇷 한글번역
우리 집에서는 뭐든지 다 키운다고 할 수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可以 kě yǐ ~할 수 있다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我们 wǒ men 우리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什么 shén me 무엇 HSK1 都 dōu 모두 HSK1 养 yǎng 기르다, 키우다 HSK3

📚 문법
1. 可以: 가능이나 허락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할 수 있다" 또는 "~해도 된다"는 뜻입니다.
2. 什么都: "무엇이든지"라는 의미로, 어떤 것이든 다 포함된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3. 养: 동사로 "기르다" 또는 "키우다"라는 의미입니다. 문맥에 따라 동물, 식물, 사람 등을 기르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은 "우리는 여기서 무엇이든지 다 기를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976 | 00:39:25,708 → 00:39:27,708
就是不养闲人
📝 한어병음
jiù shì bù yǎng xián rén
🇰🇷 한글번역
그냥 놀고먹는 사람은 키우지 않는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是 shì ~이다 HSK1 不 bù 아니다 HSK1 养 yǎng 기르다, 부양하다 HSK4 闲人 xián rén 한가한 사람, 놀고 있는 사람 (HSK 비급수)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문장 구조: 주어 + 就是 + 不 + 동사 (바로 ~하지 않는다)
이 문장에서 "就是不养闲人"은 "바로 한가한 사람을 부양하지 않는다"라는 의미로, 어떤 원칙이나 결심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977 | 00:39:31,791 → 00:39:32,625
不好意思啊
📝 한어병음
bù hǎo yì sī a
🇰🇷 한글번역
죄송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 HSK1 好 hǎo 좋다 HSK1 意思 yì si 뜻, 의미 HSK3 啊 a 어기조사 HSK1

📚 문법
- 不好意思: 이 표현은 "미안합니다" 또는 "죄송합니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상대방에게 사과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啊: 문장 끝에 붙어 어감을 부드럽게 하거나 감탄을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자막 #978 | 00:39:32,625 → 00:39:33,541
怎么没关好呢
📝 한어병음
zěn me méi guān hǎo ne
🇰🇷 한글번역
왜 제대로 닫지 않았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왜 HSK2 没 méi ~않다, ~하지 않았다 HSK1 关 guān 닫다 HSK2 好 hǎo 잘 HSK1

📚 문법
결과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결과나 상태를 설명하는 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결과보어 (닫다 + 잘 = 잘 닫다)
이 문장에서 "关好"는 "잘 닫다"라는 의미로, 동작이 완료되었거나 기대한 상태에 도달했는지를 나타냅니다. "怎么没关好呢"는 "왜 잘 닫히지 않았지?"라는 의미로, 기대한 결과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979 | 00:39:33,541 → 00:39:35,333
你说你爸得多高兴
📝 한어병음
nǐ shuō nǐ bà dé duō gāo xīng
🇰🇷 한글번역
네 아버지가 얼마나 기뻐하시겠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爸 bà 아빠 HSK1 得 de (정도보어) HSK3 高兴 gāo xìng 기쁘다 HSK2

📚 문법
정도보어: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의 정도를 설명하는 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得 + 형용사 (너는 네 아빠가 얼마나 기뻐할지 말해봐)

이 문장에서 "得多高兴"은 아빠가 매우 기뻐할 것이라는 정도를 강조합니다.
자막 #980 | 00:39:35,333 → 00:39:37,916
有你这个儿子可真幸福啊
📝 한어병음
yǒu nǐ zhè gè ér zǐ kě zhēn xìng fú a
🇰🇷 한글번역
너 같은 아들이 있어서 정말 행복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你 nǐ 너 HSK1 这个 zhè ge 이, 이것 HSK1 儿子 ér zi 아들 HSK2 幸福 xìng fú 행복하다 HSK4

📚 문법
감탄문: 중국어에서 감탄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문장입니다.
형태: 主语 + 可真 + 형용사 + 啊 (너 같은 아들이 있어서 정말 행복하다)

이 문장에서는 "可真"이 "정말"이라는 의미로 감탄의 정도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981 | 00:39:38,416 → 00:39:39,375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젊은 남성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자막 #982 | 00:39:39,375 → 00:39:41,250
您跟我父亲是好兄弟
📝 한어병음
nín gēn wǒ fù qīn shì hǎo xiōng dì
🇰🇷 한글번역
당신은 저희 아버지와 좋은 형제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您 nín 당신 HSK2 跟 gēn ~와/과 HSK1 父亲 fù qīn 아버지 HSK2 是 shì ~이다 HSK1 好 hǎo 좋은 HSK1 兄弟 xiōng dì 형제 HSK3

📚 문법
주어 + 跟 + 명사 + 是 + 명사: 중국어에서 두 사람의 관계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주어 + 跟 + 상대방 + 是 + 관계 (당신과 저의 아버지는 좋은 형제입니다)
자막 #983 | 00:39:41,250 → 00:39:42,250
我跟小雨
📝 한어병음
wǒ gēn xiǎo yǔ
🇰🇷 한글번역
나와 샤오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跟 gēn ~와/과 HSK2 小 xiǎo 작은 HSK1 雨 yǔ 비 HSK2

📚 문법
"跟"의 사용: "跟"은 주로 '와/과'의 의미로 사용되어, 사람이나 사물과의 동반이나 관계를 나타냅니다.
예문: 我跟小雨 (나는 샤오위와 함께)
자막 #984 | 00:39:42,250 → 00:39:44,791
又是打小一块长起来的
📝 한어병음
yòu shì dǎ xiǎo yī kuài cháng qǐ lái de
🇰🇷 한글번역
또 어릴 때부터 함께 자란 사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又 yòu 또, 다시 HSK2
是 shì ~이다 HSK1
打 dǎ 함께, 같이 HSK1
小 xiǎo 어릴 때 HSK1
长 cháng 자라다 HSK2
起来 qǐ lái 일어나다, 성장하다 HSK3

📚 문법
"又是" 패턴: 반복이나 추가적인 상황을 나타내며, "또는 다시"의 의미를 가집니다.
"打小一块长起来的": "어릴 때부터 함께 자라다"라는 의미로, "打小"는 "어릴 때부터"를, "一块"는 "함께"를, "长起来"는 "자라다"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은 과거의 경험이나 상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자막 #985 | 00:39:44,791 → 00:39:46,666
我不就等于是您的
📝 한어병음
wǒ bù jiù děng yú shì nín de
🇰🇷 한글번역
제가 바로 당신의...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不 bù 아니다 HSK1 就 jiù 곧, 즉시 HSK2 等于 děng yú ~와 같다 HSK4 您 nín 당신 (높임말) HSK2

📚 문법
등위문: "A 等于 B" 형태로, A가 B와 같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我不就等于是您的"로, "나는 곧 당신과 같은 것이 아닙니까?"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不就"는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어, '곧' 또는 '바로'의 의미를 더합니다.
자막 #986 | 00:39:47,250 → 00:39:48,500
半个儿子嘛
📝 한어병음
bàn gè ér zǐ ma
🇰🇷 한글번역
반쪽 아들이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半 bàn 반, 절반 HSK3 个 gè 개, 명 (양사) HSK1 儿子 ér zi 아들 HSK1 嘛 ma ~잖아 (어기조사) HSK4

📚 문법
어기조사 "嘛": 중국어에서 "嘛"는 문장 끝에 위치하여 당연함이나 강조를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半个儿子嘛"에서 "嘛"가 사용되어, "반쪽 아들이잖아"라는 의미로 당연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987 | 00:39:49,875 → 00:39:50,666
有时候
📝 한어병음
yǒu shí hòu
🇰🇷 한글번역
때때로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时候 yǒu shí hou 가끔, 때때로 HSK3

📚 문법
부사구: "有时候"는 부사구로 사용되어 문장에서 시간의 빈도를 나타냅니다. "가끔" 또는 "때때로"라는 의미로, 어떤 일이 정기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일어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有时候我去公园"는 "가끔 나는 공원에 간다"라는 뜻입니다.
자막 #988 | 00:39:50,666 → 00:39:52,666
我真想叫您一声
📝 한어병음
wǒ zhēn xiǎng jiào nín yī shēng
🇰🇷 한글번역
정말로 당신을 한번 불러보고 싶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真 zhēn 정말로 HSK2 想 xiǎng 생각하다, 원하다 HSK2 叫 jiào 부르다 HSK1 您 nín 당신 (존칭) HSK2 一声 yī shēng 한 번 HSK4

📚 문법
- 想: '생각하다', '원하다'라는 뜻으로, 뒤에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어떤 행동을 하고 싶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 叫: '부르다'라는 의미로, 뒤에 사람이나 호칭이 올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존칭인 '您'과 함께 사용되어 존경의 의미를 더합니다.
- 一声: '한 번'이라는 뜻으로, 동작의 횟수를 나타내는 양사입니다. 여기서는 '叫'와 함께 사용되어 '한 번 부르다'라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자막 #989 | 00:39:52,666 → 00:39:54,250
可不是嘛 我们家小雨啊
📝 한어병음
kě bù shì ma wǒ men jiā xiǎo yǔ a
🇰🇷 한글번역
그러게 말이야, 우리 집 소우는 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可不是嘛 kě bú shì ma 그렇지 않니? (동의나 감탄을 나타내는 표현)
我们 wǒmen 우리 HSK1
家 jiā 집, 가족 HSK1
小雨 Xiǎoyǔ 샤오위 (사람 이름)

📚 문법
- "可不是嘛"는 중국어에서 상대방의 말에 동의하거나 감탄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직역하면 "그렇지 않니?"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맞아" 또는 "그러게"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 "我们家小雨"는 "우리 집의 샤오위"라는 뜻으로, 가족 구성원을 친근하게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我们家"는 "우리 집"이라는 의미로, 뒤에 사람 이름을 붙여 가족 구성원을 나타냅니다.
자막 #990 | 00:39:54,250 → 00:39:55,666
从小到大就说了
📝 한어병음
cóng xiǎo dào dà jiù shuō liǎo
🇰🇷 한글번역
어릴 때부터 계속 말해왔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从小 cóng xiǎo 어릴 때부터 HSK4 到大 dào dà 커서까지 (해당 표현은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지만, 문맥상 '어릴 때부터 커서까지'로 해석) 就 jiù 바로, 이미 HSK3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从...到...: '...부터 ...까지'라는 의미로, 시간이나 장소의 범위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형태: 从 + 시작점 + 到 + 끝점 (어릴 때부터 커서까지)
자막 #991 | 00:39:55,666 → 00:39:57,083
你就是她亲哥
📝 한어병음
nǐ jiù shì tā qīn gē
🇰🇷 한글번역
너는 그녀의 친오빠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就是 jiù shì 바로 ~이다 HSK2 她 tā 그녀 HSK1 亲哥 qīn gē 친오빠/형 HSK6

📚 문법
주어 + 就是 + 명사: 주어가 바로 그 명사임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就是 + 명사 (너는 바로 그녀의 친오빠다)
자막 #992 | 00:39:57,083 → 00:39:58,333
是啊 哥
📝 한어병음
shì a gē
🇰🇷 한글번역
그래 형.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啊 a 어기조사(감탄, 동의) HSK2 哥 gē 형, 오빠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탄, 동의, 강조 등의 의미를 더합니다. 여기서는 상대방의 말을 동의하거나 확인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993 | 00:39:59,125 → 00:39:59,833
人家
📝 한어병음
rén jiā
🇰🇷 한글번역
남들
🎯 AI 분석 결과
🔍 어휘
人家 rén jiā 다른 사람, 남 HSK4

📚 문법
대명사: "人家"는 문맥에 따라 "다른 사람" 또는 "남"을 의미하며, 주로 제3자를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人家说"는 "다른 사람이 말하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994 | 00:39:59,833 → 00:40:01,000
没说完话呢
📝 한어병음
méi shuō wán huà ne
🇰🇷 한글번역
말을 다 하지 않았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아직 ~않다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完 wán 끝나다, 완료하다 HSK3 话 huà 말, 이야기 HSK1

📚 문법
동사 + 完: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결과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完 (말을 다 하지 않았다)
자막 #995 | 00:40:01,000 → 00:40:02,083
你们就在这
📝 한어병음
nǐ men jiù zài zhè
🇰🇷 한글번역
너희는 여기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们 nǐmen 너희들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在 zài ~에 있다 HSK1 这 zhè 이, 여기 HSK1

📚 문법
장소 부사구: 중국어에서 "在"는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사로 사용됩니다.
형태: 主语 + 在 + 장소 (너희들은 여기에 있다)

이 문장은 "너희들은 바로 여기에 있어"라는 의미로, "就在"는 강조의 의미를 더해줍니다.
자막 #996 | 00:40:02,083 → 00:40:03,541
来 上那边 那边也有啊
📝 한어병음
lái shàng nà biān nà biān yě yǒu a
🇰🇷 한글번역
저쪽으로 가, 저쪽에도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上 shàng 위 HSK1 那边 nà biān 저쪽 HSK2 也 yě 또한 HSK1 有 yǒu 있다 HSK1

📚 문법
- 방향보어: "上"은 방향을 나타내는 보어로, 동작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上那边"은 "저쪽으로 올라가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也"의 사용: "也"는 "또한" 또는 "역시"라는 의미로, 앞의 내용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那边也有"에서 "저쪽에도 있다"라는 의미로 쓰였습니다.
자막 #997 | 00:40:03,541 → 00:40:04,791
对 叔叔 来
📝 한어병음
duì shū shū lái
🇰🇷 한글번역
삼촌에게 와.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에게, ~에 대해 HSK2 叔叔 shūshu 삼촌 HSK2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호칭과 방향 보어: "对"는 특정 대상에게 방향을 나타내며, "来"는 동작의 방향성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 "对"는 "삼촌에게"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삼촌을 향한 동작이나 행동을 나타냅니다. "来"는 기본적으로 '오다'라는 뜻으로, 문맥에 따라 동작의 방향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자막 #998 | 00:40:04,791 → 00:40:06,083
这个也不小啊这个
📝 한어병음
zhè gè yě bù xiǎo a zhè gè
🇰🇷 한글번역
이것도 작지 않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个 gè 개, 명(양사) HSK1 也 yě 또한, 역시 HSK1 不 bù 아니다 HSK1 小 xiǎo 작다 HSK1

📚 문법
중첩 강조: "这个也不小啊这个"는 "이것도 작지 않다"라는 의미로, 문장의 앞과 뒤에 같은 표현을 반복하여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이는 구어체에서 감탄이나 강조를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999 | 00:40:09,083 → 00:40:09,833
光子
📝 한어병음
guāng zǐ
🇰🇷 한글번역
광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光子 guāngzǐ 광자 HSK6

📚 문법
이 문장은 단일 명사로, 특별한 문법 패턴이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光子"는 물리학에서 빛의 기본 입자를 의미합니다. 문맥에 따라 과학적인 설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자막 #1000 | 00:40:10,083 → 00:40:12,458
你这家伙 照片照得不赖呀
📝 한어병음
nǐ zhè jiā huǒ zhào piàn zhào dé bù lài ya
🇰🇷 한글번역
너 사진 잘 찍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 HSK1 家伙 jiā huo 녀석, 친구 (구어체) HSK5 照片 zhào piàn 사진 HSK3 照 zhào 찍다 HSK4

📚 문법
得字句: 동사 뒤에 '得'를 사용하여 동작의 정도를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得 + 형용사 (사진을 잘 찍었다)

이 문장에서 "照片照得不赖"는 "사진을 잘 찍었다"라는 의미로, '得'를 사용하여 사진을 찍은 결과가 좋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자막 #1001 | 00:40:12,750 → 00:40:14,000
也没有了
📝 한어병음
yě méi yǒu liǎo
🇰🇷 한글번역
없어졌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也 yě 또한, ~도 HSK1 没有 méi yǒu 없다 HSK2 了 le ~했다 (완료) HSK1

📚 문법
부정문: "没有"는 과거의 부정을 나타내며, "了"는 동작의 완료를 나타냅니다. 이 두 단어가 함께 사용되어 과거에 어떤 일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강조합니다.
형태: 也 + 没有 + 동사 + 了 (또한 ~하지 않았다)
자막 #1002 | 00:40:14,000 → 00:40:15,375
做事要高调
📝 한어병음
zuò shì yào gāo tiáo
🇰🇷 한글번역
일을 할 때는 당당하게 하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做事 zuò shì 일을 하다 HSK3 要 yào 해야 한다 HSK1 高调 gāo diào 과시하다, 고조된 태도 HSK6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要"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함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要 + 동사 (일을 할 때는 과시해야 한다)
자막 #1003 | 00:40:15,375 → 00:40:17,250
做人要低调
📝 한어병음
zuò rén yào dī tiáo
🇰🇷 한글번역
사람은 겸손해야 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做 zuò 하다, 만들다 HSK1 人 rén 사람 HSK1 要 yào 필요하다, 해야 한다 HSK1 低调 dīdiào 겸손하다, 낮추다 HSK6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조언이나 권고를 나타내는 명령문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 보어 (사람은 겸손해야 한다)
자막 #1004 | 00:40:17,625 → 00:40:18,541
是吧
📝 한어병음
shì ba
🇰🇷 한글번역
그렇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吧 ba ~지요, ~죠 HSK2

📚 문법
"是吧"는 중국어에서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자신의 추측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吧"는 문장의 끝에 붙어 추측이나 권유의 의미를 부여합니다. 예를 들어, "맞지요?" 또는 "그렇죠?"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005 | 00:40:23,458 → 00:40:25,000
这调也不低呀
📝 한어병음
zhè tiáo yě bù dī ya
🇰🇷 한글번역
이 음도 낮지 않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调 diào 조, 음조 HSK4 也 yě 도, 또한 HSK1 不 bù 아니다 HSK1 低 dī 낮다 HSK3 呀 ya ~야 (어기조사) HSK5

📚 문법
어기조사 "呀":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 놀람, 강조 등의 어감을 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는 "调也不低呀"에서 음조가 낮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1006 | 00:40:25,500 → 00:40:26,750
大家
📝 한어병음
dà jiā
🇰🇷 한글번역
여러분
🎯 AI 분석 결과
🔍 어휘
大 dà 크다 HSK1 家 jiā 집, 가족 HSK1 大家 dà jiā 모두, 여러분 HSK1

📚 문법
"大家"는 "모두" 또는 "여러분"이라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사람들에게 말을 걸거나 그룹 전체를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주어로 사용되어 문장의 주체가 여러 사람임을 나타냅니다.
자막 #1007 | 00:40:26,750 → 00:40:27,541
随便坐
📝 한어병음
suí biàn zuò
🇰🇷 한글번역
편하게 앉으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随便 suí biàn 편하게, 마음대로 HSK3 坐 zuò 앉다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권유하거나 지시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편하게 앉으세요)
자막 #1008 | 00:40:27,541 → 00:40:28,375
山下虎猛
📝 한어병음
shān xià hǔ měng
🇰🇷 한글번역
산하호맹
🎯 AI 분석 결과
🔍 어휘
山 shān 산 HSK1 下 xià 아래, 내리다 HSK1 虎 hǔ 호랑이 HSK5 猛 měng 사납다, 맹렬하다 HSK6

📚 문법
명사구: "山下虎猛"은 명사구로, "산 아래의 호랑이는 사납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문장은 주어와 서술어가 생략된 형태로, 상황이나 특성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009 | 00:40:28,375 → 00:40:29,291
随便看
📝 한어병음
suí biàn kàn
🇰🇷 한글번역
편하게 보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随便 suí biàn 마음대로, 자유롭게 HSK3 看 kàn 보다 HSK1

📚 문법
명령문: "随便看"은 상대방에게 자유롭게 보라는 의미의 간단한 명령문입니다. "随便"은 '마음대로', '자유롭게'라는 뜻으로, 뒤에 동사를 붙여서 사용합니다.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제한 없이 행동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010 | 00:40:29,291 → 00:40:30,791
那叫猛虎下山
📝 한어병음
nà jiào měng hǔ xià shān
🇰🇷 한글번역
그것을 맹호하산이라고 부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것, 그것 HSK1 叫 jiào 부르다, 칭하다 HSK1 猛虎 měnghǔ 맹호, 호랑이 HSK4 下山 xià shān 산을 내려가다 HSK3

📚 문법
명사구: "猛虎下山"은 "맹호가 산을 내려오다"라는 뜻으로, 주로 강력한 힘이나 위협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那叫"와 결합하여 "그것을 맹호가 산을 내려오는 것이라고 부른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011 | 00:40:31,458 → 00:40:32,708
人山下老虎猛
📝 한어병음
rén shān xià lǎo hǔ měng
🇰🇷 한글번역
산 아래의 호랑이는 사납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人 rén 사람 HSK1 山 shān 산 HSK1 下 xià 아래 HSK1 老虎 lǎohǔ 호랑이 HSK4 猛 měng 사납다, 맹렬하다 HSK6

📚 문법
주어 + 장소 + 서술어: 이 문장은 주어가 특정 장소에 있는 상황을 설명합니다. 여기서는 "사람이 산 아래에 있다"는 의미로 시작하며, "호랑이가 사납다"는 서술어로 이어집니다. 이 문장은 주어와 서술어가 명확하게 나뉘어 있지 않지만, 문맥상 "산 아래에 있는 호랑이가 사납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1012 | 00:40:32,708 → 00:40:34,208
你看这小玩意
📝 한어병음
nǐ kàn zhè xiǎo wán yì
🇰🇷 한글번역
이 작은 물건 좀 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 kàn 보다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小 xiǎo 작은 HSK1 玩意 wán yì 장난감, 물건 (구어체) HSK6

📚 문법
지시대명사: "这"는 '이것'이라는 뜻으로, 화자가 가까이 있는 사물이나 상황을 지시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这 + 명사 (이 작은 물건)

문장 구조: 주어 + 동사 + 목적어
이 문장은 "너는 이 작은 물건을 봐"라는 의미로, 주어(你)와 동사(看), 목적어(这小玩意)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막 #1013 | 00:40:35,958 → 00:40:36,541
光子
📝 한어병음
guāng zǐ
🇰🇷 한글번역
광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光子 guāngzǐ 광자 (물리학 용어) HSK 비포함

📚 문법
이 문장은 단일 명사로 구성되어 있어 특별한 문법 패턴은 없습니다. "光子"는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로, 빛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를 의미합니다.
자막 #1014 | 00:40:37,625 → 00:40:38,666
给人弄坏了呢
📝 한어병음
gěi rén nòng huài liǎo ne
🇰🇷 한글번역
사람이 망가뜨렸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给 gěi ~에게, ~을/를 위해 HSK2 人 rén 사람 HSK1 弄 nòng 하다, 만들다 HSK4 坏 huài 나쁘다, 고장나다 HSK3

📚 문법
"给"字句: "给"는 동작의 대상을 나타내며, "~에게" 또는 "~을/를 위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给 + 사람 + 동사 + 목적어 (사람에게 어떤 동작을 하다)

"弄"의 사용: "弄"은 어떤 일을 하거나 만들 때 사용되며, 여기서는 "고장내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015 | 00:40:38,666 → 00:40:40,000
快赶紧的安上
📝 한어병음
kuài gǎn jǐn de ān shàng
🇰🇷 한글번역
빨리 설치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快 kuài 빠르다 HSK2 赶紧 gǎn jǐn 서둘러 HSK4 安 ān 설치하다 HSK4 上 shàng 위로, ~에 HSK1

📚 문법
동사 중첩: "赶紧"은 서둘러 어떤 행동을 해야 함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형태: 快 + 동사 (서둘러 ~하다)
이 문장에서 "快赶紧的安上"는 "서둘러 설치해라"라는 의미로, 빠르게 행동할 것을 요구하는 문장입니다.
자막 #1016 | 00:40:42,875 → 00:40:43,708
光子
📝 한어병음
guāng zǐ
🇰🇷 한글번역
광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光子 guāngzǐ 광자 HSK6

📚 문법
이 문장은 단어 하나로 구성되어 있어 문법적인 분석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光子"는 물리학 용어로, 빛의 기본 입자를 의미합니다.
자막 #1017 | 00:40:44,000 → 00:40:44,791
阿姨
📝 한어병음
ā yí
🇰🇷 한글번역
이모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姨 ā yí 이모, 아주머니 HSK3

📚 문법
호칭: "阿姨"는 친척 관계에서 '이모'를 뜻하지만, 일반적으로 친근한 어른 여성에게도 사용됩니다. 한국어의 '아주머니'와 유사한 사용입니다.
자막 #1018 | 00:40:44,958 → 00:40:46,666
你这一屋的古董
📝 한어병음
nǐ zhè yī wū de gǔ dǒng
🇰🇷 한글번역
당신 이 방에 있는 골동품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 HSK1 一 yī 한, 하나의 HSK1 屋 wū 방, 집 HSK4 古董 gǔdǒng 골동품 HSK6

📚 문법
명사구: "你这一屋的古董"는 "너의 이 방에 있는 골동품"이라는 의미로, 소유를 나타내는 구조입니다.
형태: 주어 + 수량사 + 명사 + 的 + 명사 (너의 이 방의 골동품)
자막 #1019 | 00:40:46,666 → 00:40:48,416
都是义乌批发的
📝 한어병음
dōu shì yì wū pī fā de
🇰🇷 한글번역
모두 이우에서 도매한 것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是 shì 이다 HSK1 义乌 Yìwū 의무 (중국의 도시 이름) 批发 pīfā 도매하다 HSK5 的 de ~의 HSK1

📚 문법
명사구: "都是义乌批发的"는 명사구로, "모두 의무에서 도매한 것이다"라는 의미입니다. 이 문장은 주어가 생략된 상태로, 맥락에 따라 주어를 추측할 수 있습니다. "都是"는 "모두 ~이다"라는 뜻으로, 주어가 가리키는 모든 것이 의무에서 도매된 것임을 나타냅니다.
자막 #1020 | 00:40:48,416 → 00:40:50,083
都是些陈设
📝 한어병음
dōu shì xiē chén shè
🇰🇷 한글번역
모두 장식품일 뿐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是 shì 이다 HSK1 些 xiē 몇몇, 약간 HSK2 陈设 chén shè 장식, 진열 HSK6

📚 문법
명사구: "都是些陈设"는 명사구로, "모두 몇몇 장식들이다"라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些"는 약간의, 몇몇의 의미로 사용되어 "陈设"을 수량적으로 한정합니다.
자막 #1021 | 00:40:50,416 → 00:40:51,750
我这屋里
📝 한어병음
wǒ zhè wū lǐ
🇰🇷 한글번역
내 방 안에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屋 wū 방 HSK4 里 lǐ 안, 속 HSK1

📚 문법
장소 표현: "这屋里"는 "이 방 안"이라는 뜻으로, 장소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중국어에서는 장소를 나타낼 때 주로 명사 뒤에 '里'를 붙여 사용합니다.
자막 #1022 | 00:40:51,750 → 00:40:52,875
最珍贵的
📝 한어병음
zuì zhēn guì de
🇰🇷 한글번역
가장 소중한 것
🎯 AI 분석 결과
🔍 어휘
最 zuì 가장 HSK2 珍贵 zhēnguì 소중하다, 귀중하다 HSK5

📚 문법
정도부사 "最": 중국어에서 "最"는 형용사나 부사 앞에 위치하여 최상급을 나타냅니다.
형태: 最 + 형용사/부사 (가장 소중한)
자막 #1023 | 00:40:55,208 → 00:40:56,708
是这幅画
📝 한어병음
shì zhè fú huà
🇰🇷 한글번역
이 그림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幅 fú 폭 (그림을 세는 단위) HSK4 画 huà 그림 HSK2

📚 문법
명사구: "这幅画"는 "이 그림"이라는 명사구로, "这"는 지시대명사로 사용되어 특정 대상을 가리킵니다. "幅"은 그림을 셀 때 사용하는 양사입니다.
자막 #1024 | 00:40:57,541 → 00:40:59,666
这画是小孩画的吧
📝 한어병음
zhè huà shì xiǎo hái huà de ba
🇰🇷 한글번역
이 그림은 아이가 그린 거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画 huà 그림 HSK3 是 shì ~이다 HSK1 小孩 xiǎo hái 어린이 HSK3 吧 ba ~지, ~죠 (추측) HSK2

📚 문법
吧 (ba): 문장 끝에 쓰여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작은 아이가 그린 것이죠?"라는 추측을 나타냅니다.
자막 #1025 | 00:41:00,000 → 00:41:01,291
好眼力
📝 한어병음
hǎo yǎn lì
🇰🇷 한글번역
눈썰미 좋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眼力 yǎn lì 안목, 관찰력 (HSK 등급 없음)

📚 문법
형용사 + 명사: "好眼力"는 "좋은 안목" 또는 "좋은 관찰력"이라는 의미로, 형용사 "好"가 명사 "眼力"를 수식하는 구조입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형용사가 명사의 성질이나 상태를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026 | 00:41:01,875 → 00:41:03,541
这确实是孩子画的
📝 한어병음
zhè què shí shì hái zǐ huà de
🇰🇷 한글번역
이것은 정말로 아이가 그린 것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确实 què shí 확실히 HSK4 是 shì ~이다 HSK1 孩子 hái zi 아이 HSK2 画 huà 그리다 HSK3

📚 문법
是字句: 중국어에서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是 + 서술어 (이것은 확실히 아이가 그린 것이다)

이 문장에서 "是"는 주어 "这"와 서술어 "孩子画的"를 연결하여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1027 | 00:41:04,541 → 00:41:05,875
哥 你这不早说
📝 한어병음
gē nǐ zhè bù zǎo shuō
🇰🇷 한글번역
형, 너 이걸 왜 이제 말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哥 gē 형, 오빠 HSK1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것 HSK1 不 bù 아니다 HSK1 早 zǎo 일찍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不早说"로 "일찍 말하지 않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형태: 主어 + 不 + 동사 (너는 일찍 말하지 않았다)
자막 #1028 | 00:41:05,875 → 00:41:07,083
你都有孩子了 你这
📝 한어병음
nǐ dōu yǒu hái zǐ liǎo nǐ zhè
🇰🇷 한글번역
너는 이미 아이가 있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都 dōu 모두 HSK1 有 yǒu 있다 HSK1 孩子 hái zi 아이 HSK2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了(le) 어기조사: 동작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며,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완료나 변화를 강조합니다.
예문: 你都有孩子了 (너는 이미 아이가 있다) - 여기서 '了'는 아이가 있다는 상태의 완료를 나타냅니다.
자막 #1029 | 00:41:07,083 → 00:41:09,625
这是小雨小时候画的
📝 한어병음
zhè shì xiǎo yǔ xiǎo shí hòu huà de
🇰🇷 한글번역
이것은 샤오위가 어렸을 때 그린 것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小雨 Xiǎoyǔ 샤오위 (이름) 小时候 xiǎo shí hòu 어릴 때 HSK4 画 huà 그리다 HSK3

📚 문법
这是 ~: "이것은 ~이다"라는 의미로,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这是 + 명사 (이것은 샤오위가 어릴 때 그린 것이다)
자막 #1030 | 00:41:09,625 → 00:41:11,708
我一直珍藏着
📝 한어병음
wǒ yī zhí zhēn cáng zhe
🇰🇷 한글번역
나는 항상 소중히 간직하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一直 yìzhí 계속, 줄곧 HSK3 珍藏 zhēncáng 소중히 간직하다 HSK6 着 zhe ~하고 있다 (진행형) HSK2

📚 문법
진행형: 중국어에서 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着 (나는 계속해서 소중히 간직하고 있다)
자막 #1031 | 00:41:33,125 → 00:41:34,083
光子
📝 한어병음
guāng zǐ
🇰🇷 한글번역
광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光 guāng 빛 HSK3 子 zǐ 자식, 아들 HSK4

📚 문법
'光子'는 물리학에서 'photon'을 의미하는 전문 용어로, 일반적인 문법 패턴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이 단어는 과학적 맥락에서 사용되며, '빛의 입자'라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자막 #1032 | 00:41:34,083 → 00:41:36,416
我姑娘不光画 画得好
📝 한어병음
wǒ gū niáng bù guāng huà huà dé hǎo
🇰🇷 한글번역
우리 딸은 그림을 잘 그릴 뿐만 아니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姑娘 gūniang 아가씨, 딸 HSK5
不光 bùguāng ~뿐만 아니라 HSK6
画 huà 그림 그리다 HSK3
好 hǎo 잘 HSK1

📚 문법
"不光...": '뿐만 아니라'라는 의미로, 뒤에 추가적인 정보를 덧붙일 때 사용됩니다.
예문: 我姑娘不光画画得好, 她还会弹钢琴。(우리 딸은 그림을 잘 그릴 뿐만 아니라 피아노도 칠 줄 알아요.)

"得" 구조: 동사와 형용사 사이에 '得'를 넣어 동작의 정도나 상태를 설명합니다.
형태: 동사 + 得 + 형용사 (그림을 잘 그린다)
자막 #1033 | 00:41:36,416 → 00:41:37,750
柔道还厉害呢
📝 한어병음
róu dào hái lì hài ne
🇰🇷 한글번역
유도도 대단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柔道 róudào 유도 HSK6 还 hái 더, 또한 HSK2 厉害 lìhai 대단하다, 강하다 HSK4 呢 ne ~이다, ~네 (어기조사) HSK1

📚 문법
어기조사 "呢":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부여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유도가 정말 대단하다"라는 감탄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1034 | 00:41:37,750 → 00:41:39,083
阿姨
📝 한어병음
ā yí
🇰🇷 한글번역
이모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姨 ā yí 이모, 아주머니 HSK3

📚 문법
호칭어: "阿姨"는 친척 관계에서 '이모'를 뜻하지만, 일상적으로는 나이가 비슷한 여성에게 '아주머니'라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중국에서는 친근함을 나타내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호칭입니다.
자막 #1035 | 00:41:39,708 → 00:41:40,541
说开饭了
📝 한어병음
shuō kāi fàn liǎo
🇰🇷 한글번역
밥 먹자고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说 shuō 말하다 HSK1 开饭 kāi fàn 식사를 시작하다 (일상 표현) 了 le 완료, 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어기조사 "了":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开饭了"에서 식사를 시작하는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자막 #1036 | 00:41:40,791 → 00:41:41,250
📝 한어병음
duì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맞다, 옳다 HSK1

📚 문법
"对"는 형용사로 사용되어 "맞다" 또는 "옳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주로 상대방의 말이나 의견에 동의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037 | 00:41:41,250 → 00:41:42,208
小雨
📝 한어병음
xiǎo yǔ
🇰🇷 한글번역
가랑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雨 yǔ 비 HSK1

📚 문법
명사: "小雨"는 '작은 비' 또는 '가랑비'라는 뜻의 명사로, 날씨를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038 | 00:41:42,208 → 00:41:43,125
晚上
📝 한어병음
wǎn shàng
🇰🇷 한글번역
저녁
🎯 AI 분석 결과
🔍 어휘
晚上 wǎnshàng 저녁, 밤 HSK1

📚 문법
시간 표현: "晚上"는 하루 중 저녁이나 밤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로, 문장에서 시간 부사어로 사용되어 동작이나 상태가 발생하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我晚上去看电影"는 "나는 저녁에 영화를 보러 간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1039 | 00:41:43,416 → 00:41:46,666
我还准备了你最爱喝的河鲜汤
📝 한어병음
wǒ hái zhǔn bèi liǎo nǐ zuì ài hē de hé xiān tāng
🇰🇷 한글번역
나는 네가 가장 좋아하는 민물고기탕도 준비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还 hái 또한, 더 HSK2 准备 zhǔn bèi 준비하다 HSK3 最 zuì 가장 HSK2 爱 ài 사랑하다, 좋아하다 HSK1

📚 문법
정도부사 "最": "最"는 형용사나 동사 앞에 위치하여 최고 정도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最爱喝"로 "가장 좋아하는"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형태: 最 + 형용사/동사 (가장 좋아하다)

동사 중첩: "喝"는 "喝喝"로 중첩되어 동작의 가벼움을 나타낼 수 있지만, 여기서는 단순히 "마시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040 | 00:41:46,666 → 00:41:47,375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이 단어는 명사로, 가족 관계나 친척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의미하지만, 나이가 비슷한 남성을 친근하게 부를 때도 사용됩니다.
자막 #1041 | 00:41:47,375 → 00:41:49,375
晚上正好来一些朋友
📝 한어병음
wǎn shàng zhèng hǎo lái yī xiē péng yǒu
🇰🇷 한글번역
저녁에 마침 몇몇 친구들이 올 거예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晚上 wǎn shàng 저녁 HSK1 正好 zhèng hǎo 마침, 딱 HSK4 来 lái 오다 HSK1 一些 yī xiē 약간, 조금 HSK2 朋友 péng you 친구 HSK1

📚 문법
정도부사: "正好"는 '마침', '딱'이라는 뜻으로, 어떤 상황이나 조건이 적절하게 맞아떨어짐을 나타냅니다.
문장 형태: 주어 + 正好 + 동사 + 목적어 (저녁에 마침 몇몇 친구들이 온다)
자막 #1042 | 00:41:49,375 → 00:41:50,791
咱们一起聚一下
📝 한어병음
zán men yī qǐ jù yī xià
🇰🇷 한글번역
우리 함께 모이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们 zán men 우리 HSK2 一起 yì qǐ 함께 HSK2 聚 jù 모이다 HSK4 一下 yí xià 좀, 잠시 HSK2

📚 문법
동사 + 一下: 동작의 짧은 지속이나 시도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형태: 동사 + 一下 (우리 잠시 모이자)
자막 #1043 | 00:41:50,791 → 00:41:51,458
📝 한어병음
xíng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가다, 걷다 HSK1

📚 문법
단일 단어로 사용된 "行"은 주로 "가다" 또는 "걷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동사로서의 기본적인 사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막 #1044 | 00:41:51,916 → 00:41:52,666
小万
📝 한어병음
xiǎo wàn
🇰🇷 한글번역
샤오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HSK1 万 wàn 만 HSK3

📚 문법
이름: "小"는 종종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애정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小万"은 "작은 만"이라는 뜻으로, 친근하게 부르는 이름일 수 있습니다.
자막 #1045 | 00:41:52,666 → 00:41:53,916
能喝酒吗
📝 한어병음
néng hē jiǔ ma
🇰🇷 한글번역
술 마실 수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喝 hē 마시다 HSK1 酒 jiǔ 술 HSK2 吗 ma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吗" 의문문: 중국어에서 "吗"는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의문문을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술을 마실 수 있나요?)
자막 #1046 | 00:41:54,083 → 00:41:55,083
不太能喝
📝 한어병음
bù tài néng hē
🇰🇷 한글번역
술을 잘 못 마셔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못하다 HSK1 太 tài 너무, 지나치게 HSK2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喝 hē 마시다 HSK1

📚 문법
부정문: "不太"는 "그다지 ~하지 않다"라는 의미로, 정도를 약하게 부정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不太 + 동사/형용사 (나는 그다지 마실 수 없다)
자막 #1047 | 00:41:55,083 → 00:41:56,958
那不能喝他就别参加了
📝 한어병음
nà bù néng hē tā jiù bié cān jiā liǎo
🇰🇷 한글번역
그럼 마실 수 없으면 그냥 참석하지 말라고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HSK2 不能 bù néng 할 수 없다 HSK2 喝 hē 마시다 HSK1 他 tā 그 HSK1 别 bié ~하지 마라 HSK2 参加 cānjiā 참가하다 HSK3

📚 문법
조건문: "那...就..."는 조건이나 상황에 따라 결과를 나타내는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那 + 조건 + 就 + 결과 (그러면 그가 마실 수 없으니 참가하지 마라)

부정명령문: "别"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하지 마라"라는 부정 명령을 나타냅니다.
형태: 别 + 동사 (참가하지 마라)
자막 #1048 | 00:41:56,958 → 00:41:58,166
这个都是老板
📝 한어병음
zhè gè dōu shì lǎo bǎn
🇰🇷 한글번역
이것은 모두 사장님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个 gè 개, 명 (양사) HSK1 都 dōu 모두 HSK1 是 shì 이다 HSK1 老板 lǎo bǎn 사장, 주인 HSK3

📚 문법
명사구: "这个"는 "이것"이라는 뜻으로, 뒤에 오는 명사를 수식합니다. "都是"는 "모두 ~이다"라는 의미로, 주어가 복수일 때 사용됩니다.
형태: 这个 + 명사 + 都是 + 명사 (이것은 모두 사장이다)
자막 #1049 | 00:41:58,166 → 00:42:00,208
你不喝酒你不尊重人家呀
📝 한어병음
nǐ bù hē jiǔ nǐ bù zūn zhòng rén jiā ya
🇰🇷 한글번역
술을 마시지 않으면 상대방을 존중하지 않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不 bù 아니다 HSK1 喝 hē 마시다 HSK1 酒 jiǔ 술 HSK3 尊重 zūn zhòng 존중하다 HSK4 人家 rén jiā 사람들, 타인 HSK4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不喝酒"로 "술을 마시지 않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강조 표현: "呀"는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정이나 강조를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여기서는 상대방에게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이 타인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뉘앙스를 강조합니다.
자막 #1050 | 00:42:00,208 → 00:42:00,875
对吧
📝 한어병음
duì ba
🇰🇷 한글번역
그렇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맞다, 옳다 HSK1 吧 ba ~지요?, ~죠? (추측, 제안) HSK2

📚 문법
"对吧"는 중국어에서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자신의 말을 확인받고 싶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형태: 陈述문 + 对吧?
예: 你是韩国人,对吧? (당신은 한국인이죠?)
자막 #1051 | 00:42:00,875 → 00:42:02,375
你们不是有员工食堂啥的吗
📝 한어병음
nǐ men bù shì yǒu yuán gōng shí táng shá de ma
🇰🇷 한글번역
너희는 직원 식당 같은 거 없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们 nǐmen 너희들 HSK1 不是 bú shì 아니다 HSK1 有 yǒu 있다 HSK1 员工 yuángōng 직원 HSK4 食堂 shítáng 식당 HSK5

📚 문법
吗: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문장의 끝에 붙여서 질문의 형태를 만듭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너희들은 직원 식당이 있지 않니?)

"啥"는 "什么"의 구어체 표현으로, "무엇"이라는 뜻입니다. 문맥에 따라 "啥的"는 "등등"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1052 | 00:42:02,375 → 00:42:03,500
你上那整一口
📝 한어병음
nǐ shàng nà zhěng yī kǒu
🇰🇷 한글번역
너 거기서 한 입 먹어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上 shàng 올라가다, 가다 HSK1 那 nà 저것, 그곳 HSK1 整 zhěng 정리하다, 정돈하다 HSK4 口 kǒu 입, 구멍 HSK2

📚 문법
- 你上那: 여기서 "上"은 "가다"의 의미로 사용되며, "那"는 "저곳"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너 저곳에 가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 整一口: "整"은 "정리하다"라는 뜻이지만, 구어체에서는 "한 입 먹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整一口"가 "한 입 먹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전체 문장은 "너 저곳에 가서 한 입 먹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으니 상황에 맞게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막 #1053 | 00:42:03,500 → 00:42:04,083
好不好
📝 한어병음
hǎo bù hǎo
🇰🇷 한글번역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 문법
A-not-A 질문 형식: 중국어에서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물어보는 질문 형식입니다.
형태: 형용사/동사 + 不 + 형용사/동사 (좋아? 안 좋아?)
자막 #1054 | 00:42:04,083 → 00:42:05,291
主随客便
📝 한어병음
zhǔ suí kè biàn
🇰🇷 한글번역
주객이 원하는 대로 따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主 zhǔ 주인, 주체 HSK3 随 suí 따르다, 순응하다 HSK4 客 kè 손님 HSK2 便 biàn 편리하다, 편하다 HSK4

📚 문법
성어: "主随客便"은 중국어 성어로, 주인이 손님의 편의에 맞춘다는 뜻입니다. 이는 손님의 요구나 편의를 우선시하여 주인이 그에 맞추어 행동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이 성어는 주로 손님을 배려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자막 #1055 | 00:42:05,291 → 00:42:06,708
您定 叔叔
📝 한어병음
nín dìng shū shū
🇰🇷 한글번역
당신의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您 nín 당신 (존칭) HSK2 定 dìng 정하다, 예약하다 HSK4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존칭 표현: "您"은 상대방을 높여 부를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일반적으로 "你"의 존칭 형태입니다.
형태: 您 + 동사/명사 (당신이 정하다, 당신의 삼촌)
자막 #1056 | 00:42:06,708 → 00:42:08,291
别介 叔叔
📝 한어병음
bié jiè shū shū
🇰🇷 한글번역
괜찮아요,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介 jiè 소개하다 HSK4 叔叔 shūshu 삼촌 HSK1

📚 문법
명령문: "别"는 부정 명령문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하지 마라"라는 의미로, 동사 앞에 위치하여 금지를 표현합니다.
형태: 别 + 동사 (하지 마라)

이 문장에서 "别介"는 "소개하지 마라"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1057 | 00:42:08,291 → 00:42:09,416
咱们就喝酒
📝 한어병음
zán men jiù hē jiǔ
🇰🇷 한글번역
우리 그냥 술 마시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们 zán men 우리 HSK2 就 jiù 곧, 바로 HSK3 喝 hē 마시다 HSK1 酒 jiǔ 술 HSK2

📚 문법
'就'의 사용: '就'는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곧바로 이루어짐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이 문장에서 '就'는 '곧', '바로'의 의미로 사용되어, '우리 바로 술 마시자'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자막 #1058 | 00:42:09,750 → 00:42:11,708
我还怕他酒不够多呢
📝 한어병음
wǒ hái pà tā jiǔ bù gòu duō ne
🇰🇷 한글번역
나는 그가 술이 충분하지 않을까 걱정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还 hái 아직, 여전히 HSK2 怕 pà 걱정하다, 두려워하다 HSK4 酒 jiǔ 술 HSK3 不够 bùgòu 충분하지 않다 HSK4 多 duō 많다 HSK1 呢 ne ~네 (문장 끝에 쓰여 강조나 의문을 나타냄) HSK2

📚 문법
1. 还 (hái): '아직, 여전히'라는 뜻으로, 어떤 상태나 상황이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2. 怕 (pà): '걱정하다, 두려워하다'라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한 우려나 두려움을 표현합니다.
3. 不够 (bùgòu): '충분하지 않다'라는 뜻으로, 어떤 것이 기준에 미치지 못함을 나타냅니다.
4. 呢 (ne): 문장 끝에 쓰여 강조나 의문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화자의 우려를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1059 | 00:42:15,166 → 00:42:16,166
俩好
📝 한어병음
liǎ hǎo
🇰🇷 한글번역
안녕
🎯 AI 분석 결과
🔍 어휘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好 hǎo 좋다, 안녕하다 HSK1

📚 문법
"俩好"는 두 사람이 서로 인사하거나, 두 사람 모두 좋다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俩"는 "두 사람"을 의미하며, "好"는 "좋다"라는 뜻입니다. 문맥에 따라 "두 사람 모두 좋다" 또는 "안녕"이라는 인사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1060 | 00:42:16,166 → 00:42:17,041
俩好呀
📝 한어병음
liǎ hǎo ya
🇰🇷 한글번역
안녕!
🎯 AI 분석 결과
🔍 어휘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好 hǎo 안녕, 좋다 HSK1 呀 ya 문장 끝에 쓰여 부드러움을 나타냄 HSK5

📚 문법
- 俩: 숫자 '둘'을 의미하며, 주로 사람을 셀 때 사용됩니다.
- 呀: 문장 끝에 사용되어 부드럽거나 친근한 어감을 줍니다. '你好呀'는 '안녕하세요'를 더 친근하게 표현한 것입니다.
자막 #1061 | 00:42:17,041 → 00:42:17,791
喝酒
📝 한어병음
hē jiǔ
🇰🇷 한글번역
술 마시기
🎯 AI 분석 결과
🔍 어휘
喝 hē 마시다 HSK1 酒 jiǔ 술 HSK2

📚 문법
동사 + 명사: 중국어에서 동사와 명사가 결합하여 동작과 그 대상을 나타냅니다.
예: 喝酒 (술을 마시다) - 동사 "喝"와 명사 "酒"가 결합하여 "술을 마시다"라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자막 #1062 | 00:42:17,791 → 00:42:19,125
石头 剪刀 布
📝 한어병음
shí tóu jiǎn dāo bù
🇰🇷 한글번역
가위 바위 보
🎯 AI 분석 결과
🔍 어휘
石头 shí tóu 돌 HSK3 剪刀 jiǎn dāo 가위 HSK4 布 bù 천, 헝겊 HSK5

📚 문법
명사 나열: 이 문장은 명사들이 나열된 형태로, 각각이 독립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石头"는 '돌', "剪刀"는 '가위', "布"는 '천'을 의미하며, 이는 가위바위보 게임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중국어에서는 이러한 명사 나열을 통해 게임의 각 요소를 표현합니다.
자막 #1063 | 00:42:19,125 → 00:42:20,083
喝酒
📝 한어병음
hē jiǔ
🇰🇷 한글번역
술 마시기
🎯 AI 분석 결과
🔍 어휘
喝 hē 마시다 HSK1 酒 jiǔ 술 HSK2

📚 문법
동사 + 목적어: 중국어에서 동사와 목적어가 함께 사용되어 동작의 대상을 나타냅니다.
예시: 喝酒 (술을 마시다)
자막 #1064 | 00:42:20,083 → 00:42:21,625
十五 二十
📝 한어병음
shí wǔ èr shí
🇰🇷 한글번역
열다섯 스물
🎯 AI 분석 결과
🔍 어휘
十 shí 열 HSK1 五 wǔ 다섯 HSK1 二 èr 둘 HSK1 十 shí 열 HSK1

📚 문법
숫자 표현: 중국어에서 숫자를 표현할 때, 각 숫자를 개별적으로 읽습니다. 예를 들어, "十五"는 "10 + 5"로 "15"를 의미하고, "二十"는 "2 + 10"으로 "20"을 의미합니다.
자막 #1065 | 00:42:21,625 → 00:42:22,416
📝 한어병음
kāi
🇰🇷 한글번역
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开 kāi 열다, 켜다 HSK1

📚 문법
동사 "开"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문맥에 따라 '열다', '켜다', '시작하다' 등의 뜻으로 해석됩니다. 기본적으로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로, 명령문이나 요청문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开门"은 '문을 열다', "开灯"은 '등을 켜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1066 | 00:42:22,416 → 00:42:23,083
喝酒
📝 한어병음
hē jiǔ
🇰🇷 한글번역
술 마시기
🎯 AI 분석 결과
🔍 어휘
喝 hē 마시다 HSK1 酒 jiǔ 술 HSK2

📚 문법
동사 + 목적어: 중국어에서 일반적인 동사와 목적어의 결합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술을 마시다)
자막 #1067 | 00:42:23,083 → 00:42:23,916
还有谁
📝 한어병음
hái yǒu shuí
🇰🇷 한글번역
또 누가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아직, 더 HSK2 有 yǒu 있다 HSK1 谁 shéi 누구 HSK2

📚 문법
의문문: "还有谁"는 "아직 누가 있나요?" 또는 "더 누가 있나요?"라는 의미로, 남아 있는 사람이나 추가적인 사람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还有"는 "아직" 또는 "더"라는 의미로, "谁"는 "누구"라는 뜻의 의문사입니다.
자막 #1068 | 00:42:23,916 → 00:42:25,000
还有谁啊
📝 한어병음
hái yǒu shuí a
🇰🇷 한글번역
또 누가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아직, 또 HSK2 有 yǒu 있다 HSK1 谁 shéi 누구 HSK2 啊 a 어기조사 (놀람이나 감탄을 나타냄) HSK1

📚 문법
의문문: "还有谁啊"는 "아직 누가 있나요?" 또는 "또 누가 있나요?"라는 의미의 의문문입니다. 여기서 "还有"는 "아직 있다" 또는 "또 있다"라는 뜻으로, "谁"는 "누구"를 의미합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감탄이나 놀람을 나타내는 어기조사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069 | 00:42:25,458 → 00:42:27,541
来来 都来呀
📝 한어병음
lái lái dōu lái ya
🇰🇷 한글번역
오세요, 모두 오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都 dōu 모두 HSK1 呀 ya 어조사 (부드러운 어감을 줌) HSK3

📚 문법
- 叠词 (중첩어): "来来"는 동사를 반복하여 친근함이나 강조를 나타냅니다. 이 경우, "오다"라는 동작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어조사 "呀": 문장 끝에 위치하여 부드러운 어감을 주거나 청유의 의미를 강조합니다. "모두 오세요"라는 의미를 부드럽게 전달합니다.
자막 #1070 | 00:42:27,791 → 00:42:28,916
我叔叔三高 不能喝
📝 한어병음
wǒ shū shū sān gāo bù néng hē
🇰🇷 한글번역
우리 삼촌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가 있어서 술을 마실 수 없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叔叔 shūshu 삼촌 HSK2 三高 sāngāo 삼고 (고혈압, 고혈당, 고지혈증) HSK 비등재 不能 bùnéng ~할 수 없다 HSK2 喝 hē 마시다 HSK1

📚 문법
부정문: "不能"은 능력이나 허가의 부정을 나타내며, "~할 수 없다" 또는 "~하면 안 된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不能 + 동사 (삼촌은 마실 수 없다)
자막 #1071 | 00:42:28,916 → 00:42:29,833
我替他喝一杯
📝 한어병음
wǒ tì tā hē yī bēi
🇰🇷 한글번역
제가 그를 대신해서 한 잔 마실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替 tì 대신하다 HSK4 他 tā 그 HSK1 喝 hē 마시다 HSK1 一杯 yì bēi 한 잔 HSK3

📚 문법
替字句: '替'는 누군가를 대신하여 어떤 행동을 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替 + 대상 + 동사 + 목적어 (나는 그를 대신하여 한 잔 마신다)
자막 #1072 | 00:42:29,833 → 00:42:30,958
好吧 好吧
📝 한어병음
hǎo ba hǎo ba
🇰🇷 한글번역
알겠어, 알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吧 ba ~하자, ~해라 (제안이나 명령의 어기를 나타냄) HSK1

📚 문법
重复: "好吧 好吧"는 반복을 통해 동의나 체념의 의미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吧"는 제안이나 동의의 어기를 나타내며, 반복 사용으로 인해 상대방의 의견을 받아들이는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자막 #1073 | 00:42:30,958 → 00:42:32,458
我用这个 我用这个
📝 한어병음
wǒ yòng zhè gè wǒ yòng zhè gè
🇰🇷 한글번역
나는 이것을 사용해 나는 이것을 사용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用 yòng 사용하다 HSK2 这个 zhè ge 이것 HSK1

📚 문법
중복된 문장 구조: "我用这个 我用这个"는 동일한 문장을 반복하여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이는 화자가 특정한 물건을 사용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자막 #1074 | 00:42:38,708 → 00:42:40,000
我们爷俩啊
📝 한어병음
wǒ men yé liǎ a
🇰🇷 한글번역
우리 둘이 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爷 yé 할아버지, 아버지 (구어체) HSK6 俩 liǎ 둘, 두 사람 HSK5

📚 문법
주어 + 명사구: "我们爷俩"는 "우리 둘"이라는 의미로, 주어가 두 사람임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爷"는 구어체로 사용되어 친근한 관계를 강조합니다.
자막 #1075 | 00:42:40,416 → 00:42:42,083
我们就跟亲兄弟似的
📝 한어병음
wǒ men jiù gēn qīn xiōng dì sì de
🇰🇷 한글번역
우리는 친형제처럼 지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跟 gēn ~와/과 HSK2 亲 qīn 친한 HSK4 兄弟 xiōngdì 형제 HSK3 似的 shìde ~와 같다 HSK4

📚 문법
似的 구조: 중국어에서 두 사물이 서로 비슷하거나 같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비교 표현입니다.
형태: A + 跟/像 + B + 似的 (A는 B와 같다)
예문: 我们就跟亲兄弟似的 (우리는 마치 친형제 같다)
자막 #1076 | 00:42:42,500 → 00:42:43,375
一帆啊
📝 한어병음
yī fān a
🇰🇷 한글번역
일범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帆 yī fān 순조롭다, 평탄하다 (일반적으로 '一帆风顺'에서 사용됨)

📚 문법
이 문장은 단어 하나로 구성되어 있어 문법적인 분석보다는 어휘의 의미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一帆'은 보통 '一帆风顺'이라는 성어에서 사용되며,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는 뜻입니다. '一帆' 자체로는 '순조롭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자막 #1077 | 00:42:43,708 → 00:42:46,208
怎么去趟洗手间回来成这样了
📝 한어병음
zěn me qù tàng xǐ shǒu jiān huí lái chéng zhè yàng liǎo
🇰🇷 한글번역
어떻게 화장실 다녀오니 이렇게 됐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去 qù 가다 HSK1 趟 tàng 번, 회 (왕래의 횟수를 세는 단위) HSK4 洗手间 xǐshǒujiān 화장실 HSK3 回来 huílái 돌아오다 HSK2 成 chéng ~이 되다 HSK3 这样 zhèyàng 이렇게 HSK2

📚 문법
- 怎么 (zěnme): 의문사로, 방법이나 원인을 물을 때 사용합니다. "어떻게"라는 뜻으로, 동사 앞에 위치하여 그 동작의 방법이나 이유를 묻습니다.
- 趟 (tàng): 동작의 횟수를 나타내는 양사로, 주로 왕래의 횟수를 셀 때 사용합니다.
- 成 (chéng): 어떤 상태로 변화함을 나타내는 동사로, "되다"라는 의미입니다. 뒤에 상태나 결과를 나타내는 명사나 형용사가 옵니다.
자막 #1078 | 00:42:46,208 → 00:42:46,958
你说你爸啊
📝 한어병음
nǐ shuō nǐ bà a
🇰🇷 한글번역
너 아빠 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你 nǐ 너 HSK1 爸 bà 아빠 HSK1

📚 문법
중첩된 대명사: "你说你"는 "너는 말한다"라는 의미로, 대명사 "你"가 두 번 사용되어 주어와 목적어를 명확히 구분합니다. 이는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자막 #1079 | 00:42:46,958 → 00:42:48,083
就知道自己喝
📝 한어병음
jiù zhī dào zì jǐ hē
🇰🇷 한글번역
알고 보니 자신이 마셨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知道 zhīdào 알다 HSK1
自己 zìjǐ 자기 자신 HSK2
喝 hē 마시다 HSK1

📚 문법
주어 생략: 중국어에서는 문맥상 주어가 명확할 경우 주어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에서는 주어가 생략되어 있지만, 문맥상 '나는' 또는 '그/그녀는'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문장의 의미는 "자기 자신이 마시는 것만 알고 있다"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1080 | 00:42:48,083 → 00:42:49,833
你照顾照顾孩子啊
📝 한어병음
nǐ zhào gù zhào gù hái zǐ a
🇰🇷 한글번역
아이 좀 돌봐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照顾 zhàogù 돌보다 HSK3 孩子 háizi 아이, 자녀 HSK1

📚 문법
중첩 동사: 중국어에서 동사의 중첩은 동작의 짧은 시간이나 시도의 의미를 더합니다.
형태: 동사 + 동사 (照顾照顾는 '잠깐 돌보다'라는 의미로, 동작의 가벼움을 나타냅니다.)
자막 #1081 | 00:42:50,250 → 00:42:51,125
我的天啊
📝 한어병음
wǒ de tiān a
🇰🇷 한글번역
맙소사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的 de ~의 (소유를 나타냄) HSK1 天 tiān 하늘, 날씨 HSK1 啊 a 감탄사, 놀람을 나타냄 HSK2

📚 문법
감탄문: 감탄사 "啊"를 사용하여 놀라움이나 감탄을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的 + 명사 + 啊 (감탄의 의미를 강조)
자막 #1082 | 00:42:51,125 → 00:42:53,125
老虎棒子鸡玩不过他们
📝 한어병음
lǎo hǔ bàng zǐ jī wán bù guò tā men
🇰🇷 한글번역
호랑이, 막대기, 닭은 그들을 이길 수 없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老虎 lǎohǔ 호랑이 HSK4 棒子 bàngzi 막대기 HSK6 鸡 jī 닭 HSK2 玩 wán 놀다 HSK3 他们 tāmen 그들 HSK1

📚 문법
이 문장은 중국어의 속담이나 관용구처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老虎棒子鸡"는 특정한 의미를 지닌 단어들이 조합된 것으로, 문맥에 따라 해석이 필요합니다. "玩不过"는 "놀 수 없다"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이길 수 없다" 또는 "당해낼 수 없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문장은 전체적으로 "호랑이, 막대기, 닭이 그들을 당해낼 수 없다"라는 의미로, 어떤 상황에서 상대방이 매우 강력하거나 이기기 어려운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자막 #1083 | 00:42:53,666 → 00:42:55,125
十五二十也玩不过
📝 한어병음
shí wǔ èr shí yě wán bù guò
🇰🇷 한글번역
열다섯 스무 개도 못 이겨.
🎯 AI 분석 결과
🔍 어휘
十五 shí wǔ 열다섯 HSK1 二十 èr shí 스무 HSK1 玩 wán 놀다 HSK2 不过 bù guò ~할 수 없다 HSK3

📚 문법
"也"의 사용: "也"는 "또한" 또는 "역시"라는 의미로, 앞의 내용과 뒤의 내용을 연결하여 비슷한 상황이나 조건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열다섯 명이든 스무 명이든 놀 수 없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不过"의 사용: "不过"는 "~할 수 없다"는 의미로, 능력이나 가능성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玩不过"로 "놀 수 없다"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자막 #1084 | 00:42:55,875 → 00:42:57,375
都喝成这样了还知道复盘呢
📝 한어병음
dōu hē chéng zhè yàng liǎo hái zhī dào fù pán ne
🇰🇷 한글번역
이렇게 취했는데도 복기를 하다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이미 HSK1
喝 hē 마시다 HSK1
这样 zhè yàng 이렇게 HSK2
知道 zhī dào 알다 HSK1
复盘 fù pán 복기하다 (체스나 바둑 등의 판을 다시 검토하다)

📚 문법
- 了: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여기서는 '喝成这样了'에서 동작의 완료를 나타냅니다.
- 呢: 문장 끝에 사용되어, 의문이나 감탄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여기서는 '还知道复盘呢'에서 감탄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문장은 "이미 이렇게 취했는데도 복기를 할 줄 아네"라는 의미로, 누군가가 술에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어떤 일을 할 수 있음을 놀라워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085 | 00:42:57,375 → 00:42:58,250
走吧妈
📝 한어병음
zǒu ba mā
🇰🇷 한글번역
가자, 엄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가다 HSK1 吧 ba ~하자 (제안) HSK2 妈 mā 엄마 HSK1

📚 문법
제안문: 중국어에서 제안을 하거나 권유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吧 (우리 가자, 엄마)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함께 가자고 제안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자막 #1086 | 00:42:58,250 → 00:42:59,125
来 走
📝 한어병음
lái zǒu
🇰🇷 한글번역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走 zǒu 걷다, 떠나다 HSK1

📚 문법
동사 연쇄: 중국어에서 두 개 이상의 동사가 연속으로 사용될 때, 각 동사는 독립적으로 그 의미를 유지합니다. "来"는 '오다'라는 의미로, "走"는 '걷다' 또는 '떠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문맥에서는 "오자, 가자"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1087 | 00:42:59,125 → 00:43:01,208
-一 二 三 -带你先回去休息啊
📝 한어병음
- yī èr sān - dài nǐ xiān huí qù xiū xī a
🇰🇷 한글번역
- 하나 둘 셋 - 먼저 돌아가서 쉬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 yī 하나 HSK1 二 èr 둘 HSK1 三 sān 셋 HSK1 带 dài 데려가다 HSK2 休息 xiū xī 휴식하다 HSK2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제안을 할 때 주로 동사로 시작하는 문장을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너를 먼저 데려가서 쉬게 하겠다)
자막 #1088 | 00:43:01,208 → 00:43:02,375
📝 한어병음
🇰🇷 한글번역
시작
🎯 AI 분석 결과
🔍 어휘
起 qǐ 일어나다, 시작하다 HSK1

📚 문법
'起'는 동사로 사용되어 '일어나다' 또는 '시작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주로 동작의 시작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자막 #1089 | 00:43:02,375 → 00:43:03,125
站起来
📝 한어병음
zhàn qǐ lái
🇰🇷 한글번역
일어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站 zhàn 서다 HSK2 起 qǐ 일어나다 HSK2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결과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문법입니다.
형태: 동사 + 결과보어 (서다 + 일어나다 = 일어서다)
자막 #1090 | 00:43:03,125 → 00:43:04,708
来来来 光子咱俩合奏一首
📝 한어병음
lái lái lái guāng zǐ zán liǎ hé zòu yī shǒu
🇰🇷 한글번역
자자, 광자야 우리 둘이서 합주하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光子 guāng zǐ 광자 (이름) 咱俩 zán liǎ 우리 둘 合奏 hé zòu 합주하다 一首 yī shǒu 한 곡

📚 문법
- "来来来": 반복된 "来"는 상대방의 주의를 끌거나 어떤 행동을 권유할 때 사용됩니다.
- "咱俩": "咱"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한 '우리'를 의미하며, "俩"는 '둘'을 의미하여 함께 '우리 둘'이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 "合奏": 동사로 사용되어 '함께 연주하다'라는 의미입니다.
- "一首": 양사 "首"는 노래나 곡을 셀 때 사용됩니다.
자막 #1091 | 00:43:04,708 → 00:43:05,958
-来来来 -来来来 叔叔
📝 한어병음
- lái lái lái - lái lái lái shū shū
🇰🇷 한글번역
- 어서 오세요 - 어서 오세요,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중복 동사: "来来来"는 "오다"라는 동사를 반복하여 친근하게 부르거나 주의를 끌 때 사용합니다. 중국어에서 동사를 반복하면 동작의 지속이나 친근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자막 #1092 | 00:43:05,958 → 00:43:07,291
谢谢姑娘 来来来
📝 한어병음
xiè xiè gū niáng lái lái lái
🇰🇷 한글번역
고마워요 아가씨 이리 와요 이리 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谢谢 xièxie 감사합니다 HSK1 姑娘 gūniang 아가씨, 소녀 HSK4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중국어에서 "谢谢"는 감사를 표현하는 기본적인 표현입니다. "姑娘"은 젊은 여성을 지칭하는 말로, 대화에서 상대방을 친근하게 부를 때 사용됩니다. "来来来"는 상대방을 초대하거나 무언가를 하도록 권유할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친근한 분위기를 나타냅니다.
자막 #1093 | 00:43:07,291 → 00:43:08,875
-你爸疯了吧 -好久没合作了
📝 한어병음
- nǐ bà fēng liǎo ba - hǎo jiǔ méi hé zuò liǎo
🇰🇷 한글번역
-네 아버지 미쳤나 봐 -오랜만에 협력하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爸 bà 아빠 HSK1 疯 fēng 미치다 HSK5 好久 hǎo jiǔ 오래 HSK4 没 méi 없다 HSK1 合作 hé zuò 협력하다 HSK4

📚 문법
- 疯了: '疯'은 '미치다'라는 뜻으로, '了'는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따라서 '疯了'는 '미쳤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没合作: '没'는 부정의 의미로, '合作'과 함께 사용되어 '협력하지 않았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好久没合作了'는 '오랫동안 협력하지 않았다'라는 의미로, 과거의 상태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1094 | 00:43:08,875 → 00:43:10,083
咱们来个老曲目怎么样
📝 한어병음
zán men lái gè lǎo qǔ mù zěn me yàng
🇰🇷 한글번역
우리 옛날 곡 하나 할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们 zán men 우리(들) HSK2 来 lái 오다, 하다 HSK1 个 gè 개, 명 (양사) HSK1 老 lǎo 오래된, 옛날의 HSK2 曲目 qǔ mù 곡목, 레퍼토리 HSK5

📚 문법
제안 표현: "怎么样"은 제안이나 의견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目的어 + 怎么样 (우리 옛날 곡목 하나 해볼까요?)
자막 #1095 | 00:43:10,083 → 00:43:11,000
我跟着您
📝 한어병음
wǒ gēn zhe nín
🇰🇷 한글번역
저는 당신을 따르겠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跟 gēn 따라가다 HSK3 着 zhe ~하고 있다 (진행형) HSK2 您 nín 당신 (존칭) HSK2

📚 문법
진행형: 동사 뒤에 着를 붙여 동작이 진행 중임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着 (나는 당신을 따라가고 있다)
자막 #1096 | 00:43:11,000 → 00:43:11,708
好 来
📝 한어병음
hǎo lái
🇰🇷 한글번역
좋아,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동사 중첩: 중국어에서 동사의 반복은 동작의 시도나 가벼운 의미를 전달합니다.
형태: 동사 + 동사 (예: 来来, 가볍게 오다)
자막 #1097 | 00:43:11,708 → 00:43:13,541
-好 -一二三走
📝 한어병음
- hǎo - yī èr sān zǒu
🇰🇷 한글번역
- 좋아 - 하나 둘 셋 출발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一 yī 하나 HSK1 二 èr 둘 HSK1 三 sān 셋 HSK1 走 zǒu 가다, 출발하다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제안을 할 때 주로 동사로 시작합니다. "一二三走"는 "하나, 둘, 셋, 출발!"이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을 시작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098 | 00:43:16,375 → 00:43:17,541
什么
📝 한어병음
shén me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什么 shénme 무엇, 어떤 HSK1

📚 문법
의문문: "什么"는 의문대명사로, 무엇인가를 물을 때 사용합니다. 주로 명사 앞에 위치하여 질문의 대상을 명확히 합니다. 예를 들어, "这是什么?"는 "이것은 무엇입니까?"라는 뜻입니다.
자막 #1099 | 00:43:27,041 → 00:43:28,166
📝 한어병음
hǎo
🇰🇷 한글번역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好"는 형용사로 "좋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부사로 사용될 때는 "잘"이라는 의미로 동사를 수식합니다. 예를 들어, "好好学习"는 "잘 공부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1100 | 00:43:28,625 → 00:43:30,833
你俩搁这拉的什么曲啊这是
📝 한어병음
nǐ liǎ gē zhè lā de shén me qǔ a zhè shì
🇰🇷 한글번역
너희 둘 여기서 무슨 곡을 연주하고 있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搁 gē 놓다, 두다 (HSK 범위 외) 拉 lā 끌다, 당기다 HSK3 曲 qǔ 곡, 노래 HSK5

📚 문법
- 搁: '놓다, 두다'라는 뜻으로,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문맥에 따라 '여기서'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这: '이것'이라는 뜻으로, 문장에서 특정 대상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 문장 구조: 주어(你俩) + 장소(搁这) + 동사(拉) + 목적어(的什么曲) + 감탄사(啊) + 의문사(这是) 형태로, 두 사람이 여기서 어떤 곡을 연주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자막 #1101 | 00:43:30,833 → 00:43:33,083
-将军令 -春江花月夜
📝 한어병음
- jiāng jūn lìng - chūn jiāng huā yuè yè
🇰🇷 한글번역
- 장군령 - 춘강화월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将军 jiāng jūn 장군 HSK6 令 lìng 명령, 명령하다 HSK6 春 chūn 봄 HSK2 江 jiāng 강 HSK5 花 huā 꽃 HSK2 月 yuè 달 HSK1 夜 yè 밤 HSK3

📚 문법
1. 명사구: "将军令"은 "장군의 명령"이라는 의미로, 두 개의 명사가 결합되어 하나의 명사구를 형성합니다. 이는 소유 또는 관련성을 나타냅니다.
2. 병렬구조: "春江花月夜"는 "봄 강, 꽃, 달, 밤"이라는 네 개의 명사가 병렬로 나열된 구조로, 각각의 요소가 독립적이면서도 전체적으로 하나의 이미지나 분위기를 형성합니다. 이는 중국어에서 시적 표현에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102 | 00:43:35,750 → 00:43:37,041
来叔叔
📝 한어병음
lái shū shū
🇰🇷 한글번역
라이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叔叔 shū 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호칭어: "叔叔"는 일반적으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아버지의 친구를 부를 때 사용합니다. 친근한 관계를 나타내며, 한국어의 "삼촌"이나 "아저씨"에 해당합니다.
자막 #1103 | 00:43:37,208 → 00:43:38,375
这杯酒啊
📝 한어병음
zhè bēi jiǔ a
🇰🇷 한글번역
이 술은 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杯 bēi 잔, 컵 HSK2 酒 jiǔ 술 HSK2

📚 문법
명사구: "这杯酒"는 "이 술잔"이라는 의미로, 특정한 술잔을 지칭하는 명사구입니다. "这"는 지시대명사로, 특정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자막 #1104 | 00:43:38,625 → 00:43:39,875
敬咱们的
📝 한어병음
jìng zán men de
🇰🇷 한글번역
우리의 것을 위하여 건배합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敬 jìng 경의를 표하다, 존경하다 HSK5 咱们 zán men 우리(들) HSK2

📚 문법
인칭 대명사: "咱们"은 화자를 포함한 '우리'를 의미하며, 듣는 사람을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친근한 관계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敬: 존경이나 경의를 표할 때 사용되는 동사로, 주로 건배할 때 "敬酒"라는 표현으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자막 #1105 | 00:43:40,208 → 00:43:41,916
-好运 -默契
📝 한어병음
- hǎo yùn - mò qì
🇰🇷 한글번역
- 행운 - 호흡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运 hǎo yùn 좋은 운, 행운 HSK3 默契 mò qì 묵계, 암묵적인 이해 HSK6

📚 문법
이번 문장에서 특별한 문법 패턴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각 단어는 독립적으로 사용되어 의미를 전달합니다. "好运"은 좋은 운이나 행운을 뜻하며, "默契"는 말 없이 서로 이해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자막 #1106 | 00:43:43,750 → 00:43:44,416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이 문장은 단어 하나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문법 설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근한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107 | 00:43:44,416 → 00:43:45,041
明天
📝 한어병음
míng tiān
🇰🇷 한글번역
내일
🎯 AI 분석 결과
🔍 어휘
明天 míng tiān 내일 HSK1

📚 문법
시간 부사: "明天"은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로, 주로 미래의 일을 이야기할 때 사용됩니다. 문장 내에서 주어 앞이나 동사 앞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 예: 明天我去学校。(내일 나는 학교에 간다)
자막 #1108 | 00:43:45,041 → 00:43:45,916
我也回老家
📝 한어병음
wǒ yě huí lǎo jiā
🇰🇷 한글번역
저도 고향에 돌아갑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也 yě 또한 HSK1 回 huí 돌아가다 HSK2 老家 lǎojiā 고향 HSK5

📚 문법
주어 + 也 + 동사: '也'는 '또한', '역시'의 의미로, 주어가 앞서 언급된 내용과 동일한 행동을 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나도 고향에 돌아간다)
자막 #1109 | 00:43:45,916 → 00:43:47,958
到时候 咱爷俩再一起
📝 한어병음
dào shí hòu zán yé liǎ zài yī qǐ
🇰🇷 한글번역
그때 우리 둘이 함께 하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到时候 dào shí hòu 그때가 되면 HSK4 咱 zán 우리 HSK5 爷俩 yé liǎ 둘이서 (할아버지와 손자) 一起 yì qǐ 함께 HSK1

📚 문법
时间 부사구: "到时候"는 미래의 특정 시점을 나타내며, "그때가 되면"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는 미래의 계획이나 약속을 언급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문: 到时候我们再见面。(그때가 되면 우리 다시 만나요.)
자막 #1110 | 00:43:47,958 → 00:43:50,166
琴瑟和鸣
📝 한어병음
qín sè hé míng
🇰🇷 한글번역
금슬이 좋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琴 qín 거문고, 악기 HSK6 瑟 sè 비파, 악기 HSK6 和 hé 화합하다, 조화롭다 HSK3 鸣 míng 울다, 소리내다 HSK5

📚 문법
성어: "琴瑟和鸣"은 중국어 성어로, 문자 그대로는 거문고와 비파가 함께 울린다는 뜻입니다. 이는 부부 사이가 화목하고 조화롭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성어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표현으로, 문장의 일부로 사용되어 특정한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111 | 00:43:51,875 → 00:43:55,083
光子你这是典型的酒量越好站得越高啊
📝 한어병음
guāng zǐ nǐ zhè shì diǎn xíng de jiǔ liáng yuè hǎo zhàn dé yuè gāo a
🇰🇷 한글번역
광자, 너는 정말 술을 잘 마시는 사람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光子 Guāngzǐ 광쯔 (이름) 典型 diǎnxíng 전형적인 HSK5 酒量 jiǔliàng 주량 越 yuè 점점, 더욱 HSK3 高 gāo 높다 HSK1

📚 문법
"越...越..." 구조: 이 구조는 "점점 더 ~하다" 또는 "더 ~할수록 더 ~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越 + 형용사/동사 + 越 + 형용사/동사 (주량이 좋을수록 더 높이 선다)
자막 #1112 | 00:43:55,083 → 00:43:56,541
可惜小万喝不了
📝 한어병음
kě xī xiǎo wàn hē bù liǎo
🇰🇷 한글번역
아쉽게도 소완은 마실 수 없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可惜 kě xī 아쉽다, 안타깝다 HSK4 小万 Xiǎo Wàn (사람 이름) 喝 hē 마시다 HSK1 不了 bù liǎo ~할 수 없다 (가능의 부정)

📚 문법
가능보어: 동사의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구조입니다.
형태: 동사 + 不了 (할 수 없다) / 동사 + 得了 (할 수 있다)
예문에서 "喝不了"는 "마실 수 없다"라는 의미로, 어떤 이유로 인해 마실 수 없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자막 #1113 | 00:43:56,541 → 00:43:58,083
来叔叔 我再敬您一个
📝 한어병음
lái shū shū wǒ zài jìng nín yī gè
🇰🇷 한글번역
삼촌, 제가 한 잔 더 올리겠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叔叔 shū shu 삼촌, 아저씨 HSK2 再 zài 다시 HSK2 敬 jìng 경의를 표하다, 술을 따르다 HSK4 您 nín 당신(높임말) HSK2 一个 yí gè 한 번 HSK1

📚 문법
再字句: '再'는 동작의 반복을 나타내며, '다시'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再 + 동사 (다시 술을 따르다)

敬字句: '敬'은 경의를 표하거나 술을 따르는 행위를 나타내며, 주로 술자리에서 사용됩니다.
형태: 敬 + 사람 + 술 (아저씨에게 다시 술을 따르다)
자막 #1114 | 00:43:58,083 → 00:43:59,000
不行
📝 한어병음
bù xíng
🇰🇷 한글번역
안 돼.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行 xíng 되다, 가능하다 HSK1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不行"은 "안 된다" 또는 "불가능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1115 | 00:43:59,875 → 00:44:00,958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HSK2

📚 문법
이 단어는 주로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사용됩니다. '삼촌'은 아버지의 남동생을 지칭하며, 중국어에서는 친근한 어른을 부를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막 #1116 | 00:44:01,541 → 00:44:02,916
我也要敬您一杯
📝 한어병음
wǒ yě yào jìng nín yī bēi
🇰🇷 한글번역
저도 당신께 한 잔 올리겠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也 yě 또한 HSK1 要 yào 원하다 HSK1 敬 jìng 경의를 표하다, 술을 권하다 HSK4 您 nín 당신 HSK2 一杯 yì bēi 한 잔 HSK3

📚 문법
목적어 앞에 '也'를 사용하여 '나도'라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敬您一杯'는 '당신에게 한 잔을 권하다'라는 의미로, 술자리에서 상대방에게 술을 권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자막 #1117 | 00:44:02,916 → 00:44:03,791
-一帆 -小万
📝 한어병음
- yī fān - xiǎo wàn
🇰🇷 한글번역
-일범 -소만
🎯 AI 분석 결과
주어진 텍스트는 중국어 이름으로 보이며, 어휘나 문법 분석이 아닌 이름 자체입니다. 하지만 이름에 포함된 한자에 대한 어휘 분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어휘
一 yī 하나 HSK1 帆 fān 돛 HSK6 小 xiǎo 작다 HSK1 万 wàn 만 HSK3

📚 문법
이름은 일반적으로 문법 분석의 대상이 아니지만, 각 한자가 이름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간단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 "一帆"은 "돛 하나"라는 뜻으로, 순조로운 항해를 상징할 수 있습니다. "小万"은 "작은 만"으로, 친근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이름입니다.
자막 #1118 | 00:44:03,791 → 00:44:05,708
我不仅要敬你
📝 한어병음
wǒ bù jǐn yào jìng nǐ
🇰🇷 한글번역
나는 당신을 존경할 뿐만 아니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不仅 bù jǐn 뿐만 아니라 HSK4 要 yào ~하려고 하다, 필요하다 HSK1 敬 jìng 존경하다, 경의를 표하다 HSK5

📚 문법
不仅...还/也/而且: "뿐만 아니라...또한"의 의미로, 두 가지 이상의 행동이나 상태를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不仅 + A + 还/也/而且 + B (나는 너를 존경할 뿐만 아니라)
자막 #1119 | 00:44:05,708 → 00:44:06,666
我还要敬
📝 한어병음
wǒ hái yào jìng
🇰🇷 한글번역
저는 아직도 경의를 표하고 싶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还 hái 아직, 더 HSK2 要 yào 원하다, 필요하다 HSK1 敬 jìng 존경하다, (술을) 권하다 HSK4

📚 문법
동사 중첩: 중국어에서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의 가벼움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敬敬"은 술을 가볍게 권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에서는 "还要"가 "더 원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아직 더 술을 권하고 싶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자막 #1120 | 00:44:06,666 → 00:44:08,250
我们的爱情
📝 한어병음
wǒ men de ài qíng
🇰🇷 한글번역
우리의 사랑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的 de ~의 HSK1 爱情 àiqíng 사랑 HSK4

📚 문법
'的' 자 구조: 명사 앞에 위치하여 소유나 관계를 나타내는 구조입니다.
형태: 주어 + 的 + 명사 (우리의 사랑)

이 문장은 소유를 나타내며, '우리'와 '사랑'의 관계를 명확히 해줍니다.
자막 #1121 | 00:44:08,250 → 00:44:10,083
-叔叔 我干了 -一帆
📝 한어병음
- shū shū wǒ gān liǎo - yī fān
🇰🇷 한글번역
- 삼촌, 저 해냈어요. - 일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아저씨 HSK2 我 wǒ 나 HSK1 干 gàn 하다, 일하다 HSK3 一帆 yī fān 한 범선 (이름일 가능성 있음)

📚 문법
- 주어 +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문법 패턴입니다. 여기서 "我干了"는 "나는 했다"라는 뜻으로,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1122 | 00:44:10,166 → 00:44:10,875
📝 한어병음
hǎo
🇰🇷 한글번역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好"는 형용사로 "좋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부사로 사용될 때는 "잘"이라는 의미로 동사를 수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好好学习"는 "잘 공부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1123 | 00:44:11,958 → 00:44:12,291
📝 한어병음
hǎo
🇰🇷 한글번역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好"는 형용사로 "좋다"라는 뜻을 가지며, 부사로 사용될 때는 "잘"이라는 의미로 동사의 앞에 위치하여 동작의 상태나 정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做好"는 "잘 하다"라는 의미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합니다.
자막 #1124 | 00:44:12,291 → 00:44:13,958
好 好 好
📝 한어병음
hǎo hǎo hǎo
🇰🇷 한글번역
좋아 좋아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중국어에서 "好"는 형용사로 "좋다"라는 기본적인 의미를 가지며, 상황에 따라 "잘"이라는 부사로도 사용됩니다. 반복해서 사용될 때는 감탄이나 동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好 好 好"는 "좋아, 좋아, 좋아"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의견에 동의하거나 상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때 사용됩니다.
자막 #1125 | 00:44:16,625 → 00:44:17,666
小万
📝 한어병음
xiǎo wàn
🇰🇷 한글번역
소완
🎯 AI 분석 결과
주어진 텍스트는 단어가 아닌 이름으로 보입니다. "小万"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이름이나 애칭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휘 분석이나 문법 설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만약 이 이름이 문장 내에서 사용된 경우, 문맥을 제공해 주시면 더 자세한 분석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자막 #1126 | 00:44:17,666 → 00:44:18,750
好酒量啊
📝 한어병음
hǎo jiǔ liáng a
🇰🇷 한글번역
주량이 좋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酒量 jiǔ liàng 주량 (해당 단어는 HSK에 포함되지 않음)
啊 a ~아, ~야 (어기조사) HSK1

📚 문법
감탄문: 감탄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好 + 형용사 + 啊 (주량이 좋다)
이 문장에서는 "好"가 "좋다"는 의미로 사용되어 주량이 좋음을 감탄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127 | 00:44:19,125 → 00:44:19,833
小万
📝 한어병음
xiǎo wàn
🇰🇷 한글번역
샤오완
🎯 AI 분석 결과
주어진 텍스트는 단어 하나로, 문맥이 부족하여 상세한 분석을 제공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小万"이라는 표현을 분석해보겠습니다.

🔍 어휘
小 xiǎo 작다, 어린 HSK1 万 wàn 만, 10,000 HSK3

📚 문법
이름: "小"는 종종 사람의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小王"은 "어린 왕" 또는 "작은 왕"이라는 의미로, 친근하게 누군가를 부를 때 사용됩니다. "小万"도 비슷하게 "어린 만" 또는 "작은 만"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1128 | 00:44:20,083 → 00:44:21,041
小万
📝 한어병음
xiǎo wàn
🇰🇷 한글번역
소완
🎯 AI 분석 결과
죄송합니다, 주어진 텍스트가 너무 짧아서 분석하기 어렵습니다. 좀 더 긴 문장을 제공해 주시면 어휘와 문법 분석을 도와드리겠습니다.
자막 #1129 | 00:44:29,500 → 00:44:30,500
什么情况
📝 한어병음
shén me qíng kuàng
🇰🇷 한글번역
무슨 상황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什么 shénme 무엇 HSK1 情况 qíngkuàng 상황 HSK3

📚 문법
의문문: "什么"는 의문 대명사로, "무엇"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什么情况"은 "무슨 상황이야?"라는 뜻으로, 상황이나 상태를 물을 때 사용합니다.
자막 #1130 | 00:44:33,375 → 00:44:35,666
这怎么还吐出个彩虹呢
📝 한어병음
zhè zěn me hái tǔ chū gè cǎi hóng ne
🇰🇷 한글번역
이게 어떻게 무지개를 뱉어낼 수 있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吐 tǔ 토하다 HSK5 彩虹 cǎihóng 무지개 HSK4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원인을 묻는 의문사로 사용됩니다.
형태: 怎么 + 동사 (어떻게 ~하다)
예문: 这怎么还吐出个彩虹呢? (이것이 어떻게 무지개를 토해내는 거지?)
자막 #1131 | 00:44:37,458 → 00:44:38,458
一帆
📝 한어병음
yī fān
🇰🇷 한글번역
일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 yī 하나 HSK1 帆 fān 돛 (HSK 등급 없음)

📚 문법
이 문장은 단어 자체로는 문법적인 구조를 이루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一帆风顺"이라는 성어로 사용됩니다. 이 성어는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되다"라는 뜻입니다. 문맥에 따라 다른 단어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1132 | 00:44:39,750 → 00:44:40,625
我的天
📝 한어병음
wǒ de tiān
🇰🇷 한글번역
맙소사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的 de ~의 HSK1 天 tiān 하늘, 세상 HSK1

📚 문법
感탄문: "我的天"은 감탄이나 놀라움을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영어의 "Oh my God"에 해당하며, 놀라움, 충격, 감탄 등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자막 #1133 | 00:44:40,625 → 00:44:41,916
还挺浪漫
📝 한어병음
hái tǐng làng màn
🇰🇷 한글번역
꽤 낭만적이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꽤, 여전히 HSK2 挺 tǐng 매우, 꽤 HSK4 浪漫 làngmàn 로맨틱하다 HSK4

📚 문법
정도부사: '挺'은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로,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매우', '꽤'의 의미를 더합니다.
형태: 挺 + 형용사 (꽤 로맨틱하다)
자막 #1134 | 00:44:55,625 → 00:44:58,250
我们找到小万的过程确实比较复杂
📝 한어병음
wǒ men zhǎo dào xiǎo wàn de guò chéng què shí bǐ jiào fù zá
🇰🇷 한글번역
우리가 샤오완을 찾는 과정은 정말로 복잡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找到 zhǎodào 찾아내다 HSK3 过程 guòchéng 과정 HSK4 确实 quèshí 확실히 HSK4 比较 bǐjiào 비교적 HSK3 复杂 fùzá 복잡하다 HSK4

📚 문법
정도부사: "确实"와 "比较"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로, 각각 "확실히"와 "비교적"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에서 상황이나 상태의 정도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문장 구조: 주어 + 동사 + 목적어 + 정도부사 + 형용사 (우리 + 찾아내다 + 小万의 과정 + 확실히 + 비교적 + 복잡하다)
자막 #1135 | 00:44:58,250 → 00:44:59,958
那既然这么复杂的话
📝 한어병음
nà jì rán zhè me fù zá de huà
🇰🇷 한글번역
그렇다면 이렇게 복잡한데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HSK1 既然 jì rán 기왕 이렇게 된 이상 HSK4 这么 zhè me 이렇게 HSK3 复杂 fù zá 복잡하다 HSK4 话 huà 말 HSK2

📚 문법
조건문: "既然"은 이미 발생한 상황이나 조건을 전제로 하여 그에 따른 결과나 결정을 나타내는 접속사입니다.
형태: 既然 + 원인/상황, (那么) + 결과/결정 (기왕 이렇게 복잡하다면)

이 문장은 "既然"을 사용하여 이미 복잡하다는 상황을 전제로 하여 그에 따른 결정을 암시하는 구조입니다.
자막 #1136 | 00:45:00,625 → 00:45:01,541
你就展开讲讲
📝 한어병음
nǐ jiù zhǎn kāi jiǎng jiǎng
🇰🇷 한글번역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就 jiù 곧, 바로 HSK2 展开 zhǎn kāi 펼치다, 전개하다 HSK4 讲 jiǎng 말하다 HSK2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청하거나 지시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동사 (너는 그냥 말해봐)
자막 #1137 | 00:45:01,541 → 00:45:02,458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지칭합니다. 중국어에서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들이 다양하게 존재하며, 이 단어는 HSK2 급수로 초급 학습자에게도 익숙한 단어입니다.
자막 #1138 | 00:45:02,458 → 00:45:04,541
一句两句真说不清楚
📝 한어병음
yī jù liǎng jù zhēn shuō bù qīng chǔ
🇰🇷 한글번역
한두 마디로는 정말 설명하기 어렵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句 yī jù 한 마디 HSK4 两句 liǎng jù 두 마디 HSK4 真 zhēn 정말로 HSK3 说 shuō 말하다 HSK1 不清楚 bù qīng chu 불명확하다 HSK3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说不清楚"로 "말로 명확히 설명할 수 없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형태: 동사 + 不 + 형용사 (말하다 + 불 + 명확하다)
자막 #1139 | 00:45:04,541 → 00:45:05,541
算了吧
📝 한어병음
suàn liǎo ba
🇰🇷 한글번역
됐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算了 suàn le 됐다, 그만두다 HSK4 吧 ba ~하자, ~해라 (제안이나 권유) HSK1

📚 문법
제안/권유의 '吧': 문장 끝에 '吧'를 붙여 상대방에게 제안하거나 권유하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형용사 + 吧 (그만두자)
자막 #1140 | 00:45:06,291 → 00:45:07,916
咱们直接看录像
📝 한어병음
zán men zhí jiē kàn lù xiàng
🇰🇷 한글번역
우리 직접 녹화본을 보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们 zán men 우리 HSK2 直接 zhí jiē 직접 HSK4 看 kàn 보다 HSK1 录像 lù xiàng 녹화, 비디오 HSK5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직접 행동을 제안하는 명령문입니다. "咱们"은 화자와 청자를 포함한 "우리"를 의미하며, "直接"는 행동의 직접성을 강조합니다. "看录像"는 "비디오를 보다"라는 의미로, 전체 문장은 "우리 직접 비디오를 보자"라는 제안을 나타냅니다.
자막 #1141 | 00:45:11,291 → 00:45:12,250
小万
📝 한어병음
xiǎo wàn
🇰🇷 한글번역
소완
🎯 AI 분석 결과
주어진 텍스트 "小万"은 특정 문장이나 문맥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어휘와 문법 분석을 제공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小万"이라는 표현을 개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万 wàn 만 (숫자) HSK3

📚 문법
이 두 단어는 일반적으로 함께 사용되지 않으며, 특정한 문맥이나 이름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小"는 종종 사람의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小万"은 "만"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을 친근하게 부를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1142 | 00:45:12,250 → 00:45:14,625
昨晚整晚都没有闲着
📝 한어병음
zuó wǎn zhěng wǎn dōu méi yǒu xián zhe
🇰🇷 한글번역
어젯밤 내내 쉬지 않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昨晚 zuó wǎn 어젯밤 HSK3 整晚 zhěng wǎn 밤새, 온밤 HSK4 没有 méi yǒu 없다, 하지 않았다 HSK2 闲着 xián zhe 한가하게 있다 (HSK 범위 외)

📚 문법
부정문: 没有는 과거의 경험이나 사건의 부정을 나타내며, '하지 않았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没有 + 동사 (어젯밤 내내 한가하지 않았다)
자막 #1143 | 00:45:14,625 → 00:45:16,166
专挑贵的搬
📝 한어병음
zhuān tiāo guì de bān
🇰🇷 한글번역
비싼 것만 골라서 옮기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专 zhuān 오로지, 전문적으로 HSK4 挑 tiāo 고르다, 선택하다 HSK5 贵 guì 비싼 HSK2 搬 bān 옮기다, 이사하다 HSK3

📚 문법
동사 중첩: 중국어에서 동사가 반복되면 동작의 시도를 나타내거나 동작의 강도를 약화시킵니다.
예: 挑一挑 (한번 골라보다)
자막 #1144 | 00:45:16,166 → 00:45:17,875
满满一酒窖的酒
📝 한어병음
mǎn mǎn yī jiǔ jiào de jiǔ
🇰🇷 한글번역
가득 찬 와인 저장고의 와인
🎯 AI 분석 결과
🔍 어휘
满满 mǎn mǎn 가득 찬 HSK6 酒窖 jiǔ jiào 와인 저장고, 술 창고 HSK6 酒 jiǔ 술 HSK1

📚 문법
명사구: "满满一酒窖的酒"는 "가득 찬 한 와인 저장고의 술"이라는 의미로, '满满'은 '가득 찬'을, '一酒窖的'는 '한 와인 저장고의'를, '酒'는 '술'을 의미합니다. 이 구조는 특정 장소나 용기에 가득 차 있는 상태를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145 | 00:45:17,875 → 00:45:19,166
让他搬的
📝 한어병음
ràng tā bān de
🇰🇷 한글번역
그에게 옮기라고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让 ràng ~하게 하다 HSK2 他 tā 그, 그 사람 HSK1 搬 bān 옮기다, 이사하다 HSK3 的 de ~의 (구조조사) HSK1

📚 문법
사역문: '让'은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허락하거나 지시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让 + 주어 + 동사 (그에게 옮기도록 하다)
자막 #1146 | 00:45:19,166 → 00:45:20,666
就剩这半瓶了
📝 한어병음
jiù shèng zhè bàn píng liǎo
🇰🇷 한글번역
이제 이 반 병만 남았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이미 HSK2
剩 shèng 남다 HSK4
这 zhè 이, 이것 HSK1
半 bàn 반 HSK3
瓶 píng 병 HSK4
了 le 완료, 변화의 어기조사 HSK1

📚 문법
"就"의 사용: "就"는 여기서 '이미' 또는 '바로'라는 의미로, 상황이 예상보다 빠르거나 적음을 강조합니다.

"了"의 사용: 문장 끝에 위치하여 동작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남은 것이 이것뿐이다'라는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자막 #1147 | 00:45:20,666 → 00:45:21,875
也不可能吧
📝 한어병음
yě bù kě néng ba
🇰🇷 한글번역
그럴 리가 없겠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也 yě 또한, 역시 HSK1 不 bù 아니다 HSK1 可能 kěnéng 가능하다 HSK2 吧 ba ~지요, ~죠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냄) HSK2

📚 문법
부정문: "不可能"은 "불가능하다"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문장 형태: 주어 + 也 + 不可能 + 동사 (또한 ~할 수 없다)
자막 #1148 | 00:45:21,875 → 00:45:23,791
我怎么能喝那么多呢
📝 한어병음
wǒ zěn me néng hē nà me duō ne
🇰🇷 한글번역
내가 어떻게 그렇게 많이 마실 수 있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喝 hē 마시다 HSK1 那么 nàme 그렇게 HSK3 多 duō 많다 HSK1

📚 문법
반어문: 중국어에서 반어문은 의문문 형태를 사용하여, 실제로는 부정적인 의미나 놀라움을 표현합니다.
형태: 주어 + 怎么 + 동사 + 呢 (나는 어떻게 그렇게 많이 마실 수 있겠어?)
자막 #1149 | 00:45:24,166 → 00:45:24,958
📝 한어병음
shì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계사문: "是"는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주어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是 + 서술어 (그는 학생이다)
자막 #1150 | 00:45:25,166 → 00:45:26,875
你确实没喝这么多
📝 한어병음
nǐ què shí méi hē zhè me duō
🇰🇷 한글번역
당신은 정말 그렇게 많이 마시지 않았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确实 què shí 확실히 HSK4 没 méi ~하지 않았다 HSK1 喝 hē 마시다 HSK2 这么 zhè me 이렇게 HSK3 多 duō 많다 HSK1

📚 문법
부정문: 중국어에서 '没'는 과거의 경험이나 행동을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没 + 동사 + (목적어) (너는 확실히 그렇게 많이 마시지 않았다)
자막 #1151 | 00:45:26,875 → 00:45:28,208
但那一猪圈的猪
📝 한어병음
dàn nà yī zhū quān de zhū
🇰🇷 한글번역
하지만 그 돼지우리의 돼지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但 dàn 그러나 HSK3 那 nà 저, 그 HSK1 一 yī 하나 HSK1 猪圈 zhū juàn 돼지우리 HSK6 猪 zhū 돼지 HSK3

📚 문법
定语 구조: '那一猪圈的猪'는 '저 돼지우리의 돼지'라는 의미로, '的'를 사용하여 명사 앞에 수식어를 붙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 수식어 + 的 + 명사 (저 돼지우리의 돼지)
자막 #1152 | 00:45:28,208 → 00:45:29,458
全都喝大了
📝 한어병음
quán dōu hē dà liǎo
🇰🇷 한글번역
모두 취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全都 quán dōu 모두, 전부 HSK4 喝 hē 마시다 HSK1 大 dà 크다, 많이 HSK1

📚 문법
결과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결과보어 (喝大了: 많이 마셨다, 취했다)

이 문장에서 "喝大了"는 술을 많이 마셔서 취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全都"는 '모두'라는 뜻으로, 모든 사람이 취한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자막 #1153 | 00:45:42,083 → 00:45:43,375
行啊 小万
📝 한어병음
xíng a xiǎo wàn
🇰🇷 한글번역
괜찮아, 샤오완.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괜찮다, 좋다 HSK2 小 xiǎo 작다, 어린 HSK1 万 wàn 만, 이름에서 사용됨 HSK3

📚 문법
호칭과 동의 표현: "行啊"는 상대방의 제안이나 요청에 긍정적으로 응답할 때 사용합니다. "小"는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친밀함을 나타냅니다. "小万"은 "작은 만"이라는 뜻이 아니라, "만"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을 친근하게 부르는 표현입니다.
자막 #1154 | 00:45:44,041 → 00:45:45,875
社交面挺广啊
📝 한어병음
shè jiāo miàn tǐng guǎng a
🇰🇷 한글번역
사교 범위가 꽤 넓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社交 shèjiāo 사교 HSK4 面 miàn 면, 측면 HSK3 挺 tǐng 매우, 꽤 HSK4 广 guǎng 넓다 HSK4

📚 문법
형용사 중첩: "挺 + 형용사"는 형용사의 정도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예: 挺广 (매우 넓다) - '꽤 넓다'라는 의미로, 사교 범위가 넓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자막 #1155 | 00:45:45,875 → 00:45:47,833
跟谁都能喝 是吧
📝 한어병음
gēn shuí dōu néng hē shì ba
🇰🇷 한글번역
아무하고나 술 마실 수 있지, 그렇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跟 gēn ~와/과 HSK2 谁 shéi 누구 HSK1 都 dōu 모두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喝 hē 마시다 HSK1

📚 문법
의문문: "是吧"는 중국어에서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확인할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형태: 陈述句 + 是吧 (술어문 + 그렇죠?)
예문: 跟谁都能喝,是吧? (누구와도 마실 수 있죠?)
자막 #1156 | 00:45:47,833 → 00:45:49,416
小万就是心好
📝 한어병음
xiǎo wàn jiù shì xīn hǎo
🇰🇷 한글번역
샤오완은 마음씨가 좋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리다 HSK1
万 wàn 만, 이름에서 사용됨 HSK3
就 jiù 바로, 곧 HSK2
是 shì ~이다 HSK1
心 xīn 마음 HSK2
好 hǎo 좋다 HSK1

📚 문법
명사구: "小万就是心好"는 "小万"이 주어이고, "就是心好"가 서술어로 사용된 문장입니다. "就是"는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어 "바로 ~이다"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이 문장은 "샤오완은 마음이 바로 착하다"라는 의미로, 샤오완의 성격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157 | 00:45:49,416 → 00:45:50,958
他怕小猪渴着了
📝 한어병음
tā pà xiǎo zhū kě zhe liǎo
🇰🇷 한글번역
그는 아기 돼지가 목마를까 봐 걱정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HSK1 怕 pà 걱정하다, 두려워하다 HSK3 小猪 xiǎo zhū 아기 돼지 (일반적인 어휘) 渴 kě 목마르다 HSK3 着 zhe ~하고 있다 (진행을 나타내는 조사) HSK2

📚 문법
동사 + 着: 동작의 진행이나 상태의 지속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渴着了"가 "목마른 상태가 되었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158 | 00:45:50,958 → 00:45:53,083
是 有爱心这孩子
📝 한어병음
shì yǒu ài xīn zhè hái zǐ
🇰🇷 한글번역
이 아이는 정말 다정하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有 yǒu 있다 HSK1 爱心 àixīn 사랑하는 마음, 자애 HSK4 这 zhè 이 HSK1 孩子 háizi 아이 HSK1

📚 문법
주어 + 是 + 명사구: 중국어에서 주어가 무엇인지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이 아이는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159 | 00:45:59,958 → 00:46:00,625
那小可爱
📝 한어병음
nà xiǎo kě ài
🇰🇷 한글번역
그 귀여운 아이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 HSK1 小 xiǎo 작은 HSK1 可爱 kě'ài 귀엽다 HSK3

📚 문법
명사구: "那小可爱"는 "저 작은 귀여운 것" 또는 "그 작은 귀여운 아이"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那'는 지시대명사로, '작은 귀여운 것'을 특정하여 가리킵니다.
자막 #1160 | 00:46:00,625 → 00:46:02,083
他搁那儿叭叭啥呢
📝 한어병음
tā gē nà ér bā bā shá ne
🇰🇷 한글번역
그가 거기서 뭐라고 떠들고 있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HSK1 搁 gē 놓다, 두다 (비표준어) 那儿 nàr 거기 HSK2 叭叭 bā bā (의성어, 말하다) 啥 shá 무엇 (방언)

📚 문법
- 叭叭: 이 표현은 의성어로, 누군가가 계속해서 말하는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표준 중국어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지만, 구어체에서 종종 들을 수 있습니다.
- 啥: "什么"의 방언 형태로, 주로 구어체에서 사용됩니다. "무엇"이라는 뜻입니다.
자막 #1161 | 00:46:02,083 → 00:46:03,083
放出来我听听
📝 한어병음
fàng chū lái wǒ tīng tīng
🇰🇷 한글번역
들려줘 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放 fàng 놓다, 틀다 HSK3 出来 chū lái 나오다, 나타나다 HSK3 我 wǒ 나, 저 HSK1 听 tīng 듣다 HSK1

📚 문법
결과보어: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结果补语 (放出来 - 틀어서 소리가 나오다)

이 문장에서 "放出来"는 "틀어서 소리가 나오다"라는 의미로, 동작의 결과를 강조합니다.
자막 #1162 | 00:46:03,541 → 00:46:06,041
叔叔 音箱坏了听不了
📝 한어병음
shū shū yīn xiāng huài liǎo tīng bù liǎo
🇰🇷 한글번역
삼촌, 스피커가 고장 나서 소리가 안 나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3 音箱 yīnxiāng 스피커, 오디오 HSK4 坏 huài 고장나다 HSK3 听不了 tīng bù liǎo 들을 수 없다 HSK4

📚 문법
결과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결과나 상태를 설명하는 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不了 (동작을 완료할 수 없음을 나타냄)
예문: 音箱坏了听不了 (스피커가 고장 나서 들을 수 없다)
자막 #1163 | 00:46:06,041 → 00:46:06,666
坏了 别听了
📝 한어병음
huài liǎo bié tīng liǎo
🇰🇷 한글번역
망했어 듣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坏 huài 고장 나다, 나쁘다 HSK3 别 bié ~하지 마라 HSK2 听 tīng 듣다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别"는 금지나 충고를 나타내는 부정 명령문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듣지 마라)
자막 #1164 | 00:46:06,666 → 00:46:07,750
不行 不行 必须听
📝 한어병음
bù xíng bù xíng bì xū tīng
🇰🇷 한글번역
안 돼, 안 돼, 반드시 들어야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行 bùxíng 안 된다 HSK3 必须 bìxū 반드시, 꼭 HSK3 听 tīng 듣다 HSK1

📚 문법
부정문: "不行"은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허용되지 않거나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강조 표현: "必须"는 어떤 행동이 필수적임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必须 + 동사 (반드시 들어야 한다)
자막 #1165 | 00:46:07,750 → 00:46:10,291
那我接到园区的广播上
📝 한어병음
nà wǒ jiē dào yuán qū de guǎng bō shàng
🇰🇷 한글번역
그럼 제가 공원의 방송을 받겠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그렇다면 HSK1 我 wǒ 나, 저 HSK1 接 jiē 받다, 연결하다 HSK3 到 dào 도착하다, ~까지 HSK1 园区 yuán qū 단지, 구역 (HSK 범위 외) 广播 guǎng bō 방송, 라디오 HSK4 上 shàng ~에, ~에서 HSK1

📚 문법
접속사 "那": 문장 앞에 위치하여 앞 문장의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결과나 결론을 제시할 때 사용됩니다. "그러면" 또는 "그렇다면"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동사 "接到": "接"는 '받다'라는 의미이고, "到"는 결과보어로 사용되어 '받아서 도착하다'라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이 문맥에서는 '방송을 받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1166 | 00:46:10,291 → 00:46:11,375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 또는 같은 세대의 남성 친척을 지칭합니다.
자막 #1167 | 00:46:11,833 → 00:46:12,958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이 단어는 명사로,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주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지칭하지만, 때로는 친근하게 나이가 비슷한 남성을 부를 때도 사용됩니다.
자막 #1168 | 00:46:13,958 → 00:46:16,541
我今天是不是没给你丢人啊叔叔
📝 한어병음
wǒ jīn tiān shì bù shì méi gěi nǐ diū rén a shū shū
🇰🇷 한글번역
오늘 제가 삼촌께 창피를 안 줬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今天 jīn tiān 오늘 HSK1 是不是 shì bù shì ~인지 아닌지 HSK2 没 méi ~않다 HSK2 给 gěi ~에게 HSK2

📚 문법
A-not-A 질문 형식: 중국어에서 긍정과 부정을 함께 물어보는 형식입니다.
형태: 是不是 + 문장 (오늘 내가 당신에게 창피를 주지 않았나요?)

把字句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문장에서 "给"는 "~에게"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동작의 대상을 나타냅니다.
자막 #1169 | 00:46:18,625 → 00:46:19,625
你说话啊
📝 한어병음
nǐ shuō huà a
🇰🇷 한글번역
말해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话 shuō huà 말하다 HSK1 啊 a ~아, ~야 (어기조사)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탄, 명령, 제안 등의 어감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상대방에게 말을 하라는 요청이나 명령의 의미를 강조합니다.
자막 #1170 | 00:46:20,500 → 00:46:22,750
你不是平常挺能说的吗 叔叔
📝 한어병음
nǐ bù shì píng cháng tǐng néng shuō de ma shū shū
🇰🇷 한글번역
평소에 말 잘하시잖아요,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不是 bù shì 아니다 HSK1 平常 píng cháng 평소에 HSK4 挺 tǐng 매우, 꽤 HSK4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叔叔 shū 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 否定문: "不是"는 "아니다"라는 의미로, 주어가 어떤 상태나 사실이 아님을 나타냅니다.
- 의문문: "吗"는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의문을 나타내며, 주로 예/아니오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형성합니다.
- "挺...的" 구조: "挺"은 "매우"라는 의미로, 형용사 앞에 와서 정도를 강조합니다.
자막 #1171 | 00:46:23,458 → 00:46:24,458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근한 어른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172 | 00:46:25,041 → 00:46:25,833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근한 어른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1173 | 00:46:26,833 → 00:46:28,000
你别睡
📝 한어병음
nǐ bié shuì
🇰🇷 한글번역
너 자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别 bié ~하지 마라 HSK2 睡 shuì 자다 HSK2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금지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형태: 别 + 동사 (너 자지 마라)
자막 #1174 | 00:46:28,291 → 00:46:29,250
我现在
📝 한어병음
wǒ xiàn zài
🇰🇷 한글번역
지금 나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现在 xiàn zài 지금 HSK2

📚 문법
시간 표현: "现在"는 현재 시점을 나타내는 부사로, 동사 앞에 위치하여 현재의 동작이나 상태를 설명합니다.
형태: 주어 + 现在 + 동사/형용사 (나는 지금 ~한다/이다)
자막 #1175 | 00:46:29,250 → 00:46:31,875
每次一想起来你在冷库
📝 한어병음
měi cì yī xiǎng qǐ lái nǐ zài lěng kù
🇰🇷 한글번역
매번 당신이 냉동 창고에 있는 걸 생각할 때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每次 měi cì 매번 HSK3 想起来 xiǎng qǐ lái 생각나다 HSK4 你 nǐ 너 HSK1 在 zài ~에 HSK1 冷库 lěng kù 냉동창고 (비HSK)

📚 문법
동사구: "想起来"는 어떤 기억이나 생각이 떠오를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형태: 想 + 起来 (생각이 떠오르다)
자막 #1176 | 00:46:31,875 → 00:46:33,125
趴那猪肉上
📝 한어병음
pā nà zhū ròu shàng
🇰🇷 한글번역
돼지고기 위에 엎드리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趴 pā 엎드리다 HSK6 那 nà 그, 저 HSK1 猪肉 zhūròu 돼지고기 HSK3 上 shàng 위에 HSK1

📚 문법
위치 표현: 중국어에서 사물의 위치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되는 구조입니다.
형태: 명사 + 上 (위에) (돼지고기 위에 엎드리다)

이 문장은 "돼지고기 위에 엎드리다"라는 의미로, 위치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자막 #1177 | 00:46:33,416 → 00:46:35,916
我就觉得你巨像一大猪头
📝 한어병음
wǒ jiù jué dé nǐ jù xiàng yī dà zhū tóu
🇰🇷 한글번역
나는 네가 정말 큰 돼지 머리처럼 보인다고 생각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觉得 jué de 느끼다, 생각하다 HSK3 巨 jù 매우, 엄청 HSK4 像 xiàng 닮다, 같다 HSK3 一 yī 하나 HSK1 大 dà 크다 HSK1 猪头 zhū tóu 돼지 머리 (비유적으로 멍청하거나 우둔한 사람을 가리킴)

📚 문법
비유적 표현: 중국어에서는 "猪头"라는 표현이 비유적으로 사용되어, 상대방을 멍청하거나 우둔하다고 놀릴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巨像"을 사용하여 "매우 닮았다"는 의미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我就觉得你巨像一大猪头"는 직역하면 "나는 네가 매우 큰 돼지 머리와 같다고 생각한다"로, 상대방을 놀리거나 비하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178 | 00:46:40,958 → 00:46:41,625
📝 한어병음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 bà 아빠 HSK1

📚 문법
단일 어휘: "爸"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로, '아빠'를 의미합니다. 이는 HSK1 급수에 속하며, 기본적인 가족 호칭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1179 | 00:46:41,625 → 00:46:43,625
小万喝多了说胡话呢
📝 한어병음
xiǎo wàn hē duō liǎo shuō hú huà ne
🇰🇷 한글번역
샤오완이 술을 많이 마셔서 헛소리를 하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万 Xiǎo Wàn 샤오완 (사람 이름) 喝 hē 마시다 HSK1 多 duō 많이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胡话 hú huà 허튼소리

📚 문법
상태 동사: "喝多了"는 '많이 마셨다'라는 상태를 나타내며, 결과적으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발생했음을 강조합니다. 여기서는 '술을 많이 마셔서'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현재 진행형: "呢"는 문장 끝에 위치하여 현재 진행 중인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허튼소리를 하고 있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180 | 00:46:43,625 → 00:46:45,958
我没喝多 都是真心话
📝 한어병음
wǒ méi hē duō dōu shì zhēn xīn huà
🇰🇷 한글번역
술에 취한 게 아니에요. 다 진심이에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没 méi ~않다 HSK2 喝 hē 마시다 HSK1 多 duō 많이 HSK1 都 dōu 모두 HSK1 真心话 zhēn xīn huà 진심 어린 말, 진실된 말 (HSK 비수록)

📚 문법
부정문: "没"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과거의 경험이나 행위를 부정합니다. 여기서는 "마시지 않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형태: 没 + 동사 (나는 많이 마시지 않았다)

강조문: "都"는 문장에서 '모두'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여기서는 진심이라는 것을 강조합니다.
형태: 주어 + 都 + 서술어 (모두 진심이다)
자막 #1181 | 00:46:46,416 → 00:46:48,250
我是不是跟你说了 别听
📝 한어병음
wǒ shì bù shì gēn nǐ shuō liǎo bié tīng
🇰🇷 한글번역
내가 너한테 듣지 말라고 했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是不是 shì bù shì ~인지 아닌지 HSK2 跟 gēn ~와, ~에게 HSK2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别 bié ~하지 마라 HSK2 听 tīng 듣다 HSK1

📚 문법
1. 是不是: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 사용되는 패턴으로 "~인지 아닌지"를 묻는 표현입니다.
예: 你是不是学生?(너는 학생이니?)

2. 别 + 동사: 금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하지 마라"라는 뜻입니다.
예: 别说话。(말하지 마라.)
자막 #1182 | 00:46:48,250 → 00:46:49,291
你自己非要听
📝 한어병음
nǐ zì jǐ fēi yào tīng
🇰🇷 한글번역
네가 굳이 듣고 싶어 하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自己 zìjǐ 스스로 HSK2 非要 fēiyào 반드시, 꼭 (원하다) HSK4 听 tīng 듣다 HSK1

📚 문법
非要: "非要"는 어떤 행동이나 상황을 반드시 하거나 원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강한 의지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非要 + 동사 (너는 꼭 듣고 싶어한다)
자막 #1183 | 00:46:49,291 → 00:46:50,791
这还怨我了
📝 한어병음
zhè hái yuàn wǒ liǎo
🇰🇷 한글번역
이게 내 탓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还 hái 아직, 더 HSK2 怨 yuàn 원망하다 HSK5 我 wǒ 나 HSK1 了 le 완료, 변화의 표시 HSK1

📚 문법
"这还怨我了"는 반문이나 불만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还"는 "더" 또는 "또"의 의미로 사용되어, "또 나를 원망하느냐"는 뉘앙스를 줍니다. "了"는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상황의 변화를 강조합니다. 이 문장은 상대방의 비난이나 불만에 대해 반박하거나 억울함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184 | 00:46:50,791 → 00:46:51,791
当然了
📝 한어병음
dāng rán liǎo
🇰🇷 한글번역
물론이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当然 dāng rán 당연히 HSK3

📚 문법
부사 사용: "当然"은 부사로 사용되어, 문장 전체에 대해 '당연히', '물론'이라는 의미를 부여합니다. 이는 화자의 확신이나 당연함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185 | 00:46:52,125 → 00:46:53,458
都在酒里
📝 한어병음
dōu zài jiǔ lǐ
🇰🇷 한글번역
모두 술에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在 zài ~에, ~에서 HSK1 酒 jiǔ 술 HSK3 里 lǐ 안, 속 HSK1

📚 문법
위 문장은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사구 "在 + 장소"를 사용하여 "모두 술 안에 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여기서 "里"는 "안"이라는 뜻으로, "在"와 함께 사용되어 특정 장소를 나타냅니다.
자막 #1186 | 00:46:55,375 → 00:46:56,375
你说你
📝 한어병음
nǐ shuō nǐ
🇰🇷 한글번역
너는 네가 말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당신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주어 + 동사: 이 문장은 주어(你)와 동사(说)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너는 말한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막 #1187 | 00:46:56,375 → 00:46:58,291
那孩子说你喝多的时候像猪
📝 한어병음
nà hái zǐ shuō nǐ hē duō de shí hòu xiàng zhū
🇰🇷 한글번역
그 아이가 말하길, 네가 술을 많이 마시면 돼지 같다고 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 HSK1 孩子 hái zi 아이, 어린이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你 nǐ 너 HSK1 喝多 hē duō 과음하다 (문맥상)

像 xiàng 같다, 닮다 HSK3 猪 zhū 돼지 HSK4

📚 문법
- 비교문: 像은 '~와 같다'라는 의미로, 비교의 대상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 你喝多的时候像猪 (네가 술을 많이 마셨을 때 돼지 같다)
- 시간 부사절: ~的时候는 '~할 때'라는 의미로, 시간의 특정 순간이나 기간을 나타냅니다.
예: 你喝多的时候 (네가 과음할 때)
자막 #1188 | 00:46:58,291 → 00:46:59,750
也没说别的
📝 한어병음
yě méi shuō bié de
🇰🇷 한글번역
다른 말은 하지 않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也 yě 또한, 역시 HSK1
没 méi 없다, 않다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别的 bié de 다른 것 HSK3

📚 문법
부정문: "没"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과거의 경험이나 완료되지 않은 상태를 부정합니다.
형태: 没 + 동사 (말하지 않았다)

"别的"는 "다른 것"을 의미하며, 특정한 것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1189 | 00:47:01,458 → 00:47:02,875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는 매우 다양하며, 각각의 단어가 특정한 관계를 명확히 구분합니다.
자막 #1190 | 00:47:02,875 → 00:47:04,875
你再喝点啊
📝 한어병음
nǐ zài hē diǎn a
🇰🇷 한글번역
너 좀 더 마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再 zài 다시, 더 HSK2 喝 hē 마시다 HSK1 点 diǎn 조금 HSK2 啊 a 어기조사, 권유나 제안을 나타냄 HSK2

📚 문법
권유문: 중국어에서 상대방에게 권유나 제안을 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点 + (목적어) + 啊 (너 다시 조금 마셔봐)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음료를 더 마시도록 권유하는 표현입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부드러운 어감을 줍니다.
자막 #1191 | 00:47:32,041 → 00:47:33,083
来 吃饭
📝 한어병음
lái chī fàn
🇰🇷 한글번역
와서 밥 먹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吃 chī 먹다 HSK1 饭 fàn 밥, 식사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동작을 요청하거나 명령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와서 밥 먹어)
자막 #1192 | 00:47:38,208 → 00:47:39,083
那个
📝 한어병음
nà gè
🇰🇷 한글번역
그것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 저 HSK1 个 gè 개, 명 (양사) HSK1

📚 문법
指示대명사: '那个'는 '그것' 또는 '저것'을 의미하며, 특정한 대상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那'는 지시대명사로, '个'는 일반적인 양사로 사용됩니다.
자막 #1193 | 00:47:39,083 → 00:47:39,958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이 단어는 명사로, 가족 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보통 아버지의 남동생을 가리키지만, 친근하게 나이가 비슷한 남성을 부를 때도 사용됩니다.
자막 #1194 | 00:47:39,958 → 00:47:41,500
我想跟您道个歉
📝 한어병음
wǒ xiǎng gēn nín dào gè qiàn
🇰🇷 한글번역
사과드리고 싶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想 xiǎng 생각하다, 원하다 HSK2 跟 gēn ~와/과 HSK2 您 nín 당신 (존칭) HSK2 道歉 dào qiàn 사과하다 HSK4

📚 문법
간단한 동사구: "跟"은 "~와/과"의 의미로, 동작의 대상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您"과 함께 사용되어 "당신에게"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道歉"은 "사과하다"라는 동사로, "跟"과 함께 사용되어 "당신에게 사과하다"라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자막 #1195 | 00:47:41,500 → 00:47:43,708
在这之前我确实没喝过酒
📝 한어병음
zài zhè zhī qián wǒ què shí méi hē guò jiǔ
🇰🇷 한글번역
이전에는 정말 술을 마신 적이 없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在 zài ~에, ~에서 HSK1 之前 zhīqián 이전 HSK3 确实 quèshí 확실히 HSK4 没 méi ~하지 않았다 HSK1 喝 hē 마시다 HSK1 过 guò ~한 적이 있다 HSK2 酒 jiǔ 술 HSK2

📚 문법
- 动词 + 过: 동작의 경험을 나타내는 문법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喝过"로 "마신 적이 있다"라는 경험을 나타냅니다.
- 确实: 확실성을 강조하는 부사로, 문장에서 어떤 사실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 在...之前: 시간이나 사건의 순서를 나타내며, "이전에"라는 뜻입니다.
자막 #1196 | 00:47:43,708 → 00:47:44,500
是啊 爸
📝 한어병음
shì a bà
🇰🇷 한글번역
네,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爸 bà 아빠 HSK1

📚 문법
명사구: "是"는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A는 B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是啊"가 동의나 확인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197 | 00:47:44,500 → 00:47:46,083
他平常都不怎么喝的
📝 한어병음
tā píng cháng dōu bù zěn me hē de
🇰🇷 한글번역
그는 평소에 거의 마시지 않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平常 píngcháng 평소에, 보통 HSK4 都 dōu 모두, 전부 HSK1 不 bù 아니다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喝 hē 마시다 HSK1

📚 문법
부정부사 "不":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이나 상태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不怎么"가 함께 사용되어 "별로 ~하지 않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문장 구조: 주어 + 부정부사 + 동사 (그는 평소에 별로 마시지 않는다)
자막 #1198 | 00:47:46,083 → 00:47:48,333
他就是在你面前好好表现一下
📝 한어병음
tā jiù shì zài nǐ miàn qián hǎo hǎo biǎo xiàn yī xià
🇰🇷 한글번역
그는 그냥 네 앞에서 잘 보이려고 하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HSK1 就是 jiù shì 바로 ~이다 HSK2 在 zài ~에서, ~에 HSK1 面前 miàn qián 앞 HSK4 表现 biǎo xiàn 표현하다, 나타내다 HSK4

📚 문법
- 就是: 강조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어떤 사실이나 상태를 확실히 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바로 ~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在 + 장소 + 面前: "~의 앞에서"라는 의미로, 특정 장소나 사람 앞에서의 행동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动词 + 一下: 동사 뒤에 "一下"를 붙여서 동작이 짧게 일어남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表现一下"로 "잠깐 표현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1199 | 00:47:48,333 → 00:47:49,458
年轻人
📝 한어병음
nián qīng rén
🇰🇷 한글번역
젊은이
🎯 AI 분석 결과
🔍 어휘
年轻 niánqīng 젊다 HSK3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형용사 + 명사: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입니다.
예: 年轻人 (젊은 사람)에서 "年轻"이 "人"을 수식하고 있습니다.
자막 #1200 | 00:47:49,458 → 00:47:51,500
那喝点酒喝多了不正常嘛
📝 한어병음
nà hē diǎn jiǔ hē duō liǎo bù zhèng cháng ma
🇰🇷 한글번역
술을 좀 많이 마셨다면 그게 이상한 건 아니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HSK1 喝 hē 마시다 HSK1 酒 jiǔ 술 HSK2 多 duō 많이 HSK1 正常 zhèng cháng 정상이다 HSK4

📚 문법
反问句: 중국어에서 반문형 문장은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陈述句 + 吗? (술을 많이 마시는 게 정상인가요?)
자막 #1201 | 00:47:51,500 → 00:47:52,875
我年轻那会不也喝酒
📝 한어병음
wǒ nián qīng nà huì bù yě hē jiǔ
🇰🇷 한글번역
내가 젊었을 때도 술을 마셨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年轻 nián qīng 젊다 HSK3 那会 nà huì 그때, 그 시절 (일상 표현) 不 bù 아니다 HSK1 也 yě 또한 HSK1 喝酒 hē jiǔ 술을 마시다 (일상 표현)

📚 문법
- 也 (yě): "또한"이라는 뜻으로, 앞의 내용과 비슷하거나 동일한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에서는 "나도 그때는 술을 마셨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不 (bù):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로,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예문에서는 "아니"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那会"는 일상적인 표현으로 특정 시점을 가리키며, "그때"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202 | 00:47:52,875 → 00:47:54,666
喝多了我还挠你呢
📝 한어병음
hē duō liǎo wǒ hái náo nǐ ne
🇰🇷 한글번역
술 많이 마시면 내가 너를 긁을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喝多 hē duō 많이 마시다 (술) 挠 náo 긁다, 할퀴다 你 nǐ 너 HSK1

📚 문법
동사 중첩: 중국어에서 동사의 중첩은 동작의 가벼움을 나타내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가집니다.
형태: 동사 + 一 + 동사 (예: 挠一挠 - 가볍게 긁다)

이 문장은 술을 많이 마신 후의 행동을 가볍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1203 | 00:47:55,083 → 00:47:56,083
什么玩意
📝 한어병음
shén me wán yì
🇰🇷 한글번역
뭐야 이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什么 shénme 무엇, 어떤 HSK1 玩意 wányì 물건, 물체 (구어체)

📚 문법
의문문: "什么"는 의문 대명사로, 물건이나 사람의 정체를 묻는 문장에서 사용됩니다.
형태: 什么 + 명사 (무엇 + 명사)

이 문장은 "무슨 물건이야?" 또는 "이게 뭐야?"라는 뜻으로, 놀람이나 의문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자막 #1204 | 00:47:56,916 → 00:47:57,833
下回咱注意
📝 한어병음
xià huí zán zhù yì
🇰🇷 한글번역
다음번엔 주의할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下回 xià huí 다음 번 HSK5 咱 zán 우리(들) HSK6 注意 zhù yì 주의하다 HSK3

📚 문법
명령문: 주의나 권고를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주의하다)

이 문장은 "다음 번에 우리 주의하자"라는 의미로, 다음에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주의하자는 권고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자막 #1205 | 00:47:57,833 → 00:47:58,833
好不好
📝 한어병음
hǎo bù hǎo
🇰🇷 한글번역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不 bù 아니다, 안 HSK1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A-不-A 질문형: 중국어에서 긍정과 부정을 반복하여 질문을 형성하는 방법입니다.
형태: 형용사/동사 + 不 + 형용사/동사 (좋아? 안 좋아?)
자막 #1206 | 00:47:59,083 → 00:48:00,333
来 小万
📝 한어병음
lái xiǎo wàn
🇰🇷 한글번역
와, 샤오완!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小 xiǎo 작은 HSK1 万 wàn 만 HSK3

📚 문법
호칭: "小"는 사람의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小万"은 "작은 만"이라는 뜻이 아니라 "만씨"라는 친근한 호칭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1207 | 00:48:00,625 → 00:48:01,375
吃饭
📝 한어병음
chī fàn
🇰🇷 한글번역
밥 먹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吃 chī 먹다 HSK1 饭 fàn 밥, 식사 HSK1

📚 문법
동사구: "吃饭"은 '밥을 먹다'라는 의미의 동사구입니다. 중국어에서 동사와 명사가 결합하여 하나의 동작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吃"는 동사, "饭"은 명사로, 함께 사용되어 '식사하다'라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자막 #1208 | 00:48:01,375 → 00:48:02,625
-爸爸 -谢谢阿姨
📝 한어병음
- bà bà - xiè xiè ā yí
🇰🇷 한글번역
- 아빠 - 고마워요, 아주머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爸 bàba 아빠 HSK1 谢谢 xièxie 감사합니다 HSK1 阿姨 āyí 이모, 아주머니 HSK2

📚 문법
호칭어: 중국어에서 가족이나 친척을 부를 때 사용하는 호칭어입니다. "爸爸"는 '아빠', "阿姨"는 '이모' 또는 '아주머니'로 번역됩니다. "谢谢"는 감사의 표현으로, 뒤에 사람을 지칭하는 호칭어를 붙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막 #1209 | 00:48:02,625 → 00:48:03,500
来 小万
📝 한어병음
lái xiǎo wàn
🇰🇷 한글번역
와, 샤오완!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小 xiǎo 작은 HSK1 万 wàn 만 HSK3

📚 문법
호칭: "小"는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小万"은 "작은 만"이라는 뜻이 아니라 "만 씨"라는 친근한 호칭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1210 | 00:48:04,208 → 00:48:05,250
爸爸
📝 한어병음
bà bà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爸 bà ba 아빠 HSK1

📚 문법
'爸爸'는 중국어에서 '아빠'를 의미하는 명사로, 가족 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특별한 문법 패턴 없이 명사로 사용됩니다.
자막 #1211 | 00:48:05,458 → 00:48:06,333
小万
📝 한어병음
xiǎo wàn
🇰🇷 한글번역
소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万 wàn 만 (숫자) HSK3

📚 문법
이름 사용: "小"는 종종 사람의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친밀감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小万"은 "어린 만" 또는 "작은 만"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친근한 호칭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1212 | 00:48:06,500 → 00:48:07,333
爸爸
📝 한어병음
bà bà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爸 bà ba 아빠 HSK1

📚 문법
호칭어: '爸爸'는 가족 구성원 중 아버지를 지칭하는 호칭어입니다. 중국어에서는 가족 구성원에 대한 호칭어가 매우 다양하며, '爸爸'는 가장 일반적인 표현입니다.
자막 #1213 | 00:48:07,333 → 00:48:09,166
怎么的小万是爸爸啊
📝 한어병음
zěn me de xiǎo wàn shì bà bà a
🇰🇷 한글번역
어떻게 해서 샤오완이 아빠가 된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小万 Xiǎo Wàn (이름) 是 shì ~이다 HSK1 爸爸 bàba 아빠 HSK1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이유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怎么 + 주어 + 동사 (어떻게 ~인가요?)

이 문장에서 "怎么的小万是爸爸啊"는 "어떻게 해서 작은 만이 아빠인가요?"라는 의미로, 놀라움이나 의문을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자막 #1214 | 00:48:12,041 → 00:48:12,666
行了
📝 한어병음
xíng liǎo
🇰🇷 한글번역
됐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되다, 좋다 HSK1

📚 문법
"行了"는 중국어에서 "됐어", "좋아", "괜찮아" 등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상황에 따라 긍정적인 동의나 허락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이는 간단한 긍정의 표현으로, 대화 중 상대방의 요청이나 제안에 대해 수락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215 | 00:48:12,666 → 00:48:13,125
📝 한어병음
lái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동사: "来"는 기본적으로 '오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로, 문맥에 따라 '다가오다', '도착하다' 등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중국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동사 중 하나입니다.
자막 #1216 | 00:48:13,125 → 00:48:13,750
动筷
📝 한어병음
dòng kuài
🇰🇷 한글번역
젓가락을 들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动 dòng 움직이다 HSK2 筷 kuài 젓가락 HSK5

📚 문법
동사 + 명사 구조: '动筷'은 '젓가락을 움직이다'라는 의미로, 동사 '动(움직이다)'와 명사 '筷(젓가락)'이 결합된 형태입니다. 이는 특정 행동을 묘사하는 간단한 구조입니다.
자막 #1217 | 00:48:17,083 → 00:48:17,625
📝 한어병음
lái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동사 "来"는 기본적으로 '오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문맥에 따라 '어떤 행동을 하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来吃饭"은 '밥 먹으러 오다'라는 뜻이지만, '밥을 먹다'라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1218 | 00:48:17,625 → 00:48:18,708
擦擦手
📝 한어병음
cā cā shǒu
🇰🇷 한글번역
손을 닦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擦 cā 닦다 HSK4 手 shǒu 손 HSK1

📚 문법
동사 중첩: 중국어에서 동사의 중첩은 동작의 짧음이나 가벼움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동사 (손을 좀 닦다)

"擦擦手"는 "손을 좀 닦다"라는 의미로, 동작의 가벼움을 표현합니다.
자막 #1219 | 00:48:19,833 → 00:48:20,291
你看看
📝 한어병음
nǐ kàn kàn
🇰🇷 한글번역
너 한번 봐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看 kàn kan 보다, 좀 보다 (중첩형) HSK1

📚 문법
동사 중첩: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동사 (한번 보다, 좀 보다)
자막 #1220 | 00:48:20,291 → 00:48:20,875
你看看
📝 한어병음
nǐ kàn kàn
🇰🇷 한글번역
너 한번 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 kàn 보다 HSK1

📚 문법
명령문: "你看看"는 상대방에게 무엇인가를 보라고 요청하는 간단한 명령문입니다. "你"는 주어로 사용되며, "看看"는 동사의 중첩 형태로,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해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221 | 00:48:21,708 → 00:48:23,625
瞅啥 你不洗手了嘛
📝 한어병음
chǒu shá nǐ bù xǐ shǒu liǎo ma
🇰🇷 한글번역
뭘 봐, 너 손 안 씻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瞅 chǒu 보다, 쳐다보다 HSK6
啥 shá 무엇, 뭐 HSK5
你 nǐ 너 HSK1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洗手 xǐ shǒu 손을 씻다 HSK3
了 ma 어기조사,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 反问句 (반문문): 상대방의 행동이나 상태에 대해 반문하는 형태의 문장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你不洗手了嘛"가 반문문으로 사용되어 상대방이 손을 씻지 않는 것에 대해 확인하거나 놀라움을 표현합니다.
- 어기조사 "嘛"는 문장 끝에 위치하여 의문이나 강조를 나타냅니다.
자막 #1222 | 00:48:34,708 → 00:48:38,125
叔叔为啥每次在不同的停车场上面都挂一这个啊
📝 한어병음
shū shū wèi shá měi cì zài bù tóng de tíng chē chǎng shàng miàn dōu guà yī zhè gè a
🇰🇷 한글번역
아저씨는 왜 매번 다른 주차장에 이걸 걸어두시는 거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3 每次 měi cì 매번 HSK3 不同 bù tóng 다르다 HSK3 停车场 tíng chē chǎng 주차장 HSK4 挂 guà 걸다 HSK4

📚 문법
"为啥"는 "为什么"의 구어체 표현으로, "왜"라는 뜻입니다. 이는 이유나 원인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为啥 + 주어 + 동사 + 목적어 (왜 삼촌은 매번 다른 주차장에 걸어놓나요?)
자막 #1223 | 00:48:38,125 → 00:48:40,083
而且每次都还不一样
📝 한어병음
ér qiě měi cì dōu hái bù yī yàng
🇰🇷 한글번역
게다가 매번 다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而且 ér qiě 게다가, 뿐만 아니라 HSK3
每次 měi cì 매번 HSK3
都 dōu 모두, 항상 HSK1
还 hái 여전히, 또 HSK2
不一样 bù yí yàng 다르다 HSK3

📚 문법
连词 "而且": 접속사로, 앞뒤 문장을 연결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합니다. "게다가", "뿐만 아니라"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부사 "都": 반복되는 상황이나 모든 경우에 대해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매번"이라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형용사 "不一样": "다르다"라는 의미로, 앞의 상황이나 사물과 비교하여 차이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자막 #1224 | 00:48:40,083 → 00:48:42,833
有些黑停车场会跟油耗子勾结
📝 한어병음
yǒu xiē hēi tíng chē chǎng huì gēn yóu hào zǐ gōu jié
🇰🇷 한글번역
일부 불법 주차장은 기름 도둑과 결탁할 수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些 yǒu xiē 어떤, 몇몇 HSK3 黑 hēi 불법의, 암암리의 HSK4 停车场 tíng chē chǎng 주차장 HSK4 会 huì ~할 수 있다, ~할 것이다 HSK2

勾结 gōu jié 결탁하다, 공모하다 HSK6 油耗子 yóu hào zi 기름 도둑 (비표준어, 속어)

📚 문법
- 会 (huì): 조동사로, 가능성이나 미래의 일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할 것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黑 (hēi): 형용사로, "불법의" 또는 "암암리의"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불법적인 주차장을 의미합니다.
- 跟 (gēn): 전치사로, "~와 함께" 또는 "~와"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기름 도둑과 결탁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225 | 00:48:42,833 → 00:48:43,791
你买了这个啊
📝 한어병음
nǐ mǎi liǎo zhè gè a
🇰🇷 한글번역
너 이거 샀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买 mǎi 사다 HSK1 了 le ~했다 (동작의 완료) HSK1 这个 zhè ge 이것 HSK1 啊 a ~구나 (감탄) HSK2

📚 문법
동태조사 "了": 동작의 완료나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여기서는 "买了"로 사용되어 '샀다'라는 완료된 동작을 나타냅니다.

문장 구조: 주어 + 동사 + 了 + 목적어
이 문장에서는 "你买了这个"로 '너는 이것을 샀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啊"는 감탄이나 놀라움을 나타내는 어기조사로, 문장의 끝에 붙어 감정이나 태도를 강조합니다.
자막 #1226 | 00:48:43,791 → 00:48:45,500
就相当于交了保护费
📝 한어병음
jiù xiāng dāng yú jiāo liǎo bǎo hù fèi
🇰🇷 한글번역
보호비를 낸 것과 같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相当于 xiāng dāng yú ~에 상당하다, ~와 같다 HSK5
交 jiāo 내다, 건네다 HSK3
保护费 bǎo hù fèi 보호비 (보호를 위한 비용)

📚 문법
비교구문: "相当于"는 "~에 상당하다" 또는 "~와 같다"라는 의미로, 두 대상을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유사함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형태: A 相当于 B (A는 B와 같다)
자막 #1227 | 00:48:46,458 → 00:48:47,250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가 다양하며, 각 단어가 구체적인 관계를 명확히 나타냅니다.
자막 #1228 | 00:48:47,250 → 00:48:49,791
大车碰到油耗子啊 一趟就白跑
📝 한어병음
dà chē pèng dào yóu hào zǐ a yī tàng jiù bái pǎo
🇰🇷 한글번역
큰 차가 기름 도둑을 만났네, 한 번 갔다 오면 헛수고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大车 dà chē 큰 차, 트럭 HSK4 碰到 pèng dào 부딪히다, 마주치다 HSK4 油耗子 yóu hào zi 기름 도둑 (비표준어) 一趟 yí tàng 한 번, 한 차례 HSK4 白跑 bái pǎo 헛걸음하다 (비표준어)

📚 문법
- 动词+到: 동작의 도달을 나타내는 결과보어입니다. 여기서는 "碰到"가 "부딪히다, 마주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一趟: '한 번, 한 차례'라는 뜻으로, 동작의 횟수를 나타냅니다. "一趟就白跑"에서 '한 번 갔다가 헛걸음했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229 | 00:48:49,791 → 00:48:52,125
有时候司机还有生命危险
📝 한어병음
yǒu shí hòu sī jī hái yǒu shēng mìng wēi xiǎn
🇰🇷 한글번역
때때로 운전자는 생명의 위험도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时候 yǒu shí hòu 가끔, 때때로 HSK3 司机 sī jī 운전사 HSK3 还有 hái yǒu 게다가, 또한 HSK2 生命 shēng mìng 생명 HSK4 危险 wēi xiǎn 위험 HSK4

📚 문법
- 有时候: '가끔' 또는 '때때로'라는 뜻으로, 시간의 불규칙성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 还有: '게다가', '또한'이라는 뜻으로, 앞의 내용을 보충하거나 추가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합니다.
- 문장 구조: 주어(司机) + 동사(有) + 목적어(生命危险) - '운전사에게는 생명의 위험이 있다'라는 의미로, 주어가 특정 상태나 상황에 처해 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1230 | 00:48:52,125 → 00:48:53,333
别再给我惹事了
📝 한어병음
bié zài gěi wǒ rě shì liǎo
🇰🇷 한글번역
더 이상 문제를 일으키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再 zài 다시, 더 HSK2 给 gěi ~에게 HSK2 我 wǒ 나, 저 HSK1 惹事 rě shì 문제를 일으키다 HSK6

📚 문법
부정 명령문: 중국어에서 "别"는 명령이나 요청을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문제를 일으키지 마라)
자막 #1231 | 00:49:30,250 → 00:49:32,083
你这小子衣服怎么随便乱扔呢
📝 한어병음
nǐ zhè xiǎo zǐ yī fu zěn me suí biàn luàn rēng ne
🇰🇷 한글번역
너 이 녀석, 옷을 왜 아무데나 막 던져 놓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小子 xiǎo zi 녀석, 자식 (구어체) 衣服 yī fu 옷 HSK1 随便 suí biàn 마음대로 HSK3 乱 luàn 어지럽히다, 함부로 HSK4 扔 rēng 던지다, 버리다 HSK4

📚 문법
- 反问句: 반문형 문장으로, 상대방의 행동이나 상황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거나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 형태: 주어 + 怎么 + 동사 + 呢 (너는 왜 옷을 그렇게 함부로 던지니?)
자막 #1232 | 00:49:32,083 → 00:49:33,250
我给你挂起来了啊
📝 한어병음
wǒ gěi nǐ guà qǐ lái liǎo a
🇰🇷 한글번역
내가 너를 끊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给 gěi ~에게 HSK2 你 nǐ 너 HSK1 挂 guà 걸다 HSK4 起来 qǐ lái 일어나다, 시작하다 HSK3

📚 문법
동사 + 起来: 동작의 시작이나 완료를 나타내는 결과보어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挂起来'로 '걸다'라는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起来 (나는 그것을 걸어두었다)
자막 #1233 | 00:49:33,250 → 00:49:34,291
好嘞叔叔
📝 한어병음
hǎo lē shū shū
🇰🇷 한글번역
좋아요,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嘞 hǎo lei 좋아요, 알겠습니다 (구어체 표현) 叔叔 shū 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 구어체 표현: "好嘞"는 일상 회화에서 "좋아요" 또는 "알겠습니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일반적인 "好"에 비해 더 친근하고 가벼운 느낌을 줍니다.
- 호칭 사용: "叔叔"는 나이 많은 남성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호칭으로, 꼭 혈연 관계가 아니더라도 친근하게 부를 수 있습니다.
자막 #1234 | 00:49:48,500 → 00:49:49,625
小万啊
📝 한어병음
xiǎo wàn a
🇰🇷 한글번역
소완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万 wàn 만 (숫자) HSK3 啊 a 문장 끝에 쓰여 어기를 나타냄 HSK1

📚 문법
호칭: "小"는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小万"은 "어린 만" 또는 "만이"라는 의미로, 친근하게 사람을 부를 때 사용합니다.
자막 #1235 | 00:49:52,875 → 00:49:56,041
你是不是有什么事瞒着叔叔啊
📝 한어병음
nǐ shì bù shì yǒu shén me shì mán zhe shū shū a
🇰🇷 한글번역
너 삼촌한테 무슨 일 숨기고 있는 거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是 shì ~이다 HSK1 有 yǒu 있다 HSK1 什么 shénme 무엇 HSK1 事 shì 일, 사건 HSK2

🔍 어휘
瞒 mán 숨기다 HSK6 着 zhe ~하고 있다 (진행형) HSK2 叔叔 shūshu 삼촌 HSK2 啊 a ~니? (문장 끝에 쓰여 의문을 나타냄) HSK2

📚 문법
"是不是" 의문문: 중국어에서 "是不是"는 '인지 아닌지'를 묻는 의문문 형식입니다.
형태: 주어 + 是不是 + 동사/형용사 + 목적어 (너는 삼촌에게 무언가를 숨기고 있는 거니?)

"有 + 什么 + 명사": '무엇이 있다'라는 의미로, 어떤 일이 있는지 묻는 표현입니다.
형태: 주어 + 有 + 什么 + 명사 (무슨 일이 있니?)
자막 #1236 | 00:49:56,500 → 00:49:58,458
叔叔给你公司打电话
📝 한어병음
shū shū gěi nǐ gōng sī dǎ diàn huà
🇰🇷 한글번역
삼촌이 너희 회사에 전화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3 给 gěi ~에게 HSK2 你 nǐ 너 HSK1 公司 gōngsī 회사 HSK3 打电话 dǎ diànhuà 전화를 걸다 HSK2

📚 문법
동사구문: "给"는 동작의 대상을 나타내며, "~에게"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给 + 대상 + 동사 (삼촌이 너에게 전화를 걸었다)
자막 #1237 | 00:49:58,458 → 00:50:00,375
想多了解一下你
📝 한어병음
xiǎng duō liǎo jiě yī xià nǐ
🇰🇷 한글번역
너에 대해 더 알고 싶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想 xiǎng 생각하다, 원하다 HSK2 多 duō 많이, 더욱 HSK1 了解 liǎo jiě 이해하다 HSK3 一下 yí xià 한번, 잠시 HSK2 你 nǐ 너 HSK1

📚 문법
동사 + 一下: 동사 뒤에 "一下"를 붙여서 동작이 짧게 이루어짐을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동작의 시간을 짧게 하거나, 동작을 부드럽게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예: "了解一下"는 "잠시 이해하다" 또는 "한번 알아보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238 | 00:50:04,083 → 00:50:05,708
你不介意吧
📝 한어병음
nǐ bù jiè yì ba
🇰🇷 한글번역
괜찮으시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不 bù 아니다 HSK1 介意 jièyì 신경 쓰다 HSK4 吧 ba ~지요, ~죠 (추측이나 권유의 어기를 나타냄) HSK2

📚 문법
吧 (ba):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추측, 권유, 제안, 동의를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확인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형태: 주어 + 不 + 동사 + 吧 (너는 신경 쓰지 않지?)
자막 #1239 | 00:50:08,750 → 00:50:10,083
没这个必要吧
📝 한어병음
méi zhè gè bì yào ba
🇰🇷 한글번역
그럴 필요 없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HSK2 这个 zhè ge 이것 HSK1 必要 bì yào 필요 HSK4 吧 ba ~지? (추측, 제안) HSK2

📚 문법
부정문: "没"는 주로 과거의 경험이나 완료되지 않은 상태를 부정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没 + 동사 (필요가 없다)

"吧"는 문장 끝에 사용되어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필요가 없지?"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240 | 00:50:10,083 → 00:50:11,041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한 어른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1241 | 00:50:11,041 → 00:50:12,333
我已经打完了
📝 한어병음
wǒ yǐ jīng dǎ wán liǎo
🇰🇷 한글번역
저는 이미 다 끝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已经 yǐ jīng 이미 HSK3 打 dǎ 치다, 때리다, 하다 HSK2 完 wán 끝나다, 완료하다 HSK3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동사 + 完: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결과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完 (나는 이미 다 끝냈다)
자막 #1242 | 00:50:15,708 → 00:50:16,458
没人接
📝 한어병음
méi rén jiē
🇰🇷 한글번역
아무도 받지 않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HSK2 人 rén 사람 HSK1 接 jiē 받다, 연결하다 HSK3

📚 문법
부정문: "没"는 과거의 경험이나 상태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사람이 없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형태: 没 + 동사 (아무도 받지 않았다)
자막 #1243 | 00:50:18,625 → 00:50:19,791
对 我们公司
📝 한어병음
duì wǒ men gōng sī
🇰🇷 한글번역
우리 회사에 대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에 대해, ~에게 HSK2 我们 wǒmen 우리 HSK1 公司 gōngsī 회사 HSK3

📚 문법
介词 "对": "对"는 전치사로 사용되어 "~에 대해" 또는 "~에게"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주로 대상이나 방향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문: 他对我们公司很满意。 (그는 우리 회사에 매우 만족한다.)
자막 #1244 | 00:50:19,791 → 00:50:21,125
我明天接着打
📝 한어병음
wǒ míng tiān jiē zhe dǎ
🇰🇷 한글번역
내일 계속할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明天 míngtiān 내일 HSK1 接着 jiēzhe 계속해서, 이어서 HSK4 打 dǎ 치다, 때리다, (전화 등을) 걸다 HSK2

📚 문법
동작의 연속: '接着'는 앞의 동작을 이어서 계속함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형태: 주어 + 接着 + 동사 (나는 내일 계속해서 할 것이다)
자막 #1245 | 00:50:24,250 → 00:50:25,291
📝 한어병음
xíng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가다, 걷다 HSK1 行 háng 줄, 항렬 HSK1

📚 문법
'行'은 문맥에 따라 발음과 의미가 달라질 수 있는 다의어입니다. 'xíng'으로 발음될 때는 '가다' 또는 '걷다'의 의미로 사용되며, 'háng'으로 발음될 때는 '줄' 또는 '항렬'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문장에서의 사용에 따라 적절한 의미를 선택해야 합니다.
자막 #1246 | 00:50:27,166 → 00:50:27,958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한 어른 남성을 부를 때 사용합니다.
자막 #1247 | 00:50:27,958 → 00:50:30,250
我那手机充电器好像落车上了
📝 한어병음
wǒ nà shǒu jī chōng diàn qì hǎo xiàng luò chē shàng liǎo
🇰🇷 한글번역
내 휴대폰 충전기를 차에 두고 온 것 같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那 nà 저, 그 HSK1 手机 shǒujī 휴대폰 HSK2 充电器 chōngdiànqì 충전기 (비HSK) 好像 hǎoxiàng ~인 것 같다 HSK4 落 lào 놓다, 두다 (비HSK) 车 chē 차 HSK1 上 shàng 위 HSK1

📚 문법
- 好像: '마치 ~인 것 같다'라는 추측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주로 어떤 상황이나 상태에 대해 추측할 때 사용합니다.
- 了: 동작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어기조사로,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이미 발생한 일이나 변화를 강조합니다.

이 문장은 "내 휴대폰 충전기를 차에 두고 내린 것 같다"는 의미로, 현재 상황에 대한 추측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1248 | 00:50:30,250 → 00:50:31,958
我去充个电去啊
📝 한어병음
wǒ qù chōng gè diàn qù a
🇰🇷 한글번역
저 충전 좀 하고 올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去 qù 가다 HSK1 充 chōng 충전하다 HSK4 电 diàn 전기 HSK3

📚 문법
동사 중첩: "去"가 두 번 사용되어 동작의 반복이나 강조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个 + 동사 (가서 충전 좀 하다)
자막 #1249 | 00:50:35,541 → 00:50:38,208
我老丈人本来就觉得我不够成熟
📝 한어병음
wǒ lǎo zhàng rén běn lái jiù jué dé wǒ bù gòu chéng shú
🇰🇷 한글번역
장인어른께서는 원래 제가 성숙하지 않다고 생각하셨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老丈人 lǎozhàngrén 장인 (아내의 아버지) HSK6 本来 běnlái 원래, 본래 HSK4 觉得 juéde 생각하다, 느끼다 HSK2 不够 bùgòu 충분하지 않다 HSK4 成熟 chéngshú 성숙하다 HSK5

📚 문법
- "本来"의 사용: "本来"는 '원래', '본래'라는 뜻으로, 어떤 상황이나 상태가 처음부터 그러했음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장인이 처음부터 그렇게 생각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觉得"의 사용: "觉得"는 '생각하다', '느끼다'라는 뜻으로, 주관적인 의견이나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장인의 의견을 나타냅니다.
- "不够"의 사용: "不够"는 '충분하지 않다'라는 뜻으로, 어떤 기준에 미치지 못함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성숙함이 부족하다는 의미입니다.
자막 #1250 | 00:50:38,208 → 00:50:40,000
再发现我是个做游戏的
📝 한어병음
zài fā xiàn wǒ shì gè zuò yóu xì de
🇰🇷 한글번역
다시 보니 나는 게임을 만드는 사람이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再 zài 다시, 재차 HSK3 发现 fā xiàn 발견하다 HSK4 我 wǒ 나, 저 HSK1 是 shì ~이다 HSK1 个 gè 개, 명 (양사) HSK1 做 zuò 하다, 만들다 HSK1 游戏 yóu xì 게임 HSK3

📚 문법
명사구: "我是个做游戏的"는 "나는 게임을 만드는 사람이다"라는 의미로, '的'는 명사구를 형성하여 앞의 내용을 설명합니다.
형태: 주어 + 是 + 명사구 (나는 ~이다)
자막 #1251 | 00:50:40,000 → 00:50:41,625
那我跟小雨就完了
📝 한어병음
nà wǒ gēn xiǎo yǔ jiù wán liǎo
🇰🇷 한글번역
그러면 나와 샤오위는 끝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HSK2 我 wǒ 나 HSK1 跟 gēn ~와 함께 HSK2 小雨 Xiǎo Yǔ 샤오위 (이름) 고유명사 就 jiù 곧, 바로 HSK2 完 wán 끝나다 HSK3

📚 문법
주어 + 跟 + 사람 + 동사: "~와 함께 ~하다"라는 의미로, 주어가 특정 사람과 함께 어떤 행동을 할 때 사용합니다.
예문: 我跟小雨去看电影。(나는 샤오위와 함께 영화를 보러 간다)

就: 문장에서 어떤 일이 곧 일어날 것임을 강조하는 부사로 사용됩니다.
예문: 我们就开始吧。(우리는 곧 시작하자)
자막 #1252 | 00:50:43,208 → 00:50:44,458
你看这是什么
📝 한어병음
nǐ kàn zhè shì shén me
🇰🇷 한글번역
이게 뭐라고 생각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 kàn 보다 HSK1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什么 shénme 무엇 HSK1

📚 문법
의문문: "你看这是什么"는 "이게 뭐야?"라는 뜻의 의문문입니다. 중국어에서 의문사를 사용하여 질문을 할 때, 의문사는 일반적으로 문장의 끝에 위치합니다. 이 문장에서 "什么"가 의문사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253 | 00:50:44,875 → 00:50:46,458
我都快没法呼吸了
📝 한어병음
wǒ dōu kuài méi fǎ hū xī liǎo
🇰🇷 한글번역
숨을 쉴 수 없을 것 같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都 dōu 모두, 이미 HSK2 快 kuài 곧, 거의 HSK3 没法 méi fǎ 방법이 없다 HSK4 呼吸 hū xī 호흡하다 HSK5

📚 문법
부사 "快": "快"는 "곧" 또는 "거의"라는 의미로, 어떤 상태나 행동이 곧 일어날 것임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快没法"로 사용되어 "곧 ~할 수 없다"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형태: 주어 + 快 + 동사/상태 (나는 곧 숨을 쉴 수 없을 것 같다)
자막 #1254 | 00:50:47,375 → 00:50:48,500
放心吧哥
📝 한어병음
fàng xīn ba gē
🇰🇷 한글번역
걱정 마세요, 형.
🎯 AI 분석 결과
🔍 어휘
放心 fàng xīn 안심하다 HSK3 吧 ba ~해라 (제안, 명령) HSK1 哥 gē 형, 오빠 HSK1

📚 문법
명령문: "吧"는 제안이나 명령을 부드럽게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안심해라"라는 명령을 부드럽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막 #1255 | 00:50:48,500 → 00:50:50,291
要是前台来电话说找你
📝 한어병음
yào shì qián tái lái diàn huà shuō zhǎo nǐ
🇰🇷 한글번역
만약 프론트에서 전화가 와서 당신을 찾는다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要是 yàoshi 만약에 HSK3 前台 qiántái 프런트 데스크, 리셉션 HSK5 电话 diànhuà 전화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找 zhǎo 찾다 HSK2 你 nǐ 너 HSK1

📚 문법
조건문: "要是"는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만약 ~라면"이라는 뜻입니다. 조건을 제시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要是 + 조건 + (주어) + 동사 (만약에 프런트 데스크에서 전화가 와서 너를 찾는다면)
자막 #1256 | 00:50:50,291 → 00:50:51,250
我来接
📝 한어병음
wǒ lái jiē
🇰🇷 한글번역
제가 데리러 갈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来 lái 오다 HSK1 接 jiē 받다, 마중하다 HSK3

📚 문법
동사 연결: "来"는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며, "接"과 함께 사용되어 "마중하러 오다"라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이 문장은 "내가 마중하러 갈게"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1257 | 00:50:52,166 → 00:50:54,041
帮你包装得妥妥的
📝 한어병음
bāng nǐ bāo zhuāng dé tuǒ tuǒ de
🇰🇷 한글번역
포장을 완벽하게 해드릴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帮 bāng 돕다 HSK2 你 nǐ 너 HSK1 包装 bāo zhuāng 포장하다 HSK4 妥妥的 tuǒ tuǒ de 확실하게, 완벽하게 (HSK 비급수)

📚 문법
결과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得 + 형용사 (포장을 확실하게 했다)
자막 #1258 | 00:50:54,375 → 00:50:55,833
不就是忽悠吗
📝 한어병음
bù jiù shì hū yōu ma
🇰🇷 한글번역
그냥 속이는 거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HSK1 就 jiù 바로, 즉시 HSK2 是 shì 이다 HSK1 忽悠 hūyou 속이다, 현혹하다 (비표준어, 구어체)

📚 문법
반어문: 중국어에서 반어문은 의문문 형태로 사용되지만, 실제로는 부정적인 의미를 강조하거나 상대방의 동의를 구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不就是 + 명사/동사 + 吗 (그냥 ~하는 거 아니야?)
자막 #1259 | 00:50:55,833 → 00:50:57,208
那不是骗人吗
📝 한어병음
nà bù shì piàn rén ma
🇰🇷 한글번역
그거 사기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것, 그것 HSK1 不是 bú shì 아니다 HSK1 骗人 piàn rén 사람을 속이다 HSK4 吗 ma ~니?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을 나타내기 위해 문장 끝에 "吗"를 사용합니다. 이는 예/아니오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그것은 사람을 속이는 것이 아니니?)
자막 #1260 | 00:50:57,208 → 00:50:58,791
这不是恶意的骗
📝 한어병음
zhè bù shì è yì de piàn
🇰🇷 한글번역
이것은 악의적인 사기가 아닙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不是 bù shì 아니다 HSK1 恶意 è yì 악의 HSK6 骗 piàn 속이다 HSK4

📚 문법
부정문: 중국어에서 "不是"는 "아니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주어의 상태나 속성을 부정합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명사/형용사 (이것은 악의적인 속임수가 아니다)
자막 #1261 | 00:50:58,791 → 00:51:00,083
这是善意的装
📝 한어병음
zhè shì shàn yì de zhuāng
🇰🇷 한글번역
이것은 선의의 가장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善意 shàn yì 선의, 좋은 의도 HSK5 的 de ~의 (구조조사) HSK1 装 zhuāng 포장, 꾸밈 HSK5

📚 문법
这是~的: "이것은 ~이다"라는 구조로, 어떤 사물이나 상황의 본질이나 상태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这是 + 명사/구 (이것은 선의의 포장이다)
자막 #1262 | 00:51:00,083 → 00:51:02,166
你吃那么多亏了怎么还不长记性呢
📝 한어병음
nǐ chī nà me duō kuī liǎo zěn me hái bù cháng jì xìng ne
🇰🇷 한글번역
너는 그렇게 많은 손해를 봤는데도 왜 아직도 교훈을 얻지 못하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吃 chī 먹다 HSK1 那么 nàme 그렇게 HSK3 多 duō 많다 HSK1 亏 kuī 손해 HSK6

📚 문법
反问句: 중국어에서 반문형 문장은 상대방의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형태: 陈述句 + 呢 (너는 그렇게 많은 손해를 봤는데 왜 아직도 교훈을 얻지 못하니?)
자막 #1263 | 00:51:02,166 → 00:51:03,291
我先挂了
📝 한어병음
wǒ xiān guà liǎo
🇰🇷 한글번역
먼저 끊을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先 xiān 먼저 HSK2 挂 guà 끊다, 걸다 HSK4 了 le 동작의 완료를 나타냄 HSK1

📚 문법
동작의 완료: '了'는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형태: 동사 + 了 (나는 먼저 전화를 끊을게)
자막 #1264 | 00:51:03,291 → 00:51:04,208
拜拜
📝 한어병음
bài bài
🇰🇷 한글번역
안녕
🎯 AI 분석 결과
🔍 어휘
拜拜 bài bài 잘 가, 안녕 (작별 인사) HSK에 포함되지 않음

📚 문법
간단한 작별 인사: "拜拜"는 영어의 "Bye-bye"와 유사한 표현으로, 친구나 친한 사람들 사이에서 가볍게 작별 인사를 할 때 사용됩니다.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자막 #1265 | 00:51:15,666 → 00:51:16,791
回来挺快呀
📝 한어병음
huí lái tǐng kuài ya
🇰🇷 한글번역
돌아오는 게 꽤 빠르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回来 huílái 돌아오다 HSK2 挺 tǐng 매우, 꽤 HSK4 快 kuài 빠르다 HSK2

📚 문법
형용사 중첩: "挺 + 형용사" 구조는 "매우, 꽤"라는 의미를 더해 형용사의 정도를 강조합니다.
예문: 回来挺快呀 (돌아오는 것이 꽤 빠르네요)
자막 #1266 | 00:51:16,791 → 00:51:18,291
东西拿完了是吧
📝 한어병음
dōng xī ná wán liǎo shì ba
🇰🇷 한글번역
물건 다 가져갔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东西 dōng xi 물건, 것 HSK1 拿 nǎ 잡다, 쥐다 HSK2 完 wán 끝나다, 완료하다 HSK2 是 shì ~이다 HSK1 吧 ba ~지요? HSK2

📚 문법
완료의 '了':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문법 요소입니다.
형태: 동사 + 完了 (물건을 다 챙겼다)

'是吧'의 사용: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확인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형태: 문장 + 是吧 (물건을 다 챙겼지요?)
자막 #1267 | 00:51:18,875 → 00:51:20,125
这车油箱加固了
📝 한어병음
zhè chē yóu xiāng jiā gù liǎo
🇰🇷 한글번역
이 차의 연료탱크가 강화되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车 chē 차, 차량 HSK1 油箱 yóuxiāng 연료탱크, 기름통 HSK5 加固 jiāgù 강화하다, 보강하다 HSK6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입니다.
이 문장에서 "这车"는 주어, "油箱"은 목적어, "加固了"는 동사와 결과보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了"는 동작의 완료를 나타냅니다. (이 차의 연료탱크가 강화되었다)
자막 #1268 | 00:51:20,125 → 00:51:20,916
把东西给我
📝 한어병음
bǎ dōng xī gěi wǒ
🇰🇷 한글번역
물건을 나에게 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把 bǎ 을/를 HSK3 东西 dōng xi 물건 HSK1 给 gěi 주다 HSK2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대상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물건을 나에게 줘)
자막 #1269 | 00:51:20,916 → 00:51:22,250
这油耗子啊
📝 한어병음
zhè yóu hào zǐ a
🇰🇷 한글번역
이 기름 도둑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油 yóu 기름 HSK2 耗子 hào zi 쥐 (비표준어, 속어)

📚 문법
명사구: "油耗子"는 속어로, 기름을 훔치는 사람이나 기름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입니다. 일반적인 문법 구조는 아니지만, 특정 상황에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자막 #1270 | 00:51:22,250 → 00:51:23,791
都是不要命的主
📝 한어병음
dōu shì bù yào mìng de zhǔ
🇰🇷 한글번역
모두 목숨을 아끼지 않는 사람들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是 shì 이다 HSK1 不要命 bù yào mìng 목숨을 아끼지 않다 (관용 표현) 的 de ~의 HSK1 主 zhǔ 사람, 주인 (여기서는 '사람'으로 해석) HSK4

📚 문법
관용 표현: "不要命"은 직역하면 '목숨을 원하지 않다'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목숨을 아끼지 않다' 또는 '무모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都是 + 관용 표현 + 的 + 명사 (모두 무모한 사람들이다)
자막 #1271 | 00:51:23,791 → 00:51:25,833
有时候司机还有生命危险
📝 한어병음
yǒu shí hòu sī jī hái yǒu shēng mìng wēi xiǎn
🇰🇷 한글번역
때때로 운전자는 생명의 위험에 처할 수도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时候 yǒu shí hòu 가끔, 때때로 HSK3
司机 sī jī 운전사, 기사 HSK2
还有 hái yǒu 게다가, 또한 HSK3
生命 shēng mìng 생명 HSK4
危险 wēi xiǎn 위험 HSK4

📚 문법
주어 + 有时候 + 술어: "가끔 ~하다"라는 의미로, 동작이나 상태가 가끔 발생함을 나타냅니다.
예문: 有时候司机还有生命危险 (가끔 운전사에게도 생명의 위험이 있다)
자막 #1272 | 00:51:25,833 → 00:51:27,500
别再给我惹事了啊
📝 한어병음
bié zài gěi wǒ rě shì liǎo a
🇰🇷 한글번역
더 이상 문제를 일으키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再 zài 다시, 더 HSK2 给 gěi ~에게 HSK2 我 wǒ 나, 저 HSK1 惹事 rě shì 문제를 일으키다 HSK6

📚 문법
부정 명령문: "别"는 "~하지 마라"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别 + 동사 + (목적어) (문제를 더 이상 나에게 일으키지 마라)
자막 #1273 | 00:51:28,250 → 00:51:29,166
你谁啊
📝 한어병음
nǐ shuí a
🇰🇷 한글번역
너 누구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谁 shéi 누구 HSK2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의문, 명령 등의 어기를 나타냄 HSK3

📚 문법
의문문: "谁"는 의문대명사로, 사람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谁 + 술어? (너는 누구냐?)

이 문장은 상대방의 정체를 물을 때 사용하는 간단한 의문문입니다.
자막 #1274 | 00:51:31,416 → 00:51:32,125
我是
📝 한어병음
wǒ shì
🇰🇷 한글번역
저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주어 + 是 + 명사: 중국어에서 주어가 무엇인지 설명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주어 + 是 + 명사 (저는 ~입니다)
자막 #1275 | 00:51:40,875 → 00:51:41,833
你干啥的
📝 한어병음
nǐ gān shá de
🇰🇷 한글번역
무슨 일 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干 gàn 하다 HSK4 啥 shá 무엇 HSK5 的 de ~의 (구조조사) HSK1

📚 문법
의문문: "你干啥的"는 구어체에서 "너 뭐해?" 또는 "너 뭐하는 사람이야?"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여기서 "啥"는 "什么"의 구어체 표현으로, "무엇"을 뜻합니다.
자막 #1276 | 00:51:42,500 → 00:51:44,791
我是在那个车上充电呢
📝 한어병음
wǒ shì zài nà gè chē shàng chōng diàn ne
🇰🇷 한글번역
저는 그 차에서 충전하고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是 shì ~이다 HSK1 在 zài ~에서 HSK1 那个 nà ge 그, 저 HSK1 车 chē 차 HSK1 上 shàng 위 HSK1 充电 chōng diàn 충전하다 HSK4 呢 ne ~하고 있다 (진행형) HSK2

📚 문법
진행형: 중국어에서 동작이나 상태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在 + 장소 + 동사 + 呢 (나는 그 차에서 충전하고 있다)

이 문장에서는 "在"와 "呢"를 사용하여 현재 진행 중인 동작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자막 #1277 | 00:51:46,125 → 00:51:48,000
你那车不交保护费了吗
📝 한어병음
nǐ nà chē bù jiāo bǎo hù fèi liǎo ma
🇰🇷 한글번역
너 그 차 보호비 안 내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那 nà 그 HSK1 车 chē 차 HSK1 不 bù 아니다 HSK1 交 jiāo 내다 HSK3

📚 문법
의문문: "吗"를 문장 끝에 붙여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너는 그 차의 보호비를 내지 않니?)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보호비를 내지 않는 것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질문입니다.
자막 #1278 | 00:51:48,000 → 00:51:48,791
对啊
📝 한어병음
duì a
🇰🇷 한글번역
맞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맞다, 그렇다 HSK1 啊 a 어기조사,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 등을 나타냄 HSK2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 강조, 동의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对啊"는 "맞아" 또는 "그래"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말에 동의하거나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279 | 00:51:49,500 → 00:51:50,375
📝 한어병음
gǔn
🇰🇷 한글번역
꺼져
🎯 AI 분석 결과
🔍 어휘
滚 gǔn 구르다, 굴러가다 HSK5

📚 문법
명령문: "滚"은 명령이나 강한 요구를 나타내는 단어로, 상대방에게 떠나거나 물러가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이 단어는 주로 구어체에서 사용되며, 감정이 격해진 상황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자막 #1280 | 00:51:52,791 → 00:51:54,041
你这就让他走了
📝 한어병음
nǐ zhè jiù ràng tā zǒu liǎo
🇰🇷 한글번역
너 그렇게 그냥 그를 보내버렸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것 HSK1 就 jiù 곧, 즉시 HSK2 让 ràng ~하게 하다 HSK2 他 tā 그 HSK1 走 zǒu 가다 HSK1

📚 문법
사역문: 중국어에서 다른 사람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让 + 대상 + 동사 (너는 그를 가게 했다)

이 문장에서 "让"은 '시키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주어가 다른 사람에게 특정 행동을 하도록 허락하거나 명령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자막 #1281 | 00:51:54,375 → 00:51:55,208
还咋的啊
📝 한어병음
hái zǎ de a
🇰🇷 한글번역
또 뭐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아직, 여전히 HSK2 咋 zǎ 어떻게 (방언) 的 de ~의 (조사) HSK1 啊 a 어기조사 (감탄, 강조)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예를 들어, "还咋的啊"는 "아직 어떻게 해?"라는 의미로, 감정이나 상황에 대한 강조를 나타냅니다.
자막 #1282 | 00:51:55,208 → 00:51:56,750
砸的不是你是吧
📝 한어병음
zá de bù shì nǐ shì ba
🇰🇷 한글번역
부순 건 너가 아니지, 그렇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砸 zá 부수다, 깨다 HSK6 不是 bù shì ~이 아니다 HSK1 你 nǐ 너 HSK1 是 shì ~이다 HSK1 吧 ba ~지? (추측, 확인) HSK2

📚 문법
부정문: "不是"는 "~이 아니다"라는 의미로, 주어가 어떤 상태나 사실이 아님을 나타냅니다.
문장 구조: 주어 + 不是 + 명사/대명사 (부수어진 것이 너는 아니지?)

"吧"는 문장 끝에 사용되어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추측을 확인하는 의미를 더합니다.
자막 #1283 | 00:51:56,750 → 00:51:58,708
我给你一下子你试试
📝 한어병음
wǒ gěi nǐ yī xià zǐ nǐ shì shì
🇰🇷 한글번역
내가 너에게 한번 해볼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给 gěi 주다 HSK2 你 nǐ 너 HSK1 一下子 yíxiàzi 잠깐, 한번에 HSK4 试试 shìshi 시도하다, 해보다 HSK2

📚 문법
동사 중첩: 중국어에서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을 가볍게 시도하거나 잠깐 동안 행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동사 (试试는 '시도해보다'라는 의미로, 동작을 가볍게 시도해보라는 뜻입니다.)
자막 #1284 | 00:52:00,666 → 00:52:01,541
啥事儿啊
📝 한어병음
shá shì ér a
🇰🇷 한글번역
무슨 일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啥 shá 무엇, 무슨 HSK5 事儿 shìr 일, 사건 HSK4

📚 문법
구어체 표현: "啥事儿啊"는 "무슨 일이야?"라는 뜻으로,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啥"는 "什么"의 구어체 버전으로, 보다 친근하고 비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자막 #1285 | 00:52:02,458 → 00:52:03,291
有人偷油
📝 한어병음
yǒu rén tōu yóu
🇰🇷 한글번역
누군가 기름을 훔쳤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人 yǒu rén 누군가 HSK2 偷 tōu 훔치다 HSK4 油 yóu 기름 HSK3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입니다.
이 문장은 "누군가 기름을 훔쳤다"라는 의미로, 주어(有人)와 동사(偷), 목적어(油)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막 #1286 | 00:52:03,291 → 00:52:04,208
油耗子
📝 한어병음
yóu hào zǐ
🇰🇷 한글번역
기름 도둑
🎯 AI 분석 결과
🔍 어휘
油 yóu 기름 HSK3 耗子 hào zi 쥐 (비표준어, 속어)

📚 문법
'油耗子'는 일반적인 중국어 단어가 아니라 속어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기름을 훔치는 쥐'라는 뜻으로, 주로 기름을 훔치는 사람이나 기름값을 부당하게 올리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와 같은 속어는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막 #1287 | 00:52:05,291 → 00:52:06,000
在哪呢
📝 한어병음
zài nǎ ne
🇰🇷 한글번역
어디에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在 zài ~에, ~에서 HSK1 哪 nǎ 어디 HSK1 呢 ne ~니?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의문문: "呢"는 문장 끝에 붙여서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조사로 사용됩니다. 주로 상대방에게 질문을 하거나, 어떤 상황에 대한 확인을 요구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在 + 장소 + 呢? (어디에 있니?)
자막 #1288 | 00:52:06,000 → 00:52:06,750
你小子
📝 한어병음
nǐ xiǎo zǐ
🇰🇷 한글번역
너 이 자식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小子 xiǎo zi 녀석, 자식 (구어체 표현)

📚 문법
구어체 표현: "你小子"는 친근하거나 장난스러운 톤으로 상대방을 부를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친구나 가까운 사이에서 사용됩니다.
자막 #1289 | 00:52:06,750 → 00:52:07,833
有种啊
📝 한어병음
yǒu zhǒng a
🇰🇷 한글번역
배짱 있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种 zhǒng 종류, 용기 HSK3

📚 문법
"有种"은 구어체 표현으로, "용기가 있다" 또는 "대담하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상대방에게 도전하거나 격려하는 뉘앙스를 가질 수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1290 | 00:52:07,833 → 00:52:08,458
那儿呢
📝 한어병음
nà ér ne
🇰🇷 한글번역
거기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儿 nàr 거기, 그곳 HSK2

📚 문법
"呢"는 중국어에서 의문문이나 진행 중인 동작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那儿呢"라는 표현으로, 특정 장소나 위치를 물어보는 상황에서 "거기는요?" 또는 "그곳은요?"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291 | 00:52:08,958 → 00:52:10,458
老李 快去看看
📝 한어병음
lǎo lǐ kuài qù kàn kàn
🇰🇷 한글번역
노리, 빨리 가서 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老 lǎo 늙다, 나이든 HSK3 李 Lǐ 성(姓) HSK 없음 快 kuài 빨리 HSK2 去 qù 가다 HSK1 看 kàn 보다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동사 앞에 부사(예: 快)를 사용하여 행동의 빠르기를 강조합니다.
형태: 부사 + 동사 + 목적어 (빨리 가서 봐라)
자막 #1292 | 00:52:10,458 → 00:52:11,291
标记扯了
📝 한어병음
biāo jì chě liǎo
🇰🇷 한글번역
표시가 찢어졌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标记 biāo jì 표시, 표지 HSK5 扯 chě 찢다, 끌다 HSK6

📚 문법
동사구: "扯了"는 동사 "扯"에 완료를 나타내는 "了"가 붙은 형태로, 어떤 행동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了 (찢었다, 끌었다)
자막 #1293 | 00:52:11,750 → 00:52:12,791
走走走 快走
📝 한어병음
zǒu zǒu zǒu kuài zǒu
🇰🇷 한글번역
가자 가자 빨리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걷다, 가다 HSK1 快 kuài 빠르다 HSK2

📚 문법
중첩 동사: 중국어에서 동사의 중첩은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가집니다.
형태: 동사 + 동사 (走走走: 가자, 가자)

명령문: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快走: 빨리 가자)
자막 #1294 | 00:52:13,166 → 00:52:15,041
眼镜 你给我等着啊
📝 한어병음
yǎn jìng nǐ gěi wǒ děng zhe a
🇰🇷 한글번역
안경, 너 기다려 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眼镜 yǎn jìng 안경 HSK4 你 nǐ 너 HSK1 给 gěi 주다 HSK2 我 wǒ 나 HSK1 等 děng 기다리다 HSK2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구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给 + 목적어 + 동사 (너는 나를 기다려라)

이 문장은 "너는 나를 기다려라"라는 명령의 의미로, 상대방에게 특정 행동을 요구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295 | 00:52:15,041 → 00:52:15,875
臭小子
📝 한어병음
chòu xiǎo zǐ
🇰🇷 한글번역
이 녀석
🎯 AI 분석 결과
🔍 어휘
臭 chòu 냄새나다, 나쁜 HSK4 小 xiǎo 작다 HSK1 子 zi 아들, 아이 HSK1

📚 문법
명사구: "臭小子"는 '냄새나는 아이' 또는 '말썽꾸러기'라는 의미로, 주로 친근하게 장난스럽게 누군가를 부를 때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문맥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1296 | 00:52:15,875 → 00:52:17,666
别再让我碰着你
📝 한어병음
bié zài ràng wǒ pèng zhe nǐ
🇰🇷 한글번역
다시는 너를 마주치지 않게 해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再 zài 다시 HSK2 让 ràng ~하게 하다 HSK2 碰着 pèng zháo 만나다, 부딪치다 HSK4 你 nǐ 너 HSK1

📚 문법
부정 명령문: "别"는 명령이나 요청에서 부정을 나타내며, "~하지 마라"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 (목적어) (다시 너를 만나지 않게 해라)
자막 #1297 | 00:52:19,458 → 00:52:20,375
哎呀 太感谢你了
📝 한어병음
āi ya tài gǎn xiè nǐ liǎo
🇰🇷 한글번역
아이고 정말 감사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哎呀 āi yā 아이고, 어머 (감탄사) HSK5 太 tài 너무, 매우 HSK2 感谢 gǎn xiè 감사하다 HSK4 你 nǐ 너 HSK1 了 le (어기조사) HSK1

📚 문법
어기조사 "了":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이나 완료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감탄의 의미로 사용되어, 상대방에게 깊은 감사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1298 | 00:52:20,375 → 00:52:21,000
小伙子
📝 한어병음
xiǎo huǒ zǐ
🇰🇷 한글번역
청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伙子 huǒ zi 젊은이, 청년 HSK4

📚 문법
명사구: "小伙子"는 "작은"을 의미하는 "小"와 "무리, 사람"을 의미하는 "伙子"가 결합된 명사구로, "젊은이" 또는 "청년"을 뜻합니다. 이는 주로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299 | 00:52:21,000 → 00:52:21,875
对 对 对
📝 한어병음
duì duì duì
🇰🇷 한글번역
맞아 맞아 맞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맞다, 옳다 HSK1

📚 문법
중국어에서 "对"는 동의나 확인을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됩니다. 반복해서 사용하면 상대방의 말을 강하게 긍정하거나 동의하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300 | 00:52:21,875 → 00:52:23,250
谢谢谢谢 感谢感谢
📝 한어병음
xiè xiè xiè xiè gǎn xiè gǎn xiè
🇰🇷 한글번역
정말 감사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谢谢 xièxie 감사합니다 HSK1 感谢 gǎnxiè 감사하다 HSK3

📚 문법
중복 표현: 중국어에서는 감정이나 강조를 나타내기 위해 단어를 반복하여 사용합니다. "谢谢谢谢"와 "感谢感谢"는 감사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301 | 00:52:23,250 → 00:52:24,208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한 어른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1302 | 00:52:24,208 → 00:52:25,250
你不是过来充电来吗
📝 한어병음
nǐ bù shì guò lái chōng diàn lái ma
🇰🇷 한글번역
너 충전하러 온 거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不是 bù shì ~이 아니다 HSK1 过来 guò lái 오다 HSK3 充电 chōng diàn 충전하다 HSK4 吗 ma ~니?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정반문: 중국어에서 "A不是B吗?" 형태는 상대방의 행동이나 상황에 대한 의문이나 확인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 "你不是过来充电来吗"는 "너는 충전하러 온 것이 아니니?"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의도를 확인하거나 의아해하는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자막 #1303 | 00:52:25,250 → 00:52:26,333
把我车充这样
📝 한어병음
bǎ wǒ chē chōng zhè yàng
🇰🇷 한글번역
제 차 충전기를 이렇게 해주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把 bǎ 을/를 HSK3 我 wǒ 나, 저 HSK1 车 chē 차, 자동차 HSK1 充 chōng 충전하다 HSK4 这样 zhè yàng 이렇게 HSK3

📚 문법
把字句: '把' 자문은 동작의 대상을 강조하여 동작의 결과나 상태 변화를 나타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기타 성분 (예: 나는 내 차를 이렇게 충전한다)
자막 #1304 | 00:52:26,333 → 00:52:27,041
大哥
📝 한어병음
dà gē
🇰🇷 한글번역
형님
🎯 AI 분석 결과
🔍 어휘
大哥 dà gē 큰형, 큰오빠 HSK4

📚 문법
칭호: "大哥"는 가족이나 친한 사이에서 형이나 오빠를 부를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많은 남성을 존중하여 부를 때 사용됩니다.
자막 #1305 | 00:52:27,041 → 00:52:27,833
误会了
📝 한어병음
wù huì liǎo
🇰🇷 한글번역
오해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误会 wù huì 오해하다 HSK4

📚 문법
단순 동사: "误会了"는 동사 "误会"에 완료를 나타내는 "了"가 붙어, 이미 오해가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了"는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강조합니다.
자막 #1306 | 00:52:27,833 → 00:52:30,000
他是靠卡车自爆来提醒咱们大家
📝 한어병음
tā shì kào kǎ chē zì bào lái tí xǐng zán men dà jiā
🇰🇷 한글번역
그는 트럭 자폭으로 우리 모두에게 경고하려고 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靠 kào 의지하다, 기대다 HSK4 卡车 kǎ chē 트럭 HSK5 自爆 zì bào 자폭하다 HSK6 提醒 tí xǐng 상기시키다, 일깨우다 HSK4 咱们 zán men 우리(들) HSK3

📚 문법
주어 + 是 + 동사 + 来 + 동사: 이 문법 구조는 어떤 행동의 목적이나 이유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그는 트럭 자폭을 통해 우리 모두에게 상기시키려 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307 | 00:52:30,000 → 00:52:30,625
有油耗子
📝 한어병음
yǒu yóu hào zǐ
🇰🇷 한글번역
기름 도둑이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油 yóu 기름 HSK3 耗子 hào zi 쥐 (비표준어, 구어체)

📚 문법
명사구: "油耗子"는 직역하면 "기름 쥐"라는 뜻으로, 비공식적인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기름을 훔치는 사람이나 기름을 많이 소비하는 차량 등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문맥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막 #1308 | 00:52:30,625 → 00:52:31,000
对 对 对
📝 한어병음
duì duì duì
🇰🇷 한글번역
맞아 맞아 맞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맞다, 옳다 HSK1

📚 문법
중국어에서 "对"는 동의나 확인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반복해서 사용하면 상대방의 말을 강하게 긍정하거나 동의하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309 | 00:52:31,000 → 00:52:31,708
对吧
📝 한어병음
duì ba
🇰🇷 한글번역
맞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맞다, 옳다 HSK1 吧 ba ~지요?, ~죠? (추측, 제안의 어기조사) HSK2

📚 문법
어기조사 "吧": 문장 끝에 위치하여 추측, 제안, 동의를 구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陈述句 + 吧 (맞죠?)
자막 #1310 | 00:52:31,708 → 00:52:32,375
散了吧 散了吧
📝 한어병음
sàn liǎo ba sàn liǎo ba
🇰🇷 한글번역
헤어지자 헤어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散 sàn 흩어지다, 해산하다 HSK4 吧 ba ~하자, ~해라 (제안, 명령) HSK1

📚 문법
명령문: "吧"는 제안이나 명령의 어감을 나타내는 조사로, 문장 끝에 위치하여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권유하거나 명령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吧 (흩어지자, 해산하자)
자막 #1311 | 00:52:32,791 → 00:52:33,666
散了 散了 散了
📝 한어병음
sàn liǎo sàn liǎo sàn liǎo
🇰🇷 한글번역
끝났다 끝났다 끝났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散 sàn 흩어지다, 해산하다 HSK3

📚 문법
중국어에서 "散了"는 "해산하다" 또는 "끝나다"라는 의미로, 주로 사람들이 모여 있는 상황에서 모임이 끝났음을 알릴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은 주어가 생략된 형태로, 상황에 따라 "모임이 끝났다" 또는 "사람들이 흩어졌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1312 | 00:52:34,125 → 00:52:34,875
怎么回事啊
📝 한어병음
zěn me huí shì a
🇰🇷 한글번역
무슨 일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 me 어떻게, 왜 HSK2 回事 huí shì 일, 사건 (비표준 표현, "回事"는 일반적으로 "怎么回事"에서 사용됨)

📚 문법
"怎么回事"는 중국어에서 "무슨 일이야?" 또는 "무슨 일이지?"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이는 상황이나 사건에 대한 의문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怎么"는 "어떻게" 또는 "왜"라는 의미로, "回事"는 "일" 또는 "사건"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313 | 00:52:35,041 → 00:52:36,125
怎么回事啊
📝 한어병음
zěn me huí shì a
🇰🇷 한글번역
무슨 일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 me 어떻게, 왜 HSK2 回事 huí shì 일, 사건 (회화체에서 '回事'는 '일'이나 '사건'을 의미하는 비공식적인 표현입니다)

📚 문법
의문문: "怎么回事啊"는 상황이나 사건에 대한 이유나 원인을 묻는 표현입니다. 직역하면 "무슨 일인가요?"라는 뜻으로, 상대방에게 상황 설명을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1314 | 00:52:37,458 → 00:52:39,291
我不是不让你做好事
📝 한어병음
wǒ bù shì bù ràng nǐ zuò hǎo shì
🇰🇷 한글번역
내가 너에게 좋은 일을 하지 말라는 게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不是 bù shì ~이 아니다 HSK1 让 ràng ~하게 하다 HSK3 你 nǐ 너 HSK1 做好事 zuò hǎo shì 좋은 일을 하다 (HSK에는 개별적으로 포함되지 않음)

📚 문법
이중 부정: "不是不"는 이중 부정 구조로, 긍정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나는 너에게 좋은 일을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의미로, 사실상 "나는 너에게 좋은 일을 하라고 한다"는 뜻을 강조합니다.
자막 #1315 | 00:52:39,291 → 00:52:40,333
这好事可以做
📝 한어병음
zhè hǎo shì kě yǐ zuò
🇰🇷 한글번역
이 좋은 일은 할 수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好事 hǎo shì 좋은 일 HSK4 可以 kě yǐ ~할 수 있다 HSK2 做 zuò 하다 HSK1

📚 문법
가능 표현: "可以"는 능력이나 허가를 나타내며 "~할 수 있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可以 + 동사 (이 좋은 일을 할 수 있다)
자막 #1316 | 00:52:40,333 → 00:52:42,625
但是咱不能打肿脸充胖子地做啊
📝 한어병음
dàn shì zán bù néng dǎ zhǒng liǎn chōng pàng zǐ dì zuò a
🇰🇷 한글번역
하지만 우리는 허세를 부릴 수는 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但是 dàn shì 그러나 HSK3 咱 zán 우리 HSK4 不能 bù néng ~할 수 없다 HSK2 打肿脸 dǎ zhǒng liǎn 체면을 세우다 (문맥상 표현) 充胖子 chōng pàng zi 허세를 부리다 (문맥상 표현)

📚 문법
- 不能: 동사 앞에 위치하여 "할 수 없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부정형입니다. 예를 들어, "咱不能"은 "우리는 ~할 수 없다"라는 의미입니다.
- 打肿脸充胖子: 이 표현은 직역하면 "얼굴을 부풀려 뚱뚱한 사람인 척하다"라는 뜻으로, 실제 능력이나 상황보다 더 잘난 척하거나 허세를 부리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중국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관용구입니다.
자막 #1317 | 00:52:42,625 → 00:52:43,541
你怎么这么冒失啊
📝 한어병음
nǐ zěn me zhè me mào shī a
🇰🇷 한글번역
너 왜 이렇게 덤벙대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怎么 zěn me 어떻게 HSK2 这么 zhè me 이렇게, 이처럼 HSK3 冒失 mào shī 경솔하다, 덤벙대다 (비교적 고급 어휘)

📚 문법
정도부사: "这么"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로,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그 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这么 + 형용사 (너는 왜 이렇게 경솔하니?)
자막 #1318 | 00:52:43,541 → 00:52:44,208
东海 不至于
📝 한어병음
dōng hǎi bù zhì yú
🇰🇷 한글번역
동해 그렇지 않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东海 Dōnghǎi 동해 (중국의 동쪽 바다) HSK 비수록 不至于 bù zhì yú ~할 정도는 아니다 HSK 비수록

📚 문법
부정 표현: "不至于"는 어떤 상황이나 결과가 특정 수준에 이르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주로 과장된 상황을 피하거나 걱정할 필요가 없음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不至于 + 동사/형용사 (그렇게 심각하지는 않다)
자막 #1319 | 00:52:44,208 → 00:52:45,291
多大点事啊
📝 한어병음
duō dà diǎn shì a
🇰🇷 한글번역
별일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多 duō 많다, 얼마나 HSK1 大 dà 크다 HSK1 点 diǎn 점, 조금 HSK3 事 shì 일, 사건 HSK2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를 나타냄 HSK2

📚 문법
감탄문: 중국어에서 감탄을 나타내기 위해 문장 끝에 '啊'를 붙입니다. 이 문장은 "얼마나 큰 일이냐?"라는 의미로, 실제로는 "별일 아니다"라는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자막 #1320 | 00:52:45,708 → 00:52:46,416
你这明天
📝 한어병음
nǐ zhè míng tiān
🇰🇷 한글번역
너 내일
🎯 AI 분석 결과
주어진 문장은 불완전하여 추가적인 문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문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어휘와 문법을 분석해보겠습니다.

🔍 어휘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明天 míngtiān 내일 HSK1

📚 문법
주어진 문장은 불완전하지만, 일반적으로 "你这明天"는 "너는 내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뒤에 추가적인 동사나 목적어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你这明天要做什么?" (너는 내일 무엇을 할 거니?)와 같은 문장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要"는 미래의 계획이나 의도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사용됩니다.
자막 #1321 | 00:52:46,416 → 00:52:47,708
十分钟我就给你换了
📝 한어병음
shí fēn zhōng wǒ jiù gěi nǐ huàn liǎo
🇰🇷 한글번역
10분이면 내가 바꿔줄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十 shí 열 HSK1 分钟 fēnzhōng 분 HSK2 我 wǒ 나 HSK1 就 jiù 곧, 바로 HSK2 给 gěi 주다 HSK2 你 nǐ 너 HSK1 换 huàn 바꾸다 HSK3

📚 문법
시간 부사어: "十分钟"은 시간의 길이를 나타내며, 문장에서 동작이 얼마나 걸리는지를 설명합니다.
"就"의 사용: "就"는 동작이 빠르게 완료됨을 강조하는 부사로, "곧" 또는 "바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구조: 주어(我) + 시간 부사어(十分钟) + 부사(就) + 동사(给) + 목적어(你) + 동사(换) 형태로, 주어가 특정 시간 내에 동작을 완료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1322 | 00:52:48,166 → 00:52:49,291
这叫没事
📝 한어병음
zhè jiào méi shì
🇰🇷 한글번역
이걸 아무 일도 아니라고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叫 jiào 부르다, ~라고 하다 HSK2 没事 méi shì 괜찮다, 문제없다 HSK3

📚 문법
주어 + 叫 + 명사/구: "~라고 부르다"라는 의미로, 어떤 것을 특정한 이름이나 상태로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여기서는 "이것을 괜찮다고 부른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1323 | 00:52:49,291 → 00:52:50,458
这叫没事 媳妇
📝 한어병음
zhè jiào méi shì xí fù
🇰🇷 한글번역
괜찮아, 여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叫 jiào 부르다, ~라고 하다 HSK1 没事 méi shì 괜찮다, 문제없다 HSK3 媳妇 xí fù 아내, 부인 HSK6

📚 문법
명사구: "这叫没事"는 "이것을 괜찮다고 부른다"라는 의미로, 상황이나 상태에 대해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호칭: "媳妇"는 '아내'를 뜻하며, 중국어에서 친근하게 부인을 부를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324 | 00:52:50,958 → 00:52:52,875
不就是个罐子嘛
📝 한어병음
bù jiù shì gè guàn zǐ ma
🇰🇷 한글번역
그냥 항아리일 뿐이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HSK1 就 jiù 바로, 단지 HSK2 是 shì 이다 HSK1 个 gè 개 HSK1 罐子 guànzi 항아리, 통 -

📚 문법
"不就是"는 "단지 ~일 뿐이다"라는 의미로, 어떤 사물을 과소평가하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 "不就是个罐子嘛"는 "단지 항아리일 뿐이잖아"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반응이나 상황을 가볍게 여기거나 중요성을 낮추어 표현합니다.
자막 #1325 | 00:52:55,625 → 00:52:56,333
妥了
📝 한어병음
tuǒ liǎo
🇰🇷 한글번역
됐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妥 tuǒ 안정되다, 적절하다 HSK6

📚 문법
"妥了"는 구어체 표현으로, 어떤 일이 잘 해결되었거나 문제가 없음을 나타냅니다. 한국어로는 "됐어", "문제없어" 정도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은 주로 상황이 잘 마무리되었을 때 사용됩니다.
자막 #1326 | 00:53:02,875 → 00:53:04,000
碎碎平安
📝 한어병음
suì suì píng ān
🇰🇷 한글번역
깨지지 않고 평안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碎 suì 부서지다, 깨지다 HSK5 平安 píng'ān 평안하다, 안전하다 HSK4

📚 문법
관용 표현: "碎碎平安"은 중국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관용 표현으로, 물건이 깨지는 소리가 '세세'와 발음이 비슷하여 '평안함을 기원한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특히 설날이나 명절에 접시에 음식을 담다가 접시가 깨졌을 때, 불길함을 피하고자 이 표현을 사용합니다.
자막 #1327 | 00:53:11,750 → 00:53:12,750
你别跟着我
📝 한어병음
nǐ bié gēn zhe wǒ
🇰🇷 한글번역
나를 따라오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别 bié ~하지 마라 HSK2 跟 gēn 따라가다 HSK3 着 zhe ~하고 있는 중 HSK2 我 wǒ 나 HSK1

📚 문법
명령문: "别"는 금지를 나타내는 부정 명령문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너는 나를 따라오지 마라)
자막 #1328 | 00:53:13,500 → 00:53:15,250
我上镇上找我朋友帮忙去
📝 한어병음
wǒ shàng zhèn shàng zhǎo wǒ péng yǒu bāng máng qù
🇰🇷 한글번역
나는 마을에 가서 친구에게 도움을 요청하러 간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上 shàng 위로, 가다 HSK1 镇 zhèn 마을, 읍 HSK5 找 zhǎo 찾다 HSK2 朋友 péng yǒu 친구 HSK1 帮忙 bāng máng 돕다 HSK3 去 qù 가다 HSK1

📚 문법
목적어 앞 위치: "找我朋友"에서 "我朋友"는 "找"의 목적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중국어에서 동사는 목적어 앞에 위치하며, 목적어는 동작의 대상을 나타냅니다.

동사 중첩: "帮忙去"에서 "去"는 동사의 방향을 나타내며, "帮忙"의 동작이 어디로 향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이는 동작의 방향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자막 #1329 | 00:53:15,250 → 00:53:16,666
你这次把油耗子得罪了
📝 한어병음
nǐ zhè cì bǎ yóu hào zǐ dé zuì liǎo
🇰🇷 한글번역
이번에 기름 도둑을 건드렸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次 zhè cì 이번 把 bǎ 을/를 HSK3 油耗子 yóu hào zi 기름 도둑 (속어) 得罪 dé zuì 화나게 하다, 기분을 상하게 하다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대상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너는 이번에 기름 도둑을 화나게 했다)

이 문장에서 "把"는 "油耗子"라는 목적어를 강조하여 "得罪"라는 동작이 그 대상에게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1330 | 00:53:16,666 → 00:53:18,083
你知不知道
📝 한어병음
nǐ zhī bù zhī dào
🇰🇷 한글번역
너 알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知道 zhīdào 알다 HSK1 不 bù 아니다 HSK1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A不A" 형태는 의문을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不 + 동사 (너는 아는지 모르는지?)

이 문장은 상대방이 어떤 정보를 알고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331 | 00:53:19,208 → 00:53:21,750
我这个车队以后怎么在这条路上跑
📝 한어병음
wǒ zhè gè chē duì yǐ hòu zěn me zài zhè tiáo lù shàng pǎo
🇰🇷 한글번역
우리 팀은 앞으로 이 길에서 어떻게 달려야 할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这个 zhè ge 이것 HSK1 车队 chē duì 차량 대열, 차대 HSK6 以后 yǐ hòu 이후 HSK3 路 lù 길 HSK1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문은 주로 문장의 끝에 의문사나 어기를 나타내는 단어를 붙여서 만듭니다.
형태: 주어 + 怎么 + 동사 + 목적어 (이 차량 대열이 이후에 이 길에서 어떻게 달릴 수 있을까?)

이 문장은 "怎么"를 사용하여 방법이나 방식을 묻는 의문문입니다.
자막 #1332 | 00:53:27,041 → 00:53:27,750
还有
📝 한어병음
hái yǒu
🇰🇷 한글번역
또한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아직, 더 HSK2 有 yǒu 있다 HSK1

📚 문법
还有: '还有'는 '아직 있다', '더 있다'라는 의미로, 어떤 것이 남아 있거나 추가로 있음을 나타냅니다. 주로 문장의 시작이나 중간에 위치하여 남은 양이나 추가적인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333 | 00:53:28,708 → 00:53:32,041
我必须要弄清楚你到底是干什么的
📝 한어병음
wǒ bì xū yào nòng qīng chǔ nǐ dào dǐ shì gān shén me de
🇰🇷 한글번역
나는 네가 도대체 무슨 일을 하는지 알아내야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必须 bìxū 반드시, 꼭 HSK3 弄清楚 nòng qīngchu 분명히 하다, 명확히 하다 HSK4 到底 dàodǐ 도대체, 결국 HSK4 干什么 gàn shénme 무엇을 하다 HSK3

📚 문법
- 必须 (bìxū): '반드시, 꼭'이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필수적임을 나타냅니다. 문장에서 주로 동사 앞에 위치하여 필수성을 강조합니다.
- 到底 (dàodǐ): '도대체, 결국'이라는 의미로, 주로 질문문에서 사용되어 화자의 궁금증이나 의문을 강조합니다.
- 是...的 구조: 과거의 사실이나 이미 완료된 행동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여기서는 "你到底是干什么的"에서 사용되어 상대방의 직업이나 역할을 명확히 하고자 합니다.
자막 #1334 | 00:53:36,541 → 00:53:37,375
给我 给我
📝 한어병음
gěi wǒ gěi wǒ
🇰🇷 한글번역
줘 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给 gěi 주다 HSK2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중국어에서 "给"는 주로 동사로 사용되어 '주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给我"는 '나에게 줘'라는 뜻으로, 간단한 명령문이나 요청문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1335 | 00:53:38,833 → 00:53:39,375
你好
📝 한어병음
nǐ hǎo
🇰🇷 한글번역
안녕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好 hǎo 좋다, 안녕하세요 HSK1

📚 문법
인사 표현: "你好"는 중국어에서 가장 기본적인 인사 표현으로, 상대방에게 "안녕하세요"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336 | 00:53:39,541 → 00:53:40,250
你好
📝 한어병음
nǐ hǎo
🇰🇷 한글번역
안녕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好 hǎo 좋다 HSK1

📚 문법
인사 표현: "你好"는 중국어에서 가장 기본적인 인사말로, "안녕하세요"라는 뜻입니다. "你"는 "너"를 의미하고 "好"는 "좋다"라는 뜻으로, 직역하면 "너 좋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자막 #1337 | 00:53:40,375 → 00:53:41,000
我请问一下
📝 한어병음
wǒ qǐng wèn yī xià
🇰🇷 한글번역
제가 여쭤볼 게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请问 qǐngwèn 말씀 좀 묻겠습니다 HSK2 一下 yíxià 좀, 잠시 HSK2

📚 문법
"请问"은 공손하게 질문을 시작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一下"는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이 짧게 이루어짐을 나타내며, 문장을 부드럽게 만들어 줍니다.
자막 #1338 | 00:53:41,000 → 00:53:42,791
你们单位有没有个叫万一帆的
📝 한어병음
nǐ men dān wèi yǒu méi yǒu gè jiào wàn yī fān de
🇰🇷 한글번역
당신들 부서에 만이판이라는 사람이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们 nǐmen 너희들, 당신들 HSK1 单位 dānwèi 단위, 직장 HSK4 有没有 yǒu méiyǒu 있나요? HSK1 叫 jiào 불리다, ~라고 하다 HSK1

📚 문법
의문문: "有没有"는 존재 여부를 묻는 질문 형태로, "있다"의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묻는 표현입니다.
형태: 主어 + 有没有 + 목적어 (너희들 단위에 만일범이라고 불리는 사람이 있나요?)
자막 #1339 | 00:53:43,375 → 00:53:44,791
请问您找万总有什么事啊
📝 한어병음
qǐng wèn nín zhǎo wàn zǒng yǒu shén me shì a
🇰🇷 한글번역
혹시 만 총을 찾으시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请问 qǐng wèn 실례지만, 말씀 좀 묻겠습니다 HSK2 您 nín 당신 (높임말) HSK2 找 zhǎo 찾다, 만나다 HSK2 总 zǒng 총, 총괄; 여기서는 직책을 의미 HSK4 事 shì 일, 사건 HSK1

📚 문법
- 您: '您'은 '你'의 존칭으로, 상대방을 높여 부를 때 사용합니다. 주로 공식적인 자리나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사용합니다.
- 找: '找'는 '찾다' 또는 '만나다'라는 뜻으로,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만나다'로 해석됩니다.
- 什么事: '什么'는 '무엇'이라는 뜻으로, '事'와 함께 '무슨 일'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는 상대방의 의도를 묻는 표현입니다.
자막 #1340 | 00:53:44,791 → 00:53:45,583
万总
📝 한어병음
wàn zǒng
🇰🇷 한글번역
만 총经理
🎯 AI 분석 결과
주어진 텍스트 "万总"은 특정 어휘나 문법 패턴을 분석하기에는 부족한 정보입니다. 그러나 "万总"은 일반적으로 "만 사장님"이라는 뜻으로, "万"은 성씨, "总"은 "총" 또는 "총괄"을 의미하며, 주로 회사나 조직의 총책임자를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 어휘
万 wàn 만 (성씨) 总 zǒng 총, 총괄

📚 문법
이 문장은 특정 문법 패턴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주로 호칭으로 사용됩니다. "总"은 직책이나 직위를 나타내는 명사로 사용되어, 특정 인물을 존중하여 부를 때 사용됩니다.
자막 #1341 | 00:53:46,833 → 00:53:47,708
总经理啊
📝 한어병음
zǒng jīng lǐ a
🇰🇷 한글번역
총경리님啊
🎯 AI 분석 결과
🔍 어휘
总 zǒng 총, 전체의 HSK3 经理 jīng lǐ 매니저, 관리자 HSK4

📚 문법
호칭: "总经理"는 회사나 조직에서 최고 경영자를 지칭하는 호칭입니다. "总"은 '총', '전체의'라는 의미로, "经理"와 결합하여 '총괄 매니저', 즉 '총경리'라는 뜻이 됩니다.
자막 #1342 | 00:53:48,666 → 00:53:49,458
是总裁呀
📝 한어병음
shì zǒng cái ya
🇰🇷 한글번역
사장님이시군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总裁 zǒng cái 총재, CEO HSK6 呀 ya ~이구나 (어기조사) HSK3

📚 문법
어기조사 "呀":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탄이나 놀람의 어감을 더합니다. 여기서는 "총재이구나!"라는 놀람이나 감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343 | 00:53:51,000 → 00:53:52,041
总裁
📝 한어병음
zǒng cái
🇰🇷 한글번역
총재
🎯 AI 분석 결과
🔍 어휘
总裁 zǒng cái 총재, CEO HSK6

📚 문법
이 문장은 단어 하나로 구성되어 있어 문법 패턴을 분석하기에는 정보가 부족합니다. "总裁"는 주로 회사나 조직의 최고 책임자를 지칭하는 명사로 사용됩니다.
자막 #1344 | 00:53:58,791 → 00:54:00,583
那个 麻烦问一下
📝 한어병음
nà gè má fán wèn yī xià
🇰🇷 한글번역
저기, 실례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个 nà ge 그, 저 HSK1 麻烦 má fan 번거롭게 하다, 귀찮게 하다 HSK4 问 wèn 묻다 HSK1 一下 yí xià 좀, 잠시 HSK2

📚 문법
- "一下"는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이 짧게 이루어짐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问一下"는 "잠시 묻다"라는 의미로, 동작의 짧은 지속을 강조합니다.
- "麻烦"은 동사로 사용되어 "번거롭게 하다"라는 뜻을 가지며, 주로 다른 사람에게 부탁할 때 예의 있게 사용됩니다.
자막 #1345 | 00:54:00,583 → 00:54:01,916
这个万总裁
📝 한어병음
zhè gè wàn zǒng cái
🇰🇷 한글번역
이 만 사장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个 zhè ge 이, 이것 HSK1 万 wàn 만, 10,000 HSK3 总裁 zǒng cái 총재, CEO HSK6

📚 문법
명사구: "这个万总裁"는 특정 인물을 지칭하는 명사구입니다. "这个"는 특정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되며, 뒤에 오는 명사를 수식합니다. "万总裁"는 "만"이라는 성을 가진 총재 또는 CEO를 의미합니다.
자막 #1346 | 00:54:03,083 → 00:54:04,166
这人怎么样啊
📝 한어병음
zhè rén zěn me yàng a
🇰🇷 한글번역
이 사람 어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 사람 HSK1
人 rén 사람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어떠한 HSK2
样 yàng 모양, 상태 HSK3

📚 문법
의문문: "怎么样"은 상태나 의견을 묻는 질문에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怎么样? (이 사람은 어떤가요?)
자막 #1347 | 00:54:04,166 → 00:54:06,291
您是哪位啊 我跟您说得着吗
📝 한어병음
nín shì nǎ wèi a wǒ gēn nín shuō dé zhe ma
🇰🇷 한글번역
당신은 누구시죠? 제가 당신과 이야기할 필요가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您 nín 당신 HSK2 哪位 nǎ wèi 어느 분 HSK4 跟 gēn ~와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得着 dé zháo ~할 수 있다 (가능) HSK5

📚 문법
1. 疑问句 (의문문): "您是哪位啊"는 상대방의 신원을 묻는 의문문입니다. "哪位"는 존칭으로 '어느 분'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2. 可能补语 (가능보어): "说得着"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보어로, "말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得着"는 동사 뒤에 붙어 가능성을 표현합니다.
자막 #1348 | 00:54:06,583 → 00:54:08,916
我是他女朋友周微雨的父亲
📝 한어병음
wǒ shì tā nǚ péng yǒu zhōu wēi yǔ de fù qīn
🇰🇷 한글번역
저는 그의 여자친구 주위우의 아버지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是 shì 이다 HSK1 他 tā 그 HSK1 女朋友 nǚ péng yǒu 여자 친구 HSK3 父亲 fù qīn 아버지 HSK4

📚 문법
주어 + 是 + 명사: 중국어에서 주어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예문: 我是他女朋友的父亲 (나는 그의 여자 친구의 아버지이다)
자막 #1349 | 00:54:09,333 → 00:54:10,333
叔叔好
📝 한어병음
shū shū hǎo
🇰🇷 한글번역
안녕하세요,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好 hǎo 안녕하세요, 좋다 HSK1

📚 문법
인사 표현: "叔叔好"는 "삼촌, 안녕하세요"라는 뜻으로, 친근하게 어른에게 인사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好"는 "안녕하세요"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350 | 00:54:10,333 → 00:54:12,583
那我可就得好好跟您说说了
📝 한어병음
nà wǒ kě jiù dé hǎo hǎo gēn nín shuō shuō liǎo
🇰🇷 한글번역
그럼 제가 제대로 말씀드려야겠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HSK2 我 wǒ 나 HSK1 可 kě 강조를 나타냄 HSK4 就 jiù 곧, 즉시 HSK2 得 děi 해야 한다 HSK3

📚 문법
- 强调句: 이 문장에서 "可"는 강조를 나타내어, 말하는 사람이 어떤 행동을 확실히 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합니다.
- "得"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함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뒤에 오는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필수적인 행동을 나타냅니다.
- "好好"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그 동작을 잘 수행할 것을 강조합니다.
자막 #1351 | 00:54:12,958 → 00:54:13,958
他呀
📝 한어병음
tā ya
🇰🇷 한글번역
그 사람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呀 ya 어조사 (놀람, 감탄 등을 나타냄) HSK4

📚 문법
어조사 "呀": 문장 끝에 쓰여 감탄, 놀람, 동의 등을 나타내며, 문장의 어조를 부드럽게 합니다. "他呀"는 "그 사람 말이야"와 같이 특정 인물에 대한 강조나 감탄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자막 #1352 | 00:54:13,958 → 00:54:14,791
勤劳
📝 한어병음
qín láo
🇰🇷 한글번역
근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勤劳 qín láo 부지런하다 HSK4

📚 문법
형용사: "勤劳"는 형용사로 사용되어 사람의 성격이나 행동을 묘사합니다. 주로 사람의 근면성과 부지런함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他是一个勤劳的人" (그는 부지런한 사람이다)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막 #1353 | 00:54:14,791 → 00:54:15,625
勇敢
📝 한어병음
yǒng gǎn
🇰🇷 한글번역
용감한
🎯 AI 분석 결과
🔍 어휘
勇敢 yǒng gǎn 용감하다 HSK4

📚 문법
이 단어는 형용사로, 주로 사람의 성격이나 행동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他很勇敢" (그는 매우 용감하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형용사는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1354 | 00:54:15,625 → 00:54:16,458
正直
📝 한어병음
zhèng zhí
🇰🇷 한글번역
정직
🎯 AI 분석 결과
🔍 어휘
正直 zhèngzhí 정직하다 HSK5

📚 문법
이 문장은 단어 자체가 형용사로 사용되어 문법적인 설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正直"은 사람의 성격이나 행동이 정직하고 솔직함을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자막 #1355 | 00:54:16,458 → 00:54:18,333
聪慧 幽默 机智
📝 한어병음
cōng huì yōu mò jī zhì
🇰🇷 한글번역
총명함, 유머, 기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聪慧 cōng huì 총명하다, 영리하다 HSK6
幽默 yōu mò 유머러스하다 HSK5
机智 jī zhì 기지가 있다, 재치가 있다 HSK6

📚 문법
이 문장은 주로 형용사를 나열하여 사람의 성격이나 특징을 묘사하는 방식입니다. 각 형용사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성격의 장점을 강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자막 #1356 | 00:54:18,333 → 00:54:19,333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이 단어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근한 어른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문법적으로 특별한 패턴은 없으며, 주로 주어나 목적어로 사용됩니다.
자막 #1357 | 00:54:22,083 → 00:54:23,916
在万总的带领下
📝 한어병음
zài wàn zǒng de dài lǐng xià
🇰🇷 한글번역
만 총재의 지도 아래
🎯 AI 분석 결과
🔍 어휘
在 zài ~에서, ~에 HSK1 万总 wàn zǒng 만 사장 (고유명사) 带领 dài lǐng 이끌다, 인도하다 HSK5 下 xià 아래, 하에 HSK1

📚 문법
介词结构: "在"는 장소나 상황을 나타내는 전치사로 사용됩니다.
형태: 在 + 명사 + (의미에 따라) 동사 (만 사장의 인도 하에)
자막 #1358 | 00:54:23,916 → 00:54:25,875
曾经流落街头的员工
📝 한어병음
céng jīng liú luò jiē tóu de yuán gōng
🇰🇷 한글번역
한때 거리에서 방황하던 직원
🎯 AI 분석 결과
🔍 어휘
曾经 céng jīng 일찍이, 이전에 HSK4 流落 liú luò 떠돌다, 유랑하다 (HSK 범위 외) 街头 jiē tóu 길거리 HSK5 员工 yuán gōng 직원 HSK4

📚 문법
- "曾经"은 과거의 경험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부사로, 주로 과거에 어떤 일이 있었음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 "流落"은 특정한 장소에 정착하지 못하고 떠도는 상태를 나타내며, 주로 부정적인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 이 문장은 "이전에 길거리를 떠돌았던 직원"이라는 의미로, 과거의 어려운 상황을 겪었던 사람을 묘사합니다.
자막 #1359 | 00:54:25,875 → 00:54:28,291
都住进了大房子
📝 한어병음
dōu zhù jìn liǎo dà fáng zǐ
🇰🇷 한글번역
모두 큰 집에 살게 되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住 zhù 살다, 거주하다 HSK2
进 jìn 들어가다 HSK2
大 dà 크다, 큰 HSK1
房子 fáng zi 집 HSK2

📚 문법
결과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문법입니다.
형태: 동사 + 进 (들어가다) + 결과보어 (나는 큰 집에 모두 들어갔다)
이 문장에서 "住进"은 '살게 되다'라는 의미로, '큰 집에 들어가서 살게 되었다'는 결과를 나타냅니다.
자막 #1360 | 00:54:28,666 → 00:54:30,041
我们成群结队
📝 한어병음
wǒ men chéng qún jié duì
🇰🇷 한글번역
우리는 무리를 지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成群结队 chéng qún jié duì 무리를 이루다, 떼를 짓다 HSK6

📚 문법
성어: "成群结队"는 사람들이나 동물들이 무리를 지어 함께 움직이는 모습을 표현하는 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주로 많은 사람들이나 동물들이 함께 이동하거나 활동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자막 #1361 | 00:54:30,041 → 00:54:30,958
勾肩搭背
📝 한어병음
gōu jiān dā bèi
🇰🇷 한글번역
어깨동무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勾 gōu 걸다, 끌다 HSK6 肩 jiān 어깨 HSK5 搭 dā 걸치다, 연결하다 HSK5 背 bèi 등 HSK4

📚 문법
이 표현은 관용구로, "勾肩搭背"는 문자 그대로 "어깨를 걸고 등을 맞대다"라는 뜻입니다. 이는 두 사람이 매우 친밀한 관계에 있음을 나타내며, 흔히 친구 사이의 친밀함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와 같은 관용구는 문법적인 구조보다는 문화적 의미가 중요합니다.
자막 #1362 | 00:54:30,958 → 00:54:31,791
路越走越对
📝 한어병음
lù yuè zǒu yuè duì
🇰🇷 한글번역
길이 점점 더 맞아지고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路 lù 길, 도로 HSK2 越 yuè 점점 더 HSK3 走 zǒu 걷다, 가다 HSK1 对 duì 맞다, 옳다 HSK2

📚 문법
越...越...: '점점 더 ~하다'라는 의미로, 어떤 상태나 행동이 점차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형태: 越 + 형용사/동사 + 越 + 형용사/동사 (길이 점점 더 옳아진다)

이 문장은 "길이 점점 더 맞아진다"라는 의미로, 어떤 상황이나 선택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적절하거나 올바르게 느껴진다는 것을 표현합니다.
자막 #1363 | 00:54:31,791 → 00:54:33,291
那个 等一下等一下
📝 한어병음
nà gè děng yī xià děng yī xià
🇰🇷 한글번역
잠깐만, 잠깐만.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个 nà ge 그, 저 HSK1 等 děng 기다리다 HSK1 一下 yí xià 잠시, 잠깐 HSK2

📚 문법
동사 + 一下: 동작이 짧게 일어남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형태: 동사 + 一下 (잠깐 기다리다)
자막 #1364 | 00:54:33,833 → 00:54:35,375
咱俩说的是同一个人吗
📝 한어병음
zán liǎ shuō de shì tóng yī gè rén ma
🇰🇷 한글번역
우리 둘이 같은 사람을 말하고 있는 건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俩 zán liǎ 우리 둘 HSK6 说 shuō 말하다 HSK1 是 shì ~이다 HSK1 同一个 tóng yí gè 같은 하나의 HSK4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는 문장의 끝에 "吗"를 붙이는 것입니다. 이는 "예/아니오"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형성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우리 둘이 말하는 사람이 같은 사람인가요?)
자막 #1365 | 00:54:35,375 → 00:54:36,375
当然了
📝 한어병음
dāng rán liǎo
🇰🇷 한글번역
물론이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当 dāng 당연히 HSK2 然 rán 그러하다 HSK3

📚 문법
固定 표현: "当然了"는 "당연하지"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질문이나 요청에 긍정적으로 답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366 | 00:54:36,375 → 00:54:39,041
他平时看起来呢笨手笨脚老实巴交的
📝 한어병음
tā píng shí kàn qǐ lái ne bèn shǒu bèn jiǎo lǎo shí bā jiāo de
🇰🇷 한글번역
그는 평소에 서툴고 순진해 보인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平时 píng shí 평소 HSK3 看起来 kàn qǐ lái 보기에, 보아하니 HSK4 笨手笨脚 bèn shǒu bèn jiǎo 서툴다, 어설프다 (비유적 표현) 老实 lǎo shí 솔직하다, 정직하다 HSK4 巴交 bā jiāo 매우, 아주 (구어체)

📚 문법
- 看起来: '보기에', '보아하니'라는 뜻으로, 어떤 사물이나 사람의 외관이나 인상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看起来 + 형용사' 형태로 주로 쓰입니다.
- 笨手笨脚: 비유적인 표현으로, 어떤 사람이 동작이 서툴고 어설플 때 사용합니다.
- 老实巴交: '아주 솔직하고 정직하다'라는 뜻으로, 사람의 성격을 강조할 때 사용되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老实'에 '巴交'를 붙여 강조합니다.
자막 #1367 | 00:54:39,041 → 00:54:42,166
但这恰恰是他最宝贵的品质
📝 한어병음
dàn zhè qià qià shì tā zuì bǎo guì de pǐn zhì
🇰🇷 한글번역
하지만 이것이야말로 그의 가장 소중한 자질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但 dàn 그러나 HSK3 恰恰 qià qià 바로, 정확히 HSK5 最 zuì 가장 HSK1 宝贵 bǎo guì 귀중한 HSK4 品质 pǐn zhì 품질, 자질 HSK5

📚 문법
정도부사 "恰恰": "恰恰"는 어떤 상황이나 상태가 정확히 그러함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바로" 또는 "정확히"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그의 자질이 매우 귀중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자막 #1368 | 00:54:42,166 → 00:54:43,916
什么都不行 什么都不会
📝 한어병음
shén me dōu bù xíng shén me dōu bù huì
🇰🇷 한글번역
아무것도 안 되고 아무것도 할 줄 몰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什么 shénme 무엇 HSK1 都 dōu 모두, 전부 HSK2 不行 bùxíng 안 된다 HSK3 不会 bù huì 할 줄 모른다 HSK2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不行"은 '안 된다', "不会"는 '할 줄 모른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什么 + 都 + 부정형 (무엇이든지 ~하지 않는다)
자막 #1369 | 00:54:43,916 → 00:54:45,916
这种人不是最适合当老板嘛
📝 한어병음
zhè zhǒng rén bù shì zuì shì hé dāng lǎo bǎn ma
🇰🇷 한글번역
이런 사람이야말로 사장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种 zhè zhǒng 이런, 이러한 HSK3 人 rén 사람 HSK1 最 zuì 가장 HSK2 适合 shì hé 적합하다, 알맞다 HSK4 当 dāng 되다, 맡다 HSK3 老板 lǎo bǎn 사장, 보스 HSK4

📚 문법
反问句: 중국어에서 반문형 문장은 의문을 통해 긍정이나 부정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술어 + 吗? (이런 사람이 가장 적합하지 않나요?)
자막 #1370 | 00:54:47,291 → 00:54:48,291
你说谁呢
📝 한어병음
nǐ shuō shuí ne
🇰🇷 한글번역
누구를 말하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谁 shéi 누구 HSK2 呢 ne ~니?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의문문: "呢"는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로, 문장 끝에 붙여서 상대방에게 질문을 하거나 확인을 요구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누구/무엇 + 呢? (너는 누구를 말하는 거니?)
자막 #1371 | 00:54:49,625 → 00:54:50,250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HSK2

📚 문법
명사: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는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들이 다양하게 존재하며, 각각의 단어가 구체적인 관계를 설명합니다.
자막 #1372 | 00:54:50,541 → 00:54:51,666
找了几个朋友
📝 한어병음
zhǎo liǎo jǐ gè péng yǒu
🇰🇷 한글번역
몇 명의 친구를 찾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找 zhǎo 찾다 HSK2 了 le 동작의 완료를 나타냄 HSK1 几个 jǐ ge 몇 개의 HSK2 朋友 péng yǒu 친구 HSK1

📚 문법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입니다. 여기서는 "찾았다"라는 완료된 동작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了 (나는 몇 명의 친구를 찾았다)
자막 #1373 | 00:54:51,958 → 00:54:53,041
搞定了
📝 한어병음
gǎo dìng liǎo
🇰🇷 한글번역
해결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搞定 gǎo dìng 해결하다, 처리하다 HSK5

📚 문법
동사 + 结果补语(결과보어):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문법 구조입니다.
예: 搞定了 (해결했다) - 여기서 搞定은 '처리하다'라는 동사 搞와 '완료'를 나타내는 결과보어 定이 결합하여 '해결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374 | 00:54:58,666 → 00:55:00,708
你能联系上万一帆啊
📝 한어병음
nǐ néng lián xì shàng wàn yī fān a
🇰🇷 한글번역
너 만일범과 연락할 수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联系 liánxì 연락하다 HSK3 上 shàng ~에 HSK1 万一帆 Wàn Yīfān (사람 이름)

📚 문법
가능보어: 동사 뒤에 보어를 붙여 어떤 행동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得/不 + 가능보어 (연락할 수 있니?)
자막 #1375 | 00:55:02,166 → 00:55:03,625
没看出来呀小万
📝 한어병음
méi kàn chū lái ya xiǎo wàn
🇰🇷 한글번역
몰랐네, 소완.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하지 않다 HSK2 看 kàn 보다 HSK1 出来 chū lái 나오다, 드러나다 HSK3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万 wàn 만 (이름으로 사용됨) HSK4

📚 문법
- "没看出来": 여기서 "没"는 부정을 나타내며, "看出来"는 어떤 것을 보고 알아차리거나 드러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没看出来"는 "알아차리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 "呀":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놀라움을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여기서는 놀라움이나 경이로움을 표현합니다.
자막 #1376 | 00:55:03,625 → 00:55:04,750
你路子挺野
🇰🇷 한글번역
너 정말 대담하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路子 lù zi 방법, 방식 (비표준어) 挺 tǐng 매우, 꽤 HSK4 野 yě 거칠다, 자유롭다 (비표준어)

📚 문법
비표준어 표현: "路子"와 "野"는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비표준어입니다. "路子"는 '방법'이나 '방식'을 의미하며, "野"는 '거칠다' 또는 '자유롭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문장은 상대방의 방식이나 행동이 매우 독특하고 자유롭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377 | 00:55:04,750 → 00:55:07,000
油耗子的记号你都能搞定
🇰🇷 한글번역
기름 도둑의 표식을 너는 다 해결할 수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油耗子 yóu hào zi 기름 도둑 (속어) 비공식 记号 jì hào 표시, 기호 HSK5 都 dōu 모두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1 搞定 gǎo dìng 해결하다, 처리하다 비공식

📚 문법
- "能"의 사용: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할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都"의 사용: '모두'라는 뜻으로, 주어가 여러 대상에 대해 동일한 동작이나 상태를 가질 때 사용됩니다.
- 비공식어휘: "油耗子"와 "搞定"은 일상 회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비공식적인 표현입니다. "油耗子"는 '기름 도둑'이라는 속어로, "搞定"은 문제를 해결하거나 일을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막 #1378 | 00:55:07,000 → 00:55:08,000
来吧 万儿
🇰🇷 한글번역
가자 만儿!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吧 ba ~하자(청유) HSK1 万 wàn 만 HSK3 儿 ér 아이 HSK1

📚 문법
청유문: "吧"는 제안이나 권유를 나타내는 어기조사로, 문장 끝에 위치하여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함께 하자고 제안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형용사 + 吧 (오자, 가자)

문맥상 "万儿"는 특정한 이름이나 별명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자막 #1379 | 00:55:08,208 → 00:55:09,250
咱爷俩
🇰🇷 한글번역
우리 둘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 zán 우리 HSK4 爷 yé 할아버지 HSK5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 문법
명사구: "咱爷俩"는 "우리 둘"을 의미하며, 특히 가족 관계에서 "할아버지와 나"를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중국어에서는 친밀한 관계를 나타낼 때 이러한 표현을 자주 사용합니다.
자막 #1380 | 00:55:09,250 → 00:55:10,083
喝一杯
🇰🇷 한글번역
한 잔 마시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喝 hē 마시다 HSK1 一 yī 한, 하나 HSK1 杯 bēi 잔, 컵 HSK3

📚 문법
동사 + 수량사 + 명사: 중국어에서 동사 뒤에 수량사와 명사가 오는 구조입니다.
예: 喝一杯 (한 잔 마시다)
이 구조는 동작의 대상과 수량을 명확히 나타냅니다.
자막 #1381 | 00:55:10,791 → 00:55:11,583
🇰🇷 한글번역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好"는 형용사로 "좋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부사로 사용될 때는 "잘"이라는 의미로 동사를 수식합니다. 예를 들어 "做好"는 "잘 하다"라는 뜻으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합니다.
자막 #1382 | 00:55:14,166 → 00:55:15,375
叔叔我干了
🇰🇷 한글번역
삼촌, 저 다 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我 wǒ 나, 저 HSK1 干 gàn 하다, 일하다 HSK3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완료상: '了'는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의 완료나 변화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了 (나는 했다)

이 문장에서 "叔叔我干了"는 "아저씨, 제가 했어요"라는 의미로, 어떤 일을 완료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1383 | 00:55:15,375 → 00:55:16,375
别 别 别
📝 한어병음
bié bié bié
🇰🇷 한글번역
하지 마, 하지 마, 하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 문법
중복된 "别"의 사용: 중국어에서 "别"을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은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강하게 금지하거나 멈추도록 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别 别 别"는 "하지 마, 하지 마, 하지 마"로 해석되며, 상대방의 행동을 강하게 제지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384 | 00:55:16,375 → 00:55:16,791
你算了算了
🇰🇷 한글번역
너는 그만해, 그만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算 suàn 계산하다, 여기다 HSK3

📚 문법
중국어에서 "算了"는 "그만하다", "포기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두 번 반복하여 "算了算了"라고 하면 "됐어, 됐어" 또는 "그만해"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이나 말을 멈추도록 할 때 사용합니다. 이는 비공식적이고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자막 #1385 | 00:55:16,791 → 00:55:18,333
咱小酌 小酌啊
🇰🇷 한글번역
우리 한잔하자, 한잔하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 zán 우리 HSK5 小酌 xiǎo zhuó 가볍게 한잔하다 (HSK 비공식) 啊 a 어기조사, 감탄사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 강조, 동의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작게 한잔하자"는 제안이나 권유의 느낌을 강조합니다.
자막 #1386 | 00:55:19,000 → 00:55:20,000
你还干了
🇰🇷 한글번역
너 아직 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还 hái 아직, 여전히 HSK2 干 gàn 하다 HSK3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나 변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문법 구조입니다.
예문: 你还干了 (너는 아직도 했다) - 여기서 "了"는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1387 | 00:55:20,000 → 00:55:22,333
你都忘了上回你猪头啥的
🇰🇷 한글번역
너 지난번에 네가 뭘 했는지 다 잊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都 dōu 모두 HSK1 忘 wàng 잊다 HSK3 上回 shàng huí 지난번, 저번 (HSK 범위 외) 猪头 zhū tóu 바보, 멍청이 (속어, HSK 범위 외)

📚 문법
- 反问句: 중국어에서 반문을 통해 상대방의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확인을 요구하는 문장입니다.
예: 你都忘了上回你猪头啥的 (너 지난번에 네가 멍청하게 한 거 다 잊었어?)
자막 #1388 | 00:55:27,833 → 00:55:28,916
喂 谁呀
🇰🇷 한글번역
여보세요, 누구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喂 wèi 여보세요 HSK3 谁 shéi 누구 HSK2 呀 ya 어기조사 (놀람, 의문) HSK4

📚 문법
어기조사 "呀": 문장 끝에 사용되어 말하는 사람의 감정이나 태도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의문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1389 | 00:55:31,958 → 00:55:33,583
那个 我出来接啊
🇰🇷 한글번역
저기, 내가 나가서 받을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个 nà ge 그, 저 HSK1 我 wǒ 나 HSK1 出来 chū lái 나오다 HSK2 接 jiē 맞이하다, 받다 HSK3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입니다.
예문: 我出来接 (나는 나가서 맞이하겠다)
자막 #1390 | 00:55:33,583 → 00:55:34,833
这里面太闹腾
🇰🇷 한글번역
여기 안이 너무 시끄러워.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里 zhè lǐ 여기 HSK1 面 miàn 안, 속 HSK2 太 tài 너무 HSK2 闹腾 nào teng 시끄럽다, 떠들썩하다 (비HSK)

📚 문법
정도부사 太: '너무'라는 뜻으로,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그 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太 + 형용사 (여기는 너무 시끄럽다)
자막 #1391 | 00:55:36,333 → 00:55:37,500
我去接个电话
🇰🇷 한글번역
저는 전화를 받으러 갈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去 qù 가다 HSK1 接 jiē 받다 HSK3 电话 diànhuà 전화 HSK2

📚 문법
동사구: "去 + 동사" 형태로, 어떤 행동을 하러 간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예문: 我去接个电话 (나는 전화를 받으러 간다)
자막 #1392 | 00:55:37,500 → 00:55:38,250
🇰🇷 한글번역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好"는 형용사로 "좋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부사로 사용될 때는 "잘"이라는 의미로 동작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我很好"는 "나는 잘 지내"라는 뜻입니다.
자막 #1393 | 00:55:54,541 → 00:55:55,500
叔叔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한 어른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394 | 00:55:59,833 → 00:56:00,666
叔叔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이 문장은 단어 하나로 구성되어 있어 특별한 문법 패턴은 없습니다.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의미합니다.
자막 #1395 | 00:56:01,708 → 00:56:02,583
怎么着
🇰🇷 한글번역
어떻게 할래?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着 zhe ~하고 있다 HSK3

📚 문법
어기조사 着: 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着 (예: 他在看着书。그는 책을 보고 있다.)

"怎么着"는 구어체 표현으로 "어떻게 할래?", "어떻게 된 거야?" 등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문맥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서 쓰일 수 있습니다.
자막 #1396 | 00:56:02,583 → 00:56:03,625
想活埋我啊
📝 한어병음
xiǎng huó mái wǒ a
🇰🇷 한글번역
날 생매장하려고 하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想 xiǎng 생각하다, 원하다 HSK2 活埋 huómái 생매장하다 (HSK 범위 외) 我 wǒ 나 HSK1 啊 a 문장 끝에서 감탄, 놀람, 동의를 나타냄 HSK1

📚 문법
감탄문: 문장 끝에 "啊"를 사용하여 감탄이나 놀람, 동의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화자가 놀라거나 충격을 받은 감정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1397 | 00:56:03,625 → 00:56:03,958
叔叔
📝 한어병음
shū shū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 친척을 부르는 호칭은 매우 다양하며, '叔叔'는 그 중 하나입니다.
자막 #1398 | 00:56:03,958 → 00:56:04,625
你听我解释
🇰🇷 한글번역
내 설명을 들어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听 tīng 듣다 HSK1 我 wǒ 나 HSK1 解释 jiěshì 설명하다 HSK4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너는 내 설명을 들어라)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설명을 들어달라고 요청하는 명령문입니다.
자막 #1399 | 00:56:04,625 → 00:56:05,708
你不要再解释了
🇰🇷 한글번역
너 더 이상 설명하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不要 bú yào 하지 마라 HSK2 再 zài 다시 HSK2 解释 jiě shì 설명하다 HSK4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부정 명령문: "不要"는 명령이나 요청을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不要 + 동사 (설명하지 마라)

"了"는 문장의 끝에서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나타내는 어기조사로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再解释"라는 동작을 하지 않도록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1400 | 00:56:06,333 → 00:56:08,333
我知道你是什么样的人了
📝 한어병음
wǒ zhī dào nǐ shì shén me yàng de rén liǎo
🇰🇷 한글번역
나는 네가 어떤 사람인지 알게 되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知道 zhī dào 알다 HSK2 你 nǐ 너 HSK1 是 shì ~이다 HSK1 什么样 shénme yàng 어떤 종류 HSK4 人 rén 사람 HSK1 了 le ~했다 (동작의 완료) HSK1

📚 문법
了 (le):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문장 끝에 위치하여 상황의 변화를 강조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了 (나는 너가 어떤 사람인지 알게 되었다)
자막 #1401 | 00:56:11,791 → 00:56:12,333
🇰🇷 한글번역
여보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喂 wèi 여보세요 HSK1

📚 문법
- 감탄사: "喂"는 전화 통화에서 상대방의 주의를 끌기 위해 사용되는 감탄사입니다. 한국어의 "여보세요"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자막 #1402 | 00:56:12,333 → 00:56:12,875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 bà 아빠 HSK1

📚 문법
이 단어는 단독으로 사용될 때는 특별한 문법 패턴이 없으며, 주로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사용됩니다.
자막 #1403 | 00:56:12,875 → 00:56:13,666
出事了
🇰🇷 한글번역
문제가 생겼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出 chū 나가다, 발생하다 HSK1
事 shì 일, 사건 HSK2

📚 문법
주어 + 出事了: "출"은 '발생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出事了"는 '사고가 났다' 또는 '문제가 발생했다'는 뜻으로, 주로 예상치 못한 사건이나 사고가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了"는 동작의 완료나 상황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자막 #1404 | 00:56:33,083 → 00:56:33,833
阿力
🇰🇷 한글번역
알리
🎯 AI 분석 결과
안녕하세요! "阿力"라는 이름은 특정한 문맥 없이 단순히 이름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국어 학습을 위해 추가적인 분석을 제공하겠습니다.

🔍 어휘
阿 ā 접두사, 친근함을 나타냄 HSK5 力 lì 힘 HSK2

📚 문법
접두사 "阿": 중국어에서 "阿"는 사람의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애정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阿力"는 "리"라는 이름에 친근함을 더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405 | 00:56:34,458 → 00:56:35,208
阿力
🇰🇷 한글번역
알리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 ā 접두사, 친근함을 나타냄 HSK6 力 lì 힘, 능력 HSK3

📚 문법
접두사 "阿"는 주로 사람의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애정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阿力"는 "리"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을 친근하게 부르는 표현입니다.
자막 #1406 | 00:56:35,750 → 00:56:36,541
阿力
🇰🇷 한글번역
알리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 ā 접두사, 친근함을 나타내는 말 HSK6 力 lì 힘, 능력 HSK2

📚 문법
이름 앞에 '阿'를 붙이는 것은 친근함이나 애정을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阿力'는 '리'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을 친근하게 부르는 방식입니다.
자막 #1407 | 00:56:43,041 → 00:56:43,791
这是什么
🇰🇷 한글번역
이게 뭐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什么 shénme 무엇 HSK1

📚 문법
这是~: "이것은 ~이다"라는 의미로, 사물이나 사람을 소개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这 + 是 + 명사 (이것은 무엇이다)
자막 #1408 | 00:56:44,208 → 00:56:44,958
叔叔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이 단어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근한 어른 남성을 부를 때 사용됩니다. 문맥에 따라 '삼촌' 또는 '아저씨'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자막 #1409 | 00:56:45,500 → 00:56:46,583
我是看这都一样
🇰🇷 한글번역
나는 이게 다 똑같아 보여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是 shì ~이다 HSK1 看 kàn 보다 HSK1 这 zhè 이것 HSK1 一样 yí yàng 같다 HSK3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입니다.
예문: 我是看这都一样 (나는 이것들을 모두 같다고 본다)
자막 #1410 | 00:56:46,583 → 00:56:47,791
我问你这是什么
🇰🇷 한글번역
이게 뭐냐고 물어봤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问 wèn 묻다 HSK2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什么 shénme 무엇 HSK1

📚 문법
의문문: "这是什么"는 무엇인지 물어보는 의문문입니다.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 주로 의문사(什么)를 사용하여 질문의 대상을 명확히 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의문사 (나는 너에게 이것이 무엇인지 물어본다)
자막 #1411 | 00:56:47,791 → 00:56:48,708
有话好好说
🇰🇷 한글번역
할 말 있으면 잘 말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话 huà 말, 이야기 HSK2 好好 hǎohǎo 잘, 충분히 HSK3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중국어에서 "有话好好说"는 "말할 것이 있으면 잘 말해라"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침착하고 이성적으로 대화하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이 문장은 명령문 형태로, "好好"는 부사로서 동사 "说"를 수식하여 "잘 말하다"라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자막 #1412 | 00:56:48,708 → 00:56:49,791
我能好好说吗
🇰🇷 한글번역
내가 제대로 말할 수 있을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好好 hǎo hǎo 잘, 제대로 HSK3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가능문: "能"은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주어가 어떤 행동을 할 수 있음을 표현합니다.
형태: 주어 + 能 + 동사 (나는 잘 말할 수 있다)
자막 #1413 | 00:56:50,166 → 00:56:51,333
都是因为他造假
🇰🇷 한글번역
모두 그가 조작했기 때문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전부 HSK1
是 shì ~이다 HSK1
因为 yīn wèi ~때문에 HSK2
他 tā 그, 그 사람 HSK1
造假 zào jiǎ 위조하다, 조작하다 (비교적 고급 어휘)

📚 문법
因为...: 원인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왜냐하면 ~때문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뒤에 결과를 나타내는 문장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형태: 因为 + 원인 (그가 조작했기 때문이다)
자막 #1414 | 00:56:51,333 → 00:56:52,916
他连工作都是假的
🇰🇷 한글번역
그는 심지어 일자리도 가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连 lián ~조차도 HSK4 工作 gōng zuò 일, 직업 HSK1 都 dōu 모두, 전부 HSK1 假 jiǎ 가짜의, 거짓의 HSK4

📚 문법
连...都/也...: '조차도'라는 의미로, 강조하고자 하는 대상을 부각시킬 때 사용합니다.
형태: 连 + 강조하고자 하는 대상 + 都/也 + 동사 (그는 일조차도 가짜다)

이 문장에서 "连"은 "조차도"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그의 일조차도 가짜다"라는 뜻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1415 | 00:56:53,583 → 00:56:54,583
什么意思啊
🇰🇷 한글번역
무슨 뜻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什么 shénme 무엇 HSK1 意思 yìsi 의미 HSK2 啊 a ~니, ~아 (문장 끝에 쓰여 어감을 나타냄) HSK3

📚 문법
의문문: "什么意思啊"는 "무슨 의미야?"라는 뜻의 의문문입니다. "什么"는 "무엇"을 뜻하며, "意思"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어감을 부드럽게 하거나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1416 | 00:56:55,458 → 00:56:57,166
阿姨 我其实是可以解释的
🇰🇷 한글번역
이모, 사실 제가 설명할 수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姨 ā yí 이모, 아주머니 HSK3 我 wǒ 나 HSK1 其实 qí shí 사실은 HSK4 可以 kě yǐ 할 수 있다 HSK2 解释 jiě shì 설명하다 HSK4

📚 문법
- 주어 + 是 + 可以 + 동사: "사실은 ~할 수 있다"라는 가능성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其实"은 문장 앞에 위치하여,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사실임을 강조합니다.
자막 #1417 | 00:56:57,166 → 00:56:58,250
别跟我解释
🇰🇷 한글번역
변명하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跟 gēn ~와 함께 HSK2 我 wǒ 나 HSK1 解释 jiě shì 설명하다 HSK4

📚 문법
명령문: '别'는 금지를 나타내는 부정 명령문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나에게 설명하지 마라)
자막 #1418 | 00:56:58,541 → 00:56:59,291
我问你
🇰🇷 한글번역
나는 너에게 묻는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问 wèn 묻다, 질문하다 HSK1 你 nǐ 너, 당신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가장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주어(我) + 동사(问) + 목적어(你) (나는 너에게 묻는다)
자막 #1419 | 00:56:59,458 → 00:57:01,250
你是哪个单位的高层
🇰🇷 한글번역
당신은 어느 부서의 고위층입니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是 shì ~이다 HSK1 哪个 nǎge 어느, 어떤 HSK2 单位 dānwèi 단위, 기관 HSK4 高层 gāocéng 고위층, 고위직 HSK6

📚 문법
정문: 주어 + 是 + 명사구
이 문장은 주어(你)와 명사구(哪个单位的高层)를 연결하여 특정한 사람의 소속이나 직위를 묻는 형식입니다. "너는 어느 기관의 고위층이니?"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소속이나 직위를 확인하는 질문입니다.
자막 #1420 | 00:57:05,000 → 00:57:05,833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계사문: "是"는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주어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 주어 + 是 + 명사/형용사 (예: 他是学生 - 그는 학생이다)
자막 #1421 | 00:57:05,833 → 00:57:06,875
叔叔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이 단어는 주로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사용됩니다. '삼촌'은 아버지의 남동생을 지칭하며, 때로는 아버지의 친구나 친한 남성을 친근하게 부를 때도 사용됩니다.
자막 #1422 | 00:57:06,875 → 00:57:09,833
我确实不是哪个公司的高层
🇰🇷 한글번역
저는 확실히 어느 회사의 고위층이 아닙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确实 què shí 확실히 HSK4 不是 bú shì 아니다 HSK1 哪个 nǎ ge 어느, 어떤 HSK2 公司 gōng sī 회사 HSK2 高层 gāo céng 고위층, 고위직 HSK6

📚 문법
부정문: '不是'는 '아니다'라는 의미로, 주어가 특정 상태나 신분에 속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명사/구 (나는 그 회사의 고위층이 아니다)
자막 #1423 | 00:57:09,833 → 00:57:10,791
也没什么实力
🇰🇷 한글번역
별로 실력도 없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也 yě 또한, 역시 HSK1
没 méi 없다, ~않다 HSK2
什么 shénme 무엇, 무슨 HSK1
实力 shílì 실력, 능력 HSK4

📚 문법
부정문: "没"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내며, 과거의 경험이나 상태의 부정을 표현합니다.
형태: 没 + 동사 (실력이 없다)

이 문장에서 "也"는 "또한"이라는 뜻으로, 앞의 내용과 연결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1424 | 00:57:10,791 → 00:57:11,708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 bà 아빠 HSK1

📚 문법
- 단어 "爸"는 가족 구성원을 나타내는 명사로, 주로 비격식적인 상황에서 '아버지'를 부르는 말입니다.
자막 #1425 | 00:57:11,708 → 00:57:13,000
我了解一帆的呀
🇰🇷 한글번역
나는 일범을 잘 알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了解 liǎo jiě 이해하다 HSK3 一帆 yī fān (이름, 고유명사) 的 de ~의 HSK1 呀 ya ~야 (어기조사) HSK2

📚 문법
어기조사 "呀":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 강조, 확인 등의 어감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화자가 "이해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1426 | 00:57:13,000 → 00:57:14,166
闭嘴
🇰🇷 한글번역
입 닥쳐.
🎯 AI 분석 결과
🔍 어휘
闭 bì 닫다 HSK3 嘴 zuǐ 입 HSK3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동사만 사용하여 간결하게 표현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입을 닫다)
자막 #1427 | 00:57:14,625 → 00:57:15,833
还替他说话
🇰🇷 한글번역
아직도 그를 변호하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여전히, 아직도 HSK2 替 tì 대신하다 HSK4 他 tā 그 HSK1 说话 shuō huà 말하다 HSK1

📚 문법
"还"의 사용: "还"은 '여전히', '아직도'의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문장 해석: "还替他说话"는 "여전히 그를 대신해서 말하다"라는 의미로, 누군가가 여전히 다른 사람을 대신하여 변호하거나 설명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1428 | 00:57:16,083 → 00:57:17,875
连工作这个事你都能撒谎
🇰🇷 한글번역
일에 대해서도 거짓말을 할 수 있다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连 lián ~조차도 HSK4 工作 gōng zuò 일, 직장 HSK1 这个 zhè ge 이것 HSK1 事 shì 일, 사건 HSK2 撒谎 sā huǎng 거짓말하다 HSK5

📚 문법
连...都/也...: 강조의 의미를 가진 문법 구조로, "심지어 ~조차도"라는 뜻입니다. 이 구조는 주로 예상 밖의 상황이나 극단적인 예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连 + 명사/구 + 都/也 + 동사 (심지어 일조차도 거짓말할 수 있다)
자막 #1429 | 00:57:18,041 → 00:57:20,250
那将来背着你不一定干出什么事来呢
🇰🇷 한글번역
그럼 나중에 너 몰래 무슨 일을 저지를지 모른다니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将来 jiāng lái 장래, 미래 HSK4 背着 bēi zhe 등에 지다, 몰래 HSK5 不一定 bù yí dìng 반드시 ...한 것은 아니다 HSK4 干 gàn 하다, 일하다 HSK3 事 shì 일, 사건 HSK1

📚 문법
可能보어: 동작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보어입니다.
형태: 动词 + 出来 (동사 + 결과보어)
예문에서 "干出什么事来"는 어떤 일을 해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자막 #1430 | 00:57:20,625 → 00:57:22,875
你啊 就是人品有问题
🇰🇷 한글번역
너는 인품에 문제가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就是 jiù shì 바로, 즉 HSK3 人品 rén pǐn 인품, 품성 HSK6 有 yǒu 있다 HSK1 问题 wèn tí 문제 HSK2

📚 문법
"就是" 강조구문: "就是"는 어떤 사실이나 상황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바로" 또는 "즉"의 의미로 사용되어, 상대방의 인품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형태: 주어 + 就是 + 설명/강조하고자 하는 내용 (너는 바로 인품에 문제가 있다)
자막 #1431 | 00:57:23,375 → 00:57:25,291
万一帆你人品有问题
🇰🇷 한글번역
만일 일판, 너의 인품에 문제가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万一 wàn yī 만약에, 혹시라도 HSK4 帆 fān 돛 HSK6 人品 rén pǐn 인품, 품성 HSK6 问题 wèn tí 문제 HSK3

📚 문법
조건문: "万一"는 "만약에" 또는 "혹시라도"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 발생할 가능성을 가정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万一 + 조건 + 결과 (만약에 네 인품에 문제가 있다면)

이 문장은 가정적인 상황을 설정하여 어떤 결과를 암시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432 | 00:57:26,041 → 00:57:27,666
但我也是害怕您不认可我
🇰🇷 한글번역
하지만 저는 당신이 저를 인정하지 않을까 봐 두렵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但 dàn 그러나 HSK3 我 wǒ 나 HSK1 害怕 hài pà 두려워하다 HSK3 您 nín 당신 (존칭) HSK2 认可 rèn kě 인정하다 HSK5

📚 문법
주어 + 也是: "也是"는 "또한" 또는 "역시"의 의미로, 앞서 언급된 내용을 보강하거나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但我也是害怕您不认可我 (하지만 저도 당신이 저를 인정하지 않을까 두려워합니다)
자막 #1433 | 00:57:27,666 → 00:57:28,583
万一帆
🇰🇷 한글번역
만일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万 wàn 만 HSK3 一 yī 하나 HSK1 帆 fān 돛 HSK6

📚 문법
이 문장은 단어 자체로는 특별한 문법 패턴을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万一"는 "만약에"라는 뜻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조건절을 이끌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万一他不来,我们怎么办?" (만약 그가 오지 않으면, 우리는 어떻게 할까?)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막 #1434 | 00:57:28,583 → 00:57:29,166
所以我才
🇰🇷 한글번역
그래서 내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所以 suǒ yǐ 그래서 HSK3 我 wǒ 나 HSK1 才 cái 비로소, 겨우 HSK3

📚 문법
"所以...才..." 구조: 이 구조는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며, "그래서... 비로소..."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앞의 문장에서 원인을 설명하고, 뒤의 문장에서 그 결과로 이어지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所以我才..."는 "그래서 내가 비로소..."라는 뜻으로, 앞 문장의 원인 때문에 뒤의 결과가 발생했음을 강조합니다.
자막 #1435 | 00:57:29,166 → 00:57:30,166
万总
🇰🇷 한글번역
만 총괄님
🎯 AI 분석 결과
주어진 텍스트 "万总"은 특정한 문맥 없이 단순히 두 글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万总"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직함이나 호칭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万总"은 "만 사장님" 또는 "만 총괄님"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어휘와 문법 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어휘
万 wàn 만 (숫자) HSK2
总 zǒng 총, 총괄, 사장님 (직함) HSK4

📚 문법
이름 + 직함: 중국어에서는 사람의 성이나 이름 뒤에 직함을 붙여 존칭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万总"은 "만 사장님"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직장이나 비즈니스 환경에서 흔히 사용됩니다.
자막 #1436 | 00:57:32,583 → 00:57:33,750
求求你了
🇰🇷 한글번역
제발 부탁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求 qiú 부탁하다, 요청하다 HSK3 你 nǐ 너 HSK1 了 le (상황의 변화나 완료를 나타냄) HSK1

📚 문법
"求求你了"는 간청하거나 부탁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求求"는 동사의 중첩 형태로, 간절함을 강조합니다. "了"는 문장 끝에 위치하여 상황의 변화를 나타내거나 감정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 표현은 "제발 부탁이야" 또는 "제발"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자막 #1437 | 00:57:33,750 → 00:57:36,000
别霍霍我们家了 行吗
🇰🇷 한글번역
우리 집 그만 괴롭혀, 알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霍霍 huòhuo 낭비하다, 해치다 (비표준어) 我们 wǒmen 우리 HSK1 家 jiā 집, 가족 HSK1 行 xíng 괜찮다, 되다 HSK1

📚 문법
명령문: "别 + 동사" 형태로, "~하지 마라"라는 부정 명령을 나타냅니다.
예문: 别霍霍我们家了 (우리 집을 해치지 마라)
자막 #1438 | 00:57:36,000 → 00:57:37,541
我们家容不下你
🇰🇷 한글번역
우리 집은 너를 받아들일 수 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家 jiā 집 HSK1 容 ròng 수용하다, 받아들이다 HSK5 不下 bùxià ~할 수 없다 HSK4 你 nǐ 너 HSK1

📚 문법
결과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결과나 상태를 나타내는 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不下 (容不下)
설명: "容不下"는 "수용할 수 없다"는 의미로, 어떤 공간이나 상황이 특정 대상을 받아들일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우리 집은 너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자막 #1439 | 00:57:37,916 → 00:57:38,583
🇰🇷 한글번역
제발
🎯 AI 분석 결과
🔍 어휘
请 qǐng 부탁하다, 청하다 HSK1

📚 문법
"请"은 주로 요청이나 초대를 나타내는 동사로 사용됩니다. 문장의 시작이나 중간에 위치하여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부탁하거나 권유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440 | 00:57:40,083 → 00:57:41,083
我 请
🇰🇷 한글번역
나 부탁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请 qǐng 청하다, 부탁하다 HSK1

📚 문법
주어 + 请 + 동사: '请'은 누군가에게 정중하게 부탁하거나 요청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请进"은 "들어오세요"라는 뜻입니다.
자막 #1441 | 00:57:44,333 → 00:57:45,208
-一帆 -快
🇰🇷 한글번역
-일범 -빨리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帆 yī fān 순조롭다, 일사천리로 나아가다 HSK6 快 kuài 빠르다, 빨리 HSK2

📚 문법
형용사 사용: "快"는 형용사로서 '빠르다'는 의미를 가지며, 동작이나 상태의 속도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快走"는 '빨리 가다'라는 뜻입니다.
자막 #1442 | 00:57:47,250 → 00:57:48,791
你说呀
🇰🇷 한글번역
말해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呀 ya 어조사 (놀람, 감탄) HSK4

📚 문법
어조사 "呀": 중국어에서 문장의 끝에 쓰여 감탄, 놀람, 혹은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예: 你说呀 (너 말해봐) - 상대방에게 말을 하도록 독려하거나 재촉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자막 #1443 | 00:57:58,000 → 00:57:58,750
叔叔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는 친척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가 다양하게 존재하며, '叔叔'는 그 중 하나로, 친근한 호칭으로도 사용됩니다.
자막 #1444 | 00:57:59,625 → 00:58:00,375
阿姨
🇰🇷 한글번역
이모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姨 ā yí 이모, 아주머니 HSK3

📚 문법
호칭: "阿姨"는 친척 관계에서 '이모'를 뜻하지만, 일상 대화에서는 나이가 비슷한 여성에게 '아주머니'로도 사용됩니다. 중국어에서 친근함을 나타내는 호칭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445 | 00:58:02,291 → 00:58:03,000
对不起
🇰🇷 한글번역
죄송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不起 duìbuqǐ 미안합니다 HSK2

📚 문법
"对不起"는 상대방에게 사과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한국어의 "미안합니다"와 같은 의미로, 상대방에게 불편을 끼쳤거나 실수를 했을 때 사용합니다.
자막 #1446 | 00:58:05,625 → 00:58:06,791
-一帆 -你要是跟着他走
🇰🇷 한글번역
-일범 -네가 그를 따라가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帆 yī fān 순조롭다 (일반적으로 '一帆风顺'에서 사용됨) 你 nǐ 너 HSK1 要是 yào shi 만약에 HSK4 跟着 gēn zhe 따라가다 HSK4 他 tā 그 HSK1 走 zǒu 가다 HSK1

📚 문법
조건문: "要是"는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만약에 ~라면"의 의미를 가집니다. 주로 가정이나 조건을 제시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要是 + 조건 + (的话), 주절 (만약에 네가 그를 따라간다면)
자막 #1447 | 00:58:07,291 → 00:58:08,750
以后你就别回来
🇰🇷 한글번역
앞으로는 돌아오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以后 yǐ hòu 이후, 나중에 HSK3
就 jiù 곧, 바로 HSK2
别 bié ~하지 마라 HSK2
回来 huí lái 돌아오다 HSK2

📚 문법
부정 명령문: '别'는 명령문에서 부정을 나타내며, '~하지 마라'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돌아오지 마라)
자막 #1448 | 00:58:09,041 → 00:58:09,958
微雨啊
🇰🇷 한글번역
가랑비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微雨 wēi yǔ 가랑비, 이슬비 HSK6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 동의를 나타냄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 강조, 또는 동의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微雨啊"는 "가랑비가 내리네"라는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1449 | 00:58:09,958 → 00:58:11,000
别气你爸了啊
🇰🇷 한글번역
아빠를 화나게 하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气 qì 화나게 하다 HSK4 你 nǐ 너 HSK1 爸 bà 아빠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别'은 부정 명령을 나타내며, '~하지 마라'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 목적어 (아빠를 화나게 하지 마라)
자막 #1450 | 00:58:11,250 → 00:58:12,000
血压高
🇰🇷 한글번역
혈압이 높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血压 xuèyā 혈압 HSK6 高 gāo 높다 HSK2

📚 문법
형용사 술어문: 중국어에서 형용사가 술어로 사용되어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설명합니다.
형태: 주어 + 형용사 (혈압이 높다)
자막 #1451 | 00:58:12,250 → 00:58:13,791
你别再给你爸气嗝过去
🇰🇷 한글번역
너 아빠를 더 이상 화나게 하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别 bié 하지 마라 HSK2 再 zài 다시 HSK2 给 gěi ~에게 HSK2 爸 bà 아빠 HSK1

📚 문법
명령문: "别"는 부정 명령문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하지 마라"라는 뜻으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别 + 동사 (너는 다시 아빠를 화나게 하지 마라)
자막 #1452 | 00:58:14,625 → 00:58:15,791
咱先报警吧
🇰🇷 한글번역
우리 먼저 경찰에 신고하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 zán 우리 HSK4 先 xiān 먼저 HSK3 报警 bàojǐng 경찰에 신고하다 HSK5 吧 ba ~하자 (제안) HSK1

📚 문법
제안문: 중국어에서 제안이나 권유를 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吧 (咱先报警吧: 우리 먼저 경찰에 신고하자)
자막 #1453 | 00:58:26,166 → 00:58:27,583
好好照顾我闺女啊
📝 한어병음
hǎo hǎo zhào gù wǒ guī nǚ a
🇰🇷 한글번역
우리 딸 잘 부탁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好 hǎo hǎo 잘, 제대로 HSK3 照顾 zhào gù 돌보다 HSK3 我 wǒ 나, 저 HSK1 闺女 guī nǚ 딸 (구어체) HSK6

📚 문법
명령문: 주로 동사 앞에 부사(예: 好好)를 사용하여 행동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부사 + 동사 + 목적어 (딸을 잘 돌봐줘)
자막 #1454 | 00:58:27,583 → 00:58:28,500
-妈 -没问题
🇰🇷 한글번역
-엄마 -문제없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妈 mā 엄마 HSK1 没问题 méi wèntí 문제없다 HSK2

📚 문법
- 대화체: 이 문장은 간단한 대화체로, 일상적인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没问题: "문제없다"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요청이나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455 | 00:58:28,666 → 00:58:29,708
踏实过日子
🇰🇷 한글번역
착실하게 살아가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踏实 tā shi 착실하다, 성실하다 HSK5 过 guò 지내다, 보내다 HSK2 日子 rì zi 날, 생활 HSK3

📚 문법
동사 + 목적어: "踏实过日子"는 "착실하게 생활하다"라는 의미로, 동사 "踏实"와 목적어 "过日子"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이 구조는 동사가 목적어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일반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자막 #1456 | 00:58:34,000 → 00:58:35,625
这孩儿真好
🇰🇷 한글번역
이 아이 정말 좋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孩儿 hái ér 아이, 어린이 (구어체) 真 zhēn 정말, 진짜로 HSK2 好 hǎo 좋다 HSK1

📚 문법
형용사 중첩: "真"은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그 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真 + 형용사 (이 아이는 정말 좋다)
자막 #1457 | 00:58:36,166 → 00:58:37,750
叔叔放心 我以后一定好好对她
🇰🇷 한글번역
삼촌 걱정 마세요. 앞으로 제가 그녀를 잘 돌볼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3 放心 fàngxīn 안심하다 HSK3 以后 yǐhòu 이후 HSK3 一定 yídìng 반드시 HSK3 好好 hǎohǎo 잘, 충분히 HSK2 对 duì ~에 대해 HSK2 她 tā 그녀 HSK1

📚 문법
- 以后 (yǐhòu): 시간 부사로, '이후', '나중에'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미래의 계획이나 결심을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됩니다.
- 一定 (yídìng): '반드시', '꼭'이라는 뜻으로, 강한 의지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好好 (hǎohǎo): '잘', '충분히'라는 뜻으로, 동사를 수식하여 그 동작을 잘 수행할 것을 강조합니다.
자막 #1458 | 00:58:37,750 → 00:58:39,000
放心吧 爸
🇰🇷 한글번역
걱정 마세요,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放心 fàng xīn 안심하다 HSK3 吧 ba ~해라 (청유, 명령) HSK1 爸 bà 아빠 HSK1

📚 문법
어기조사 "吧": 문장 끝에 사용되어 청유, 명령, 제안의 어감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안심하세요, 아빠"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459 | 00:58:39,000 → 00:58:40,250
爸 放心吧
🇰🇷 한글번역
아빠, 걱정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 bà 아빠 HSK1 放心 fàng xīn 안심하다 HSK3 吧 ba ~하자 (제안) HSK1

📚 문법
吧 (ba): 문장 끝에 사용되어 제안이나 청유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형용사 + 吧 (안심하세요)
자막 #1460 | 00:58:54,500 → 00:58:55,583
大爷
🇰🇷 한글번역
할아버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大爷 dà yé 큰아버지, 아저씨 HSK6

📚 문법
칭호: "大爷"는 주로 나이가 많은 남성을 존중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가족 내에서는 '큰아버지'를 뜻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아저씨'로 번역됩니다. 문맥에 따라 적절한 번역을 선택해야 합니다.
자막 #1461 | 00:58:57,833 → 00:59:00,416
您干嘛一直拖着个音箱放歌啊
🇰🇷 한글번역
왜 계속 스피커로 음악을 틀고 계신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您 nín 당신(존칭) HSK2 干嘛 gàn má 왜, 무엇 때문에 HSK4 一直 yì zhí 계속, 줄곧 HSK3 拖 tuō 끌다, 질질 끌다 HSK5 音箱 yīn xiāng 스피커 HSK5 放 fàng 놓다, 틀다 HSK3 歌 gē 노래 HSK2

📚 문법
- 疑问句 (의문문): "您干嘛一直拖着个音箱放歌啊"는 이유나 목적을 묻는 의문문입니다. "干嘛"는 "왜"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이유를 물을 때 사용합니다.
- 着 (zhe): 동작의 지속을 나타내는 조사로, 동사 뒤에 붙어 해당 동작이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拖着"로 사용되어 "스피커를 계속 끌고 다니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462 | 00:59:00,916 → 00:59:03,250
我的舞伴 跟人跑了
🇰🇷 한글번역
내 춤 파트너가 다른 사람과 도망갔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的 de ~의 HSK1 舞伴 wǔbàn 춤 파트너 (비HSK) 跟 gēn ~와 함께 HSK2 人 rén 사람 HSK1 跑 pǎo 달리다, 도망가다 HSK2 了 le ~했다 (완료) HSK1

📚 문법
1. 的字句: 소유 또는 관계를 나타내는 구조입니다.
- 형태: 명사 + 的 + 명사 (我的舞伴: 나의 춤 파트너)

2. 了字句: 동작의 완료 또는 변화를 나타내는 구조입니다.
- 형태: 동사 + 了 (跑了: 도망갔다)

이 문장에서 "我的舞伴 跟人跑了"는 "나의 춤 파트너가 다른 사람과 도망갔다"라는 의미로,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了"가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463 | 00:59:03,625 → 00:59:05,500
那您一直跟着我干什么呀
🇰🇷 한글번역
그럼 왜 계속 저를 따라오시는 거예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HSK1 您 nín 당신(존칭) HSK2 一直 yīzhí 계속해서 HSK3 跟 gēn 따라가다 HSK2 干什么 gàn shénme 무엇을 하다 HSK3

📚 문법
- 疑问句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이 문장은 "왜 계속 나를 따라오고 있나요?"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이유를 묻고 있습니다.
- "一直"는 "계속해서"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1464 | 00:59:05,500 → 00:59:06,958
都跟到车站了
🇰🇷 한글번역
다들 역까지 따라왔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跟 gēn 따라가다 HSK3 到 dào 도착하다 HSK1 车站 chē zhàn 정류장, 역 HSK2

📚 문법
동사 중첩: "跟到"는 동사 "跟"과 "到"의 결합으로, 어떤 장소까지 따라가거나 도착하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형태: 동사 + 到 + 장소 (모두 정류장까지 따라갔다)
자막 #1465 | 00:59:07,458 → 00:59:08,958
我没有跟着你
🇰🇷 한글번역
나는 너를 따라가지 않았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没有 méi yǒu ~하지 않았다 HSK2 跟着 gēn zhe 따라가다 HSK4 你 nǐ 너 HSK1

📚 문법
부정문: "没有"는 과거의 경험이나 동작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没有 + 동사 (나는 너를 따라가지 않았다)
자막 #1466 | 00:59:09,583 → 00:59:11,291
我只是想离开这个
🇰🇷 한글번역
나는 단지 이곳을 떠나고 싶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只是 zhǐ shì 단지, 그저 HSK4 想 xiǎng 생각하다, 원하다 HSK2 离开 lí kāi 떠나다 HSK3 这个 zhè ge 이, 이것 HSK1

📚 문법
- "只是"는 "단지, 그저"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단순함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 "想"은 "생각하다, 원하다"라는 뜻으로, 뒤에 동사가 올 경우 그 동사를 하고 싶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 "离开"는 "떠나다"라는 의미로, 장소나 상황에서 벗어나는 것을 표현합니다.

이 문장은 "나는 그저 이곳을 떠나고 싶다"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1467 | 00:59:11,291 → 00:59:12,625
伤心的城市
🇰🇷 한글번역
슬픈 도시
🎯 AI 분석 결과
🔍 어휘
伤心 shāng xīn 슬프다, 상심하다 HSK4 城市 chéng shì 도시 HSK3

📚 문법
이 문장은 주어가 생략된 형태로,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 "伤心"과 명사 "城市"가 결합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伤心的城市"는 "슬픈 도시"라는 의미로, 도시가 슬픔을 불러일으킨다는 감정적 표현을 나타냅니다. 형용사 + 的 + 명사 구조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구를 형성합니다.
자막 #1468 | 00:59:34,083 → 00:59:35,666
Project Courage(勇气项目) 的
🇰🇷 한글번역
Project Courage(용기 프로젝트)의
🎯 AI 분석 결과
🔍 어휘
勇气 yǒng qì 용기 HSK4 项目 xiàng mù 프로젝트, 항목 HSK4 的 de ~의 (관형어를 만드는 구조조사) HSK1

📚 문법
관형어 구조: '的'는 명사 앞에서 관형어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勇气项目的'는 '용기 프로젝트의'라는 의미로, 뒤에 명사가 올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자막 #1469 | 00:59:35,666 → 00:59:38,625
alpha (第一版)测试版本进展的怎么样了
🇰🇷 한글번역
알파(첫 번째 버전) 테스트 버전 진행은 어떻게 되고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第一版 dì yī bǎn 첫 번째 버전 HSK4 测试 cè shì 테스트하다 HSK4 版本 bǎn běn 버전 HSK5 进展 jìn zhǎn 진행되다 HSK5 怎么样 zěn me yàng 어떻다 HSK2

📚 문법
정도부사: "怎么样"은 상태나 진행 상황을 묻는 질문에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进展 + 怎么样 (테스트 버전 진행이 어떻게 되고 있나요?)

이 문장은 현재 진행 상황에 대한 질문으로, "第一版测试版本"이 주어로 사용되어 "进展"의 상태를 묻고 있습니다.
자막 #1470 | 00:59:39,083 → 00:59:40,333
小组汇报一下
🇰🇷 한글번역
팀 보고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组 xiǎo zǔ 소그룹, 팀 HSK4 汇报 huì bào 보고하다 HSK5 一下 yí xià 잠시, 좀 HSK3

📚 문법
동사 + 一下: 동사 뒤에 "一下"를 붙여서 동작이 짧게 이루어짐을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동작의 시간을 짧게 하거나, 동작이 가벼움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예: 汇报一下 (잠시 보고하다)
자막 #1471 | 00:59:40,333 → 00:59:42,666
经理 万一帆那边呢不太方便
🇰🇷 한글번역
매니저, 만일 이판 쪽이 불편하다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经理 jīng lǐ 매니저, 관리자 HSK4 万一 wàn yī 만약에, 혹시 HSK4 那边 nà biān 저쪽, 그쪽 HSK3 不太 bù tài 그다지, 별로 HSK3 方便 fāng biàn 편리하다 HSK3

📚 문법
- "万一": 가정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만약에" 또는 "혹시"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주로 부정적인 상황에 대비할 때 사용됩니다.
- "不太": 정도를 나타내는 부정 표현으로, "그다지" 또는 "별로"라는 뜻입니다. 형용사 앞에 놓여 그 형용사의 정도를 낮춥니다.
자막 #1472 | 00:59:42,666 → 00:59:43,875
我来介绍一下
🇰🇷 한글번역
제가 소개하겠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来 lái 오다 HSK1 介绍 jièshào 소개하다 HSK2 一下 yíxià 좀, 한번 HSK2

📚 문법
동사 + 一下: 동사 뒤에 一下를 붙여서 동작을 짧게 하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一下 (나는 소개를 좀 하겠다)
자막 #1473 | 00:59:44,291 → 00:59:45,458
你是负责人吗
🇰🇷 한글번역
당신이 책임자입니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是 shì 이다 HSK1 负责 fùzé 책임지다 HSK4 人 rén 사람 HSK1 吗 ma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의문문: "吗"는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 문장 끝에 붙이는 조사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당신은 책임자입니까?)
자막 #1474 | 00:59:46,083 → 00:59:47,625
必须是万一帆啊
🇰🇷 한글번역
반드시 만이판이어야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必须 bìxū 반드시, 꼭 HSK3 是 shì ~이다 HSK1 万一 wàn yī 만약에, 혹시 HSK4 帆 fān 돛 HSK6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를 나타냄 HSK1

📚 문법
- 强调句: "必须是万一帆啊"에서 "必须"는 강조를 나타내며, 어떤 상황이 반드시 그러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 语气助词: "啊"는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자막 #1475 | 00:59:55,458 → 00:59:56,458
万一帆
🇰🇷 한글번역
만일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万一 wàn yī 만약에, 혹시 HSK4 帆 fān 돛 HSK6

📚 문법
"万一"는 가정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만약에" 또는 "혹시"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주로 부정적인 상황을 가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万一他不来,我们怎么办?" (만약에 그가 오지 않으면, 우리는 어떻게 할까?)와 같이 사용됩니다.
자막 #1476 | 00:59:56,791 → 00:59:58,333
你的方案准备好了吗
🇰🇷 한글번역
당신의 계획은 준비되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的 de ~의 HSK1 方案 fāng'àn 방안, 계획 HSK4 准备 zhǔnbèi 준비하다 HSK3 好 hǎo 좋다, 완료되다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중국어에서 일반적인 문장 구조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입니다.
예문: 你的方案准备好了吗? (너의 계획은 준비되었니?)
자막 #1477 | 00:59:58,833 → 00:59:59,666
没有
🇰🇷 한글번역
없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有 méiyǒu 없다, ~하지 않았다 HSK2

📚 문법
부정문: "没有"는 과거 시제에서 어떤 일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부정문입니다.
형태: 주어 + 没有 + 동사 (나는 ~하지 않았다)
자막 #1478 | 00:59:59,666 → 01:00:01,375
我就知道你没准备好
🇰🇷 한글번역
나는 네가 준비가 안 됐다는 걸 알고 있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就 jiù 바로, 이미 HSK2 知道 zhī dào 알다 HSK2 你 nǐ 너 HSK1 没 méi ~하지 않았다 HSK2 准备 zhǔn bèi 준비하다 HSK3 好 hǎo 잘, 완료 HSK1

📚 문법
결과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결과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문법입니다.
형태: 동사 + 结果补语 (我就知道你没准备好)
설명: "准备好"에서 "好"는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결과보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479 | 01:00:01,375 → 01:00:03,375
你这个样子怎么能准备好啊
🇰🇷 한글번역
이런 모습으로 어떻게 준비가 되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个 zhè ge 이것 HSK1 样子 yàng zi 모양, 모습 HSK4 怎么 zěn me 어떻게 HSK2 准备 zhǔn bèi 준비하다 HSK3 好 hǎo 잘 HSK1

📚 문법
- 疑问句: "怎么"는 방법이나 이유를 묻는 의문문에서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어떻게"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상대방의 상태나 행동에 대한 의문을 나타냅니다.
- 结果补语: "准备好"에서 "好"는 결과보어로 사용되어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1480 | 01:00:03,875 → 01:00:06,291
我们每个人都得加班加点啊
🇰🇷 한글번역
우리 모두 초과 근무를 해야 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每 měi 매, 각 HSK2 人 rén 사람 HSK1 都 dōu 모두 HSK2 得 děi 해야 한다 HSK3

加班 jiābān 야근하다 HSK4 加点 jiādiǎn 추가 근무하다 (HSK 비급수) 啊 a ~아, ~야 (감탄, 강조) HSK1

📚 문법
- 每字句: "每"는 '각', '매'의 의미로, 반복적이거나 모든 것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我们每个人"으로 '우리 각자'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语气助词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여기서는 "加班加点啊"로 '야근하고 추가 근무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1481 | 01:00:06,291 → 01:00:07,875
就你一个人逍遥自在
🇰🇷 한글번역
너 혼자만 자유롭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단지 HSK2
你 nǐ 너 HSK1
一个人 yí gè rén 혼자 HSK1
逍遥自在 xiāo yáo zì zài 자유롭고 편안하다 (HSK 범위 외)

📚 문법
주어 + 逍遥自在: 이 문장은 주어가 자유롭고 편안한 상태에 있음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就"는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어 "바로 너 혼자서"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逍遥自在"는 관용구로, 어떤 구속이나 걱정 없이 자유롭고 편안한 상태를 표현합니다.
자막 #1482 | 01:00:07,875 → 01:00:09,041
他确实是家里有事
🇰🇷 한글번역
그는 정말로 집에 일이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HSK1 确实 què shí 확실히 HSK4 是 shì ~이다 HSK1 家里 jiā lǐ 집안 HSK2 有事 yǒu shì 일이 있다 HSK3

📚 문법
확인 강조: "确实"는 어떤 사실이나 상황이 확실함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 "确实"는 그가 집안에 일이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말해주고 있습니다.
자막 #1483 | 01:00:09,041 → 01:00:10,166
你给我闭嘴
🇰🇷 한글번역
입 닥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给 gěi 주다 HSK2 我 wǒ 나 HSK1 闭嘴 bì zuǐ 입을 다물다 HSK4

📚 문법
명령문: 명령문은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지시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너는 입을 다물어라)

이 문장에서 "你"는 명령의 대상이며, "闭嘴"는 명령의 내용입니다.
자막 #1484 | 01:00:11,291 → 01:00:14,166
你们两个人在公司里面天天瞎混
🇰🇷 한글번역
너희 둘은 회사에서 매일 빈둥거리기만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们 nǐmen 너희들 HSK1 两 liǎng 둘 HSK2 个人 gèrén 개인, 사람 HSK2 公司 gōngsī 회사 HSK3 里面 lǐmiàn 안, 내부 HSK3

天天 tiāntiān 매일 HSK3 瞎 xiā 함부로, 멋대로 (HSK에 없음) 混 hùn 어울리다, 지내다 (HSK에 없음)

📚 문법
- 地点词 + 里/里面: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里" 또는 "里面"를 붙여 그 장소의 내부를 의미합니다. (公司里面: 회사 안에서)
- "天天"는 시간 부사로, '매일'이라는 뜻으로 동작의 빈도를 나타냅니다. (매일 회사 안에서)
자막 #1485 | 01:00:14,166 → 01:00:15,708
你以为我不知道啊
🇰🇷 한글번역
너 내가 모를 줄 알았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以为 yǐwéi ~라고 여기다 HSK4 我 wǒ 나 HSK1 不知道 bù zhīdào 모르다 HSK1 啊 a ~아, ~어 (어기조사) HSK2

📚 문법
反问句: 이 문장은 반문형으로,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에 대해 반박하거나 의문을 제기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以为 + 주어 + 不 + 동사 + 吗/啊 (너는 내가 모를 거라고 생각하니?)
자막 #1486 | 01:00:15,708 → 01:00:17,541
我说过多少遍了
🇰🇷 한글번역
내가 몇 번이나 말했는데.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过 guò ~한 적이 있다 HSK2 多少 duō shǎo 얼마나 HSK2 遍 biàn 번, 회 HSK4

📚 문법
동작의 반복: 이 문장은 동작의 반복을 나타내며, "多少遍"은 '얼마나 많은 번'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는 화자가 같은 말을 여러 번 했음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형태: 주어 + 说过 + 多少遍 (내가 얼마나 많이 말했는지)
자막 #1487 | 01:00:17,541 → 01:00:19,250
咱们公司不是搞慈善的
🇰🇷 한글번역
우리 회사는 자선단체가 아닙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们 zánmen 우리 HSK2 公司 gōngsī 회사 HSK2 不是 bù shì 아니다 HSK1 搞 gǎo 하다, 운영하다 HSK4 慈善 císhàn 자선 HSK6

📚 문법
부정문: "不是"는 "아니다"라는 뜻으로, 주어와 서술어 사이에 사용되어 부정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명사/형용사 (우리 회사는 자선을 하는 곳이 아니다)
자막 #1488 | 01:00:19,250 → 01:00:20,666
不养闲人
🇰🇷 한글번역
한가한 사람을 기르지 않는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HSK1 养 yǎng 기르다, 부양하다 HSK3 闲 xián 한가하다, 놀다 HSK4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养" 앞에 위치하여 "기르지 않는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구조: 주어 + 不 + 동사 + 목적어
이 문장은 "한가한 사람을 기르지 않는다"라는 의미로, "한가하게 노는 사람을 부양하지 않는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자막 #1489 | 01:00:21,000 → 01:00:22,625
还有你们也一样
🇰🇷 한글번역
그리고 여러분도 마찬가지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또한, 아직 HSK2 有 yǒu 있다 HSK1 你们 nǐmen 너희들 HSK1 也 yě 또한 HSK1 一样 yíyàng 같다 HSK3

📚 문법
병렬 구조: "还有"와 "也"는 모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하는 접속사입니다. "还有"는 "또한"의 의미로 새로운 정보를 추가할 때 사용하고, "也"는 앞의 내용과 같은 상태나 동작을 반복할 때 사용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너희들도 마찬가지다"라는 의미로, 앞서 언급된 내용이 너희들에게도 적용됨을 나타냅니다.
자막 #1490 | 01:00:22,625 → 01:00:25,250
不要老是想着到点就下班
🇰🇷 한글번역
퇴근 시간만 기다리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要 bù yào ~하지 마라 HSK2 老是 lǎo shì 항상, 자꾸 HSK4 想着 xiǎng zhe 생각하다, 고려하다 HSK3 到点 dào diǎn 정해진 시간에 下班 xià bān 퇴근하다 HSK3

📚 문법
- "不要"는 금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하지 마라"라는 뜻입니다. 명령이나 충고를 할 때 사용합니다.
- "老是"는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반복적으로 발생함을 나타내며, "항상, 자꾸"라는 뜻입니다. 부정적인 뉘앙스를 줄 수 있습니다.
- "想着"는 동사 "想"에 진행형을 나타내는 "着"가 붙어, 어떤 생각이나 상태가 지속됨을 나타냅니다.
자막 #1491 | 01:00:25,250 → 01:00:28,375
年轻人现在不吃苦什么时候吃苦
🇰🇷 한글번역
젊은 사람들이 지금 고생하지 않으면 언제 고생하겠습니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年轻人 niánqīngrén 젊은이 HSK4 现在 xiànzài 지금 HSK1 吃苦 chīkǔ 고생하다 HSK5 什么时候 shénme shíhou 언제 HSK2

📚 문법
反问句: 반문문은 질문 형식을 통해 강한 주장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陈述句 + 什么时候 + 动词 (젊은이가 지금 고생하지 않으면 언제 고생하겠는가)

이 문장은 젊은이들이 지금 고생하지 않으면 언제 고생할 것인지에 대한 반문으로, 현재의 노력을 강조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자막 #1492 | 01:00:29,000 → 01:00:30,166
我告诉你
🇰🇷 한글번역
내가 너에게 말할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告诉 gào su 말하다, 알리다 HSK2 你 nǐ 너, 당신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대상입니다.
예문: 我告诉你 (나는 너에게 말한다)
자막 #1493 | 01:00:30,166 → 01:00:33,000
公司给你们发钱不是让你们来混的
🇰🇷 한글번역
회사가 돈을 주는 건 여러분이 대충 일하라고 주는 게 아닙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公司 gōng sī 회사 HSK3 给 gěi 주다 HSK2 发 fā 보내다, 지급하다 HSK4 钱 qián 돈 HSK1 混 hùn 대충 하다, 시간을 때우다 HSK6

📚 문법
부정문: "不是...的"는 어떤 행동이나 상황의 목적이나 이유를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不是 + 동사/형용사 + 的 (회사가 돈을 주는 것은 대충 일하라고 주는 것이 아니다)
자막 #1494 | 01:00:33,583 → 01:00:35,041
我们从来都没混过
🇰🇷 한글번역
우리는 한 번도 어울린 적이 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从来 cónglái 지금까지, 여태껏 HSK4 都 dōu 모두, 전부 HSK1 没 méi ~하지 않았다 HSK2 混 hùn 섞이다, 어울리다 (여기서는 '어울리다'로 해석) HSK6

📚 문법
부정문: 중국어에서 '没'는 과거의 경험이나 완료되지 않은 상태를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从来 + 没 + 동사 + 过 (우리는 여태껏 어울린 적이 없다)

이 문장에서 '从来都没'는 '여태껏 ~한 적이 없다'라는 의미로, 과거의 경험을 부정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495 | 01:00:36,375 → 01:00:38,000
你怎么还狡辩呢
🇰🇷 한글번역
너 왜 아직도 변명하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怎么 zěn me 어떻게 HSK2 还 hái 아직도 HSK2 狡辩 jiǎo biàn 변명하다, 핑계를 대다 (HSK 범위 외)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이유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어떻게 아직도 변명할 수 있니?"라는 뜻으로 사용되어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불만이나 놀라움을 표현합니다.
자막 #1496 | 01:00:38,000 → 01:00:39,375
你这是态度问题
🇰🇷 한글번역
이건 태도 문제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态度 tàidu 태도 HSK4 问题 wèntí 문제 HSK3

📚 문법
这是: "이것은 ~이다"라는 의미로,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문장 구조: 주어 + 是 + 명사구 (이것은 태도 문제이다)
자막 #1497 | 01:00:39,375 → 01:00:40,583
什么态度啊
🇰🇷 한글번역
무슨 태도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什么 shénme 무엇, 어떤 HSK1 态度 tàidu 태도 HSK4

📚 문법
의문문: "什么"는 의문대명사로, '무엇', '어떤'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문장에서는 상대방의 태도에 대해 질문하거나 불만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什么 + 명사 (어떤 태도)
자막 #1498 | 01:00:41,916 → 01:00:43,041
不跪舔你
🇰🇷 한글번역
너에게 아부하지 않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跪舔 guì tiǎn 비굴하게 아첨하다 (일반적으로 HSK에 포함되지 않는 표현)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이나 상태를 부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 不 + 동사 (나는 비굴하게 아첨하지 않는다)

이 문장은 "나는 비굴하게 아첨하지 않는다"라는 뜻으로, "跪舔"은 비굴하게 아첨하는 행동을 묘사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499 | 01:00:43,333 → 01:00:44,541
就是有问题是吧
🇰🇷 한글번역
문제가 있다는 거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是 shì ~이다 HSK1 有 yǒu 있다 HSK1 问题 wèntí 문제 HSK2 吧 ba ~지요, ~죠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냄) HSK3

📚 문법
정도부사 "就是": "就是"는 어떤 상황이나 사실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문장 형태: 就是 + 명사/형용사/동사 (문제가 있다)

"是吧"의 사용: "是吧"는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어떤 사실을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500 | 01:00:44,541 → 01:00:46,750
别人都听指挥你怎么不听啊
🇰🇷 한글번역
다른 사람들은 다 지시를 따르는데 너는 왜 안 따르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人 biérén 다른 사람들 HSK2 听 tīng 듣다 HSK1 指挥 zhǐhuī 지휘하다, 명령하다 HSK5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不 bù 아니다 HSK1

📚 문법
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을 통해 상대방의 행동이나 상황을 강조하거나 비판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怎么 + 동사 + (목적어) + 呢/啊 (다른 사람들은 다 지휘를 듣는데 너는 왜 안 듣니?)
자막 #1501 | 01:00:46,750 → 01:00:47,625
你搞特殊啊
🇰🇷 한글번역
너 특별 대우 받으려고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搞 gǎo 하다, 만들다 HSK4 特殊 tè shū 특별하다 HSK5 啊 a 어기조사 (감탄, 강조)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너 특별 대우를 받으려고 하니?"라는 뉘앙스를 강조합니다.
자막 #1502 | 01:00:47,625 → 01:00:49,625
公司放假了 我去公司干吗啊
🇰🇷 한글번역
회사가 휴가인데 내가 회사에 왜 가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公司 gōng sī 회사 HSK3 放假 fàng jià 방학하다, 휴가를 보내다 HSK4 去 qù 가다 HSK1 干吗 gàn má 무엇을 하다, 왜 HSK5

📚 문법
反问句: 중국어에서 반문(되묻기)하는 문장입니다. 주로 상대방의 말이나 상황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거나 반박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陈述句 + 干吗/为什么 (회사가 쉬는데 내가 왜 회사를 가겠어?)
자막 #1503 | 01:00:49,625 → 01:00:50,916
给你扫墓啊
🇰🇷 한글번역
너에게 성묘하러 간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给 gěi ~에게, ~을/를 위해 HSK2 你 nǐ 너 HSK1 扫墓 sǎo mù 성묘하다, 묘를 청소하다 (비HSK)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강조를 나타냄 HSK1

📚 문법
동사구: "给 + 사람 + 동사" 형태로, "~에게 ~을 하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예문: 给你扫墓 (너를 위해 성묘하다)
자막 #1504 | 01:00:51,583 → 01:00:53,416
行 你要汇报是吧
🇰🇷 한글번역
알겠어, 보고하려는 거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좋다, 괜찮다 HSK1 你 nǐ 너 HSK1 要 yào ~하려고 하다 HSK1 汇报 huìbào 보고하다 HSK5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是吧: 중국어에서 확인을 요청하거나 상대방의 동의를 구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형태: 陈述句 + 是吧 (보고하려고 하는 거지?)
자막 #1505 | 01:00:53,416 → 01:00:55,625
我今天就给你好好汇报汇报
🇰🇷 한글번역
오늘 내가 너에게 잘 보고할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今天 jīn tiān 오늘 HSK1 给 gěi ~에게 HSK2 你 nǐ 너 HSK1 好好 hǎo hǎo 잘, 충분히 HSK3

📚 문법
중첩 동사: "汇报汇报"와 같이 동사를 중첩하여 사용하면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가집니다. 여기서는 "보고하다"라는 의미의 "汇报"를 중첩하여 "보고를 잘 해볼게"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就"의 강조: "就"는 문장에서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곧바로 이루어질 것임을 강조합니다. 여기서는 "오늘 바로"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506 | 01:00:55,625 → 01:00:58,375
项目做好了 功劳算你的
🇰🇷 한글번역
프로젝트가 잘 마무리되면 공은 당신의 것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项目 xiàng mù 프로젝트 HSK4 做好 zuò hǎo 잘 하다, 완료하다 HSK3 功劳 gōng láo 공로 HSK6 算 suàn 간주하다, 여기다 HSK4 你 nǐ 너 HSK1

📚 문법
결과보어: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로, 주로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이 어떻게 되었는지를 설명합니다.
형태: 동사 + 结果보어 (做好: 잘 완료하다)

주어 생략: 중국어에서는 문맥상 주어가 명확할 경우 주어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프로젝트가 잘 완료되었다"라는 문장에서 주어가 생략되었습니다.
자막 #1507 | 01:00:58,375 → 01:00:59,958
你说年轻人不要好大喜功
🇰🇷 한글번역
젊은이들은 과시하려고 하지 말라고 했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年轻人 nián qīng rén 젊은이 HSK4 不要 bù yào ~하지 마라 HSK2 好大喜功 hào dà xǐ gōng 공을 좋아하다, 과시하다 (HSK 비수록)

📚 문법
부정 명령문: 중국어에서 "~하지 마라"라는 의미를 전달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不要 + 동사 (젊은이들은 과시하지 마라)

이 문장에서 "不要"는 "하지 마라"라는 부정 명령을 나타내며, "好大喜功"은 과시하거나 공을 좋아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자막 #1508 | 01:00:59,958 → 01:01:01,916
爱慕虚荣 要脚踏实地
🇰🇷 한글번역
허영심을 사랑하지 말고 현실에 충실하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爱慕 àimù 사랑하다, 동경하다 HSK5 虚荣 xūróng 허영 HSK6 要 yào 필요하다, 해야 한다 HSK1 脚踏实地 jiǎo tà shí dì 착실하다, 현실적이다 (성어)

📚 문법
성어: "脚踏实地"는 성어로, 어떤 일을 할 때 허영심을 버리고 현실적이고 착실하게 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성어는 중국어에서 고유한 표현으로, 문맥에 따라 깊은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509 | 01:01:01,916 → 01:01:02,916
这是为我好
🇰🇷 한글번역
이것은 나를 위한 것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为 wèi ~을 위해 HSK3 我 wǒ 나 HSK1 好 hǎo 좋다 HSK1

📚 문법
这是为我好: 이 문장은 "이것은 나를 위한 것이다"라는 의미로, 주어가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특정한 사람에게 이익이 되거나 그 사람을 위한 것임을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여기서 "为"는 "~을 위해"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목적이나 이유를 나타냅니다.
자막 #1510 | 01:01:02,916 → 01:01:04,375
行 我认
🇰🇷 한글번역
알겠어, 인정할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좋다, 괜찮다 HSK1 我 wǒ 나 HSK1 认 rèn 알다, 인식하다 HSK2

📚 문법
주어 + 동사: 간단한 주어와 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입니다. "我认"은 "나는 안다"라는 뜻으로, 주어 "我"와 동사 "认"이 결합된 형태입니다.
자막 #1511 | 01:01:04,916 → 01:01:07,583
那项目干黄了 要找人背锅
🇰🇷 한글번역
그 프로젝트 망했어. 누군가 책임져야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 저 HSK1 项目 xiàng mù 프로젝트, 항목 HSK4 干 gàn 하다, 일하다 HSK3 黄 huáng 실패하다, 끝나다 (문맥상) HSK4 找 zhǎo 찾다 HSK2

📚 문법
- "干黄了"는 구어체 표현으로, 프로젝트나 일이 실패하거나 끝났음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黄"은 본래 "노랗다"라는 뜻이지만, 비유적으로 "실패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要找人背锅"에서 "背锅"는 비유적으로 "책임을 지다"라는 뜻으로, 누군가에게 책임을 전가하려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找人"은 "사람을 찾다"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책임을 전가할 대상을 찾는다는 의미입니다.
자막 #1512 | 01:01:07,583 → 01:01:09,458
你又说 年轻人要有担当
🇰🇷 한글번역
너는 또 젊은이들이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又 yòu 또 HSK3 说 shuō 말하다 HSK1 年轻人 nián qīng rén 젊은이 HSK4 担当 dān dāng 책임지다, 맡다 HSK5

📚 문법
"要"의 사용: "要"는 '필요하다', '해야 한다'는 의미로, 의무나 필요성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要 + 동사/명사 (젊은이는 책임을 져야 한다)
자막 #1513 | 01:01:09,458 → 01:01:10,666
要把责任扛起来
🇰🇷 한글번역
책임을 짊어져야 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要 yào 해야 한다 HSK2 把 bǎ 을/를 HSK3 责任 zé rèn 책임 HSK4 扛 káng 짊어지다 HSK6 起来 qǐ lái 일어나다, 시작하다 HSK3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要 +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책임을 짊어져야 한다)

"把" 구조는 동작의 결과나 영향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책임"이라는 목적어를 "짊어지다"라는 동사와 연결하여 책임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자막 #1514 | 01:01:10,666 → 01:01:12,208
这也是为了我好
🇰🇷 한글번역
이것도 나를 위한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也 yě 또한 HSK1 是 shì ~이다 HSK1 为了 wèi le ~을 위하여 HSK3 我 wǒ 나 HSK1 好 hǎo 좋다 HSK1

📚 문법
为了: 목적을 나타내는 전치사로, "~을 위하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어떤 행동이나 상황의 목적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为了 + 목적 + 주어 + 동사 (이것은 나를 위해서이다)
자막 #1515 | 01:01:12,208 → 01:01:12,875
你怎么对我这么好啊
🇰🇷 한글번역
너는 왜 나에게 이렇게 잘해주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怎么 zěn me 어떻게 HSK2 对 duì ~에 대해 HSK2 我 wǒ 나 HSK1 这么 zhè me 이렇게 HSK3 好 hǎo 좋다 HSK1

📚 문법
정도부사 "这么": "这么"는 '이렇게'라는 뜻으로, 뒤에 오는 형용사의 정도를 강조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这么好"가 '이렇게 좋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상대방의 행동이나 태도가 매우 좋음을 강조합니다.
자막 #1516 | 01:01:12,875 → 01:01:14,208
关 把电视给我关掉
🇰🇷 한글번역
꺼, TV 꺼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关 guān 끄다 HSK2 把 bǎ 을/를 HSK3 电视 diàn shì 텔레비전 HSK1 给 gěi ~에게 HSK2 我 wǒ 나, 저 HSK1 掉 diào 떨어뜨리다, 없애다 HSK4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텔레비전을 꺼 주세요)

이 문장에서 "把电视给我关掉"는 "텔레비전을 꺼 주세요"라는 의미로, '把' 구조를 사용하여 '텔레비전'이라는 목적어가 '끄다'라는 동사와 '없애다'라는 결과보어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자막 #1517 | 01:01:14,208 → 01:01:15,791
你是我保姆啊
🇰🇷 한글번역
당신은 내 보모잖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是 shì 이다 HSK1 我 wǒ 나 HSK1 保姆 bǎomǔ 보모, 가정부 HSK6 啊 a 문장 끝에 쓰여 어기를 나타냄 HSK2

📚 문법
주어 + 是 + 명사 + 啊: 중국어에서 "是"는 주어와 명사를 연결하여 주어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啊"는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너는 내 보모야)
자막 #1518 | 01:01:16,625 → 01:01:18,541
工作没人做 你一股脑地丢给我
🇰🇷 한글번역
일을 아무도 안 하니까 전부 나한테 던져버리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工作 gōng zuò 일, 작업 HSK1 没人 méi rén 아무도 없다 HSK3 一股脑 yī gǔ nǎo 단숨에, 한꺼번에 (비공식) 丢 diū 던지다, 버리다 HSK4 给 gěi ~에게 HSK2

📚 문법
1. 一股脑: 이 표현은 비공식적인 구어체로, 어떤 행동을 단숨에 하거나 모든 것을 한꺼번에 처리할 때 사용됩니다.
예: 他一股脑地把所有事情做完了。(그는 모든 일을 단숨에 끝냈다.)

2. 给字句: '给'는 동작의 대상을 나타내며, '~에게'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 他给我一本书。(그는 나에게 책 한 권을 주었다.)
자막 #1519 | 01:01:18,541 → 01:01:19,458
这是空调遥控器啊
🇰🇷 한글번역
이것은 에어컨 리모컨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空调 kōng tiáo 에어컨 HSK4 遥控器 yáo kòng qì 리모컨 HSK6 啊 a ~아, ~야 (어기조사)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여기서는 "啊"가 사용되어 "이것은 에어컨 리모컨이야"라는 문장에 감탄이나 확인의 뉘앙스를 추가합니다.
자막 #1520 | 01:01:19,458 → 01:01:20,750
你说年轻人就该多锻炼
🇰🇷 한글번역
당신은 젊은이들이 운동을 많이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年轻人 nián qīng rén 젊은이 HSK4 就 jiù 바로, 곧 HSK3 该 gāi ~해야 한다 HSK4 多 duō 많이 HSK1 锻炼 duàn liàn 운동하다 HSK3

📚 문법
- "就该" 패턴: "就"는 강조를 나타내며, "该"는 "~해야 한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두 단어가 결합되어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당연함을 나타냅니다.
- 문장 구조: 주어 + 就该 + 동사 (너는 젊은이들이 많이 운동해야 한다고 말한다)
자막 #1521 | 01:01:20,750 → 01:01:22,625
这是公司对你的信任
🇰🇷 한글번역
이것은 회사가 당신을 신뢰한다는 뜻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公司 gōng sī 회사 HSK2 对 duì ~에 대해 HSK3 你 nǐ 너 HSK1 信任 xìn rèn 신뢰 HSK4

📚 문법
주어 + 是 + 명사: 중국어에서 '이다'의 의미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예문: 这是公司对你的信任 (이것은 회사가 너에 대한 신뢰이다)
자막 #1522 | 01:01:22,625 → 01:01:24,458
那工资不上税你说这是开源节流
🇰🇷 한글번역
그 월급에 세금을 내지 않는다고? 그게 바로 수입을 늘리고 지출을 줄이는 거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工资 gōng zī 월급, 급여 HSK4 上税 shàng shuì 세금을 내다 HSK6 开源 kāi yuán 수입을 늘리다 HSK6 节流 jié liú 지출을 줄이다 HSK6

📚 문법
이 문장은 중국어에서 일반적인 서술문 구조를 따르고 있습니다. "你说"는 "너는 말한다"라는 뜻으로, 앞의 내용을 강조하거나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这是"는 "이것은 ~이다"라는 뜻으로, 앞의 상황을 설명하거나 정의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523 | 01:01:24,458 → 01:01:25,208
开关呢
🇰🇷 한글번역
스위치는 어디에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开 kāi 열다, 켜다 HSK1 关 guān 닫다, 끄다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동사만으로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 开 (켜다), 关 (끄다) - "开灯" (등을 켜다), "关门" (문을 닫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자막 #1524 | 01:01:25,208 → 01:01:26,166
为了公司的前景
🇰🇷 한글번역
회사의 미래를 위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为 wèi ~을 위해 HSK2 公司 gōng sī 회사 HSK2 前景 qián jǐng 전망, 전경 HSK6

📚 문법
介词结构: "为了"는 목적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전치사로, 뒤에 오는 명사구와 함께 사용되어 "~을 위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형태: 为了 + 명사구 (회사의 전경을 위해)
자막 #1525 | 01:01:26,166 → 01:01:27,625
他说话为什么带伴奏呢
🇰🇷 한글번역
그가 왜 말할 때 반주를 깔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说话 tā shuō huà 그가 말하다 HSK1 为什么 wèi shén me 왜 HSK2 带 dài 동반하다, 갖고다 HSK2 伴奏 bàn zòu 반주하다 HSK6

📚 문법
의문문: "为什么"는 이유를 묻는 의문문에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为什么 + 동사 + (목적어)? (그가 왜 반주를 동반해서 말하나요?)

이 문장에서 "带"는 '동반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그가 왜 반주를 동반해서 말하나요?'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자막 #1526 | 01:01:27,625 → 01:01:28,458
太不像话了
🇰🇷 한글번역
정말 말도 안 돼.
🎯 AI 분석 결과
🔍 어휘
太 tài 너무, 매우 HSK2 不像话 bù xiàng huà 말이 안 된다, 터무니없다 HSK6

📚 문법
정도 부사 "太": "太"는 형용사나 동사 앞에 위치하여 그 정도가 매우 강함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너무"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너무 터무니없다"는 뜻을 강조합니다.
자막 #1527 | 01:01:28,458 → 01:01:29,833
行 我认
🇰🇷 한글번역
알겠어, 내가 인정할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괜찮다, 좋다 HSK1 我 wǒ 나, 저 HSK1 认 rèn 알다, 인정하다 HSK4

📚 문법
주어 + 동사: 간단한 주어와 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입니다. 여기서는 "我认"이 "나는 인정한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528 | 01:01:29,833 → 01:01:31,333
那拖欠薪水的时候
🇰🇷 한글번역
임금을 체불할 때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HSK2 拖欠 tuōqiàn 미루다, 연체하다 HSK6 薪水 xīnshuǐ 급여, 월급 HSK5 的 de ~의 HSK1 时候 shíhou 때 HSK2

📚 문법
时间词: "的时候"는 특정한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어떤 일이 발생하는 시점을 나타냅니다.
형태: 动作/상황 + 的时候 (급여를 연체할 때)
자막 #1529 | 01:01:31,333 → 01:01:32,916
-又让我们目光放远点 -你投哪去了
🇰🇷 한글번역
- 우리 시야를 좀 더 멀리 두자 - 너 어디에 투자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又 yòu 또, 다시 HSK2 让 ràng ~하게 하다 HSK2 我们 wǒmen 우리 HSK1 目光 mùguāng 시선, 눈길 HSK5 放远 fàng yuǎn 멀리 두다 (HSK 비급수)

📚 문법
- 让字句: '让'은 사역동사로,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거나 허락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让 + 대상 + 동사 (우리가 시선을 멀리 두게 하다)

- 疑问句: 의문문으로, 질문을 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의문사) (너는 어디에 투표했니?)
자막 #1530 | 01:01:32,916 → 01:01:34,625
-说别总惦记钱 -前台
🇰🇷 한글번역
- 돈만 생각하지 말라고 해 - 프론트 데스크
🎯 AI 분석 결과
🔍 어휘
说 shuō 말하다 HSK1 别 bié ~하지 마라 HSK2 总 zǒng 항상, 늘 HSK3 惦记 diàn jì 걱정하다, 염려하다 HSK6 钱 qián 돈 HSK1 前台 qián tái 프런트, 리셉션 HSK5

📚 문법
부정 명령문: "别 + 동사" 형태로, "~하지 마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문장에서 "别总惦记钱"은 "항상 돈 걱정하지 마라"라는 뜻입니다.
자막 #1531 | 01:01:35,916 → 01:01:37,666
九九六是为了避开晚高峰
🇰🇷 한글번역
구구육은 저녁 교통 혼잡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九 jiǔ 아홉 HSK1 六 liù 여섯 HSK1 是 shì ~이다 HSK1 为了 wèi le ~하기 위해서 HSK3 避开 bì kāi 피하다 HSK4

📚 문법
为了: 목적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하기 위해서"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주로 문장의 앞부분에 위치하여 목적을 강조합니다.
형태: 为了 + 목적 + 동사 (예: 为了避开晚高峰, 저녁 교통 혼잡을 피하기 위해서)
자막 #1532 | 01:01:37,666 → 01:01:39,333
内卷是为了增强竞争力
🇰🇷 한글번역
내전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内卷 nèi juǎn 내적 경쟁, 과도한 경쟁 (HSK 비등재)
为了 wèi le ~을 위해 (HSK3)
增强 zēng qiáng 강화하다, 증강하다 (HSK5)
竞争力 jìng zhēng lì 경쟁력 (HSK 비등재)

📚 문법
목적을 나타내는 문장: "为了"는 목적이나 이유를 나타내며, 뒤에 오는 동작이나 상태가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것임을 설명합니다.
형태: 为了 + 목적 + 동사구 (내적 경쟁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자막 #1533 | 01:01:39,333 → 01:01:41,041
连开除个人都是为了人才回馈社会
🇰🇷 한글번역
개인을 해고하는 것조차도 인재가 사회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连 lián 심지어 HSK4 开除 kāi chú 해고하다 HSK6 个人 gè rén 개인 HSK3 都是 dōu shì 모두 HSK1 为了 wèi le ~을 위해 HSK3

📚 문법
连...都...: "심지어 ...조차도 ..."라는 의미로, 강조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심지어 개인을 해고하는 것조차도"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534 | 01:01:41,041 → 01:01:42,166
把电源拔掉
🇰🇷 한글번역
전원을 뽑아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把 bǎ 을/를 HSK3
电源 diànyuán 전원 HSK5
拔掉 bádiào 뽑다, 빼다 HSK6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전원을 뽑다)

이 문장은 '전원을 뽑다'라는 동작의 결과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把'는 목적어인 '电源(전원)'을 동사 '拔掉(뽑다)' 앞에 위치시켜 동작의 대상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자막 #1535 | 01:01:42,708 → 01:01:43,250
直接拔掉
🇰🇷 한글번역
직접 뽑아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直接 zhíjiē 직접 HSK4 拔掉 bádiào 뽑다, 빼다 (HSK 급수 없음)

📚 문법
동사구: "直接"는 부사로 사용되어 동작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짐을 강조합니다. "拔掉"는 동사로, 어떤 것을 물리적으로 뽑거나 제거하는 행동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은 "직접 뽑아라"라는 의미로, 어떤 물건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라는 지시를 나타냅니다.
자막 #1536 | 01:01:43,250 → 01:01:44,708
你能不能别对我好了
🇰🇷 한글번역
너 나한테 잘해주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别 bié ~하지 마라 HSK2 对 duì ~에 대해 HSK2 好 hǎo 잘, 좋다 HSK1

📚 문법
可能보어: "能"은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며, 주어가 어떤 행동을 할 수 있는지를 표현합니다.
부정명령문: "别"는 명령이나 요청을 부정하는 표현으로, "~하지 마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형태: 主语 + 别 + 동사 + (목적어) (너는 나에게 잘하지 마라)
자막 #1537 | 01:01:44,708 → 01:01:46,625
你对你自己好点吧
🇰🇷 한글번역
너 자신을 좀 더 아껴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对 duì ~에 대해 HSK2 自己 zìjǐ 자기 자신 HSK3 好 hǎo 잘 HSK1 点 diǎn 조금 HSK2

📚 문법
명령문: 상대방에게 행동을 권유하거나 명령하는 문장입니다. 여기서는 "对...好点" 구조를 사용하여 "자기 자신에게 잘 대해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好点"은 "좀 더 잘"이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더 나은 대우를 권장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538 | 01:01:46,625 → 01:01:48,500
劳动节还让我们免费劳动
🇰🇷 한글번역
노동절에 우리를 무료로 일하게 하다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劳动节 láo dòng jié 노동절 HSK5 还 hái 여전히, 아직도 HSK3 让 ràng ~하게 하다 HSK2 免费 miǎn fèi 무료로 HSK4 劳动 láo dòng 노동하다 HSK4

📚 문법
1. 让字句: '让'은 '시키다, ~하게 하다'의 의미로, 사역의 의미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 형태: 주어 + 让 + 대상 + 동사 (노동절에 우리를 무료로 노동하게 한다)

2. 还의 사용: '还'은 '여전히, 아직도'의 의미로, 어떤 상황이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예문: 还让我们 (여전히 우리를 시킨다)
자막 #1539 | 01:01:48,500 → 01:01:50,166
天天就知道给我们画大饼
🇰🇷 한글번역
맨날 우리에게 헛된 약속만 하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天天 tiāntiān 매일 HSK3 知道 zhīdào 알다 HSK1 给 gěi ~에게 HSK2 我们 wǒmen 우리 HSK1 画 huà 그리다 HSK4 大饼 dàbǐng 큰 떡 (비유적으로: 헛된 약속이나 계획)

📚 문법
1. "天天"는 빈도부사로, '매일'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동작이나 상태의 반복을 나타냅니다.
2. "就"는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어,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지속적이거나 빈번하게 일어남을 강조합니다.
3. "给"는 수여동사로 사용되어, '누구에게 무엇을 하다'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우리에게'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4. "画大饼"은 중국어에서 비유적으로 '헛된 약속이나 계획을 제시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540 | 01:01:50,166 → 01:01:51,041
你这么爱画饼
🇰🇷 한글번역
너는 그렇게 허황된 약속을 좋아하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么 zhème 이렇게 HSK3 爱 ài 사랑하다, 좋아하다 HSK1 画饼 huà bǐng 헛된 약속을 하다, 공허한 계획을 세우다 (비유적 표현)

📚 문법
비유적 표현: "画饼"은 문자 그대로 "떡을 그리다"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실현 가능성이 낮은 계획이나 약속을 의미하는 비유적 표현입니다. 이는 한국어의 "헛된 약속"이나 "공허한 계획"과 유사한 표현입니다.
자막 #1541 | 01:01:51,041 → 01:01:52,583
干脆去当厨师去吧
🇰🇷 한글번역
차라리 요리사가 되는 게 어때?
🎯 AI 분석 결과
🔍 어휘
干脆 gān cuì 차라리, 아예 HSK4 去 qù 가다 HSK1 当 dāng 되다, 맡다 HSK3 厨师 chú shī 요리사 HSK4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제안을 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 (吧) (차라리 요리사가 되러 가라)

이 문장에서는 "去"가 두 번 사용되어 강조의 의미를 더하고 있으며, "吧"는 제안을 부드럽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1542 | 01:01:52,583 → 01:01:53,500
不准笑
🇰🇷 한글번역
웃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准 bù zhǔn 허락하지 않다, 금지하다 HSK4 笑 xiào 웃다 HSK1

📚 문법
부정 명령문: 중국어에서 "不准"은 금지나 허락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형태: 不准 + 동사 (웃지 마라)
자막 #1543 | 01:01:53,583 → 01:01:54,583
不准笑
🇰🇷 한글번역
웃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准 bù zhǔn 허락하지 않다, 금지하다 HSK4 笑 xiào 웃다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不准'은 금지나 허락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뒤에 동사가 와서 특정 행동을 금지하는 명령문을 형성합니다.
형태: 不准 + 동사 (웃지 마라)
자막 #1544 | 01:01:54,666 → 01:01:55,458
不准笑
🇰🇷 한글번역
웃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准 bù zhǔn 허락하지 않다, 금지하다 HSK4 笑 xiào 웃다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금지를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不准 + 동사 (웃지 마라)

이 문장은 "웃지 마라"라는 명령을 표현하며, 상대방에게 특정 행동을 하지 말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자막 #1545 | 01:01:55,458 → 01:01:56,958
姓郎的 你给我听好了
🇰🇷 한글번역
랑 씨, 잘 들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姓 xìng 성 HSK2
郎 láng (성씨)
你 nǐ 너 HSK1
给 gěi ~에게 HSK2
听 tīng 듣다 HSK1
好 hǎo 잘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目的어 + 好 (너는 잘 들어라)

이 문장은 "郎씨, 너는 내 말을 잘 들어라"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주의를 기울여 듣도록 명령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546 | 01:01:56,958 → 01:01:59,041
我不是为你活的 我是为我自己活的
📝 한어병음
wǒ bù shì wèi nǐ huó de wǒ shì wèi wǒ zì jǐ huó de
🇰🇷 한글번역
나는 너를 위해 사는 게 아니야, 나는 나 자신을 위해 사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不是 bú shì 아니다 HSK1 为 wèi ~을 위해 HSK3 你 nǐ 너 HSK1 活 huó 살다 HSK4

📚 문법
"为"는 목적이나 이유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전치사입니다.
형태: 为 + 명사/대명사 + 동사 (나는 너를 위해 사는 것이 아니다, 나는 나 자신을 위해 산다)

이 문장에서 "我不是为你活的"는 "나는 너를 위해 사는 것이 아니다"라는 뜻으로, "为"는 목적을 나타내며, "的"는 동사 뒤에 붙어 명사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我是为我自己活的"는 "나는 나 자신을 위해 산다"라는 뜻으로, 동일한 구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막 #1547 | 01:01:59,041 → 01:02:00,791
-我今天还就豁出去了 -这种人简直是无可救药
🇰🇷 한글번역
- 오늘은 정말 각오했어. - 이런 사람은 정말 구제불능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今天 jīn tiān 오늘 HSK1 豁出去 huō chū qù 감수하다, 무릅쓰다 HSK6 这种 zhè zhǒng 이런 HSK3 人 rén 사람 HSK1

无可救药 wú kě jiù yào 구제불능이다, 가망이 없다 HSK6 简直 jiǎn zhí 그야말로, 정말로 HSK4

📚 문법
- "豁出去"는 "감수하다, 무릅쓰다"라는 뜻으로, 어떤 결정을 내릴 때 망설임 없이 행동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 "无可救药"는 "구제불능이다"라는 뜻으로, 어떤 상황이나 사람이 더 이상 개선될 가능성이 없음을 강조합니다. 이 표현은 주로 부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简直"는 "그야말로, 정말로"라는 뜻으로, 어떤 사실이나 상황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548 | 01:02:00,791 → 01:02:02,916
老子不干了
🇰🇷 한글번역
나 그만둘래.
🎯 AI 분석 결과
🔍 어휘
老子 lǎo zi 나, 아빠 (구어체)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干 gàn 하다, 일하다 HSK3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 不字句: 부정을 나타내는 문장으로, 동사 앞에 "不"를 사용하여 동작이나 상태의 부정을 표현합니다.
- 了字句: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了"를 사용하여 문장이 끝났음을 나타냅니다.
- 구어체 표현: "老子"는 자신을 가리키는 구어체 표현으로, 주로 남성들이 강한 어조로 자신의 의지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不干了"는 "일을 그만두겠다"는 의미로, 더 이상 그 일을 하지 않겠다는 결심을 나타냅니다.
자막 #1549 | 01:02:03,583 → 01:02:04,458
无可救药
🇰🇷 한글번역
구제불능
🎯 AI 분석 결과
🔍 어휘
无 wú 없다 HSK3 可 kě 가능하다 HSK2 救 jiù 구하다 HSK4 药 yào 약 HSK2

📚 문법
성어: 无可救药 (wú kě jiù yào)은 "구제할 방법이 없다"는 뜻의 중국어 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상황이 매우 심각하여 더 이상 해결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성어는 고정된 표현으로, 문장 내에서 주로 형용사처럼 사용됩니다.
자막 #1550 | 01:02:18,083 → 01:02:19,666
好 说得好
🇰🇷 한글번역
좋아, 잘 말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잘, 좋다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得 de 동사와 보어를 연결하는 구조조사 HSK2

📚 문법
得字句: 중국어에서 동사와 보어를 연결하여 동작의 정도나 상태를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得 + 형용사 (말을 잘했다)
자막 #1551 | 01:02:21,416 → 01:02:22,583
你干嘛呢
🇰🇷 한글번역
뭐 하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干嘛 gàn má 무엇을 하다, 왜 HSK5

📚 문법
의문문: "干嘛"는 "무엇을 하다" 또는 "왜"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행동이나 의도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干嘛 (너는 무엇을 하고 있니?)
자막 #1552 | 01:02:22,875 → 01:02:23,958
下来
🇰🇷 한글번역
내려와
🎯 AI 분석 결과
🔍 어휘
下 xià 아래 HSK1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복합 방향 보어: '下来'는 동작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거나, 어떤 상태가 지속되거나 완성됨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下来 (예: 坐下来 - 앉다, 기억이 나다)
자막 #1553 | 01:02:23,958 → 01:02:26,083
一直在这嚷嚷
🇰🇷 한글번역
계속 여기서 소리치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直 yīzhí 계속해서 HSK3 在 zài ~에, ~에서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嚷嚷 rāngrang 떠들다, 소란을 피우다 (HSK 비급수)

📚 문법
지속의 표현: '一直'는 동작이나 상태가 계속됨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형태: 一直 + 동사 (계속해서 ~하다)

이 문장에서 "一直在这嚷嚷"은 "계속해서 여기서 떠들다"라는 의미로, 특정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어떤 행동을 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1554 | 01:02:26,083 → 01:02:27,625
还有没有素质啊
🇰🇷 한글번역
예의가 있긴 한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아직, 여전히 HSK2 有 yǒu 있다 HSK1 没有 méi yǒu 없다 HSK1 素质 sù zhì 소양, 품질 HSK5

📚 문법
정도부사 "还": "还"은 '아직', '여전히'의 의미로,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상태나 동작이 계속됨을 나타냅니다.
의문문: "还有没有"는 '아직 있나요?'라는 의미로, 어떤 상태나 품질이 여전히 존재하는지를 묻는 표현입니다.
자막 #1555 | 01:02:27,625 → 01:02:28,625
你有公德心吗
🇰🇷 한글번역
당신은 공공의식을 가지고 있습니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有 yǒu 있다 HSK1 公德心 gōng dé xīn 공공정신, 공공심 HSK6 吗 ma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의문문: "吗"는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 문장 끝에 붙여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너는 공공정신이 있니?)
자막 #1556 | 01:02:28,625 → 01:02:30,250
怎么还把音乐打开了 赶紧出去
🇰🇷 한글번역
왜 음악을 틀었어? 빨리 나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 me 어떻게 HSK2 还 hái 아직도 HSK2 把 bǎ 을/를 HSK3 音乐 yīn yuè 음악 HSK3 打开 dǎ kāi 열다, 켜다 HSK3

📚 문법
1. 把字句: '把'는 동작의 대상을 강조하는 문장 구조로, 목적어를 동사 앞에 두어 동작의 결과나 영향을 나타냅니다.
-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음악을 켜다)

2. 赶紧: '赶紧'은 '서둘러, 빨리'라는 뜻으로, 동작을 신속하게 수행할 것을 촉구하는 표현입니다.
- 예: 赶紧出去 (빨리 나가다)
자막 #1557 | 01:02:33,500 → 01:02:34,416
你是要开演唱会啊
🇰🇷 한글번역
너 콘서트 열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是 shì 이다 HSK1 要 yào 하려 하다 HSK2 开 kāi 열다, 개최하다 HSK3 演唱会 yǎnchànghuì 콘서트 HSK5

📚 문법
是...啊: 중국어에서 감탄이나 강조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是"는 강조를, "啊"는 감탄을 나타냅니다.
형태: 是 + 동사/형용사 + 啊 (너는 콘서트를 열려는 거구나!)
자막 #1558 | 01:02:34,416 → 01:02:35,625
赶紧走 赶紧走
📝 한어병음
gǎn jǐn zǒu gǎn jǐn zǒu
🇰🇷 한글번역
빨리 가, 빨리 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赶紧 gǎn jǐn 서둘러, 급히 HSK4 走 zǒu 가다, 떠나다 HSK1

📚 문법
중첩된 동사: "赶紧走 赶紧走"는 동사를 반복하여 긴박함이나 강조를 나타냅니다. 이 구조는 행동의 긴급함을 강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서둘러 가다, 서둘러 가다"라는 의미로, 상황의 긴박함을 전달합니다.
자막 #1559 | 01:02:46,041 → 01:02:46,916
阿力
🇰🇷 한글번역
아리
🎯 AI 분석 결과
🔍 어휘
阿 ā 접두사, 친근함을 나타냄 (HSK 비해당) 力 lì 힘, 능력 HSK2

📚 문법
명사 앞에 "阿"를 붙여 친근함이나 애칭을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阿力"는 "힘"이라는 뜻의 "力"에 친근한 느낌을 더해주는 표현입니다. 이는 사람 이름이나 별명으로도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560 | 01:02:50,125 → 01:02:50,916
姑娘
🇰🇷 한글번역
소녀
🎯 AI 분석 결과
🔍 어휘
姑娘 gū niang 아가씨, 처녀 HSK4

📚 문법
명사: '姑娘'은 주로 젊은 여성을 가리키는 명사로 사용됩니다. 문맥에 따라 '아가씨', '처녀' 등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HSK4 수준의 어휘로,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561 | 01:02:51,791 → 01:02:53,166
你光哥回来了
🇰🇷 한글번역
너의 형이 돌아왔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光 guāng 빛, 단지 HSK4 哥 gē 형, 오빠 HSK1 回来 huí lái 돌아오다 HSK2

📚 문법
주어 + 동사 + 결과보어: 이 문장은 주어가 동작을 완료했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결과보어 (너의 형이 돌아왔다)
자막 #1562 | 01:02:53,625 → 01:02:55,125
一会接咱们走
🇰🇷 한글번역
잠시 후에 우리를 데리러 올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会 yī huì 잠시 후에 HSK3 接 jiē 맞이하다, 마중하다 HSK3 咱们 zán men 우리(들) HSK2 走 zǒu 가다 HSK1

📚 문법
시간 부사: "一会"는 '잠시 후에'라는 뜻으로, 미래의 어떤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 부사로 사용됩니다.
주어 생략: 이 문장에서는 주어가 생략되어 있으며, 문맥상 '누군가가 우리를 마중 나올 것이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1563 | 01:03:00,791 → 01:03:02,250
你给谁发信息呢
🇰🇷 한글번역
너 누구한테 메시지 보내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给 gěi ~에게 HSK2 谁 shéi 누구 HSK2 发 fā 보내다 HSK3 信息 xìn xī 정보, 메시지 HSK3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사를 사용하여 질문을 형성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给 + 누구(의문사) + 동사 + 목적어 (너는 누구에게 메시지를 보내니?)
자막 #1564 | 01:03:03,291 → 01:03:03,958
我告诉你
🇰🇷 한글번역
내가 너에게 말할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告诉 gào su 말하다, 알리다 HSK2 你 nǐ 너, 당신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입니다.
예문: 我告诉你 (나는 너에게 말한다)
자막 #1565 | 01:03:03,958 → 01:03:05,708
不许和姓万那个骗子再联系
🇰🇷 한글번역
만 씨라는 사기꾼과 다시는 연락하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许 bù xǔ 허락하지 않다 HSK4 和 hé ~와/과 HSK1 姓 xìng 성 HSK2 骗子 piàn zi 사기꾼 HSK6 联系 lián xì 연락하다 HSK3

📚 문법
부정 명령문: "不许"는 금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해서는 안 된다"라는 의미입니다. 주로 명령이나 지시에서 사용됩니다.
형태: 不许 + 동사 + 목적어 (사기꾼과 다시 연락해서는 안 된다)
자막 #1566 | 01:03:05,708 → 01:03:06,750
听见没有
🇰🇷 한글번역
들리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听 tīng 듣다 HSK1 见 jiàn 보다, 들리다 HSK2 没有 méi yǒu 없다 HSK1

📚 문법
동사 중첩: "听见"은 '듣다'와 '보다'의 결합으로, '들리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감각 동사의 중첩으로, 어떤 소리가 들렸는지를 묻거나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567 | 01:03:06,875 → 01:03:08,000
听见没有
🇰🇷 한글번역
들리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听见 tīng jiàn 듣다 HSK3 没有 méi yǒu 없다 HSK1

📚 문법
동사 + 결과보어: '听见'은 '듣다'라는 동사 '听'과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 '见'이 결합하여 '들리다' 또는 '듣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는 동작의 결과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568 | 01:03:10,500 → 01:03:11,416
兄弟
🇰🇷 한글번역
형제
🎯 AI 분석 결과
🔍 어휘
兄 xiōng 형 HSK2 弟 dì 아우, 동생 HSK2

📚 문법
명사: '兄弟'는 '형제'를 의미하며, 형과 동생을 모두 포함하는 단어입니다. 중국어에서 가족 관계를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569 | 01:03:11,416 → 01:03:12,416
把房退了
🇰🇷 한글번역
방을 취소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把 bǎ 을/를 HSK3
房 fáng 방 HSK2
退 tuì 반환하다, 퇴실하다 HSK4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방을 퇴실했다)

이 문장에서 "把房退了"는 "방을 퇴실했다"는 의미로, '把'를 사용하여 '방'이라는 목적어가 '퇴실하다'라는 동작의 영향을 받았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1570 | 01:03:14,750 → 01:03:16,375
我把箱子放车上去啊
🇰🇷 한글번역
제가 상자를 차에 올릴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把 bǎ 을/를 HSK3 箱子 xiāng zi 상자, 박스 HSK3 放 fàng 놓다, 두다 HSK2 车 chē 차, 차량 HSK1 上去 shàng qù 올라가다 HSK3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방향보어 (나는 상자를 차 위에 올려 놓는다)

방향보어: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는 보어로, '上去'는 '올라가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막 #1571 | 01:03:18,916 → 01:03:20,875
你光哥会陪我们找阿力啊
🇰🇷 한글번역
광거 형이 우리랑 같이 아리를 찾으러 가줄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光 guāng 단지, 오직 HSK4 哥 gē 형, 오빠 HSK1 会 huì 할 수 있다 HSK2 陪 péi 동행하다 HSK4 我们 wǒmen 우리 HSK1 找 zhǎo 찾다 HSK2 阿力 Ā lì (이름)

📚 문법
- 会 (huì): 능력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는 "光哥가 우리를 동행할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문장 구조: 주어 + 会 + 동사 + 목적어 (光哥会陪我们找阿力)
자막 #1572 | 01:03:20,875 → 01:03:23,333
427这是425转你的快递
🇰🇷 한글번역
427번은 425번이 당신에게 보낸 택배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转 zhuǎn 전달하다, 전하다 HSK4 你 nǐ 너 HSK1 快递 kuài dì 택배 HSK4

📚 문법
这是: "이것은 ~이다"라는 의미로,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설명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这是 + 명사 (이것은 너의 택배이다)

转你的: "너에게 전하다"라는 의미로, 동사와 목적어를 연결하여 동작의 대상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전하다 + 너의 택배)
자막 #1573 | 01:03:23,333 → 01:03:24,291
我的
🇰🇷 한글번역
나의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的 de ~의 (소유를 나타냄) HSK1

📚 문법
소유격: '的'는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조사로, 명사 앞에 위치하여 소유 관계를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的 + 명사 (나의 것)
자막 #1574 | 01:04:38,875 → 01:04:39,916
周微雨
🇰🇷 한글번역
주미우
🎯 AI 분석 결과
죄송합니다. "周微雨"는 특정한 문장이나 구문이 아니며, 문맥이 부족하여 분석하기 어렵습니다. 만약 특정한 문장이나 구문을 제공해주시면, 그에 대한 어휘와 문법 분석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막 #1575 | 01:04:40,708 → 01:04:41,375
📝 한어병음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 bà 아빠 HSK1

📚 문법
단어 "爸"는 명사로, 가족 구성원 중 '아빠'를 의미합니다. 이는 일상적인 대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로, HSK1 수준의 기본 어휘입니다.
자막 #1576 | 01:04:42,083 → 01:04:43,958
怎么说都不听是吧
📝 한어병음
zěn me shuō dōu bù tīng shì ba
🇰🇷 한글번역
아무리 말해도 안 듣는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都 dōu 모두, 전부 HSK1 不 bù 아니다 HSK1 听 tīng 듣다 HSK1

📚 문법
反问句: 반문문으로, 상대방의 행동이나 말을 강조하거나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陈述句 + 是吧 (말해도 듣지 않는 거지?)
이 문장에서는 상대방이 말을 듣지 않는 상황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1577 | 01:04:43,958 → 01:04:46,416
今天你要让这个玩意给你骗了
📝 한어병음
jīn tiān nǐ yào ràng zhè gè wán yì gěi nǐ piàn liǎo
🇰🇷 한글번역
오늘 이 물건에게 속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今天 jīntiān 오늘 HSK1 你 nǐ 너 HSK1 要 yào 해야 한다, 필요하다 HSK2 让 ràng ~하게 하다 HSK3 骗 piàn 속이다 HSK4

📚 문법
사역문: '让'은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거나 허락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형태: 让 + 주어 + 동사 (오늘 너는 이 물건에게 속임을 당할 것이다)

이 문장에서 '让'은 '속임을 당하다'라는 수동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578 | 01:04:46,416 → 01:04:48,583
以后你就永远别管我叫爸
🇰🇷 한글번역
앞으로는 나를 아빠라고 부르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以后 yǐ hòu 이후, 나중에 HSK3
永远 yǒng yuǎn 영원히 HSK4
别 bié ~하지 마라 HSK2
管 guǎn 부르다, 관리하다 HSK4
叫 jiào 부르다 HSK1
爸 bà 아빠 HSK1

📚 문법
1. "以后"는 시간 부사로, '이후에', '나중에'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문장의 시작이나 중간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
2. "永远"은 부사로, '영원히'라는 뜻을 가지며, 주로 부정문에서 사용되어 영원히 어떤 행동을 하지 않음을 강조합니다.
3. "别"는 명령문에서 사용되어 '하지 마라'라는 부정 명령을 나타냅니다.
4. "管...叫..."는 '~를 ...라고 부르다'라는 표현으로, 누군가를 특정 호칭으로 부를 때 사용됩니다.
자막 #1579 | 01:05:13,333 → 01:05:14,500
你干吗去
🇰🇷 한글번역
너 어디 가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干吗 gànmá 무엇을 하다, 왜 HSK4
去 qù 가다 HSK1

📚 문법
의문문: "干吗"는 "무엇을 하다" 또는 "왜"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행동이나 의도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干吗 + 동사 (너는 어디 가니?)
자막 #1580 | 01:05:16,166 → 01:05:17,958
你怎么这么不听话
🇰🇷 한글번역
너 왜 이렇게 말을 안 들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这么 zhème 이렇게 HSK3 不 bù 아니다 HSK1 听话 tīnghuà 말을 듣다 HSK4

📚 문법
정도부사: "这么"는 정도를 강조하는 부사로, 형용사나 동사 앞에 위치하여 그 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这么 + 형용사/동사 (어떻게 이렇게 말을 안 듣니)
자막 #1581 | 01:05:27,791 → 01:05:28,666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 bà 아빠 HSK1

📚 문법
명사: '爸'는 가족 구성원을 나타내는 명사로, '아빠'라는 뜻입니다. 중국어에서 가족을 부를 때 자주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자막 #1582 | 01:05:29,500 → 01:05:31,375
我从来都不怕你
🇰🇷 한글번역
나는 결코 너를 두려워하지 않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从来 cóng lái 지금까지, 여태껏 HSK4 都 dōu 모두, 전부 HSK1 不怕 bù pà 두렵지 않다 HSK3 你 nǐ 너 HSK1

📚 문법
부정문: "从来都不"는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상태나 행동이 변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여기서는 "나는 여태껏 너를 두려워한 적이 없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583 | 01:05:32,500 → 01:05:34,041
我只是在乎你
🇰🇷 한글번역
나는 단지 당신을 신경 쓸 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只是 zhǐ shì 단지, 다만 HSK4
在乎 zài hū 신경 쓰다, 마음에 두다 HSK5
你 nǐ 너 HSK1

📚 문법
주어 + 只是 + 동사/형용사: "단지 ~일 뿐이다"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단순함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예문: 我只是开玩笑。 (나는 단지 농담을 한 것뿐이다.)

在乎: '신경 쓰다', '마음에 두다'라는 뜻으로, 감정이나 관심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我很在乎你的想法。 (나는 너의 생각을 매우 신경 쓴다.)
자막 #1584 | 01:05:48,416 → 01:05:49,000
先生
🇰🇷 한글번역
선생님
🎯 AI 분석 결과
🔍 어휘
先生 xiān shēng 선생님, ~씨 HSK1

📚 문법
호칭: "先生"은 존칭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남성을 부를 때 사용합니다. 한국어의 "~씨"나 "선생님"에 해당합니다.
자막 #1585 | 01:05:49,000 → 01:05:50,583
这个 退你的押金
🇰🇷 한글번역
이것은 당신의 보증금을 반환하는 것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个 gè 개, 명 (양사) HSK1
退 tuì 반환하다, 돌려주다 HSK4
你 nǐ 너, 당신 HSK1
押金 yājīn 보증금 HSK5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这个"가 주어, "退"가 동사, "你的押金"이 목적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문장은 "이것은 당신의 보증금을 돌려주는 것입니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1586 | 01:05:53,041 → 01:05:54,041
小雨
🇰🇷 한글번역
가랑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雨 yǔ 비 HSK2

📚 문법
명사구: "小雨"는 "작은 비"라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가랑비나 이슬비를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는 형용사 "小"가 명사 "雨" 앞에 위치하여 비의 크기를 설명합니다.
자막 #1587 | 01:06:06,625 → 01:06:07,583
你好
🇰🇷 한글번역
안녕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好 hǎo 좋다, 안녕하세요 HSK1

📚 문법
인사 표현: "你好"는 중국어에서 가장 기본적인 인사말로, "안녕하세요"라는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처음 만났을 때나 일상적인 인사로 사용됩니다.
자막 #1588 | 01:06:07,583 → 01:06:08,125
麻烦问一下
🇰🇷 한글번역
실례합니다만, 여쭤볼게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麻烦 má fan 번거롭게 하다 HSK4 问 wèn 묻다, 질문하다 HSK1 一下 yí xià 한번, 잠시 HSK2

📚 문법
"一下"는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이 짧게 이루어짐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주로 동작의 가벼움을 나타내거나 정중한 요청을 할 때 사용합니다. (예: "잠시 묻겠습니다"라는 의미로 사용)
자막 #1589 | 01:06:08,125 → 01:06:09,958
看着我老公和我闺女没
🇰🇷 한글번역
내 남편과 내 딸을 봤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看着 kàn zhe 보고 있다 HSK3 我 wǒ 나, 저 HSK1 老公 lǎo gōng 남편 HSK5 闺女 guī nǚ 딸 HSK6 没 méi 없다 HSK1

📚 문법
동작의 진행: "着"는 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着 (보고 있다)

부정문: "没"는 과거의 경험이나 상태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형태: 没 + 동사 (없다)
자막 #1590 | 01:06:09,958 → 01:06:10,541
走了
🇰🇷 한글번역
갔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가다, 떠나다 HSK1

📚 문법
동작의 완료: "走了"는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며, "떠났다" 또는 "갔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중국어에서 "了"는 동작의 완료나 변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자막 #1591 | 01:06:10,666 → 01:06:11,166
走了
🇰🇷 한글번역
갔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가다, 떠나다 HSK1

📚 문법
동사 "走"는 이동이나 떠남을 나타내는 기본 동사입니다. 주로 주어가 장소를 떠나거나 이동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我走了"는 "나는 간다" 또는 "나는 떠난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1592 | 01:06:12,000 → 01:06:13,125
啥时候的事啊
🇰🇷 한글번역
언제 일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啥 shá 무엇, 무슨 HSK5 时候 shí hòu 때, 시각 HSK2 的 de ~의 (관형어 구조조사) HSK1 事 shì 일, 사건 HSK2 啊 a ~니? (문장 끝에 쓰여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형태: 의문사 + 주어/목적어 + 동사 + (기타 성분) + 啊?
(예: 什么时候的事啊? - 언제의 일이니?)

이 문장은 "언제의 일이니?"라는 의미로, 어떤 일이 발생한 시점을 묻는 질문입니다.
자막 #1593 | 01:06:15,541 → 01:06:16,458
他俩因为啥啊
🇰🇷 한글번역
그 둘은 왜 그러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因为 yīn wèi 때문에 HSK2
啥 shá 무엇, 무슨 (구어체) HSK6

📚 문법
- 因为...: 이유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접속사로, "왜냐하면..."이라는 뜻입니다. 뒤에 이유나 원인을 설명하는 절이 옵니다.
- 啥: "什么(shénme)"의 구어체 표현으로, 의문문에서 "무엇" 또는 "무슨"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1594 | 01:06:21,458 → 01:06:22,541
我闺女这么说的
🇰🇷 한글번역
우리 딸이 그렇게 말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闺女 guīnǚ 딸 HSK6 这么 zhème 이렇게 HSK3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구조: 일반적인 주어-동사-목적어 구조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대상을 나타냅니다.
예문: 我闺女这么说的 (내 딸이 이렇게 말했다)
자막 #1595 | 01:06:23,666 → 01:06:24,666
闺女哭了
🇰🇷 한글번역
딸이 울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闺女 guīnǚ 딸 HSK6 哭 kū 울다 HSK3

📚 문법
주어 + 동사 + 了: 了는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여기서는 "딸이 울었다"라는 완료된 상태를 표현합니다.
자막 #1596 | 01:06:28,250 → 01:06:29,500
周东海这么说话是吧
🇰🇷 한글번역
주동해가 이렇게 말하는 거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周 Zhōu 주 (성) HSK 없음 东海 Dōnghǎi 동해 (이름) HSK 없음 这么 zhème 이렇게 HSK3 说话 shuōhuà 말하다 HSK2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 是字句: "是"는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주어가 무엇인지, 어떤 상태인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 형태: 주어 + 是 + 서술어 (周东海는 이렇게 말합니다)
자막 #1597 | 01:06:29,625 → 01:06:30,125
嗯呢
🇰🇷 한글번역
응.
🎯 AI 분석 결과
🔍 어휘
嗯呢: 이 표현은 주로 구어체에서 사용되며, "응", "그래"와 같은 긍정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HSK 급수는 없습니다.

📚 문법
중국어에서 "嗯呢"는 특별한 문법 구조를 갖고 있지 않으며, 주로 대화 중 상대방의 말을 긍정하거나 동의할 때 사용되는 감탄사입니다. 한국어의 "응", "그래"와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자막 #1598 | 01:06:30,666 → 01:06:32,125
胆肥了他
🇰🇷 한글번역
그는 간이 부었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胆 dǎn 담력, 용기 HSK6
肥 féi 살찌다, 두껍다 HSK5
了 le 완료, 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他 tā 그, 그 사람 HSK1

📚 문법
주어 + 형용사 + 了: 중국어에서 형용사 뒤에 '了'를 붙여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胆肥了他'라는 표현이 '그가 용감해졌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胆肥'는 직역하면 '담력이 두꺼워졌다'라는 뜻으로, 비유적으로 '용감해졌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599 | 01:06:32,583 → 01:06:33,583
我看看
🇰🇷 한글번역
제가 볼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看看 kàn kan 보다 (한번 보다) HSK1

📚 문법
동사 중첩: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동사 (나는 한번 본다)
자막 #1600 | 01:06:40,958 → 01:06:41,666
来 来 来
🇰🇷 한글번역
와 와 와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중국어에서 "来"는 기본적으로 '오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사람이나 사물이 화자 쪽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반복해서 사용될 경우, 주의를 끌거나 상대방을 부르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来 来 来"는 "이리 와" 또는 "여기 와"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다가오도록 요청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601 | 01:06:41,666 → 01:06:42,416
都上来吧
🇰🇷 한글번역
모두 올라오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上来 shàng lái 올라오다 HSK3 吧 ba ~하자 (제안) HSK1

📚 문법
제안문: 중국어에서 "吧"는 제안이나 권유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吧 (모두 올라오자)
자막 #1602 | 01:06:42,708 → 01:06:43,583
歇会
🇰🇷 한글번역
잠깐 쉬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歇 xiē 쉬다 HSK4 会 huì 잠시, 잠깐 HSK3

📚 문법
동사 + 会: 여기서 "歇会"는 "잠시 쉬다"라는 의미로, "会"는 시간의 짧음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잠깐" 또는 "잠시"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603 | 01:06:45,083 → 01:06:46,250
刚炖好
🇰🇷 한글번역
갓 끓였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刚 gāng 방금, 막 HSK3 炖 dùn 삶다, 끓이다 HSK6 好 hǎo 잘, 완성되다 HSK1

📚 문법
동사 + 好: 동사 뒤에 "好"가 붙으면 동작이 잘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예: 炖好 (잘 삶아졌다, 잘 끓여졌다)
자막 #1604 | 01:06:46,250 → 01:06:47,625
赶紧吃啊
🇰🇷 한글번역
빨리 먹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赶紧 gǎn jǐn 서둘러, 급히 HSK4 吃 chī 먹다 HSK1 啊 a 문장 끝에 쓰여 어기를 나타냄 HSK2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동작을 재촉하거나 권유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啊 (서둘러 먹어라)
자막 #1605 | 01:06:47,833 → 01:06:49,500
吃完好干活
🇰🇷 한글번역
먹고 나서 일하기 좋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吃完 chī wán 먹다 끝내다 (동사구) 好 hǎo 잘 HSK1 干活 gàn huó 일하다, 작업하다 (동사구)

📚 문법
동사 + 结果补语: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를 사용하여 동작의 완성을 강조합니다.
형태: 동사 + 결과보어 (먹고 나서 일을 잘하다)

이 문장에서 "吃完"은 "먹다"라는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고, "好干活"는 "일을 잘하다"라는 의미로, 앞의 동작이 완료된 후의 상태를 설명합니다.
자막 #1606 | 01:06:50,875 → 01:06:53,291
这个是咱们新开辟的业务板块
🇰🇷 한글번역
이것은 우리가 새로 개척한 사업 부문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个 zhè ge 이것 HSK1 咱们 zán men 우리 HSK2 新 xīn 새로운 HSK2 开辟 kāi pì 개척하다, 열다 HSK6 业务 yè wù 업무 HSK4 板块 bǎn kuài 판, 블록 HSK6

📚 문법
주어 + 是 + 명사구: 중국어에서 '是'는 주어와 명사구를 연결하여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 这个是 + 명사구 (이것은 우리의 새로운 업무 블록입니다)
자막 #1607 | 01:06:53,291 → 01:06:55,416
变现还需要一定时间
🇰🇷 한글번역
현금화하려면 시간이 좀 더 필요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变现 biànxiàn 현금화하다 HSK6 还 hái 아직 HSK2 需要 xūyào 필요하다 HSK2 一定 yídìng 일정한, 반드시 HSK3 时间 shíjiān 시간 HSK1

📚 문법
부사 "还": "아직"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예문에서 "还需要"는 "아직 필요하다"라는 의미로, 어떤 일이 완료되기까지 시간이 더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자막 #1608 | 01:06:56,083 → 01:06:57,000
你们俩放心
🇰🇷 한글번역
너희 둘 안심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们 nǐmen 너희들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3 放心 fàngxīn 안심하다 HSK3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어를 생략하거나 강조할 수 있습니다.
형태: 주어 + 동사 (너희들 안심해라)
자막 #1609 | 01:06:57,000 → 01:06:58,791
有哥一口肉吃
🇰🇷 한글번역
형이 고기 한 입 먹는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哥 gē 형, 오빠 HSK1 一口 yī kǒu 한 입 HSK4 肉 ròu 고기 HSK2 吃 chī 먹다 HSK1

📚 문법
명사구: "一口肉"은 '한 입의 고기'라는 의미로, 명사 앞에 수량을 나타내는 표현이 붙어 명사구를 형성합니다.
형태: 수량사 + 명사 (한 입의 고기)

이 문장은 "형이 한 입의 고기를 먹는다"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1610 | 01:06:59,375 → 01:07:01,083
就必定有你俩的
🇰🇷 한글번역
반드시 너희 둘의 것이 있을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곧, 바로 HSK2 必定 bìdìng 반드시 HSK4 有 yǒu 있다 HSK1 你俩 nǐ liǎ 너희 둘 HSK4

📚 문법
주어 + 必定 + 동사: "반드시 ~하다"라는 의미로, 어떤 일이 확실히 일어날 것임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예문: 就必定有你俩的 (반드시 너희 둘이 있을 것이다)
자막 #1611 | 01:07:01,583 → 01:07:02,583
骨头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骨头 gǔ tóu 뼈 HSK4

📚 문법
이 문장은 단어 하나로 구성되어 있어 특별한 문법 패턴은 없습니다. "骨头"는 명사로, 신체의 "뼈"를 의미합니다. HSK4 수준의 어휘로, 일상 대화나 의학 관련 문맥에서 자주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1612 | 01:07:03,708 → 01:07:05,958
明天咱们再把那狗给炖了
🇰🇷 한글번역
내일 그 개를 다시 삶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明天 míng tiān 내일 HSK1 咱们 zán men 우리(들) HSK2 狗 gǒu 개 HSK3 炖 dùn 삶다, 끓이다 HSK6

📚 문법
把字句: '把'를 사용하여 목적어를 동사 앞에 두어 동작의 영향을 받는 대상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기타 성분 (내일 우리는 그 개를 삶을 것이다)
자막 #1613 | 01:07:05,958 → 01:07:06,708
我说啊
🇰🇷 한글번역
내가 말하자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啊 a 어기조사 (문장 끝에 쓰여 감탄, 동의, 요청 등의 어감을 나타냄) HSK2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탄, 동의, 요청 등의 어감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화자가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강조하는 느낌을 줍니다.
자막 #1614 | 01:07:06,708 → 01:07:08,500
咱们干完这票大的
🇰🇷 한글번역
우리 이 큰 일을 끝내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们 zánmen 우리 HSK2 干 gàn 하다, 일하다 HSK4 完 wán 끝내다, 완료하다 HSK3 这 zhè 이, 이것 HSK1 票 piào 표, 일 HSK5 大的 dà de 큰 것 HSK1

📚 문법
- 动宾结构: 동사와 목적어로 이루어진 구조입니다. "干完"은 "하다"와 "완료하다"의 결합으로, 어떤 일을 끝마친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这票大的: 여기서 "票"는 구어체로 어떤 일이나 작업을 의미하며, "大的"는 그 일이 크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这票大的"는 "이 큰 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1615 | 01:07:08,500 → 01:07:10,125
是不都能开跑车了
🇰🇷 한글번역
모두가 스포츠카를 탈 수 있는 건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HSK1 都 dōu 모두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开 kāi 운전하다 HSK1 跑车 pǎo chē 스포츠카 HSK5

📚 문법
反问句: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통해 반대의 의미를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是 + 不 + 동사 + ... + 了 (모두 스포츠카를 운전할 수 없다는 뜻인가요?)

이 문장은 반문 형태로, "모두 스포츠카를 운전할 수 없다는 뜻인가요?"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1616 | 01:07:10,125 → 01:07:12,833
咱以后终于能开跑车偷油了
🇰🇷 한글번역
우리 이제 드디어 스포츠카를 타고 기름을 훔칠 수 있게 됐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 zán 우리 HSK5 以后 yǐ hòu 이후, 나중에 HSK3 终于 zhōng yú 마침내, 드디어 HSK4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跑车 pǎo chē 스포츠카 HSK6

📚 문법
时间부사: "以后"는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며, 미래의 어느 시점을 가리킵니다. 문장에서 주로 시간 부사로 사용되어 동작이나 상태가 미래에 발생할 것임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以后 + 동사 (우리는 나중에 스포츠카를 탈 수 있다)

결과보어: "终于"는 어떤 일이 마침내 이루어졌음을 강조하는 부사로, 문장에서 동작의 결과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终于 + 동사 (마침내 우리가 스포츠카를 탈 수 있게 되었다)
자막 #1617 | 01:07:14,250 → 01:07:15,541
输油管道
🇰🇷 한글번역
송유관
🎯 AI 분석 결과
🔍 어휘
输 shū 운송하다, 수송하다 HSK5 油 yóu 기름 HSK2 管道 guǎn dào 파이프, 관 HSK5

📚 문법
합성어: "输油管道"는 "수송하다"라는 의미의 "输"와 "기름"이라는 의미의 "油", 그리고 "관"이라는 의미의 "管道"가 결합된 합성어입니다. 이는 "기름을 수송하는 파이프" 또는 "송유관"을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여러 단어가 결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막 #1618 | 01:07:15,541 → 01:07:17,125
有没有安全生产意识
🇰🇷 한글번역
안전 생산 의식이 있습니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没有 méi yǒu 없다 HSK1 安全 ān quán 안전 HSK3 生产 shēng chǎn 생산 HSK4 意识 yì shí 의식 HSK5

📚 문법
의문문: "有没有"는 존재 여부를 묻는 질문 형태로, "있습니까?" 또는 "없습니까?"로 해석됩니다.
형태: 有没有 + 명사 (안전 생산 의식이 있습니까?)
자막 #1619 | 01:07:17,625 → 01:07:18,583
说到安全
🇰🇷 한글번역
안전에 대해 말하자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说到 shuō dào 말하다, 언급하다 HSK4 安全 ān quán 안전 HSK3

📚 문법
주제+到: "말하다" 또는 "언급하다"라는 의미로, 특정 주제나 화제를 꺼낼 때 사용합니다.
형태: 说到 + 주제 (안전에 대해 말하자면)
자막 #1620 | 01:07:18,708 → 01:07:20,500
我俩把那四眼给弄了
🇰🇷 한글번역
우리 둘이 그 안경쟁이를 처리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把 bǎ 을/를 HSK3 那 nà 그, 저 HSK1 四眼 sì yǎn 안경 쓴 사람 (속어)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우리 둘이 그 안경 쓴 사람을 처리했다)

이 문장은 구어체로, "弄了"는 어떤 행동을 가했음을 암시합니다. 문맥에 따라 "처리했다" 또는 "해결했다" 등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1621 | 01:07:20,500 → 01:07:21,125
他不能报警吧
🇰🇷 한글번역
그는 경찰에 신고할 수 없겠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不能 bù néng ~할 수 없다 HSK2 报警 bàojǐng 경찰에 신고하다 HSK4 吧 ba ~지? (추측, 제안) HSK2

📚 문법
추측의 '吧': 문장 끝에 쓰여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그가 경찰에 신고할 수 없지?"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추측을 나타냅니다.
자막 #1622 | 01:07:21,125 → 01:07:22,958
你俩搁外面别给我瞎搞事情啊
🇰🇷 한글번역
너희 둘 밖에서 쓸데없는 짓 하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外面 wài miàn 밖 HSK3 别 bié ~하지 마라 HSK2 瞎 xiā 함부로, 멋대로 HSK6

📚 문법
부정 명령문: "别"는 "~하지 마라"라는 뜻으로, 동사 앞에 위치하여 금지를 나타냅니다.
형태: 别 + 동사 + (목적어) (너희 둘 밖에서 함부로 일 저지르지 마라)
자막 #1623 | 01:07:22,958 → 01:07:24,416
别耽误工程进度
🇰🇷 한글번역
공정 진행을 지연시키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耽误 dān wù 지연시키다 HSK5 工程 gōng chéng 공사, 프로젝트 HSK4 进度 jìn dù 진도, 진행 속도 HSK5

📚 문법
명령문: "别"는 부정 명령을 나타내며, "하지 마라"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 목적어 (공사의 진행 속도를 지연시키지 마라)
자막 #1624 | 01:07:24,416 → 01:07:25,625
大哥你放心吧
🇰🇷 한글번역
형님, 걱정하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大哥 dà gē 형, 오빠 HSK4 你 nǐ 너 HSK1 放心 fàng xīn 안심하다 HSK3 吧 ba ~해라 (제안, 명령) HSK2

📚 문법
"吧"의 사용: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제안이나 명령의 의미를 부드럽게 전달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吧 (형, 안심해라)
자막 #1625 | 01:07:25,625 → 01:07:26,666
就他那个怂样
🇰🇷 한글번역
그의 겁먹은 모습으로 봐서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他 tā 그, 그 사람 HSK1 怂 sǒng 겁이 많은, 소심한 (HSK 비급수) 样 yàng 모양, 모습 HSK3

📚 문법
"就"의 사용: "就"는 문장에서 강조나 특정한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그의 바로 그 소심한 모습"이라는 의미로, 특정한 상태나 특징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1626 | 01:07:26,666 → 01:07:28,083
我借他俩胆他都不敢
🇰🇷 한글번역
내가 그에게 두 배의 용기를 빌려줘도 그는 감히 하지 못할 것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借 jiè 빌리다 HSK3 他 tā 그 HSK1 胆 dǎn 담력, 용기 HSK6 敢 gǎn 감히 ~하다 HSK3

📚 문법
이 문장은 중국어에서 과장된 표현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두려움이나 용기의 부족을 강조하는 구문입니다. 여기서 "借他俩胆"은 "그에게 두 배의 용기를 빌려줘도"라는 의미로, 뒤에 "他都不敢"은 "그는 여전히 감히 하지 못한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이는 상대방이 매우 두려워하거나 용기가 없음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627 | 01:07:28,083 → 01:07:29,000
他就是个废物
🇰🇷 한글번역
그는 그냥 쓸모없는 사람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就是 jiù shì 바로 ~이다 HSK2 个 gè 개, 명 (양사) HSK1 废物 fèi wù 쓸모없는 사람, 폐물 HSK6

📚 문법
명사구: "他就是个废物"는 주어(他)와 서술어(就是个废物)로 구성된 명사구입니다. "就是"는 강조의 의미를 더해 '바로 ~이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그 사람(他)이 쓸모없는 사람(废物)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1628 | 01:07:29,000 → 01:07:30,500
我借他俩胆他都不敢
🇰🇷 한글번역
내가 그에게 용기를 두 배로 빌려줘도 그는 감히 하지 못할 것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借 jiè 빌리다, 빌려주다 HSK3 胆 dǎn 담력, 용기 HSK6 敢 gǎn 감히 ~하다 HSK3

📚 문법
이 문장은 중국어에서 과장된 표현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용기가 부족함을 강조하는 구조입니다. "借他俩胆"은 문자 그대로 "그에게 두 개의 담력을 빌려주다"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아무리 용기를 줘도"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뒤에 "他都不敢"은 "그는 감히 ~하지 못한다"라는 뜻으로, 전체적으로 "아무리 용기를 줘도 그는 감히 하지 못한다"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상대방의 두려움이나 소심함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629 | 01:07:30,500 → 01:07:31,916
他就是个废物
🇰🇷 한글번역
그는 그냥 쓸모없는 사람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그 사람 HSK1 就是 jiù shì 바로 ~이다 HSK2 个 gè 개, 명 (양사) HSK1 废物 fèi wù 쓸모없는 사람, 폐물 HSK6

📚 문법
명사구: "他就是个废物"는 주어(他)와 술어(就是个废物)로 구성된 문장입니다. "就是"는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어, "그는 바로 쓸모없는 사람이다"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个"는 일반적인 양사로 사용되어 명사를 수식합니다.
자막 #1630 | 01:07:33,166 → 01:07:34,041
要我说
🇰🇷 한글번역
내가 말하자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要 yào 필요하다, ~하려고 하다 HSK2 我 wǒ 나, 저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주어 + 要 + 동사: '주어가 ~하려고 하다'라는 미래의 의도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예시: 我要说 (나는 말하려고 한다)
자막 #1631 | 01:07:34,041 → 01:07:35,708
他那一家人 都有点眼瞎
🇰🇷 한글번역
그의 가족은 모두 약간 눈이 어두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HSK1 那 nà 저, 그 HSK2 一家 yī jiā 한 가족, 한 집안 HSK3 都 dōu 모두 HSK1 有点 yǒudiǎn 약간, 조금 HSK3 眼瞎 yǎn xiā 눈이 멀다 (비유적으로 무언가를 잘 보지 못하거나 이해하지 못함)

📚 문법
정도부사 "有点": "有点"은 주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형용사 앞에 사용되어 '약간', '조금'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有点眼瞎"로 '약간 눈이 멀다'는 비유적인 표현으로, 무언가를 잘 보지 못하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자막 #1632 | 01:07:35,708 → 01:07:36,916
养条那么丑的狗
🇰🇷 한글번역
그렇게 못생긴 개를 키우다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养 yǎng 기르다 HSK3 条 tiáo 마리 (양사) HSK3 那么 nàme 그렇게 HSK3 丑 chǒu 못생기다 HSK4 狗 gǒu 개 HSK1

📚 문법
정도보어: '那么'는 정도를 강조하는 부사로,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그 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那么 + 형용사 (그렇게 못생긴)

이 문장은 "그렇게 못생긴 개를 기르다"라는 의미로, '那么'를 통해 '丑'의 정도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1633 | 01:07:36,916 → 01:07:38,000
那一看就是杂种
🇰🇷 한글번역
저건 잡종이 분명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것, 그것 HSK1 一 yī 하나 HSK1 看 kàn 보다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杂种 zá zhǒng 잡종, 혼혈 HSK6

📚 문법
- 这/那字句: "那"는 지시대명사로, 특정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那一看就是"는 "저것을 보니 바로"라는 의미로, 어떤 대상을 보고 즉각적인 판단을 내릴 때 사용됩니다.
- "就是"는 강조의 의미로, 어떤 사실이나 판단을 확실하게 말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634 | 01:07:38,000 → 01:07:39,291
养条那么丑的狗
📝 한어병음
yǎng tiáo nà me chǒu de gǒu
🇰🇷 한글번역
그렇게 못생긴 개를 키우다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养 yǎng 기르다 HSK3 条 tiáo 마리 (양사) HSK3 那么 nàme 그렇게 HSK3 丑 chǒu 못생기다 HSK4 狗 gǒu 개 HSK1

📚 문법
정도부사 "那么": 중국어에서 정도를 강조할 때 사용하는 부사입니다. "그렇게"라는 의미로, 뒤에 형용사가 와서 그 정도를 설명합니다.
예문: 那么丑的狗 (그렇게 못생긴 개)
자막 #1635 | 01:07:39,291 → 01:07:40,500
那一看就是杂种
🇰🇷 한글번역
저건 혼종으로 보인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것 HSK1 一 yī 하나 HSK1 看 kàn 보다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杂种 zá zhǒng 잡종, 혼혈

📚 문법
"那一看就是"는 어떤 것을 보자마자 바로 특정한 결론이나 인상을 받는 상황을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 "那"는 지시대명사로, 특정 대상을 가리킵니다.
- "一看"은 '한 번 보다'라는 의미로, 어떤 것을 잠깐 보았을 때의 인상을 나타냅니다.
- "就是"는 '바로 ~이다'라는 의미로, 결론이나 판단을 강조합니다.

이 문장은 특정 대상을 보고 즉각적으로 '잡종'이라고 판단하는 상황을 표현합니다.
자막 #1636 | 01:07:40,875 → 01:07:41,791
看着都柴
🇰🇷 한글번역
보기에 다 말랐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看 kàn 보다 HSK1 着 zhe 동작의 지속 HSK3 都 dōu 모두 HSK1 柴 chái 장작, 마른 HSK6

📚 문법
동작의 지속: 着는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着 (예: 看着 - 보고 있다)

문맥에서 "看着都柴"는 "보기에 모두 마르다"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柴"는 보통 "장작"이나 "마른"이라는 뜻으로 쓰이며, 여기서는 "마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637 | 01:07:41,791 → 01:07:42,583
未必好吃
🇰🇷 한글번역
맛있지 않을 수도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未必 wèi bì 반드시 ~한 것은 아니다 HSK5 好吃 hǎo chī 맛있다 HSK1

📚 문법
부정 표현: "未必"는 어떤 일이 반드시 일어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며, 가능성을 낮추거나 확신이 없음을 표현합니다.
형태: 未必 + 형용사/동사 (반드시 맛있는 것은 아니다)
자막 #1638 | 01:07:42,583 → 01:07:43,458
看着都柴
🇰🇷 한글번역
보기만 해도 마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看 kàn 보다 HSK1 着 zhe ~하고 있다 (진행형) HSK2 都 dōu 모두 HSK1 柴 chái 마른 나무, 장작 (문맥에 따라 '마르다'로 해석 가능) HSK6

📚 문법
진행형: 동사 뒤에 着를 붙여 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着 (보고 있는 상태가 지속됨)

이 문장은 "보기에 모두 말라 있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柴'는 문맥에 따라 '마르다'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1639 | 01:07:43,458 → 01:07:44,458
未必好吃
🇰🇷 한글번역
꼭 맛있지는 않을 수도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未必 wèi bì 반드시 ~한 것은 아니다 HSK5 好吃 hǎo chī 맛있다 HSK2

📚 문법
부정 표현: "未必"는 어떤 일이 반드시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부정 표현입니다.
형태: 未必 + 형용사/동사 (반드시 ~한 것은 아니다)
자막 #1640 | 01:07:47,333 → 01:07:47,875
你谁啊
🇰🇷 한글번역
너 누구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谁 shéi 누구 HSK2 啊 a 어조사 HSK1

📚 문법
의문문: "谁"는 의문대명사로, 사람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你谁啊"는 "너 누구야?"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정체를 묻는 비격식적인 표현입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어감을 부드럽게 하거나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1641 | 01:07:47,875 → 01:07:48,708
又是你
🇰🇷 한글번역
또 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又 yòu 또, 다시 HSK2 是 shì ~이다 HSK1 你 nǐ 너 HSK1

📚 문법
중국어에서 "又"는 반복되는 동작이나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又是你"는 "또 너야"라는 뜻으로, 이전에 발생한 일이 다시 반복될 때 사용됩니다. "是"는 존재나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로,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합니다.
자막 #1642 | 01:07:48,708 → 01:07:49,833
你拍啥呢
🇰🇷 한글번역
뭐 찍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拍 pāi 찍다 HSK4 啥 shá 무엇 HSK5 呢 ne ~하고 있는 중이다 HSK1

📚 문법
의문문: "啥"는 "什么"의 구어체 표현으로, 질문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啥 + 呢 (너는 무엇을 찍고 있는 중이니?)

문장에서 "呢"는 진행형을 나타내며, 현재 어떤 행동이 진행 중임을 강조합니다.
자막 #1643 | 01:07:51,916 → 01:07:52,500
扑街仔
🇰🇷 한글번역
망나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扑街 pū jiē 넘어지다, 망하다 (속어) 仔 zǎi 아이, 놈 (속어)

📚 문법
속어 표현: "扑街仔"는 광둥어에서 유래된 속어로, 주로 사람을 경멸하거나 비하하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직역하면 "넘어져 있는 아이"라는 뜻이지만, 맥락에 따라 "망한 놈"이나 "실패자"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중국어의 다양한 방언과 속어는 지역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므로, 이러한 표현을 사용할 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막 #1644 | 01:07:52,500 → 01:07:53,458
往哪跑 站住
🇰🇷 한글번역
어디로 도망가! 멈춰!
🎯 AI 분석 결과
🔍 어휘
往 wǎng ~로, ~을 향해 HSK2 哪 nǎ 어디 HSK1 跑 pǎo 달리다 HSK2 站住 zhàn zhù 멈춰서다, 서다 HSK4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지시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달려가는 방향을 묻고 멈추라고 지시하는 문장)

이 문장은 "어디로 달려가? 멈춰!"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달리기를 멈추고 서라고 명령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자막 #1645 | 01:07:54,125 → 01:07:55,125
干吗的
🇰🇷 한글번역
뭐 하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干吗 gàn má 왜, 무엇 때문에 HSK5

📚 문법
의문문: "干吗"는 "왜" 또는 "무엇 때문에"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행동이나 의도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 주로 구어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干吗 + 동사/행동 (너는 왜 그렇게 행동하니?)
자막 #1646 | 01:07:55,125 → 01:07:56,000
别跑
🇰🇷 한글번역
도망가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跑 pǎo 달리다 HSK2

📚 문법
명령문: "别 + 동사" 형태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명령하거나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달리지 마라)
자막 #1647 | 01:07:58,250 → 01:07:59,041
抓他抓他
🇰🇷 한글번역
잡아라, 잡아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抓 zhuā 잡다 HSK4 他 tā 그, 그 사람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동작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그를 잡아라)

이 문장은 명령의 의미를 전달하며, 동사 "抓"는 "잡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他"는 목적어로 "그"를 가리킵니다.
자막 #1648 | 01:07:59,250 → 01:08:00,250
抓他抓他
🇰🇷 한글번역
잡아라, 잡아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抓 zhuā 잡다 HSK4 他 tā 그, 그 사람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동작을 즉시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그를 잡아라)

이 문장은 간단한 명령문으로, 동사 "抓"와 목적어 "他"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抓他"는 "그를 잡아라"라는 뜻으로,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649 | 01:08:00,666 → 01:08:02,000
别让他跑了
🇰🇷 한글번역
그를 놓치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让 ràng ~하게 하다 HSK3 他 tā 그 HSK1 跑 pǎo 달리다 HSK2 了 le ~했다(완료)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금지나 명령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别 + 동사 + (목적어) (그를 도망가지 못하게 해라)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않도록 명령하는 형태로, "그를 도망가지 못하게 해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650 | 01:08:02,916 → 01:08:03,500
站住
🇰🇷 한글번역
멈춰!
🎯 AI 분석 결과
🔍 어휘
站 zhàn 서다 HSK1 住 zhù 멈추다, 머물다 HSK2

📚 문법
동사 + 住: 동사 뒤에 '住'를 붙여 동작의 완료나 지속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서다"와 결합하여 "멈추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站住"는 "멈춰!"라는 명령문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1651 | 01:08:04,583 → 01:08:05,166
那边
🇰🇷 한글번역
저쪽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边 nà biān 저쪽, 그쪽 HSK2

📚 문법
방향 지시: "那边"은 특정한 방향이나 위치를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한국어의 "저쪽" 또는 "그쪽"에 해당하며, 대화에서 상대방에게 특정 위치를 지시하거나 설명할 때 유용합니다.
자막 #1652 | 01:08:06,333 → 01:08:07,000
你下来
🇰🇷 한글번역
너 내려와.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下来 xià lái 내려오다 HSK3

📚 문법
동사 + 方向补语: 중국어에서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는 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方向补语 (내려오다)
- "下来"는 '내려오다'라는 방향을 나타내며, 동작이 아래로 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막 #1653 | 01:08:31,833 → 01:08:32,791
梅子
🇰🇷 한글번역
매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梅子 méi zi 매실, 자두 HSK6

📚 문법
명사: '梅子'는 과일의 일종으로, 문맥에 따라 매실 또는 자두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HSK6 수준의 어휘로, 고급 중국어 학습자들이 주로 학습하는 단어입니다.
자막 #1654 | 01:08:33,166 → 01:08:34,333
实在不行
🇰🇷 한글번역
정말 안 되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实在 shí zài 정말로, 참으로 HSK3 不 bù 아니다, 안 HSK1 行 xíng 되다, 가능하다 HSK1

📚 문법
"实在不行"은 "정말로 안 되면" 또는 "정말로 불가능하다면"이라는 뜻으로, 어떤 상황이 최악의 경우에 도달했을 때를 표현하는 구문입니다. 이 표현은 종종 대안이나 다른 방법을 제안하기 전에 사용됩니다.
자막 #1655 | 01:08:35,416 → 01:08:36,541
咱俩分头找吧
🇰🇷 한글번역
우리 둘이 나눠서 찾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俩 zán liǎ 우리 둘 分头 fēn tóu 따로따로, 각자 找 zhǎo 찾다 HSK1 吧 ba ~하자 (제안의 어기조사) HSK1

📚 문법
제안의 어기조사 "吧": 문장 끝에 위치하여 제안이나 권유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구문 + 吧 (우리 둘이 따로따로 찾자)
자막 #1656 | 01:08:36,541 → 01:08:37,958
早干什么去了
🇰🇷 한글번역
전에 뭐 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早 zǎo 일찍 HSK1 干 gàn 하다 HSK3 什么 shénme 무엇 HSK1 去 qù 가다 HSK1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과거 시제 표현: 중국어에서 과거에 일어난 일을 묻거나 설명할 때 '了'를 사용하여 완료된 행동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动词 + 什么 + 去 + 了 (과거에 무엇을 하러 갔었니?)

이 문장은 과거에 무엇을 했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일찍 무엇을 하러 갔었니?"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1657 | 01:08:38,541 → 01:08:40,375
姑娘脾气像谁不知道啊
🇰🇷 한글번역
그 아가씨 성격이 누구를 닮았는지 모르겠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姑娘 gūniang 아가씨, 소녀 HSK4 脾气 píqi 성격, 성질 HSK4 像 xiàng ~와 같다 HSK3 谁 shéi 누구 HSK1 不知道 bù zhīdào 모르다 HSK1

📚 문법
비교문: 중국어에서 "~와 같다"라는 의미로 비교를 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像 + 비교대상 (아가씨의 성격이 누구와 같은지 모른다)
자막 #1658 | 01:08:40,375 → 01:08:41,500
这还用问吗
🇰🇷 한글번역
이걸 물어봐야 하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还 hái 아직, 여전히 HSK2 用 yòng 사용하다 HSK1 问 wèn 묻다 HSK1 吗 ma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반어문: 중국어에서 반어문은 질문 형식을 사용하여 긍정적인 답변을 기대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陈述句 + 吗? (이걸 굳이 물어봐야 하나?)
자막 #1659 | 01:08:41,791 → 01:08:42,958
像你呗
🇰🇷 한글번역
너처럼
🎯 AI 분석 결과
🔍 어휘
像 xiàng ~와 같다 HSK3 你 nǐ 너 HSK1 呗 bei ~이지 뭐 (어기조사, 강조)

📚 문법
어기조사 "呗": 문장 끝에 사용되어 상대방의 질문이나 의견에 대해 가볍게 동의하거나 강조할 때 쓰입니다. "像你呗"는 "너와 같지 뭐"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의견에 동의하거나 가볍게 받아들이는 뉘앙스를 줍니다.
자막 #1660 | 01:08:43,875 → 01:08:45,166
所以啊
🇰🇷 한글번역
그래서 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所 suǒ 그래서, 그러므로 HSK3 以 yǐ ~로 인해, ~때문에 HSK3 啊 a 아, 감탄사 HSK1

📚 문법
연결사: "所以"는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로, 앞 문장의 원인에 대한 결과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원인 + 所以 + 결과 (그래서, 그러므로)
자막 #1661 | 01:08:45,166 → 01:08:46,458
就算你把她找回来
🇰🇷 한글번역
설령 그녀를 다시 찾아온다 해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算 jiùsuàn 설령, 비록 HSK5
你 nǐ 너 HSK1
把 bǎ 을/를 HSK3
她 tā 그녀 HSK1
找 zhǎo 찾다 HSK2
回来 huílái 돌아오다 HSK3

📚 문법
把字句: "把"를 사용하여 동작의 대상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너는 그녀를 찾아왔다)

"就算"은 가정이나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사로, "설령 ~하더라도"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설령 네가 그녀를 찾아온다 하더라도"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1662 | 01:08:46,458 → 01:08:47,708
不还得走吗
🇰🇷 한글번역
가지 않으면 안 되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还 hái 여전히, 아직도 HSK2
得 děi ~해야 한다 HSK3
走 zǒu 가다, 떠나다 HSK1
吗 ma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부정 의문문: "不"를 사용하여 부정의 의미를 가진 의문문을 만듭니다. 이 문장은 "여전히 가야 하지 않나요?"라는 뜻으로, 상황의 변화를 묻거나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663 | 01:08:49,750 → 01:08:51,708
我这不是也为她好吗
🇰🇷 한글번역
제가 이러는 것도 다 그녀를 위한 거잖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这 zhè 이 HSK1 不是 bù shì ~이 아니다 HSK1 也 yě 또한 HSK1 为 wèi ~을 위해 HSK3 她 tā 그녀 HSK1 好 hǎo 좋다 HSK1

📚 문법
反问句: 중국어에서 반문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강조하거나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 + 吗? (나는 그녀를 위해서 그런 게 아니겠어?)
자막 #1664 | 01:08:54,291 → 01:08:55,375
你为她好
🇰🇷 한글번역
당신은 그녀를 위해 좋은 일을 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为 wèi ~을 위해 HSK3 她 tā 그녀 HSK1 好 hǎo 좋다 HSK1

📚 문법
목적어를 위한 행위: "为"는 어떤 대상을 위해 행동을 취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为 + 대상 + 동사 (너는 그녀를 위해 좋게 행동한다)
자막 #1665 | 01:08:55,958 → 01:08:57,000
为我好
🇰🇷 한글번역
나를 위해서
🎯 AI 분석 결과
🔍 어휘
为 wèi ~을 위해 HSK2 我 wǒ 나, 저 HSK1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목적을 나타내는 "为": "为"는 어떤 행동의 목적이나 이유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为 + 목적어 + 동사/형용사 (나를 위해 좋다/잘해준다)

이 문장에서 "为我好"는 "나를 위해 좋다" 또는 "나를 위해서"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누군가의 행동이나 결정이 나의 이익이나 복지를 위한 것임을 나타냅니다.
자막 #1666 | 01:08:57,416 → 01:08:58,875
成天就说为我们好
🇰🇷 한글번역
맨날 우리를 위해서라고 말하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成天 chéng tiān 하루 종일 HSK5 就 jiù 곧, 바로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为 wèi ~을 위해 HSK3 我们 wǒ men 우리 HSK1 好 hǎo 좋다 HSK1

📚 문법
- 为...好: "~을 위해 좋다"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결정이 특정 대상에게 이익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 "为我们好"는 "우리를 위해 좋다"라는 뜻입니다.
- 成天: "하루 종일"이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지속적으로 일어남을 강조합니다.
자막 #1667 | 01:08:59,333 → 01:09:01,125
你这个评判的标准
🇰🇷 한글번역
당신의 평가 기준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这个 zhè ge 이것 HSK1 评判 píng pàn 평가하다 HSK5 标准 biāo zhǔn 기준 HSK4

📚 문법
명사구: "你这个评判的标准"은 명사구로, "너의 이 평가 기준"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的"는 소유를 나타내며, "你"와 "评判的标准"을 연결합니다.
자막 #1668 | 01:09:01,458 → 01:09:03,083
都是从哪来的呀
🇰🇷 한글번역
다들 어디서 왔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是 shì ~이다 HSK1 从 cóng ~에서 HSK2 哪 nǎ 어느, 어떤 HSK2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의문문: "从哪来的"는 "어디서 온"이라는 의미로, 출처나 기원을 묻는 질문입니다.
형태: 从 + 장소 + 来 (어디에서 왔습니까?)
자막 #1669 | 01:09:05,583 → 01:09:06,541
再说了
🇰🇷 한글번역
게다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再 zài 다시, 또 HSK2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再说了"는 중국어에서 이미 언급한 내용을 강조하거나 추가적인 이유를 제시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주로 구어체에서 사용되며, "게다가", "더구나"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 표현은 앞서 말한 내용을 보충하거나 강조할 때 유용합니다.
자막 #1670 | 01:09:06,541 → 01:09:07,916
孩子就处个对象呗
🇰🇷 한글번역
아이, 그냥 사귀어 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孩子 hái zi 아이, 자녀 HSK2 就 jiù 곧, 바로 HSK3 处 chǔ 사귀다, 지내다 HSK4 对象 duì xiàng 대상, 애인 HSK4 呗 bei ~이지 뭐 (어조사)

📚 문법
어조사 呗: 중국어에서 문장의 끝에 사용되어, 말하는 사람의 의견이나 태도를 부드럽게 표현합니다. 주로 제안이나 동의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문장 + 呗 (아이니까 그냥 사귀면 되지 뭐)
자막 #1671 | 01:09:07,916 → 01:09:10,250
你也拿标准去评判
🇰🇷 한글번역
당신도 기준에 따라 평가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也 yě 또한 HSK1 拿 ná 잡다, 가지다 HSK3 标准 biāo zhǔn 기준, 표준 HSK4 去 qù 가다 HSK1 评判 píng pàn 평가하다, 판단하다 HSK6

📚 문법
동사 중첩: "去"는 동사의 방향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评判"과 함께 사용되어 '평가하다'라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형태: 동사 + 去 (동작의 방향이나 목적을 나타냄)
자막 #1672 | 01:09:10,250 → 01:09:11,625
这是干啥呀
🇰🇷 한글번역
이게 뭐 하는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干 gàn 하다, 무슨 일을 하다 HSK3 啥 shá 무엇 HSK4

📚 문법
这是干啥呀: 중국어에서 "这是干啥呀"는 "이게 뭐 하는 거야?"라는 뜻으로, 상황에 대한 의문이나 놀라움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啥"는 "什么(무엇)"의 구어체 표현입니다. "呀"는 문장 끝에 붙어 의문이나 감탄의 느낌을 부드럽게 전달합니다.
자막 #1673 | 01:09:13,000 → 01:09:14,083
跑啊
🇰🇷 한글번역
달려!
🎯 AI 분석 결과
🔍 어휘
跑 pǎo 달리다 HSK2

📚 문법
동사 중첩: 중국어에서 동사의 중첩은 동작의 지속이나 반복을 강조합니다. "跑啊"는 "달려라"라는 의미로, 동작을 계속해서 하도록 격려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674 | 01:09:14,083 → 01:09:15,375
我看你往哪跑
🇰🇷 한글번역
어디로 도망가나 보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看 kàn 보다 HSK1 你 nǐ 너 HSK1 往 wǎng ~로 HSK3 跑 pǎo 달리다 HSK2

📚 문법
- 방향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는 문법입니다.
형태: 동사 + 往 + 방향/장소 (나는 네가 어디로 도망가는지 본다)
- "看"의 사용: 여기서 "看"은 단순히 '보다'라는 의미 외에 '지켜보다', '어떻게 되는지 보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675 | 01:09:19,125 → 01:09:19,708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대명사: "我"는 1인칭 대명사로, 주어로 사용되어 화자가 자신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1676 | 01:09:30,708 → 01:09:31,500
那个焊死了
🇰🇷 한글번역
그것이 용접되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个 nà gè 그, 저 HSK1 焊 hàn 용접하다 HSK6 死 sǐ 죽다, 고정되다 HSK3 了 le 완료, 변화의 표시 HSK1

📚 문법
결과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문법 구조입니다.
형태: 동사 + 결과보어 (焊死了: 용접되어 고정되었다)

이 문장에서 "焊死了"는 "용접되어 완전히 고정되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了"는 동작의 완료를 나타냅니다.
자막 #1677 | 01:09:31,500 → 01:09:32,125
这边抓
🇰🇷 한글번역
여기 잡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边 zhè biān 이쪽, 여기 HSK3 抓 zhuā 잡다, 붙잡다 HSK4

📚 문법
위 문장은 명령문으로, 특정 행동을 지시하는 문장입니다. "这边抓"는 "이쪽을 잡아라"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특정 위치나 방향에서 무언가를 잡도록 지시하는 표현입니다. 명령문에서는 주어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막 #1678 | 01:09:32,125 → 01:09:32,708
大哥
🇰🇷 한글번역
형님
🎯 AI 분석 결과
🔍 어휘
大哥 dà gē 큰형, 형님 HSK3

📚 문법
칭호: "大哥"는 주로 형제 중 가장 나이가 많은 형을 부를 때 사용되며, 친근한 관계에서 형님을 부를 때도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존경과 친밀감을 나타냅니다.
자막 #1679 | 01:09:32,708 → 01:09:34,166
抓人是不是有点弄太大了
🇰🇷 한글번역
사람을 잡는 게 좀 과하지 않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抓 zhuā 잡다 HSK4 人 rén 사람 HSK1 是不是 shì bù shì ~인가? HSK3 有点 yǒu diǎn 조금 HSK3 弄 nòng 하다, 만들다 HSK4 太 tài 너무 HSK2 大 dà 크다 HSK1

📚 문법
- 是不是: 의문문을 만들 때 사용되며, "~인가?"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의견이나 사실을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 有点: "조금"이라는 뜻으로, 주로 부정적인 뉘앙스를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 형용사나 동사 앞에 위치하여 그 정도를 약간 강조합니다.
- 动词 + 太 + 형용사: 동사 뒤에 "太"와 형용사를 사용하여 "너무 ~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弄太大"가 "너무 크게 만들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680 | 01:09:34,166 → 01:09:35,458
你脑子是不是瓦特了
🇰🇷 한글번역
너 머리가 어떻게 된 거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脑子 nǎo zi 머리, 두뇌 HSK4 是不是 shì bù shì ~인지 아닌지 HSK3 瓦特 wǎ tè 와트 (Watts) - 비표준어, 속어로 "고장나다"의 의미로 사용됨

📚 문법
반어문: "是不是"는 의문문을 만들 때 사용되며,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제시하여 상대방의 확인을 요구합니다.
형태: 주어 + 是不是 + 서술어 (너의 머리가 고장난 것 아니니?)

이 문장은 상대방의 상태나 행동에 대해 비꼬거나 놀리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瓦特"는 속어로, 여기서는 두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681 | 01:09:35,458 → 01:09:36,375
懂不懂法
🇰🇷 한글번역
법을 아는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懂 dǒng 이해하다 HSK2 不 bù 아니다 HSK1 法 fǎ 법 HSK3

📚 문법
의문문: "懂不懂"은 중국어에서 이해 여부를 묻는 간단한 의문문 형식입니다.
형태: 동사 + 不 + 동사 (이해하니? 이해 못하니?)
자막 #1682 | 01:09:36,375 → 01:09:37,625
那手机里东西让警察知道
🇰🇷 한글번역
그 휴대폰 안의 내용을 경찰이 알게 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 HSK1 手机 shǒujī 휴대폰 HSK3 里 lǐ 안, 속 HSK1 东西 dōngxi 물건, 것 HSK1 让 ràng ~하게 하다 HSK2 警察 jǐngchá 경찰 HSK3 知道 zhīdào 알다 HSK1

📚 문법
사역문: "让"은 사역을 나타내는 동사로,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거나 허락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让 + 대상 + 동사 (휴대폰 안의 것을 경찰이 알게 하다)

이 문장은 "휴대폰 안의 것을 경찰이 알게 하다"라는 의미로, "让"을 사용하여 경찰이 알게 되는 상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자막 #1683 | 01:09:37,625 → 01:09:38,625
你知道判多少年吗
🇰🇷 한글번역
몇 년 형인지 알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知道 zhī dào 알다 HSK1 判 pàn 판결하다 HSK5 多少 duō shǎo 얼마, 몇 HSK2 年 nián 년 HSK1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는 주로 의문사를 사용하거나 문장 끝에 '吗'를 붙여서 만듭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의문사 + 吗 (너는 몇 년을 판결받았는지 아니?)

이 문장은 상대방이 받은 형량에 대해 묻는 질문입니다.
자막 #1684 | 01:09:38,625 → 01:09:39,166
没事大哥
🇰🇷 한글번역
괜찮아요, 형.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事 méi shì 괜찮다, 문제없다 HSK2 大哥 dà gē 형, 형님 HSK5

📚 문법
간단한 문장: "没事"는 "괜찮다" 또는 "문제없다"라는 뜻으로, 상대방을 안심시키거나 문제 없음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大哥"는 친근하게 형이나 형님을 부르는 표현입니다. 두 단어가 함께 사용되어 "괜찮아요, 형님"이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1685 | 01:09:39,166 → 01:09:40,583
我找个律师问一下
🇰🇷 한글번역
변호사를 찾아서 물어볼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找 zhǎo 찾다 HSK2 律师 lǜ shī 변호사 HSK4 问 wèn 묻다 HSK1 一下 yí xià 좀, 잠시 HSK2

📚 문법
동사 + 一下: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형태: 동사 + 一下 (나는 변호사를 좀 찾아볼 것이다)
자막 #1686 | 01:09:41,708 → 01:09:42,791
抓人去
🇰🇷 한글번역
사람을 잡아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抓 zhuā 잡다 HSK4 人 rén 사람 HSK1 去 qù 가다 HSK1

📚 문법
동사구: "동사 + 목적어 + 방향보어" 형태로, 동작의 방향이나 목적을 나타냅니다.
예시: 抓人去 (사람을 잡으러 가다) - 여기서 "去"는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며, "잡다"라는 동작이 "가다"라는 방향으로 이어짐을 보여줍니다.
자막 #1687 | 01:09:44,041 → 01:09:44,708
抓人啊
🇰🇷 한글번역
사람을 잡아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抓 zhuā 잡다 HSK4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동작을 지시하거나 명령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사람을 잡아라)

이 문장은 "사람을 잡아라"라는 명령을 나타내며, 동사 "抓"와 목적어 "人"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막 #1688 | 01:09:45,291 → 01:09:46,916
人小万啊 我都调查了
🇰🇷 한글번역
사람이 작다니, 나는 이미 다 조사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人 rén 사람 HSK1 小 xiǎo 작다 HSK1 万 wàn 만 HSK4 我 wǒ 나 HSK1 都 dōu 모두 HSK2 调查 diàochá 조사하다 HSK4

📚 문법
주어 + 都: "모두"라는 뜻으로, 주어가 포함된 전체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我都调查了"에서 "모두 조사했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689 | 01:09:46,916 → 01:09:48,291
是个好孩子
🇰🇷 한글번역
착한 아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个 gè 개, 명 (양사) HSK1 好 hǎo 좋은 HSK1 孩子 hái zi 아이, 자녀 HSK1

📚 문법
명사구: "是个好孩子"는 "좋은 아이이다"라는 의미로, 명사구를 형성합니다. "是"는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个"는 일반적인 양사로 사용되어 "好孩子"를 수식합니다.
자막 #1690 | 01:09:48,291 → 01:09:50,375
那你俩之间就是误会
🇰🇷 한글번역
그럼 너희 둘 사이에 오해가 있었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그렇다면 HSK2
你 nǐ 너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之间 zhī jiān 사이, 간 HSK4
误会 wù huì 오해 HSK4

📚 문법
주어 + 是 + 명사: 이 문장은 주어와 명사가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 你俩之间就是误会 (너희 둘 사이에는 오해가 있다)
자막 #1691 | 01:09:50,375 → 01:09:52,041
姑娘给我发信息了
🇰🇷 한글번역
그녀가 나에게 메시지를 보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姑娘 gūniang 아가씨, 소녀 HSK4 给 gěi ~에게 HSK2 我 wǒ 나, 저 HSK1 发 fā 보내다 HSK4 信息 xìnxī 정보, 메시지 HSK4

📚 문법
주어 + 给 + 간접목적어 + 동사 + 직접목적어: '给'는 '에게'라는 뜻으로, 간접목적어를 나타냅니다.
예문: 姑娘给我发信息了 (아가씨가 나에게 메시지를 보냈다)
자막 #1692 | 01:09:52,041 → 01:09:53,958
说她没事儿 放心吧
🇰🇷 한글번역
그녀는 괜찮다고 하니 안심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说 shuō 말하다 HSK1 她 tā 그녀 HSK1 没事儿 méi shìr 괜찮다, 문제없다 HSK4 放心 fàng xīn 안심하다 HSK3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안심해라)
자막 #1693 | 01:09:57,666 → 01:09:59,375
姑娘长大了
🇰🇷 한글번역
소녀가 자랐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姑娘 gūniang 소녀, 아가씨 HSK4 长大 zhǎngdà 성장하다, 자라다 HSK4

📚 문법
주어 + 동사 + 보어: 중국어에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여 어떤 상태에 이르게 됨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예: 姑娘长大了 (소녀가 자랐다)
자막 #1694 | 01:09:59,375 → 01:10:01,083
以后啊 她自己的事
🇰🇷 한글번역
앞으로는 그녀 자신의 일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以后 yǐ hòu 이후, 나중에 HSK2 她 tā 그녀 HSK1 自己 zì jǐ 자기 자신 HSK3 的 de ~의 HSK1 事 shì 일, 사건 HSK2

📚 문법
명사구: "她自己的事"는 "그녀 자신의 일"이라는 의미로, 소유격 "的"를 사용하여 주어의 소유를 나타냅니다. "以后"는 시간 부사로, 문장의 시간적 배경을 설정합니다.
자막 #1695 | 01:10:01,083 → 01:10:02,541
你就让她自己做主
🇰🇷 한글번역
그녀가 스스로 결정하게 해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让 ràng ~하게 하다 HSK3 她 tā 그녀 HSK1 自己 zìjǐ 자기 자신 HSK3 做主 zuòzhǔ 결정하다, 주인이 되다 HSK5

📚 문법
사역문: 중국어에서 다른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도록 허락하거나 시키는 문장입니다.
형태: 让 + 목적어 + 동사 (너는 그녀가 스스로 결정하게 해라)
자막 #1696 | 01:10:02,541 → 01:10:03,541
咱俩呢
🇰🇷 한글번역
우리 둘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 zán 우리 HSK4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 문법
인칭 대명사: "咱俩"는 "우리 둘"이라는 뜻으로, 화자와 청자를 포함한 두 사람을 가리킵니다. 중국어에서는 종종 친근한 관계에서 사용됩니다.
자막 #1697 | 01:10:03,541 → 01:10:04,625
开着车
🇰🇷 한글번역
차를 운전하면서
🎯 AI 분석 결과
🔍 어휘
开 kāi 열다, 운전하다 HSK1 车 chē 차, 차량 HSK1

📚 문법
동사 중첩: 중국어에서 동사가 반복되어 사용될 때, 동작의 지속이나 경과를 나타냅니다.
형태: 开着 (열다 + 着) - 동작이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차를 운전하고 있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1698 | 01:10:04,625 → 01:10:05,708
兜兜风
🇰🇷 한글번역
바람을 쐬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兜兜风 dōu dōu fēng 바람을 쐬다, 드라이브하다 (관용어)

📚 문법
관용어: "兜兜风"은 특정한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으로, 바람을 쐬거나 드라이브를 하며 기분 전환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표현은 일상적인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699 | 01:10:05,708 → 01:10:07,083
过过二人世界
🇰🇷 한글번역
둘만의 시간을 보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过 guò 보내다, 지내다 HSK2 二人 èr rén 두 사람 HSK1 世界 shì jiè 세계 HSK3

📚 문법
"过过"는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二人世界"와 함께 사용되어 "둘만의 시간을 보내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 표현은 친밀한 관계에서 두 사람이 함께 시간을 보내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자막 #1700 | 01:10:07,083 → 01:10:08,666
多好啊
🇰🇷 한글번역
정말 좋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多 duō 얼마나, 매우 HSK2 好 hǎo 좋다 HSK1 啊 a 감탄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感叹句: 감탄을 나타내는 문장으로, 주로 감정이나 느낌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多 + 형용사 + 啊 (얼마나 좋다)
자막 #1701 | 01:10:08,666 → 01:10:09,916
是不是
🇰🇷 한글번역
맞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是 shì 이다 HSK1 不 bù 아니다 HSK1

📚 문법
A-not-A 질문 형식: 중국어에서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묻는 질문 형식입니다.
형태: 동사 + 不 + 동사 (예: 是不是 - 맞습니까, 아닙니까?)
자막 #1702 | 01:10:18,416 → 01:10:19,000
小万啊
🇰🇷 한글번역
소완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万 wàn 만 (숫자) HSK3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를 나타냄 HSK1

📚 문법
호칭 및 감탄: "小"는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을 나타내고, "啊"는 문장 끝에 붙여 감탄이나 친근한 느낌을 더합니다. 예를 들어, "小万啊"는 "작은 만아" 혹은 "만아"라는 친근한 호칭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자막 #1703 | 01:10:19,000 → 01:10:19,750
喂 阿姨
🇰🇷 한글번역
여보세요, 아주머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喂 wèi 여보세요, (전화할 때) HSK1 阿姨 ā yí 아주머니, 이모 HSK3

📚 문법
호칭과 인사: 중국어에서는 전화를 받을 때 "喂"를 사용하여 상대방에게 말을 겁니다. 이는 한국어의 "여보세요"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阿姨"는 친근한 호칭으로, 상대방이 가족이 아니더라도 나이가 많은 여성에게 예의 있게 부를 때 사용합니다.
자막 #1704 | 01:10:19,750 → 01:10:20,666
我找到阿力了
🇰🇷 한글번역
나는 아리를 찾았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找到 zhǎo dào 찾다, 발견하다 HSK3 阿力 Ā lì (인명)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나 변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문법 구조입니다.
예문에서는 "找到" 뒤에 "了"가 붙어, "찾았다"라는 완료된 동작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了 (나는 아리를 찾았다)
자막 #1705 | 01:10:20,666 → 01:10:21,791
我正被油耗子追呢
🇰🇷 한글번역
기름 도둑에게 쫓기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正 zhèng 지금, 막 HSK3 被 bèi ~에 의해 HSK3 油耗子 yóu hào zi 기름 도둑 (비표준어) 追 zhuī 쫓다 HSK4

📚 문법
피동문: 被字句는 피동의 의미를 나타내며, 주어가 어떤 행동을 당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被 + 행위자 + 동사 (나는 기름 도둑에게 쫓기고 있다)
자막 #1706 | 01:10:21,791 → 01:10:23,291
油耗子追你
🇰🇷 한글번역
기름 도둑이 널 쫓아와.
🎯 AI 분석 결과
🔍 어휘
油耗子 yóu hào zi 기름 도둑 (속어) 追 zhuī 쫓다, 추적하다 HSK4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입니다.
예문: 油耗子追你 (기름 도둑이 너를 쫓는다)
자막 #1707 | 01:10:23,875 → 01:10:24,875
你在哪呢
🇰🇷 한글번역
너 어디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在 zài ~에 있다 HSK1 哪 nǎ 어디 HSK2 呢 ne ~는요? HSK1

📚 문법
의문문: "呢"는 문장 끝에 붙여서 상대방에게 질문을 하거나, 어떤 상황에 대해 물을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在 + 장소 + 呢? (너는 어디에 있니?)
자막 #1708 | 01:10:24,875 → 01:10:26,000
-在那 -我不知道
🇰🇷 한글번역
- 거기서 - 나는 몰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在 zài ~에, ~에서 HSK1 那 nà 저기, 그곳 HSK1 我 wǒ 나, 저 HSK1 不知道 bù zhī dào 모르다 HSK2

📚 문법
위치 표현: "在"는 장소나 위치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在那"는 "저기에서" 또는 "그곳에"라는 뜻으로, 특정 장소를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부정문: "不知道"는 "모르다"라는 뜻으로, "不"는 부정을 나타내며 "知道"는 "알다"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我不知道"는 "나는 모른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1709 | 01:10:26,000 → 01:10:27,250
我在一个化工厂
🇰🇷 한글번역
저는 화학 공장에서 일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在 zài ~에, ~에서 HSK1 一个 yí ge 한, 하나의 HSK1 化工厂 huà gōng chǎng 화학 공장 (HSK 비급수)

📚 문법
장소 표현: "在"는 장소를 나타낼 때 사용되며, "~에, ~에서"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형태: 주어 + 在 + 장소 (나는 화학 공장에 있다)
자막 #1710 | 01:10:27,250 → 01:10:27,916
那个你
🇰🇷 한글번역
그 사람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 저 HSK1 个 gè 개, 명 (양사) HSK1 你 nǐ 너 HSK1

📚 문법
지시대명사: "那"는 영어의 "that"에 해당하며, 특정 대상을 지시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那 + 명사 (그 사람, 저 물건 등)

양사 사용: "个"는 일반적인 양사로, 사람이나 사물의 개수를 셀 때 사용합니다.
형태: 数사 + 个 + 명사 (한 개의 사과, 두 명의 학생 등)
자막 #1711 | 01:10:27,916 → 01:10:28,750
你问他旁边有什么
🇰🇷 한글번역
그에게 옆에 뭐가 있는지 물어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问 wèn 묻다 HSK1 他 tā 그 HSK1 旁边 pángbiān 옆 HSK3 有 yǒu 있다 HSK1 什么 shénme 무엇 HSK1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는 주로 의문사(什么, 谁 등)를 사용하여 문장의 끝에 위치시킵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의문사 (너는 그에게 옆에 무엇이 있는지 물어본다)
자막 #1712 | 01:10:28,750 → 01:10:30,500
或者有什么参照物
🇰🇷 한글번역
또는 어떤 참조물이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或者 huò zhě 혹은, 아마도 HSK3 有 yǒu 있다 HSK1 什么 shén me 무엇 HSK1 参照物 cān zhào wù 참조물 (비교 대상)

📚 문법
或者: 선택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혹은" 또는 "아마도"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주로 두 가지 이상의 선택지 중 하나를 제시할 때 사용합니다.
예: 你可以喝茶,或者喝咖啡。(너는 차를 마시거나, 혹은 커피를 마실 수 있다.)
자막 #1713 | 01:10:30,500 → 01:10:31,750
太阳 太阳在你哪边
🇰🇷 한글번역
태양 태양은 네 쪽에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太阳 tàiyáng 태양 HSK3 在 zài ~에 있다 HSK1 你 nǐ 너 HSK1 哪边 nǎbiān 어느 쪽 HSK4

📚 문법
위치 표현: 중국어에서 위치를 나타낼 때는 주로 "주어 + 在 + 위치" 형태를 사용합니다.
예문: 太阳在你哪边 (태양은 너의 어느 쪽에 있니?)
자막 #1714 | 01:10:31,750 → 01:10:34,375
你说这大晚上哪有太阳啊
🇰🇷 한글번역
너는 이 밤에 태양이 어디 있냐고 말했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大 dà 큰, 대단한 HSK1 晚上 wǎnshang 저녁, 밤 HSK2

📚 문법
반어문: 중국어에서 의문문 형태를 사용하여 부정적인 의미나 반대의 의미를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의문사 + 동사 + 주어 + 어기조사 (이 저녁에 태양이 어디 있겠어?)
자막 #1715 | 01:10:34,375 → 01:10:35,083
也是啊
🇰🇷 한글번역
그러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也 yě 또한, 역시 HSK1 是 shì ~이다 HSK1 啊 a 어기조사 (감탄, 동의 등을 나타냄) HSK2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 동의, 강조 등의 어감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也是啊"는 "그렇기도 하네요" 또는 "맞아요"라는 동의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716 | 01:10:35,541 → 01:10:37,041
我这前面好像还有一条铁路
📝 한어병음
wǒ zhè qián miàn hǎo xiàng hái yǒu yī tiáo tiě lù
🇰🇷 한글번역
내 앞에 철도가 하나 있는 것 같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前面 qián miàn 앞쪽 HSK3 好像 hǎo xiàng 마치 ~인 것 같다 HSK3 还有 hái yǒu 아직도 있다 HSK2 铁路 tiě lù 철도 HSK4

📚 문법
- "好像"는 추측이나 불확실한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마치 ~인 것 같다"라는 의미로, 문장에서는 어떤 상황이나 상태가 확실하지 않음을 표현합니다.
- "还有"는 '아직도 있다' 또는 '또 있다'라는 의미로, 어떤 것이 남아 있거나 추가적으로 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1717 | 01:10:37,041 → 01:10:38,041
别跑
🇰🇷 한글번역
도망가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跑 pǎo 달리다 HSK2

📚 문법
명령문: "别 + 동사" 형태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명령하거나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예: 别跑 (달리지 마라)
자막 #1718 | 01:10:48,958 → 01:10:49,375
挂了
🇰🇷 한글번역
전화를 끊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挂 guà 걸다, 전화를 끊다 HSK4

📚 문법
동사 "挂"는 문맥에 따라 "걸다" 또는 "전화를 끊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挂了"가 "전화를 끊었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형태: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자막 #1719 | 01:10:49,375 → 01:10:50,708
手机挂了还是人挂了
🇰🇷 한글번역
핸드폰이 꺼졌나요 아니면 사람이 끊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手机 shǒujī 휴대전화 HSK3 挂 guà 끊다, 걸다 HSK4 还是 háishì 아니면 HSK3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선택 의문문: "还是"는 선택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두 가지 이상의 선택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A 还是 B? (A인가요, 아니면 B인가요?)
자막 #1720 | 01:10:51,000 → 01:10:51,666
站住
🇰🇷 한글번역
멈춰!
🎯 AI 분석 결과
🔍 어휘
站 zhàn 서다 HSK1 住 zhù 멈추다, 머물다 HSK2

📚 문법
동사 + 住: 동사 뒤에 "住"를 붙여 동작의 완료나 지속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서다"라는 동작이 완료되어 "멈추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站住"는 "멈춰라" 또는 "서라"라는 명령형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1721 | 01:10:56,250 → 01:10:57,583
我知道他在哪了
🇰🇷 한글번역
그가 어디 있는지 알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知道 zhī dào 알다 HSK2 他 tā 그 HSK1 在 nǎ 어디 HSK1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了(le): 동작이나 상태의 완료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문장 끝에 위치하여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강조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了 + 목적어 (나는 그가 어디에 있는지 알게 되었다)
자막 #1722 | 01:10:57,583 → 01:10:59,375
你去修大车找姑娘
🇰🇷 한글번역
너는 큰 차를 고치러 가서 여자를 찾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去 qù 가다 HSK1 修 xiū 수리하다 HSK4 大车 dà chē 대형 차량 (트럭) 找 zhǎo 찾다 HSK2 姑娘 gū niang 아가씨, 처녀 HSK3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지시하는 명령문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너는 대형 차량을 수리하러 가서 아가씨를 찾아라)

이 문장은 두 가지 행동을 연결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1723 | 01:10:59,375 → 01:11:01,041
我开车找小万去
🇰🇷 한글번역
나는 차를 몰고 샤오완을 찾으러 간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开车 kāi chē 운전하다 HSK3 找 zhǎo 찾다 HSK2 小万 Xiǎo Wàn (사람 이름) 去 qù 가다 HSK1

📚 문법
동사 중첩: "找"는 여기서 "찾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문장에서 목적지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문장의 구조: 주어 + 동사 + 목적어 (나는 차를 운전해서 샤오완을 찾아간다)

이 문장에서는 "开车"가 수단을 나타내며, "找"는 목적을 나타냅니다.
자막 #1724 | 01:11:01,041 → 01:11:02,125
咋开啊这车
🇰🇷 한글번역
이 차 어떻게 켜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咋 zǎ 어떻게, 어째서 (구어체) 开 kāi 열다, 운전하다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车 chē 차, 자동차 HSK1

📚 문법
의문문: "咋"는 구어체에서 "어떻게"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의문문을 형성합니다.
형태: 의문사 + 동사 + 목적어 (어떻게 이 차를 운전하나요?)
자막 #1725 | 01:11:02,125 → 01:11:03,916
这板砖能当轮胎使啊
🇰🇷 한글번역
이 벽돌은 타이어로 쓸 수 있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板砖 bǎn zhuān 벽돌 HSK6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当 dāng ~로 사용하다 HSK4 轮胎 lúntāi 타이어 HSK6 使 shǐ 사용하다 HSK4

📚 문법
能字句: 가능성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能 + 동사 (벽돌을 타이어로 사용할 수 있다)

当字句: 어떤 사물을 다른 용도로 사용함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当 + 명사 + 使/用 (벽돌을 타이어로 사용하다)
자막 #1726 | 01:11:12,125 → 01:11:12,791
叔叔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자 형제나 친한 어른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1727 | 01:11:13,125 → 01:11:14,541
-我来 -来得好
🇰🇷 한글번역
- 내가 왔어 - 잘 왔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来 lái 오다 HSK1 得 de 정도보어를 만드는 구조조사 HSK3 好 hǎo 좋다 HSK1

📚 문법
정도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이나 상태의 정도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得 + 형용사 (오다 + 좋다 = 잘 왔다)

위 문장에서 "来得好"는 "잘 왔다"라는 의미로, 어떤 상황에 적절하게 도착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1728 | 01:11:16,583 → 01:11:17,416
小万出事了
🇰🇷 한글번역
샤오완에게 사고가 났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万 wàn 만, 이름 (문맥에 따라) HSK4
出事 chū shì 사고가 나다, 문제가 발생하다 HSK6
了 le ~했다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了字句: 동작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了 (小万出事了: 샤오완에게 사고가 났다)

이 문장에서 "了"는 사건이 이미 발생했음을 나타내며, 문장의 완료를 강조합니다.
자막 #1729 | 01:11:17,416 → 01:11:18,333
他正在救阿力
📝 한어병음
tā zhèng zài jiù ā lì
🇰🇷 한글번역
그는 아리를 구하고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 tā 그 HSK1 正在 zhèngzài ~하는 중이다 HSK3 救 jiù 구하다 HSK4 阿力 Ālì (사람 이름, 고유명사)

📚 문법
正在: 진행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동작이 현재 진행 중임을 강조합니다.
형태: 主语 + 正在 + 동사 + 목적어 (그는 아리를 구하는 중이다)
자막 #1730 | 01:11:18,333 → 01:11:19,250
我得帮他去
🇰🇷 한글번역
나는 그를 도와야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得 děi ~해야 한다 HSK4 帮 bāng 돕다 HSK3 他 tā 그 HSK1 去 qù 가다 HSK1

📚 문법
조동사 "得": "得"는 조동사로, 어떤 행동이나 의무를 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도와줘야 한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형태: 주어 + 得 + 동사 (나는 그를 도와줘야 한다)
자막 #1731 | 01:11:19,250 → 01:11:19,875
去哪啊
🇰🇷 한글번역
어디 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去 qù 가다 HSK1 哪 nǎ 어디 HSK1

📚 문법
의문문: "去哪啊"는 "어디 가?"라는 의미의 간단한 의문문입니다. "哪"는 의문대명사로, 장소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말투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더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1732 | 01:11:19,875 → 01:11:20,708
危不危险
🇰🇷 한글번역
위험한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危 wēi 위태롭다, 위험하다 HSK4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危险 wēi xiǎn 위험 HSK3

📚 문법
의문문: "危不危险"은 중국어에서 긍정과 부정을 반복하여 질문하는 형태입니다. 이는 "위험합니까?"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어떤 상황이나 사물의 안전성에 대해 묻는 표현입니다.
형태: 형용사 + 不 + 형용사 (위험하다 + 아니다 + 위험하다)
자막 #1733 | 01:11:20,708 → 01:11:21,375
还行吧
🇰🇷 한글번역
괜찮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여전히, 아직도 HSK2 行 xíng 괜찮다, 좋다 HSK1 吧 ba ~지요, ~죠 (추측, 제안) HSK1

📚 문법
吧 (ba): 문장 끝에 쓰여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괜찮지요?" 또는 "괜찮죠?"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734 | 01:11:21,750 → 01:11:22,666
顶多车毁
🇰🇷 한글번역
기껏해야 차가 망가질 뿐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顶多 dǐng duō 기껏해야, 많아야 HSK6 车 chē 차, 차량 HSK1 毁 huǐ 파괴하다, 망가뜨리다 HSK5

📚 문법
부사 사용: "顶多"는 부사로 사용되어 최대치를 나타내며, "기껏해야" 또는 "많아야"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어떤 상황에서 차량이 망가질 수 있는 최대치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1735 | 01:11:22,666 → 01:11:23,333
不会人亡
🇰🇷 한글번역
사람이 죽지 않을 것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HSK1 会 huì 할 수 있다 HSK2 人 rén 사람 HSK1 亡 wáng 죽다, 사라지다 HSK6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不会"가 "할 수 없다" 또는 "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형태: 不 + 동사/형용사 (사람이 죽지 않을 것이다)
자막 #1736 | 01:11:23,333 → 01:11:24,375
别啊叔叔
🇰🇷 한글번역
아니에요,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啊 a 어기조사 (부드러움을 나타냄) HSK1 叔叔 shūshu 아저씨, 삼촌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쓰여 말의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감정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别啊叔叔"는 "하지 마세요, 아저씨"라는 뜻으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부드럽게 요청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1737 | 01:11:24,375 → 01:11:27,250
这车要是磕坏了 我真赔不起
🇰🇷 한글번역
이 차가 망가지면 정말로 배상할 수 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车 chē 차, 자동차 HSK1 磕坏 kē huài 부딪혀서 망가지다 (비교적 고급 어휘) 真 zhēn 정말로 HSK2 赔不起 péi bù qǐ 배상할 수 없다 (비교적 고급 어휘)

📚 문법
조건문: "要是...就..." 패턴은 "만약 ~라면 ...할 것이다"라는 조건문을 나타냅니다.
형태: 要是 + 조건 + 就 + 결과 (이 차가 부딪혀서 망가지면, 나는 정말 배상할 수 없다)
자막 #1738 | 01:11:27,250 → 01:11:28,458
这车不是你的啊
🇰🇷 한글번역
이 차는 네 것이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车 chē 차, 자동차 HSK1
不 bù 아니다 HSK1
是 shì 이다 HSK1
你 nǐ 너 HSK1
的 de ~의 (소유를 나타냄) HSK1
啊 a ~아, ~지 (어기를 나타냄) HSK2

📚 문법
1. 是字句: 중국어에서 "이다"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 형태: 주어 + 是 + 명사/대명사 (이 차는 너의 것이 아니다)

2. 语气助词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화자의 감정이나 어기를 강조합니다. 여기서는 놀람이나 확인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자막 #1739 | 01:11:28,458 → 01:11:30,041
那山庄也不是你的吧
🇰🇷 한글번역
그 산장도 당신의 것이 아니잖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 HSK1 山庄 shānzhuāng 산장, 별장 HSK6 也 yě ~도 HSK1 不是 bú shì ~이 아니다 HSK1 你的 nǐ de 너의 HSK1

📚 문법
吧 (ba):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추측, 제안, 혹은 동의를 구할 때 사용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화자가 상대방에게 확인을 구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형태: 주어 + 也 + 不是 + 명사 + 吧 (그 산장도 너의 것이 아니지?)
자막 #1740 | 01:11:33,791 → 01:11:34,750
磕坏我赔
🇰🇷 한글번역
깨지면 제가 배상하겠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磕 kē 부딪치다, 충돌하다 HSK6 坏 huài 나쁘다, 고장나다 HSK3 我 wǒ 나 HSK1 赔 péi 배상하다, 보상하다 HSK5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이 문장은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我" (나)가 "赔" (배상하다)라는 동작을 수행합니다. "磕坏"는 "부딪쳐서 고장나다"라는 의미로, 결과보어 구조를 형성하여 동작의 결과를 설명합니다. (내가 부딪쳐서 고장난 것을 배상하겠다)
자막 #1741 | 01:11:35,750 → 01:11:36,416
叔叔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이 문장에서는 특별한 문법 패턴이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叔叔"는 단순히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사용됩니다.
자막 #1742 | 01:11:37,041 → 01:11:38,583
慢点开啊叔叔
🇰🇷 한글번역
천천히 운전하세요,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慢点 màn diǎn 천천히 HSK3 开 kāi 운전하다 HSK1 啊 a 문장 끝에 쓰여 부드러움을 나타냄 HSK3 叔叔 shū shu 아저씨, 삼촌 HSK2

📚 문법
- 语气词 "啊": 문장 끝에 쓰여 말의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감정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 "慢点"은 "천천히"라는 뜻으로,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의 속도를 조절하는 부사 역할을 합니다.
자막 #1743 | 01:11:38,583 → 01:11:40,583
我的技术你还不放心吗
🇰🇷 한글번역
내 기술을 아직도 믿지 못하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的 de ~의 (소유를 나타냄) HSK1 技术 jì shù 기술 HSK4 你 nǐ 너 HSK1 还 hái 아직 HSK2 不 bù 아니다 HSK1 放心 fàng xīn 안심하다 HSK4 吗 ma ~니?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의문문: "吗"를 문장 끝에 붙여 의문을 나타내는 형식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내 기술이 아직도 안심이 안 되니?)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화자의 기술에 대해 신뢰가 있는지를 묻는 표현입니다.
자막 #1744 | 01:11:48,125 → 01:11:49,000
来来来
🇰🇷 한글번역
오세요, 오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중복 동사: 중국어에서 동사를 중복하여 사용하면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형태: 동사 + 동사 (예: 来来来 - 와봐, 와봐)
자막 #1745 | 01:11:49,000 → 01:11:49,875
透透气
🇰🇷 한글번역
환기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透 tòu 통하다, 스며들다 HSK4 气 qì 공기, 기운 HSK1

📚 문법
이 표현은 "透透气"로, "환기시키다" 또는 "기분 전환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두 개의 동사 "透"가 반복되어, 동작을 강조하거나 가볍게 하는 느낌을 줍니다. 이와 같은 반복 구조는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746 | 01:11:50,291 → 01:11:51,416
你太沉了
📝 한어병음
nǐ tài chén liǎo
🇰🇷 한글번역
너무 무거워.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太 tài 너무 HSK2 沉 chén 무겁다 HSK4

📚 문법
정도부사 太: '너무'라는 의미로,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太 + 형용사 (너무 무겁다)
자막 #1747 | 01:11:51,416 → 01:11:52,875
你真该减肥了
🇰🇷 한글번역
너 정말 살 좀 빼야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真 zhēn 정말로 HSK2 该 gāi ~해야 한다 HSK4 减肥 jiǎn féi 살을 빼다 HSK5 了 le ~했다 HSK1

📚 문법
建议문: "~해야 한다"는 권유나 충고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该 + 동사 (너는 정말 살을 빼야 한다)

"该"는 어떤 행동이 필요하거나 적절함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자막 #1748 | 01:11:53,875 → 01:11:55,458
-在那边 -走走走
📝 한어병음
- zài nà biān - zǒu zǒu zǒu
🇰🇷 한글번역
- 저쪽에서 - 가자, 가자,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在 zài ~에, ~에서 HSK1 那边 nà biān 저쪽, 그쪽 HSK2 走 zǒu 걷다, 가다 HSK1

📚 문법
- 在 + 장소: 어떤 장소에 있음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在那边"은 "저쪽에"라는 뜻으로, 특정 위치를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 중첩된 동사: "走走走"처럼 동사를 반복해서 사용하면 동작의 지속성을 강조하거나, 빨리 움직이자는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빨리 가자"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1749 | 01:12:10,666 → 01:12:11,750
跑啊
📝 한어병음
pǎo a
🇰🇷 한글번역
달려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跑 pǎo 달리다 HSK2

📚 문법
동사 중첩: 중국어에서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의 가벼움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형태: 동사 + 아 (啊) (여기서는 "跑啊"로, "달려라"라는 의미로 사용됨)
자막 #1750 | 01:12:14,000 → 01:12:15,500
手机拿来 来
🇰🇷 한글번역
핸드폰 가져와.
🎯 AI 분석 결과
🔍 어휘
手机 shǒujī 휴대전화 HSK3 拿 ná 잡다, 들다 HSK2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동사 중첩: 중국어에서 동사를 반복하여 동작의 시도나 가벼움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来 (휴대전화를 가져와)
자막 #1751 | 01:12:15,500 → 01:12:16,708
没必要吧
🇰🇷 한글번역
그럴 필요 없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아니다 HSK2 必要 bì yào 필요 HSK4 吧 ba ~지? (추측, 제안) HSK2

📚 문법
부정문: "没"는 과거의 경험이나 완료되지 않은 상태를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没 + 동사 (필요 없다)

"吧"는 문장 끝에 위치하여 추측이나 제안을 나타내며, 상대방의 동의를 구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752 | 01:12:16,708 → 01:12:17,625
都碎了
🇰🇷 한글번역
다 부서졌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碎 suì 부서지다, 깨지다 HSK4 了 le 완료, 변화의 의미를 나타냄 HSK1

📚 문법
了字句: '了'는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형태: 동사 + 了 (모두 부서졌다)

이 문장에서 '都'는 '모두'라는 의미로, '碎了'는 '부서졌다'라는 완료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자막 #1753 | 01:12:17,625 → 01:12:18,708
碎了
🇰🇷 한글번역
깨졌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碎 suì 부서지다, 깨지다 HSK4

📚 문법
결과보어: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로,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의 결과를 설명합니다.
형태: 동사 + 了 (완료를 나타내는 조사) (깨졌다)
자막 #1754 | 01:12:18,708 → 01:12:19,625
咱走吧
🇰🇷 한글번역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 zán 우리 HSK5 走 zǒu 가다 HSK1 吧 ba ~하자 (제안의 어기조사) HSK2

📚 문법
제안의 어기조사 "吧": 문장 끝에 위치하여 제안이나 권유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吧 (우리 가자)
자막 #1755 | 01:12:19,625 → 01:12:20,708
你没文化啊
🇰🇷 한글번역
너 교양 없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没 méi 없다 HSK1 文化 wén huà 문화 HSK3 啊 a 어기조사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 의문, 명령 등의 어감을 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상대방의 무지함을 강조하는 감탄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756 | 01:12:20,708 → 01:12:21,416
碎了
🇰🇷 한글번역
깨졌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碎 suì 부서지다, 깨지다 HSK4

📚 문법
결과보어: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了 (동작의 완료)
예: 碗碎了 (그릇이 깨졌다)
자막 #1757 | 01:12:21,416 → 01:12:23,750
手机碎了不能恢复数据呀
🇰🇷 한글번역
휴대폰이 깨져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手机 shǒujī 휴대폰 HSK3 碎 suì 깨지다 HSK5 不能 bùnéng ~할 수 없다 HSK2 恢复 huīfù 복구하다 HSK5 数据 shùjù 데이터 HSK5

📚 문법
부정문: 중국어에서 '不能'은 '할 수 없다'라는 의미로 능력이나 가능성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不能 + 동사 (휴대폰이 깨져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다)
자막 #1758 | 01:12:23,750 → 01:12:25,875
那我跟我前女友聊天记录就能恢复了
🇰🇷 한글번역
그러면 전 여자친구와의 채팅 기록을 복구할 수 있겠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HSK1 我 wǒ 나 HSK1 跟 gēn ~와/과 HSK2 前女友 qián nǚ yǒu 전 여자친구 (비HSK) 聊天 liáo tiān 채팅하다 HSK3

记录 jì lù 기록 HSK4 就 jiù 곧, 바로 HSK2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恢复 huī fù 회복하다, 복구하다 HSK5

📚 문법
주어 + 能 + 동사: 능력을 나타내는 문법 구조로, "~할 수 있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예: 聊天记录就能恢复了 (채팅 기록을 복구할 수 있다)
자막 #1759 | 01:12:25,875 → 01:12:26,583
🇰🇷 한글번역
꺼져
🎯 AI 분석 결과
🔍 어휘
滚 gǔn 구르다, 굴리다 HSK4

📚 문법
명령문: "滚"은 명령문으로 사용되어 상대방에게 떠나거나 사라지라는 강한 표현을 나타냅니다. 이 단어는 문맥에 따라 무례하게 들릴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자막 #1760 | 01:12:37,500 → 01:12:38,375
叔叔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근한 어른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자막 #1761 | 01:12:38,375 → 01:12:39,625
你跟谁俩呢
🇰🇷 한글번역
너 누구랑 얘기하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跟 gēn ~와/과 HSK2 谁 shéi 누구 HSK2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呢 ne ~니? (문장 끝에 쓰여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跟 + 누구/무엇 + 呢? (너는 누구와 이야기하고 있니?)

이 문장은 "너는 누구와 이야기하고 있니?"라는 의미로, 상대방이 누구와 함께 있는지 또는 대화하고 있는지를 물어보는 표현입니다.
자막 #1762 | 01:12:44,708 → 01:12:45,583
快走快走
🇰🇷 한글번역
빨리 가자, 빨리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快 kuài 빠르다, 빨리 HSK2 走 zǒu 걷다, 가다 HSK1

📚 문법
중첩형: 형용사나 동사를 중첩하여 동작이나 상태의 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형용사/동사 + 형용사/동사 (빨리 가라)
자막 #1763 | 01:12:45,583 → 01:12:46,708
快过来
🇰🇷 한글번역
빨리 와.
🎯 AI 분석 결과
🔍 어휘
快 kuài 빠르다, 어서 HSK2 过来 guò lái 오다, 다가오다 HSK3

📚 문법
동사 + 过来: 동작이 화자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다가오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快 + 동사 (어서 + 동사) (어서 와)
자막 #1764 | 01:13:00,250 → 01:13:01,083
🇰🇷 한글번역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걷다, 떠나다 HSK1

📚 문법
동사 "走"는 기본적으로 '걷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문맥에 따라 '떠나다', '출발하다' 등의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주로 주어가 이동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我走了"는 "나는 떠난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1765 | 01:13:05,541 → 01:13:06,583
快起来 追
🇰🇷 한글번역
빨리 일어나 쫓아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快 kuài 빠르다 HSK2 起来 qǐ lái 일어나다, 시작하다 HSK3 追 zhuī 쫓다, 추적하다 HSK4

📚 문법
동사 + 起来: 동작의 시작이나 어떤 상태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일어나다"의 의미로 사용되어, "빨리 일어나"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766 | 01:13:06,583 → 01:13:07,541
抓住他
🇰🇷 한글번역
그를 잡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抓住 zhuā zhù 붙잡다, 잡다 HSK4 他 tā 그, 그 사람 HSK1

📚 문법
동사 + 결과보어: 동작의 결과를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동사 + 住 (나는 그를 붙잡았다)

"抓住"는 "잡다"라는 동작이 완료되어 "붙잡고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자막 #1767 | 01:13:18,000 → 01:13:21,000
您的车辆已受损百分之五
🇰🇷 한글번역
귀하의 차량은 5% 손상되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您 nín 당신(존칭) HSK2 车辆 chē liàng 차량 HSK4 已 yǐ 이미 HSK4 受损 shòu sǔn 손상되다 HSK6 百分之 bǎi fēn zhī 퍼센트 HSK5 五 wǔ 오(5) HSK1

📚 문법
- 已: '이미'라는 뜻으로, 동작이나 상태가 이미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百分之: 퍼센트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백분의'라는 의미입니다. 수사와 결합하여 비율을 나타냅니다. (예: 百分之五는 5%를 의미합니다.)
자막 #1768 | 01:13:21,000 → 01:13:22,875
这老头挺有劲啊
🇰🇷 한글번역
이 노인 정말 힘이 세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老头 lǎo tóu 노인, 늙은이 HSK6
挺 tǐng 매우, 꽤 HSK4
有劲 yǒu jìn 힘이 있다, 힘이 세다 HSK6

📚 문법
형용사 강조: "挺 + 형용사 + 啊"의 형태로, 형용사의 정도를 강조하며 감탄의 의미를 더합니다.
예문: 这老头挺有劲啊 (이 노인은 정말 힘이 세다)
자막 #1769 | 01:13:22,875 → 01:13:23,458
快 快 快
🇰🇷 한글번역
빨리 빨리 빨리
🎯 AI 분석 결과
🔍 어휘
快 kuài 빠르다 HSK2

📚 문법
중복 형용사: 형용사를 중복하여 사용하면 동작이나 상태의 빠름을 강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快快"는 "빨리빨리"라는 의미로, 동작의 신속함을 강조합니다.
자막 #1770 | 01:13:23,458 → 01:13:24,875
都上车追 快
🇰🇷 한글번역
모두 차에 타, 빨리 쫓아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上车 shàng chē 차에 타다 HSK2 追 zhuī 쫓다, 추격하다 HSK4 快 kuài 빨리 HSK2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동사로 시작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 보어 (모두 차에 타서 빨리 쫓아라)

이 문장은 명령형으로, 행동을 신속하게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상황입니다.
자막 #1771 | 01:13:29,125 → 01:13:30,833
你干吗了 他们这么追你
🇰🇷 한글번역
너 뭐 했길래 그들이 그렇게 널 쫓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干吗 gànmá 무엇을 하다, 왜 HSK4 他们 tāmen 그들 HSK1 这么 zhème 이렇게 HSK3 追 zhuī 쫓다, 추격하다 HSK4

📚 문법
의문문: "你干吗了"는 "너 뭐 했어?"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행동이나 상황에 대한 이유를 묻는 질문입니다. "干吗"는 "무엇을 하다" 또는 "왜"라는 뜻으로,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정도부사: "这么"는 "이렇게"라는 뜻으로, 정도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그들이 왜 이렇게 너를 쫓아?"라는 의미로, 행동의 강도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1772 | 01:13:30,833 → 01:13:32,291
我拍到他们的犯罪证据
🇰🇷 한글번역
나는 그들의 범죄 증거를 찍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拍到 pāi dào 찍다, 포착하다 (결과보어) 他们 tā men 그들 HSK1 犯罪 fàn zuì 범죄 HSK5 证据 zhèng jù 증거 HSK5

📚 문법
결과보어: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로,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의 결과나 상태 변화를 설명합니다.
형태: 동사 + 结果보어 (나는 그들의 범죄 증거를 포착했다)
자막 #1773 | 01:13:32,291 → 01:13:33,541
咱们去找警察吧
🇰🇷 한글번역
우리 경찰을 찾으러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们 zán men 우리 HSK3 去 qù 가다 HSK1 找 zhǎo 찾다 HSK2 警察 jǐng chá 경찰 HSK3

📚 문법
제안문: "吧"는 문장 끝에 사용되어 제안이나 권유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吧 (우리 경찰을 찾으러 가자)
자막 #1774 | 01:13:33,541 → 01:13:35,333
你怎么又惹事啊
🇰🇷 한글번역
너 또 무슨 일을 저질렀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又 yòu 또 HSK3 惹事 rě shì 문제를 일으키다, 말썽을 부리다 (HSK 비급수)

📚 문법
"又"의 사용: "又"는 반복되는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또"라는 의미로, 이전에 발생한 일이 다시 발생했음을 강조합니다.
문장 구조: 주어 + 又 + 동사 (너는 또 문제를 일으켰다)
자막 #1775 | 01:13:35,333 → 01:13:37,375
咱被报复得还不够啊
🇰🇷 한글번역
우리가 아직 충분히 보복당하지 않았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 zán 우리(들) HSK6 被 bèi ~에 의해 HSK3 报复 bàofù 보복하다 HSK6 够 gòu 충분하다 HSK4

📚 문법
被字句: 피동문을 만드는 문법 구조로, 주어가 어떤 행동의 대상이 되어 그 행동을 받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被 + 동사 + 기타 성분 (우리는 보복을 당했다)

이 문장에서 "咱被报复得还不够啊"는 "우리가 보복을 당한 것이 아직 충분하지 않다"라는 의미로, '被'를 사용하여 피동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자막 #1776 | 01:13:37,375 → 01:13:38,666
那咱就不管啦
🇰🇷 한글번역
그럼 우리 신경 쓰지 말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HSK2 咱 zán 우리(들) HSK3 就 jiù 곧, 즉시 HSK2 不管 bù guǎn 상관하지 않다 HSK4

📚 문법
"就"는 조건이나 상황에 따라 즉시 어떤 행동을 취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상황) + 就 + (행동) (그러면 우리는 상관하지 않는다)
자막 #1777 | 01:13:38,666 → 01:13:40,500
你看看外面这些人 谁像你似的
🇰🇷 한글번역
너 밖에 있는 사람들 좀 봐, 누가 너처럼 생겼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看看 kàn kàn 보다 (한번 보다) HSK1 外面 wài miàn 밖, 외부 HSK2 这些 zhè xiē 이들, 이런 것들 HSK2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似的: '...처럼'이라는 뜻으로, 앞의 명사나 대명사와 결합하여 유사함을 나타냅니다.
형태: 명사/대명사 + 似的 (누가 너처럼 보이니?)
자막 #1778 | 01:13:40,500 → 01:13:42,375
大家都这么做就是对的吗
🇰🇷 한글번역
모두가 그렇게 한다고 해서 옳은 것인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大家 dà jiā 모두, 여러분 HSK2 这么 zhè me 이렇게 HSK3 做 zuò 하다 HSK1 就是 jiù shì 바로 ~이다 HSK3 对 duì 맞다 HSK2

📚 문법
是…的: 중국어에서 강조를 나타내는 구조로, 특정 사실이나 상태를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就是 + 동사/형용사 (바로 ~이다)

이 문장에서 "就是对的"는 "바로 맞다"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의견이 옳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1779 | 01:13:47,583 → 01:13:48,708
算了吧
🇰🇷 한글번역
됐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算了 suàn le 됐다, 그만두다 HSK4 吧 ba ~하자, ~이지? HSK1

📚 문법
"算了吧"는 주로 어떤 일을 그만두거나 포기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算了"는 "됐어" 또는 "그만두자"라는 의미를 가지며, "吧"는 제안이나 권유의 어감을 더합니다. 따라서 "算了吧"는 "그만두자" 또는 "됐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1780 | 01:13:48,708 → 01:13:49,958
为什么呀
🇰🇷 한글번역
왜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为 wèi ~을 위해 HSK2 什么 shén me 무엇 HSK1 呀 ya 어기조사 (감탄, 의문) HSK4

📚 문법
"为什么"는 "왜"라는 의미로, 이유나 원인을 묻는 질문에서 사용됩니다. "呀"는 문장 끝에 붙어 감탄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조사로, "왜?"라는 질문을 부드럽게 만들거나 감정의 뉘앙스를 더합니다.
자막 #1781 | 01:13:54,250 → 01:13:55,291
我年轻的时候
🇰🇷 한글번역
내가 젊었을 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年轻 nián qīng 젊다 HSK3 的 de ~의 (구조조사) HSK1 时候 shí hòu 때, 시기 HSK2

📚 문법
"的时候" 구조: 특정 시기나 때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动词/形容词 + 的时候 (내가 젊었을 때)
자막 #1782 | 01:13:55,291 → 01:13:57,833
有一次小雨偷偷跟着我出车
🇰🇷 한글번역
어느 날 작은 비가 몰래 나를 따라 나왔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一次 yí cì 한 번 HSK3 小雨 xiǎo yǔ 샤오위 (이름) 偷偷 tōu tōu 몰래 HSK4 跟着 gēn zhe 따라가다 HSK4 我 wǒ 나 HSK1 出 chē 나가다 (차를 타고) HSK3

📚 문법
- 跟着: "~을 따라가다"라는 의미로, 동작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小雨偷偷跟着我"로 "샤오위가 몰래 나를 따라갔다"는 의미입니다.
- 有一次: "한 번은"이라는 의미로, 과거의 특정 사건을 언급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783 | 01:13:58,750 → 01:13:59,166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 bà 아빠 HSK1

📚 문법
명사: '爸'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빠'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구어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자막 #1784 | 01:13:59,166 → 01:14:00,291
你怎么在这呢
🇰🇷 한글번역
너 여기서 뭐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在 zài ~에 있다 HSK1 这 zhè 여기 HSK1 呢 ne ~는요? (상황을 묻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어기조사 "呢": 문장 끝에 사용되어, 상대방에게 상황이나 이유를 물을 때 사용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너는 어떻게 여기에 있니?"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현재 상황이나 행동에 대한 궁금증을 표현합니다.
자막 #1785 | 01:14:00,291 → 01:14:01,250
我要帮你干活
🇰🇷 한글번역
내가 너를 도와줄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要 yào ~하려고 하다, 원하다 HSK2 帮 bāng 돕다 HSK2 你 nǐ 너 HSK1 干活 gàn huó 일하다, 노동하다 (HSK에는 포함되지 않음)

📚 문법
조동사 要: '要'는 '하려고 하다', '원하다'의 의미로 사용되어 미래의 계획이나 의도를 나타냅니다.
문장 구조: 주어 + 要 + 동사 + 목적어 (나는 너를 도와 일을 하려고 한다)
자막 #1786 | 01:14:01,250 → 01:14:02,708
你能帮我干什么活
🇰🇷 한글번역
당신은 제가 어떤 일을 도와드릴 수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帮 bāng 돕다 HSK2 我 wǒ 나 HSK1 干 gàn 하다 HSK3 什么 shénme 무엇 HSK1 活 huó 일 HSK3

📚 문법
의문문: "什么"는 의문사로 사용되어 '무엇'을 의미하며, 질문의 내용을 구체화합니다.
형태: 주어 + 能 + 동사 + 什么 + 명사 (너는 무슨 일을 할 수 있니?)

이 문장은 상대방이 어떤 일을 도와줄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입니다.
자막 #1787 | 01:14:02,708 → 01:14:03,666
我能帮你灭蚊子
🇰🇷 한글번역
내가 너의 모기를 잡아줄 수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帮 bāng 돕다 HSK3 灭 miè 없애다, 죽이다 HSK5 蚊子 wénzi 모기 HSK5

📚 문법
조동사 能: '할 수 있다'라는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주어 뒤에 위치하며, 동사 앞에 옵니다.
문장 구조: 주어 + 能 + 동사 + 목적어 (나는 모기를 없앨 수 있다)
자막 #1788 | 01:14:03,666 → 01:14:04,500
灭蚊子
🇰🇷 한글번역
모기를 없애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灭 miè 없애다, 죽이다 HSK4 蚊子 wén zi 모기 HSK5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동작을 명령하거나 요청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모기를 없애라)

이 문장은 간단한 명령문으로, "모기를 없애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789 | 01:14:04,916 → 01:14:05,833
放下
🇰🇷 한글번역
놓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放下 fàng xià 내려놓다 HSK4

📚 문법
동사 + 결과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구조입니다.
형태: 동사 + 결과보어 (放下는 '내려놓다'라는 의미로, '放'은 '놓다', '下'는 '아래로'라는 의미를 더해 동작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자막 #1790 | 01:14:06,375 → 01:14:08,541
那是灭火器
🇰🇷 한글번역
저것은 소화기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것, 그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灭火器 miè huǒ qì 소화기 HSK6

📚 문법
명사구: "那是灭火器"는 간단한 명사구로, "저것은 소화기이다"라는 뜻입니다. 주어(那)와 서술어(是灭火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국어에서 "是"는 영어의 "is"에 해당하며,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1791 | 01:14:09,250 → 01:14:11,458
爸爸你是不是又在被窝里放屁了
🇰🇷 한글번역
아빠, 또 이불 속에서 방귀 뀌셨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爸 bàba 아빠 HSK1 是不是 shì bù shì ~인지 아닌지 HSK2 又 yòu 또 HSK3 被窝 bèiwō 이불 속 HSK4 放屁 fàng pì 방귀를 뀌다 HSK5

📚 문법
是...的: 중국어에서 과거의 행동이나 사실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是 + 동사 + 的 (너는 또 이불 속에서 방귀를 뀌었니?)

"是不是"는 의문문을 만들 때 사용되며, "~인지 아닌지"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행동이나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792 | 01:14:11,458 → 01:14:13,916
散一下吧 求你了
🇰🇷 한글번역
좀 풀어줘, 제발.
🎯 AI 분석 결과
🔍 어휘
散 sàn 흩어지다, 해산하다 HSK4 一下 yíxià 한번, 잠시 HSK2 求 qiú 부탁하다, 간청하다 HSK4 你 nǐ 너 HSK1 了 le 동작의 완료, 변화 HSK1

📚 문법
- 一下: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이 짧게 이루어짐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잠시 흩어지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了: 문장 끝에 위치하여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간청의 완료를 강조합니다.
자막 #1793 | 01:14:13,916 → 01:14:15,458
-那样暖和 -臭死我了
🇰🇷 한글번역
- 그렇게 따뜻해 - 냄새가 너무 심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样 nà yàng 그렇게 HSK4 暖和 nuǎn huo 따뜻하다 HSK3 臭 chòu 냄새가 나다 HSK5 死 sǐ 죽다 HSK3 我 wǒ 나 HSK1

📚 문법
- "那样"은 "그렇게"라는 의미로, 어떤 상태나 정도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 "臭死我了"는 "臭"와 "死"를 결합하여 "너무 냄새가 나서 죽겠다"라는 과장된 표현을 나타냅니다. 이는 감정이나 상태를 강조할 때 사용하는 중국어의 일반적인 표현 방식입니다.
자막 #1794 | 01:14:15,958 → 01:14:16,916
爸爸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爸 bà ba 아빠 HSK1

📚 문법
이 단어는 명사로,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단어입니다. 중국어에서 가족을 부를 때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795 | 01:14:16,916 → 01:14:18,666
我长大了也要开卡车
🇰🇷 한글번역
나는 커서도 트럭을 운전하고 싶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长大 zhǎng dà 자라다, 성장하다 HSK4 也 yě 또한 HSK1 要 yào ~하려고 하다 HSK2 开 kāi 운전하다 HSK1 卡车 kǎ chē 트럭 HSK5

📚 문법
"也"의 사용: '也'는 '또한'이라는 뜻으로, 앞의 주어와 같은 동작이나 상태를 공유할 때 사용합니다. 여기서는 "我长大了"와 "开卡车"를 연결하여, 화자가 성장한 후에도 트럭을 운전하고 싶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要"의 사용: '要'는 '~하려고 하다'라는 미래의 의도나 계획을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화자가 장래에 트럭을 운전하고 싶다는 의도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1796 | 01:14:18,666 → 01:14:23,250
没想到你小小年纪就有这么远大的志向
🇰🇷 한글번역
생각지도 못했는데, 어린 나이에 이렇게 큰 포부를 가지고 있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想到 méi xiǎng dào 생각하지 못했다 HSK4 小小 xiǎo xiǎo 어리다, 작다 HSK5 年纪 nián jì 나이 HSK4 远大 yuǎn dà 원대하다 HSK5 志向 zhì xiàng 포부, 지향 HSK5

📚 문법
"没想到"는 예상치 못한 상황이나 결과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没想到 + 주어 + 동사 + 목적어 (예: 생각지도 못했어, 네가 이렇게 원대한 포부를 가지고 있을 줄은)

이 문장은 "너가 어린 나이에 이렇게 원대한 포부를 가지고 있을 줄은 생각지도 못했어"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뜻밖의 능력이나 포부에 대한 놀라움을 표현합니다.
자막 #1797 | 01:14:26,000 → 01:14:27,416
你俩干啥呢
🇰🇷 한글번역
너희 둘 뭐 하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干 gàn 하다, 일하다 HSK4 啥 shá 무엇, 무슨 HSK5

📚 문법
- 你俩: "너희 둘"이라는 의미로, 두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 干啥: "무엇을 하다"라는 뜻으로, "干什么"의 구어체 표현입니다. "啥"는 "什么"의 구어체로,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798 | 01:14:27,416 → 01:14:28,583
有人偷油
🇰🇷 한글번역
누군가 기름을 훔쳤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人 rén 사람 HSK1 偷 tōu 훔치다 HSK4 油 yóu 기름 HSK3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입니다.
예: 有人偷油 (누군가가 기름을 훔쳤다)
자막 #1799 | 01:14:28,583 → 01:14:29,541
油耗子
🇰🇷 한글번역
기름 도둑
🎯 AI 분석 결과
🔍 어휘
油 yóu 기름 HSK3 耗子 hào zi 쥐 (비표준어, 속어)

📚 문법
이 문장은 주로 속어로 사용되며, "油耗子"는 기름을 훔치는 사람이나 차량의 연비가 나쁜 차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단어입니다. 문법적으로는 특별한 구조가 없으며, 명사로 사용됩니다.
자막 #1800 | 01:14:29,541 → 01:14:30,833
你给我等着
🇰🇷 한글번역
두고 보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给 gěi 주다, ~에게 HSK2 我 wǒ 나 HSK1 等 děng 기다리다 HSK2 着 zhe ~하고 있다 (진행형) HSK3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명령이나 경고의 의미를 전달하는 문장입니다. "给我等着"는 "나를 위해 기다려"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특정 행동을 하도록 지시하거나 경고하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자막 #1801 | 01:14:31,333 → 01:14:32,666
油耗子
🇰🇷 한글번역
기름 도둑
🎯 AI 분석 결과
🔍 어휘
油 yóu 기름 HSK2 耗子 hào zi 쥐 (비표준어, 속어)

📚 문법
이 문장은 "油耗子"라는 비표준어 또는 속어로, 직역하면 "기름 쥐"라는 뜻입니다. 이는 기름을 훔치는 사람이나 기름을 많이 소모하는 사람 또는 차량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중국어 속어에서는 종종 특정 행동이나 특성을 가진 사람이나 사물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이러한 단어들이 사용됩니다.
자막 #1802 | 01:14:34,416 → 01:14:35,500
那天
🇰🇷 한글번역
그날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 HSK1 天 tiān 날, 하늘 HSK1

📚 문법
시간 표현: 중국어에서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那天"은 "그 날"이라는 의미로 특정한 날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803 | 01:14:35,500 → 01:14:37,500
油耗子偷了我的油
🇰🇷 한글번역
기름 도둑이 내 기름을 훔쳤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油 yóu 기름 HSK3 耗子 hào zi 쥐 (비표준어) 偷 tōu 훔치다 HSK4 我的 wǒ de 나의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油耗子"가 주어, "偷"가 동사, "我的油"가 목적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문장은 "기름 도둑이 내 기름을 훔쳤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1804 | 01:14:37,500 → 01:14:39,000
小雨也不见了
🇰🇷 한글번역
소우도 보이지 않는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雨 yǔ 비 HSK2
也 yě 또한, ~도 HSK2
不见 bù jiàn 보이지 않다, 사라지다 HSK3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이나 상태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예문: 小雨也不见了 (작은 비도 보이지 않게 되었다)
"了"는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로, 문장 끝에 위치하여 상황의 변화를 강조합니다.
자막 #1805 | 01:14:40,541 → 01:14:41,666
小雨
🇰🇷 한글번역
가랑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雨 yǔ 비 HSK2

📚 문법
명사구: "小雨"는 "작은 비"라는 뜻으로, 보통 가랑비나 이슬비를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는 형용사가 명사 앞에 위치하여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를 가집니다.
자막 #1806 | 01:14:42,416 → 01:14:43,375
小雨
🇰🇷 한글번역
가랑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雨 yǔ 비 HSK2

📚 문법
형용사 + 명사: 중국어에서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형용사가 명사 앞에 위치합니다.
예: 小雨 (작은 비)
자막 #1807 | 01:14:43,541 → 01:14:44,625
小雨
🇰🇷 한글번역
가랑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雨 yǔ 비 HSK2

📚 문법
명사구: "小雨"는 '작은 비' 또는 '이슬비'를 의미하는 명사구입니다. 중국어에서는 형용사가 명사 앞에 위치하여 명사의 성질을 설명합니다.
자막 #1808 | 01:14:45,375 → 01:14:46,333
小雨
🇰🇷 한글번역
가랑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雨 yǔ 비 HSK2

📚 문법
명사구: "小雨"는 "작은 비"라는 뜻으로, 보통 가랑비나 이슬비를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는 형용사 "小"가 명사 "雨"를 수식하여 크기를 나타내는 명사구를 형성합니다.
자막 #1809 | 01:14:50,083 → 01:14:50,916
臭油耗子
📝 한어병음
chòu yóu hào zǐ
🇰🇷 한글번역
냄새나는 쥐
🎯 AI 분석 결과
🔍 어휘
臭 chòu 냄새나다, 고약하다 HSK4 油 yóu 기름 HSK3 耗子 hào zi 쥐 (비표준어, 구어체)

📚 문법
이 표현은 주로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臭"는 부정적인 의미를 강조하는 형용사로, "油耗子"는 "기름을 먹는 쥐"라는 뜻으로, 기름을 훔쳐가는 사람이나 사물을 비유적으로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이와 같은 표현은 주로 구어체에서 사용되며, 특정 상황이나 맥락에서 부정적인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810 | 01:14:51,416 → 01:14:52,250
我孩子呢
🇰🇷 한글번역
우리 아이는 어디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孩子 hái zi 아이, 자녀 HSK2 呢 ne ~는요? HSK1

📚 문법
呢 (ne): 문장 끝에 사용되어 의문을 나타내거나, 앞서 언급한 상황이나 사람에 대해 추가적인 정보를 묻는 역할을 합니다. 이 문장에서 "我孩子呢"는 "내 아이는 어디에 있나요?" 또는 "내 아이는 어떻게 되었나요?"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1811 | 01:14:52,541 → 01:14:53,500
我孩子呢
🇰🇷 한글번역
내 아이는 어디에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孩子 hái zi 아이, 자녀 HSK2 呢 ne ~는요? (문장 끝에 쓰여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의문문: '呢'는 문장 끝에 사용되어 의문을 나타내며, 주로 특정 상황이나 대상에 대해 질문할 때 사용됩니다.
예시: "我孩子呢?"는 "내 아이는 어디 있나요?" 또는 "내 아이는 어떻게 되었나요?"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1812 | 01:14:53,583 → 01:14:54,541
我孩子呢
🇰🇷 한글번역
내 아이는 어디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孩子 hái zi 아이, 자녀 HSK2 呢 ne ~는요? (상황을 묻는 표현) HSK1

📚 문법
呢: 문장 끝에 사용되어, 상대방에게 어떤 상황이나 상태에 대해 묻거나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이 문장에서 "我孩子呢"는 "내 아이는 어디 있나요?" 또는 "내 아이는 어떻게 되었나요?"와 같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1813 | 01:14:55,916 → 01:14:57,958
谁让你多管闲事的
🇰🇷 한글번역
누가 너한테 참견하라고 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谁 shéi 누구 HSK2 让 ràng ~하게 하다 HSK3 多管闲事 duō guǎn xián shì 참견하다, 쓸데없이 간섭하다 (HSK 비수록) 的 de ~의 HSK1

📚 문법
- 让字句: '让'은 사역동사로,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게 하거나 허락할 때 사용합니다. 여기서는 '누가 너에게 참견하게 했느냐'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多管闲事: 이 표현은 '쓸데없이 남의 일에 간섭하다'라는 의미로, 문맥상 부정적인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자막 #1814 | 01:15:04,625 → 01:15:05,583
小雨
🇰🇷 한글번역
가랑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雨 yǔ 비 HSK2

📚 문법
명사구: "小雨"는 "작은 비"라는 뜻으로, 보통 가벼운 비를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는 형용사가 명사 앞에 위치하여 명사를 수식합니다.
자막 #1815 | 01:15:06,833 → 01:15:07,791
小雨
🇰🇷 한글번역
가랑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雨 yǔ 비 HSK2

📚 문법
형용사 + 명사: 중국어에서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형용사가 명사 앞에 위치합니다.
예: 小雨 (작은 비)
자막 #1816 | 01:15:08,791 → 01:15:10,791
我肩膀上这条疤
🇰🇷 한글번역
내 어깨 위의 이 흉터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肩膀 jiānbǎng 어깨 HSK5 上 shàng 위에 HSK1 这 zhè 이 HSK1 条 tiáo (양사) 가늘고 긴 것 HSK4 疤 bā 흉터 HSK6

📚 문법
명사구: "我肩膀上这条疤"는 "나의 어깨 위에 있는 이 흉터"라는 의미로, 명사와 명사구가 결합하여 특정 대상을 설명합니다. "这条"는 양사 "条"를 사용하여 "疤"를 수식합니다.
자막 #1817 | 01:15:11,500 → 01:15:14,333
现在一到阴天下雨的时候就会疼
🇰🇷 한글번역
지금은 날씨가 흐리고 비가 오면 아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现在 xiàn zài 지금 HSK1 阴天 yīn tiān 흐린 날 HSK4 下雨 xià yǔ 비가 내리다 HSK2 疼 téng 아프다 HSK3

📚 문법
时间状语从句: "一到...就..."는 특정 조건이나 시간이 도래하면 어떤 일이 즉시 발생함을 나타내는 구조입니다.
형태: 一到 + 시간/조건 + 就 + 결과 (비가 오는 흐린 날이 되면 바로 아프다)
자막 #1818 | 01:15:16,708 → 01:15:19,666
它好像 时刻提醒着我
🇰🇷 한글번역
그것은 마치 항상 나에게 상기시키는 것 같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它 tā 그것 HSK1 好像 hǎo xiàng 마치 ~인 것 같다 HSK3 时刻 shí kè 시각, 순간 HSK4 提醒 tí xǐng 상기시키다, 일깨우다 HSK4 我 wǒ 나 HSK1

📚 문법
- 好像: '마치 ~인 것 같다'라는 뜻으로, 어떤 상황이나 상태가 비슷하게 느껴질 때 사용합니다.
- 动词 + 着: 동작의 지속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여기서는 '提醒着'가 '상기시키고 있는'이라는 지속적인 동작을 나타냅니다.
자막 #1819 | 01:15:20,875 → 01:15:22,458
你有病啊
🇰🇷 한글번역
너 미쳤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有 yǒu 있다 HSK1 病 bìng 병, 아프다 HSK3 啊 a 어기조사 (놀람, 강조) HSK2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의 끝에 사용되어 감정이나 어조를 강조합니다. 여기서는 놀람이나 약간의 비난의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자막 #1820 | 01:15:24,666 → 01:15:25,541
叔叔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 또는 친근한 성인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821 | 01:15:25,541 → 01:15:27,083
我也付出过代价
🇰🇷 한글번역
저도 대가를 치렀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也 yě 또한, 역시 HSK1 付出 fùchū 지불하다, 대가를 치르다 HSK4 过 guò ~한 적이 있다 HSK2 代价 dàijià 대가 HSK5

📚 문법
동사 + 过: 과거의 경험을 나타내는 문법 패턴입니다.
형태: 동사 + 过 (나는 대가를 치른 적이 있다)
자막 #1822 | 01:15:27,750 → 01:15:28,708
但对的
🇰🇷 한글번역
하지만 맞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但 dàn 그러나 HSK3 对 duì 맞다, 옳다 HSK2

📚 문법
접속사 "但(是)"는 두 절을 연결하여 대조적인 내용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对"는 형용사로 "맞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이 문장은 "그러나 맞다"라는 의미로, 앞뒤 문맥에 따라 대조적인 상황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자막 #1823 | 01:15:29,541 → 01:15:31,625
永远就是对的
🇰🇷 한글번역
영원히 옳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永远 yǒng yuǎn 영원히 HSK4 就是 jiù shì 바로 ~이다 HSK3 对的 duì de 옳은, 맞는 HSK2

📚 문법
명사구: "永远就是对的"는 명사구로, "영원히 옳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여기서 "就是"는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어, "바로 ~이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은 어떤 것이든지 영원히 옳다는 의미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1824 | 01:15:32,833 → 01:15:34,875
我之所以能遇到小雨
🇰🇷 한글번역
내가 소우를 만날 수 있었던 이유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之所以 zhī suǒ yǐ ...한 이유는 HSK6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遇到 yù dào 만나다 HSK3
小雨 Xiǎo Yǔ (사람 이름)

📚 문법
之所以...是因为...: 이 문장은 원인이나 이유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之所以"는 "…한 이유는"으로 해석되며, 뒤에 "是因为"와 함께 사용되어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我之所以能遇到小雨"로, "내가 샤오위(小雨)를 만날 수 있었던 이유는"라는 뜻이 됩니다. 뒤에 "是因为"가 이어져 구체적인 이유가 설명될 수 있습니다.
자막 #1825 | 01:15:34,875 → 01:15:37,083
就是因为之前做了一件对的事
🇰🇷 한글번역
바로 전에 옳은 일을 했기 때문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是 shì ~이다 HSK1 因为 yīn wèi 왜냐하면 HSK2 之前 zhī qián 이전에 HSK4 做 zuò 하다 HSK1

📚 문법
因为...所以...: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는 문장 구조입니다. "왜냐하면 ~이기 때문에"라는 뜻으로, 이유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因为 + 원인 + 所以 + 결과 (예: 왜냐하면 이전에 옳은 일을 했기 때문에)
자막 #1826 | 01:15:38,458 → 01:15:39,291
当然了
🇰🇷 한글번역
물론이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当然 dāng rán 당연히 HSK3

📚 문법
"当然"은 중국어에서 어떤 사실이나 상황이 자명하거나 당연하다고 할 때 사용하는 부사입니다. 주로 문장의 맨 앞에 위치하여 화자의 확신이나 당연함을 강조합니다.
자막 #1827 | 01:15:40,583 → 01:15:42,958
这之前也做过一些让您失望的事
🇰🇷 한글번역
이전에도 당신을 실망시킨 일이 있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之前 zhīqián 이전, 앞서 HSK4 做 zuò 하다 HSK1 让 ràng ~하게 하다 HSK3 您 nín 당신 (존칭) HSK2 失望 shīwàng 실망하다 HSK4 事 shì 일 HSK1

📚 문법
- 也(yě): '또한', '역시'라는 의미로, 앞의 내용에 덧붙여 비슷한 상황이나 사실을 추가할 때 사용합니다.
- 让(ràng) + 사람 + 동사: '누구를 ~하게 하다'라는 의미로, 사역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 过(guò): 동사 뒤에 붙어 과거의 경험을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자막 #1828 | 01:15:43,333 → 01:15:44,791
但那也是因为
🇰🇷 한글번역
하지만 그것도 때문이에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但 dàn 그러나 HSK3 那 nà 그것 HSK1 也 yě 또한 HSK1 是 shì 이다 HSK1 因为 yīn wèi 왜냐하면 HSK2

📚 문법
连词: "但"은 접속사로, 앞뒤 문장을 대조하거나 전환할 때 사용됩니다. (그러나)
因果关系: "因为"는 원인을 설명할 때 사용되며, "因为...所以..." 구조로 결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래서...)
자막 #1829 | 01:15:45,500 → 01:15:47,250
我害怕失去她
🇰🇷 한글번역
나는 그녀를 잃을까 봐 두려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害怕 hài pà 두려워하다 HSK3 失去 shī qù 잃다 HSK4 她 tā 그녀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이 문장은 주어(我)가 동사(害怕)를 통해 감정을 표현하고 있으며, 목적어(失去她)를 통해 두려움의 대상을 구체화합니다. "나는 그녀를 잃을까 두렵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1830 | 01:15:48,666 → 01:15:50,375
但我现在明白了
🇰🇷 한글번역
하지만 이제 이해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但 dàn 그러나 HSK3 我 wǒ 나 HSK1 现在 xiàn zài 지금 HSK1 明白 míng bái 이해하다 HSK2

📚 문법
주어 + 동사 + 了: 了는 동작의 완료 또는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여기서는 "이해하다"라는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나는 지금 이해했다)
자막 #1831 | 01:15:51,000 → 01:15:52,833
爱一个人很重要
🇰🇷 한글번역
사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爱 ài 사랑하다 HSK1 一个人 yí gè rén 한 사람 HSK1 很 hěn 매우, 아주 HSK1 重要 zhòng yào 중요하다 HSK3

📚 문법
형용사 술어문: 중국어에서 형용사가 술어로 사용될 때는 보통 "很"과 같은 정도 부사를 사용하여 형용사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很 + 형용사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자막 #1832 | 01:15:52,833 → 01:15:54,500
做一个值得被爱的人
🇰🇷 한글번역
사랑받을 만한 사람이 되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做 zuò 하다, 되다 HSK1 一个 yí gè 하나의 HSK1 值得 zhí dé ~할 만하다 HSK4 被 bèi ~에 의해 HSK3 爱 ài 사랑하다 HSK1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被字句: 중국어에서 수동태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被 + 동사 + 주어 (사랑받을 만한 사람이 되다)

이 문장에서 "被"는 수동의 의미를 강조하며, "值得被爱的人"은 "사랑받을 만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자막 #1833 | 01:15:54,500 → 01:15:55,791
也很重要
🇰🇷 한글번역
또한 중요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也 yě 또한, 역시 HSK1 很 hěn 매우, 아주 HSK1 重要 zhòng yào 중요하다 HSK3

📚 문법
정도부사: "很"은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그 정도를 강조합니다. "也"는 주어 앞이나 동사 앞에 위치하여 '또한'의 의미를 더합니다.
형태: 也 + 주어/동사 + 很 + 형용사 (또한 매우 중요하다)
자막 #1834 | 01:15:58,708 → 01:15:59,958
小万
🇰🇷 한글번역
샤오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万 wàn 만 (숫자) HSK3

📚 문법
호칭 및 애칭: "小"는 사람의 이름 앞에 붙여 친근함이나 친밀감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小万"은 "어린 만" 또는 "작은 만"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친근한 호칭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1835 | 01:15:59,958 → 01:16:01,250
晕车吗
🇰🇷 한글번역
멀미하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晕 yūn 어지럽다 HSK4 车 chē 차 HSK1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는 문장 끝에 "吗"를 붙여서 질문을 형성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吗? (차 멀미를 하니?)
자막 #1836 | 01:16:02,291 → 01:16:03,541
晕啊 叔叔
🇰🇷 한글번역
어지러워요,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晕 yūn 어지럽다 HSK4 叔叔 shūshu 삼촌 HSK2

📚 문법
감탄문: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啊"는 감탄사로, 놀람이나 감탄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감정 표현 + 啊 (어지럽다, 삼촌)
자막 #1837 | 01:16:03,541 → 01:16:04,291
🇰🇷 한글번역
좋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좋다, 잘 HSK1

📚 문법
"好"는 형용사로 "좋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부사로 사용될 때는 "잘"이라는 의미로 동사를 수식합니다. 예를 들어 "好好学习"는 "잘 공부하다"라는 뜻입니다.
자막 #1838 | 01:16:11,500 → 01:16:12,166
起来
🇰🇷 한글번역
일어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起 qǐ 일어나다 HSK2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결과보어: "起来"는 동작의 시작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결과보어로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起来 (일어나다, 시작하다)
예: 他站起来了。(그는 일어섰다.)
자막 #1839 | 01:16:12,750 → 01:16:14,333
拿我手机 报警
🇰🇷 한글번역
내 핸드폰 가져가서 경찰에 신고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拿 ná 잡다, 쥐다 HSK2 我 wǒ 나, 저 HSK1 手机 shǒujī 휴대폰 HSK3 报警 bàojǐng 경찰에 신고하다 HSK5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할 때 주로 동사로 시작하는 문장을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휴대폰을 잡고 경찰에 신고해라)

이 문장에서 "拿我手机 报警"은 "내 휴대폰을 잡고 경찰에 신고해라"라는 명령을 나타냅니다.
자막 #1840 | 01:16:14,333 → 01:16:15,875
咱们先拖住他们 等警察来
🇰🇷 한글번역
우선 그들을 붙잡고 경찰이 올 때까지 기다리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们 zán men 우리 HSK2 先 xiān 먼저 HSK2 拖住 tuō zhù 붙잡다, 지연시키다 (HSK 비급수) 他们 tā men 그들 HSK1 等 děng 기다리다 HSK2 警察 jǐng chá 경찰 HSK3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병렬구조: 두 개 이상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열하여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을 설명합니다.
형태: 동사1 + 목적어1 + 동사2 + 목적어2 (우리가 그들을 붙잡고 경찰을 기다리자)
자막 #1841 | 01:16:15,875 → 01:16:17,041
咱俩怎么拖住他们啊
🇰🇷 한글번역
우리 둘이 어떻게 그들을 막을 수 있을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俩 zán liǎ 우리 둘 HSK6 怎么 zěn me 어떻게 HSK2 拖住 tuō zhù 붙잡다, 지연시키다 HSK6 他们 tā men 그들 HSK1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수단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怎么 + 동사 (우리 둘은 그들을 어떻게 붙잡을까?)
자막 #1842 | 01:16:17,041 → 01:16:18,708
你拉个群
🇰🇷 한글번역
단체 채팅방을 만들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拉 lā 만들다, 끌다 HSK4 个 gè 개 (양사) HSK1 群 qún 그룹, 무리 HSK5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동사로 시작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너는 그룹을 만들어라)

이 문장은 "너는 그룹을 만들어라"라는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1843 | 01:16:18,708 → 01:16:19,708
都拉谁啊
🇰🇷 한글번역
누구를 데리고 가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拉 lā 끌다, 당기다 HSK4 谁 shéi 누구 HSK2 啊 a 어기조사 (감탄, 강조) HSK2

📚 문법
의문문: "谁"는 의문대명사로 "누구"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장에서 주로 사람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문장 구조: 주어 + 동사 + 谁 (누구를 끌다)
자막 #1844 | 01:16:19,708 → 01:16:22,333
这时候就别挑了 都拉进来
🇰🇷 한글번역
이럴 때는 가리지 말고 다 끌어들여.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时候 zhè shí hòu 이때 HSK3 别 bié ~하지 마라 HSK2 挑 tiāo 고르다 HSK4 都 dōu 모두 HSK1 拉 lā 끌다, 당기다 HSK3 进来 jìn lái 들어오다 HSK2

📚 문법
- 别字句: "别"는 부정 명령문에서 사용되어 "~하지 마라"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 结果보어: "拉进来"는 동사 "拉(끌다)"와 방향보어 "进来(들어오다)"가 결합하여 "끌어들이다"라는 결과를 나타냅니다.
자막 #1845 | 01:16:26,000 → 01:16:26,958
兄弟们
🇰🇷 한글번역
형제들
🎯 AI 분석 결과
🔍 어휘
兄弟 xiōng dì 형제 HSK4 们 men ~들 (복수형) HSK1

📚 문법
명사 + 们: 중국어에서 명사의 복수를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여 사용합니다. (형제들)
자막 #1846 | 01:16:26,958 → 01:16:29,416
就在我定位附近的
🇰🇷 한글번역
바로 내 위치 근처에 있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HSK2 在 zài ~에 HSK1 我 wǒ 나 HSK1 定位 dìngwèi 위치를 정하다 HSK5 附近 fùjìn 근처 HSK3

📚 문법
위치 표현: 중국어에서 위치를 나타낼 때는 "在 + 장소" 구조를 사용합니다.
예문: 就在我定位附近的 (바로 내 위치 근처에 있는)
자막 #1847 | 01:16:29,416 → 01:16:30,750
不管你们车上有没有货
🇰🇷 한글번역
당신들 차에 짐이 있든 없든 상관없이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管 bùguǎn 상관하지 않다, ~에 관계없이 HSK4 你们 nǐmen 너희들 HSK1 车 chē 차, 차량 HSK1 上 shàng 위, ~에 HSK1 货 huò 화물, 짐 HSK4

📚 문법
"不管...有没有..." 구조: 조건에 관계없이 어떤 상황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형태: 不管 + 조건 + 有没有 + 명사 (너희들 차에 짐이 있든 없든 상관없다)
자막 #1848 | 01:16:30,750 → 01:16:32,625
把车都开过来
🇰🇷 한글번역
차를 모두 가져와.
🎯 AI 분석 결과
🔍 어휘
把 bǎ 을/를 HSK3
车 chē 차, 자동차 HSK1
都 dōu 모두 HSK2
开 kāi 운전하다, 열다 HSK1
过来 guò lái 오다 HSK3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방향보어 (차를 모두 몰고 오세요)

이 문장에서는 "把车都开过来"라는 구조로, "차를 모두 몰고 오다"라는 동작의 완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过来"는 방향보어로, 동작이 화자 쪽으로 이동함을 의미합니다.
자막 #1849 | 01:16:32,625 → 01:16:34,416
提前跟你们说明
🇰🇷 한글번역
미리 여러분께 말씀드립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提前 tí qián 미리, 사전에 HSK4 跟 gēn ~와/과 HSK2 你们 nǐ men 너희들 HSK1 说明 shuō míng 설명하다 HSK4

📚 문법
동사 + 목적어: 이 문장은 "설명하다"라는 동사와 "너희들"이라는 목적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提前"은 부사로서 "미리"라는 뜻으로, 동작이 사전에 이루어짐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너희들에게 미리 설명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1850 | 01:16:34,416 → 01:16:36,708
这次来 是堵油耗子
🇰🇷 한글번역
이번에는 기름 도둑을 잡으러 왔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次 zhè cì 이번 HSK3 来 lái 오다 HSK1 是 shì 이다 HSK1 堵 dǔ 막다, 차단하다 HSK5 油耗子 yóu hào zi 기름 도둑 (비표준어)

📚 문법
명사구: "这次来"는 "이번에 오는 것"이라는 의미로, 주어 역할을 합니다.
형태: 명사구 + 술어 (이번에 오는 것은 기름 도둑이다)

설명: "油耗子"는 비표준어로, 기름을 훔치는 사람이나 기름을 많이 소모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입니다.
자막 #1851 | 01:16:36,708 → 01:16:37,500
这些年
🇰🇷 한글번역
이 몇 년 동안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些 xiē 몇, 약간 HSK2 年 nián 년, 해 HSK1

📚 문법
时间 표현: "这些年"은 "이 몇 년"이라는 뜻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을 나타냅니다. 이는 특정 기간 동안의 경험이나 변화를 언급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852 | 01:16:37,500 → 01:16:39,666
咱们谁没被油耗子欺负过
🇰🇷 한글번역
우리 중에 누가 기름 도둑에게 괴롭힘을 당하지 않았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们 zánmen 우리 HSK2 谁 shéi 누구 HSK2 没 méi 않다 HSK1 被 bèi ~에 의해 HSK3 欺负 qīfu 괴롭히다 HSK5

📚 문법
被자구문: 피동문을 만드는 문법으로, 주어가 동작을 당하는 상황을 표현합니다.
형태: 주어 + 被 + 동작을 가한 사람/사물 + 동사 (우리는 누구나 기름 도둑에게 괴롭힘을 당한 적이 있다)
자막 #1853 | 01:16:39,666 → 01:16:41,791
有被害得倾家荡产的
🇰🇷 한글번역
피해를 입어 집안이 기울 정도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被 bèi ~에 의해 HSK3 害 hài 해치다 HSK4 倾家荡产 qīng jiā dàng chǎn 집안이 기울다, 전 재산을 잃다 (비유적 표현)

📚 문법
피동문: 被字句는 주어가 어떤 행동이나 사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被 + 동사 + 기타 (주어는 해를 입었다)

이 문장에서 "有被害得倾家荡产的"는 어떤 사람이 해를 입어 전 재산을 잃게 되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被"는 피동을 나타내며, "得"는 결과를 강조합니다.
자막 #1854 | 01:16:41,791 → 01:16:44,166
有被害得家破人亡的
🇰🇷 한글번역
피해를 입어 가정이 파탄나고 가족이 사망한 경우가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被 bèi ~에 의해 HSK3 害 hài 해치다 HSK4 得 dé ~하게 되다 HSK3 家 jiā 집 HSK1 破 pò 깨지다, 파괴되다 HSK5 人 rén 사람 HSK1 亡 wáng 죽다 HSK6

📚 문법
피동문: 被字句는 주어가 어떤 행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被 + 행위자 + 동사 (집이 파괴되고 사람이 죽게 되었다)

이 문장에서 "有被害得家破人亡的"는 어떤 사건이나 상황으로 인해 집이 파괴되고 사람이 죽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被"는 피동의 의미를 나타내며, "得"는 결과를 나타냅니다.
자막 #1855 | 01:16:44,166 → 01:16:45,708
之前咱们都忍了
🇰🇷 한글번역
이전에는 우리가 모두 참았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之前 zhīqián 이전에 HSK3 咱们 zánmen 우리(들) HSK2 都 dōu 모두 HSK1 忍 rěn 참다 HSK4

📚 문법
시간 부사어: "之前"은 시간의 앞을 나타내며, 문장 앞에 위치하여 동작이나 상태가 발생한 시간을 설명합니다.
형태: 时间 부사어 + 주어 + 동사 (이전에 우리는 모두 참았다)
자막 #1856 | 01:16:45,708 → 01:16:47,500
但谁还没个血性
🇰🇷 한글번역
하지만 누구에게나 혈기가 있지 않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但 dàn 그러나 HSK3 谁 shéi 누구 HSK2 还 hái 아직, 여전히 HSK2 没 méi 없다 HSK1 血性 xuè xìng 혈성, 용기 HSK6

📚 문법
부정문: "没"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 "没"는 "없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혈성이 없다"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형태: 주어 + 没 + 동사/명사 (누구에게나 혈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자막 #1857 | 01:16:47,500 → 01:16:48,791
我就不信了
🇰🇷 한글번역
나는 믿을 수 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不 bù 아니다 HSK1 信 xìn 믿다 HSK3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믿다"라는 동사를 부정하여 "믿지 않는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강조 표현: "就"는 문장에서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我就不信了"는 "나는 정말로 믿지 않는다"라는 강한 의지를 나타냅니다.
자막 #1858 | 01:16:48,791 → 01:16:50,000
咱们这么多人
🇰🇷 한글번역
우리 이렇게 많은 사람들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们 zán men 우리 HSK2 这么 zhè me 이렇게, 이처럼 HSK3 多 duō 많다 HSK1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주어 + 这么 + 형용사: '이렇게 ~하다'라는 의미로, 상태나 정도를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예문: 咱们这么多人 (우리 이렇게 많은 사람들)
자막 #1859 | 01:16:50,000 → 01:16:51,916
还真要怕他们一辈子不成
🇰🇷 한글번역
그들을 평생 두려워해야 한다는 건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 hái 여전히, 아직도 HSK2 真 zhēn 정말로 HSK2 怕 pà 두려워하다 HSK4 他们 tāmen 그들 HSK1 一辈子 yíbèizi 일생, 평생 HSK5 不成 bùchéng 안 된다, 할 수 없다 HSK4

📚 문법
- 还 (hái): '여전히', '아직도'의 의미로, 상태나 행동이 계속됨을 나타냅니다.
- 怕 (pà): '두려워하다'라는 의미로, 뒤에 오는 내용에 대한 두려움이나 염려를 표현합니다.
- 一辈子 (yíbèizi): '일생', '평생'을 의미하며, 시간의 지속성을 강조합니다.
- 不成 (bùchéng): '안 된다', '할 수 없다'라는 의미로, 가능성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은 "정말로 그들을 평생 두려워해야 하는 건가?"라는 의미로, 어떤 상황에 대한 염려와 의문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1860 | 01:16:51,916 → 01:16:52,583
海哥
🇰🇷 한글번역
해거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 hǎi 바다 HSK3 哥 gē 형, 오빠 HSK1

📚 문법
이 문장은 단순히 이름이나 별칭으로 사용될 수 있는 표현입니다. "海哥"는 "바다 형"이라는 뜻으로, 특정 인물의 별명일 수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문맥이 필요합니다.
자막 #1861 | 01:16:52,583 → 01:16:53,708
我就在附近呢
🇰🇷 한글번역
저는 바로 근처에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就 jiù 바로 HSK2 在 zài ~에 있다 HSK1 附近 fùjìn 근처 HSK3 呢 ne ~이다 (진행형) HSK1

📚 문법
진행형: '呢'는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현재 진행 중인 상태나 동작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화자가 현재 근처에 있음을 강조합니다.
자막 #1862 | 01:16:53,708 → 01:16:54,666
马上到
🇰🇷 한글번역
곧 도착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马上 mǎ shàng 곧, 즉시 HSK3 到 dào 도착하다 HSK1

📚 문법
부사 사용: '马上'는 부사로서 어떤 일이 곧 일어날 것임을 나타냅니다. 주로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이 즉시 발생함을 강조합니다. (예: 곧 도착하다)
자막 #1863 | 01:16:58,750 → 01:17:00,416
海哥 我的拖车在附近呢
🇰🇷 한글번역
해거, 내 트레일러가 근처에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哥 Hǎi gē 해이거 (이름) - 我的 wǒ de 나의 HSK1 拖车 tuō chē 트레일러 - 在 zài ~에 있다 HSK1 附近 fù jìn 근처 HSK3

📚 문법
주어+在+장소: 중국어에서 주어가 특정 장소에 있음을 나타내는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주어 + 在 + 장소 (내 트레일러는 근처에 있다)
자막 #1864 | 01:17:00,416 → 01:17:01,250
我也来
🇰🇷 한글번역
나도 갈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也 yě 또한 HSK1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병렬구조: "也"는 앞의 주어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我也来"는 "나도 온다"라는 의미로, 앞서 언급된 다른 사람의 행동에 동참하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865 | 01:17:01,916 → 01:17:02,791
海哥 算我一个
🇰🇷 한글번역
형, 나도 끼워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哥 Hǎi gē 해거 (이름) 算 suàn 포함하다, 계산하다 HSK3 我 wǒ 나 HSK1 一个 yí gè 하나, 한 명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동사로 시작합니다. 여기서는 "算我一个"가 "나를 포함시켜줘"라는 요청을 나타냅니다. "算"은 "포함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866 | 01:17:03,041 → 01:17:03,916
海哥 算我一个
🇰🇷 한글번역
형, 나도 끼워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哥 Hǎi gē 해거 (이름) 算 suàn 포함하다, 계산하다 HSK4 我 wǒ 나 HSK1 一个 yí gè 하나 HSK1

📚 문법
명령문: "算我一个"는 "나도 포함시켜줘"라는 의미로, 요청이나 제안을 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포함하다 + 나 + 하나)
자막 #1867 | 01:17:04,041 → 01:17:05,083
海哥 算我一个
🇰🇷 한글번역
형, 나도 끼워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哥 Hǎi gē 바다 형님 (이름) 算 suàn 포함하다, 계산하다 HSK3 我 wǒ 나 HSK1 一个 yí gè 하나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동사로 시작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나를 포함시켜줘)
자막 #1868 | 01:17:05,250 → 01:17:06,250
海哥 算我一个
🇰🇷 한글번역
형, 나도 끼워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哥 Hǎi gē (사람 이름 또는 별명, 문맥에 따라 다름) 算 suàn 포함하다, 계산하다 HSK4 我 wǒ 나 HSK1 一个 yí gè 하나, 한 명 HSK1

📚 문법
명령문: "算我一个"는 "나도 포함시켜 줘"라는 의미로, 어떤 활동이나 그룹에 자신을 포함시켜 달라는 요청입니다. 중국어에서 간단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구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막 #1869 | 01:17:06,250 → 01:17:06,750
算我一个
🇰🇷 한글번역
나도 끼워 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算 suàn 계산하다, 포함하다 HSK3 我 wǒ 나, 저 HSK1 一个 yí gè 하나, 한 명 HSK1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나도 포함시켜줘"라는 의미로, 요청이나 제안을 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나를 하나로 계산해줘)
자막 #1870 | 01:17:06,791 → 01:17:07,166
算我一个
🇰🇷 한글번역
저도 끼워 주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算 suàn 계산하다, 포함하다 HSK3 我 wǒ 나 HSK1 一个 yí gè 하나 HSK1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나도 포함시켜줘"라는 의미로, 어떤 활동이나 그룹에 자신을 포함시키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算"은 여기서 "포함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871 | 01:17:07,166 → 01:17:07,583
算我一个
🇰🇷 한글번역
저도 끼워 주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算 suàn 계산하다, 포함하다 HSK3 我 wǒ 나, 저 HSK1 一个 yí gè 하나, 한 명 HSK1

📚 문법
명령문: "算我一个"는 "나도 포함시켜줘"라는 뜻으로, 어떤 활동이나 그룹에 자신을 포함시키고 싶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算'은 여기서 '포함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872 | 01:17:07,583 → 01:17:08,041
算我一个
🇰🇷 한글번역
저도 끼워 주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算 suàn 계산하다, 포함하다 HSK3 我 wǒ 나, 저 HSK1 一个 yí gè 하나, 한 명 HSK1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나도 포함시켜줘"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자신을 어떤 활동이나 그룹에 포함시켜달라는 요청을 표현합니다. "算"은 여기서 "포함하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873 | 01:17:08,041 → 01:17:08,750
算我一个
🇰🇷 한글번역
저도 끼워 주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算 suàn 계산하다, 포함하다 HSK3 我 wǒ 나 HSK1 一个 yí gè 하나, 한 명 HSK1

📚 문법
명령문: "算我一个"는 "나도 포함시켜줘"라는 의미로, 어떤 활동이나 그룹에 자신을 포함시키고 싶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算"은 여기서 "포함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1874 | 01:17:09,541 → 01:17:10,916
海哥 海哥 算我一个
🇰🇷 한글번역
해거 해거 나도 끼워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哥 hǎi gē 바다 형님 (친근하게 부르는 호칭) 算 suàn 포함하다, 계산하다 HSK3 我 wǒ 나 HSK1 一个 yī gè 하나 HSK1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화자가 자신을 어떤 활동이나 그룹에 포함시켜 달라고 요청하는 명령문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나를 포함시켜 주세요)
자막 #1875 | 01:17:10,916 → 01:17:12,041
我也要来
🇰🇷 한글번역
나도 갈래.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也 yě 또한, ~도 HSK1 要 yào 원하다, ~하려고 하다 HSK1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병렬문: "也"는 앞의 주어와 같은 동작을 하겠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형태: 주어 + 也 + 동사 (나도 오고 싶다)
자막 #1876 | 01:17:12,666 → 01:17:13,416
大哥
🇰🇷 한글번역
형님
🎯 AI 분석 결과
🔍 어휘
大哥 dà gē 큰형, 형님 HSK3

📚 문법
호칭: "大哥"는 주로 남성 간에 친근하게 형이나 형님을 부를 때 사용합니다. 가족 내에서 형을 지칭할 때도 사용되지만, 친구나 동료 사이에서도 친근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막 #1877 | 01:17:13,833 → 01:17:15,166
我们在非洲
🇰🇷 한글번역
우리는 아프리카에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在 zài ~에, ~에서 HSK1 非洲 Fēizhōu 아프리카 HSK5

📚 문법
위치 표현: 중국어에서 "在"는 장소나 위치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在 + 장소 (우리는 아프리카에 있다)
자막 #1878 | 01:17:51,125 → 01:17:52,250
他们回来了
🇰🇷 한글번역
그들이 돌아왔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们 tā men 그들 HSK1 回来 huí lái 돌아오다 HSK2

📚 문법
주어 + 동사 + 결과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결과보어 (그들이 돌아왔다)
자막 #1879 | 01:17:59,041 → 01:17:59,958
来了 来了
🇰🇷 한글번역
왔어요, 왔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중국어에서 "来了"는 동작의 완료나 도착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반복해서 사용하면 "왔어, 왔어"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자신이 도착했음을 강조하거나 알릴 때 사용됩니다.
자막 #1880 | 01:18:00,750 → 01:18:01,750
坐稳了啊
🇰🇷 한글번역
잘 앉아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坐 zuò 앉다 HSK1 稳 wěn 안정되다, 흔들리지 않다 HSK5 了 le 동작의 완료를 나타냄 HSK1 啊 a 어기조사, 감탄사 HSK2

📚 문법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나타내는 문법 패턴입니다.
형태: 동사 + 了 (앉았다, 앉아라)

"坐稳了啊"는 "안정되게 앉아라"라는 의미로, 여기서 "了"는 동작의 완료를, "啊"는 강조나 감탄을 나타냅니다.
자막 #1881 | 01:18:13,125 → 01:18:14,875
老刘 老刘 你到哪了
🇰🇷 한글번역
노유, 노유, 어디에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老 lǎo 늙다, 오래되다 HSK2 刘 Liú (성씨) 고유명사 你 nǐ 너 HSK1 到 dào 도착하다 HSK2 哪 nǎ 어디 HSK2

📚 문법
- 의문문: "你到哪了"는 "너 어디에 도착했니?"라는 뜻으로, "到"는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며 "了"는 완료를 강조합니다.
- 형태: 주어 + 동사 + 의문사 + 了 (너는 어디에 도착했니?)
자막 #1882 | 01:18:14,875 → 01:18:18,000
一会你来的时候 堵住那个化工厂的大门那个口
🇰🇷 한글번역
잠시 후에 올 때 그 화학 공장 입구를 막아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会 yī huì 잠시 후에 HSK3 来 lái 오다 HSK1 堵住 dǔ zhù 막다, 차단하다 HSK4 化工厂 huà gōng chǎng 화학 공장 HSK6 大门 dà mén 대문 HSK4

📚 문법
- 时间 부사구: "一会"는 '잠시 후에'라는 뜻으로,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부사구입니다. 문장의 시작 부분에 위치하여 동작이 일어날 시간을 나타냅니다.
- 동사구: "堵住"는 동사 "堵"에 결과보어 "住"가 붙어 '막다, 차단하다'라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결과보어는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자막 #1883 | 01:18:18,000 → 01:18:19,083
海哥 我到了
🇰🇷 한글번역
형, 나 도착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哥 Hǎi gē 해거 (이름) N/A 我 wǒ 나 HSK1 到了 dào le 도착했다 HSK2

📚 문법
동사 + 了: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문법입니다.
형태: 동사 + 了 (나는 도착했다)
자막 #1884 | 01:18:19,083 → 01:18:19,833
哪个门
🇰🇷 한글번역
어느 문
🎯 AI 분석 결과
🔍 어휘
哪 nǎ 어느, 어떤 HSK2 个 gè 개, 명 (양사) HSK1 门 mén 문 HSK1

📚 문법
의문문: "哪个门"은 "어느 문"이라는 뜻으로, 특정한 문을 선택하거나 구별할 때 사용됩니다. "哪"는 의문대명사로, 뒤에 양사와 명사가 따라옵니다.
자막 #1885 | 01:18:19,833 → 01:18:20,583
那个大
🇰🇷 한글번역
그 큰 것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个 nà ge 그, 저 HSK1 大 dà 큰 HSK1

📚 문법
指示대명사: "那个"는 특정 대상을 지칭할 때 사용되는 지시 대명사입니다. "그것" 또는 "저것"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문맥에 따라 특정 대상을 가리킵니다.
자막 #1886 | 01:18:20,583 → 01:18:21,875
最大的那个
🇰🇷 한글번역
가장 큰 것
🎯 AI 분석 결과
🔍 어휘
最 zuì 가장 HSK2 大 dà 크다 HSK1 的 de ~의 HSK1 那个 nà ge 저것, 그것 HSK1

📚 문법
정도보어: '最'는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최상급을 나타냅니다.
형태: 最 + 형용사 (가장 크다)

'的'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나 구 뒤에 위치하여 명사를 꾸며줍니다.
형태: 형용사 + 的 + 명사 (큰 것)
자막 #1887 | 01:18:30,708 → 01:18:33,416
保险杠受损 损伤百分之十五
🇰🇷 한글번역
범퍼 손상 15% 손상
🎯 AI 분석 결과
🔍 어휘
保险杠 bǎoxiǎn gàng 범퍼 (자동차의) 受损 shòusǔn 손상되다, 피해를 입다 损伤 sǔnshāng 손상, 손해 百分之 bǎifēnzhī 퍼센트 十五 shíwǔ 십오

📚 문법
숫자와 백분율: 중국어에서 백분율을 나타낼 때 "百分之"를 사용합니다. "百分之十五"는 "15%"를 의미합니다.
형태: 百分之 + 숫자 (예: 百分之十五 = 15%)
자막 #1888 | 01:18:35,458 → 01:18:36,583
叔叔 前面
🇰🇷 한글번역
삼촌 앞에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前面 qiánmiàn 앞, 전면 HSK2

📚 문법
위 문장은 명사구로, "叔叔"는 "삼촌" 또는 "아저씨"를 의미하고, "前面"은 "앞"을 의미합니다. 이 두 단어가 결합하여 "삼촌 앞" 또는 "아저씨 앞"이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문장 구조상 주어와 위치를 나타내는 명사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막 #1889 | 01:19:08,375 → 01:19:11,000
后视镜缺失 损伤百分之十
📝 한어병음
hòu shì jìng quē shī sǔn shāng bǎi fēn zhī shí
🇰🇷 한글번역
후사경 결손 손상 10%
🎯 AI 분석 결과
🔍 어휘
后视镜 hòu shì jìng 백미러 - 缺失 quē shī 결여되다, 부족하다 - 损伤 sǔn shāng 손상, 손해 HSK5 百分之 bǎi fēn zhī 퍼센트 - 十 shí 십 HSK1

📚 문법
- "百分之"는 퍼센트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숫자 앞에 사용하여 몇 퍼센트인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百分之十"는 "10%"를 의미합니다.
- 이 문장은 후방 거울의 결여로 인해 10%의 손상이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1890 | 01:19:11,000 → 01:19:14,041
车顶受损 损伤百分之十五
🇰🇷 한글번역
차량 지붕 손상 손상률 15%
🎯 AI 분석 결과
🔍 어휘
车顶 chē dǐng 차 지붕 受损 shòu sǔn 손상되다 损伤 sǔn shāng 손상 HSK6 百分之 bǎi fēn zhī 퍼센트 十五 shí wǔ 십오

📚 문법
수량 표현: "百分之"는 백분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뒤에 숫자를 붙여 몇 퍼센트인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百分之十五"는 "15%"를 의미합니다.
자막 #1891 | 01:19:14,041 → 01:19:15,125
底盘损伤
🇰🇷 한글번역
차대 손상
🎯 AI 분석 결과
🔍 어휘
底盘 dǐ pán 섀시, 차대 HSK6 损伤 sǔn shāng 손상, 손해 HSK5

📚 문법
이 문장은 명사구로, "底盘"은 주어 또는 주체가 되고 "损伤"은 그 상태나 결과를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사물의 상태나 특징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1892 | 01:19:15,458 → 01:19:16,541
这是开哪去了
🇰🇷 한글번역
이거 어디로 간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开 kāi 열다, 운전하다 HSK1 哪 nǎ 어느 HSK2 去 qù 가다 HSK1

📚 문법
这是开哪去了: 이 문장은 의문문으로, "어디로 갔나요?"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开"는 "운전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哪去"는 "어디로 가다"라는 뜻입니다. "了"는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형태: 주어 + 是 + 동사 + 哪 + 去 + 了 (어디로 갔나요?)
자막 #1893 | 01:19:16,541 → 01:19:17,500
损伤
🇰🇷 한글번역
손상
🎯 AI 분석 결과
🔍 어휘
损 sǔn 손상하다, 해치다 HSK5 伤 shāng 상처, 다치다 HSK4

📚 문법
이 문장은 단어 자체로 주로 사용되며, 특정 문법 패턴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损伤"은 명사로 "손상" 또는 동사로 "손상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문맥에 따라 적절한 의미로 해석해야 합니다.
자막 #1894 | 01:19:17,958 → 01:19:19,500
怎么开的车啊
🇰🇷 한글번역
어떻게 운전한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开 kāi 운전하다, 열다 HSK1 的 de ~한 (관형어 뒤에 쓰여) HSK1 车 chē 차 HSK1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원인을 물을 때 사용되는 의문사입니다.
형태: 怎么 + 동사 (어떻게 ~하는가?)
예문: 你怎么来的?(너는 어떻게 왔니?)
자막 #1895 | 01:19:20,750 → 01:19:22,291
干吗学我说话啊
🇰🇷 한글번역
왜 내 말을 따라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干吗 gànmá 왜, 무엇 때문에 HSK5 学 xué 배우다, 따라하다 HSK1 我 wǒ 나 HSK1 说话 shuōhuà 말하다 HSK1

📚 문법
의문문: "干吗"는 "왜"라는 의미로, 이유나 목적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干吗 + 동사 + 목적어 (왜 나를 따라 말하니?)

이 문장은 상대방이 자신의 말을 따라 하는 것에 대한 이유를 묻는 표현입니다.
자막 #1896 | 01:19:22,750 → 01:19:24,625
海哥 人都到了
🇰🇷 한글번역
형, 사람들 다 왔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哥 Hǎi gē (사람 이름, 직역하면 "바다 형") 人 rén 사람 HSK1 都 dōu 모두 HSK1 到了 dào le 도착했다 HSK2

📚 문법
- 了(le):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여기서는 "到(dào)"와 함께 사용되어 "도착했다"라는 완료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 주어 + 都(dōu) + 동사: "모두 ~하다"라는 의미로, 여기서는 "모든 사람이 도착했다"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자막 #1897 | 01:19:24,625 → 01:19:25,666
等你安排呢
🇰🇷 한글번역
네가 준비될 때까지 기다릴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等 děng 기다리다 HSK2 你 nǐ 너 HSK1 安排 ānpái 안배하다, 배치하다 HSK4 呢 ne ~하고 있다 (진행형) HSK1

📚 문법
진행형: 중국어에서 동작이나 상태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呢 (너를 기다리고 있다)
자막 #1898 | 01:19:25,666 → 01:19:27,375
海哥 你说是哪个口子啊
🇰🇷 한글번역
해거, 너는 어느 입구라고 말했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哥 Hǎi gē 바다 형님 (이름) -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是 shì ~이다 HSK1 哪个 nǎge 어느, 어떤 HSK2 口子 kǒuzi 구멍, 입구 -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는 의문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의문사 + (보어)
예문에서는 "你说是哪个口子啊"로, "어느 입구인가요?"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1899 | 01:19:27,375 → 01:19:28,833
海哥 我到了你在哪啊
🇰🇷 한글번역
형, 나 도착했어. 너 어디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哥 Hǎi gē (이름) 我 wǒ 나 HSK1 到了 dào le 도착했다 HSK3 你 nǐ 너 HSK1 在 zài ~에 있다 HSK1 哪 nǎ 어디 HSK2 啊 a (어기조사) HSK2

📚 문법
- 在字句: 장소나 위치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在 + 장소 (너는 어디에 있니?)
- 의문문: 의문사를 사용하여 질문을 형성합니다.
형태: 의문사 + 주어 + 동사 (너는 어디에 있니?)
자막 #1900 | 01:19:28,833 → 01:19:29,625
海哥 在哪啊
🇰🇷 한글번역
해거 어디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哥 Hǎi gē (이름, '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 在 zài ~에 있다 HSK1 哪 nǎ 어디 HSK1 啊 a 어기조사 (문장 끝에 쓰여 부드럽게 질문이나 감탄을 나타냄) HSK2

📚 문법
의문문: "在哪"는 장소를 묻는 의문문에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在 + 哪 + (동사)?(해는 어디에 있나요?)
자막 #1901 | 01:19:29,625 → 01:19:30,833
咱们刚才进的是哪个口
📝 한어병음
zán men gāng cái jìn de shì nǎ gè kǒu
🇰🇷 한글번역
우리가 방금 들어간 입구가 어디였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们 zánmen 우리 HSK2 刚才 gāngcái 방금, 막 HSK3 进 jìn 들어가다 HSK2 哪个 nǎge 어느, 어떤 HSK2 口 kǒu 입구 HSK4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사를 사용하여 질문을 형성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의문사 + 명사 (우리가 방금 들어간 곳은 어느 입구인가?)

이 문장은 "咱们"을 주어로 하고, "刚才进的是哪个口"를 통해 방금 들어간 입구가 어느 것인지 묻고 있습니다.
자막 #1902 | 01:19:30,833 → 01:19:31,750
叔叔 我来吧
🇰🇷 한글번역
삼촌, 제가 할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我 wǒ 나 HSK1 来 lái 오다, 하다 HSK1 吧 ba ~하자 (제안) HSK2

📚 문법
제안문: 중국어에서 '吧'는 제안이나 권유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吧 (내가 할게)
자막 #1903 | 01:19:37,291 → 01:19:38,916
作为一个游戏工程师
🇰🇷 한글번역
게임 엔지니어로서
🎯 AI 분석 결과
🔍 어휘
作为 zuòwéi ~로서 HSK4 一个 yí gè 하나의 HSK1 游戏 yóuxì 게임 HSK3 工程师 gōngchéngshī 엔지니어 HSK5

📚 문법
명사구: "作为 + 명사"는 "~로서"라는 의미로, 어떤 신분이나 역할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예문: 作为一个游戏工程师 (게임 엔지니어로서)
자막 #1904 | 01:19:38,916 → 01:19:39,958
一个地图而已
🇰🇷 한글번역
그냥 지도일 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个 yí gè 하나의 HSK1 地图 dì tú 지도 HSK3 而已 ér yǐ ~일 뿐이다 HSK4

📚 문법
而已: 중국어에서 "단지 ~일 뿐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문장 + 而已 (그것은 단지 지도일 뿐이다)

이 문장은 "그저 지도일 뿐이다"라는 의미로, 어떤 사물이나 상황을 과소평가하거나 가볍게 여길 때 사용됩니다.
자막 #1905 | 01:19:39,958 → 01:19:40,958
小意思
🇰🇷 한글번역
작은 선물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意思 yì si 의미, 뜻 HSK3

📚 문법
"小意思"는 일반적으로 "별거 아니다", "사소한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는 겸손하게 자신의 행동이나 선물을 과소평가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자막 #1906 | 01:19:43,958 → 01:19:46,291
大家都在群里共享一下自己的实时位置
🇰🇷 한글번역
모두들 그룹 채팅에서 자신의 실시간 위치를 공유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大家 dà jiā 모두, 여러분 HSK2 群 qún 무리, 그룹 HSK4 共享 gòng xiǎng 공유하다 HSK5 自己 zì jǐ 자기 자신 HSK3 实时 shí shí 실시간 HSK6 位置 wèi zhì 위치 HSK5

📚 문법
- "都"의 사용: "都"는 '모두'라는 의미로, 주어가 복수일 때 그 전체를 포함하여 말할 때 사용됩니다.
- "一下"의 사용: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을 가볍게 하거나 시도해보는 의미를 더합니다.
- "在...里"의 구조: 어떤 장소나 범위 안에 있음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여기서는 "群里"가 '그룹 안에서'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907 | 01:19:46,291 → 01:19:47,833
我做一张地图发到群里
🇰🇷 한글번역
제가 지도를 만들어서 단체 채팅방에 올릴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做 zuò 만들다 HSK2 一张 yì zhāng 한 장 (종이 등을 세는 단위) HSK3 地图 dì tú 지도 HSK3 发 fā 보내다 HSK3 群里 qún lǐ 그룹 안에 HSK4

📚 문법
동사구조: "做一张地图"는 '지도를 한 장 만들다'라는 의미로, 동사와 목적어의 구조입니다.
목적어 위치: "发到群里"에서 '发到'는 '보내다'라는 동사와 '群里'라는 목적어가 결합된 형태로, '그룹 안에 보내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1908 | 01:19:47,833 → 01:19:49,375
大家听我号令就行
🇰🇷 한글번역
여러분, 제 지시에 따르기만 하면 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大家 dà jiā 모두, 여러분 HSK2
听 tīng 듣다 HSK1
号令 hào lìng 명령, 지시 (HSK 비급수)
就 jiù 바로, 곧 HSK2
行 xíng 하다, 괜찮다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지시를 전달할 때 사용되는 문장입니다. 주로 동사 앞에 주어를 두어 명령의 대상을 명확히 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여러분은 제 명령을 듣기만 하면 됩니다)

이 문장에서 "就"는 조건을 만족하면 결과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짐을 나타내며, "听我号令就行"은 "제 명령을 듣기만 하면 됩니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1909 | 01:19:51,166 → 01:19:52,166
赠人玫瑰 一号口
🇰🇷 한글번역
장미를 주다 1번 출구
🎯 AI 분석 결과
🔍 어휘
赠 zèng 선물하다, 주다 HSK5 人 rén 사람 HSK1 玫瑰 méiguī 장미 HSK5 一号口 yī hào kǒu 1번 출구 (고유명사)

📚 문법
명사구: "赠人玫瑰"는 "사람에게 장미를 선물하다"라는 의미로, 주어와 목적어가 포함된 명사구입니다. 이 표현은 종종 "선행을 베풀다"라는 의미로 비유적으로 사용됩니다.

고유명사: "一号口"는 특정 장소나 위치를 나타내는 고유명사로, 예를 들어 지하철역의 출구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자막 #1910 | 01:19:52,166 → 01:19:53,416
老刘 二号口
🇰🇷 한글번역
노유 2번 출구
🎯 AI 분석 결과
🔍 어휘
老 lǎo 늙다, 오래된 HSK3
刘 Liú 성씨 (고유명사)
二 èr 둘 HSK1
号 hào 번호, 구멍 HSK2
口 kǒu 입, 출구 HSK2

📚 문법
- 고유명사: "老刘"는 사람의 이름으로, "老"는 친근함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사용되었습니다.
- 숫자와 명사 결합: "二号口"는 "2번 출구"를 의미하며, 숫자와 명사가 결합하여 특정 위치나 순서를 나타냅니다.
자막 #1911 | 01:19:53,416 → 01:19:54,333
岁月静好 三号口
🇰🇷 한글번역
세월이 고요하다 3번 출구
🎯 AI 분석 결과
🔍 어휘
岁月 suìyuè 세월, 시간 HSK6 静好 jìnghǎo 평온하고 좋다 (일반적으로 HSK에 포함되지 않음) 三号口 sānhàokǒu 3번 출구 (일반적으로 HSK에 포함되지 않음)

📚 문법
이 문장은 주로 명사와 형용사로 구성된 표현으로, "岁月静好"는 "세월이 평온하고 좋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특정한 문법 패턴보다는 문학적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三号口"는 특정 위치나 장소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일반적인 문법 패턴보다는 장소를 지칭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1912 | 01:20:01,083 → 01:20:02,333
我是赠人玫瑰
🇰🇷 한글번역
나는 장미를 주는 사람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是 shì 이다 HSK1 赠 zèng 선물하다, 주다 HSK5 人 rén 사람 HSK1 玫瑰 méiguī 장미 HSK5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고 그 대상이 목적어입니다.
이 문장에서 "我是赠人玫瑰"는 "나는 장미를 주는 사람이다"라는 의미로, 주어(我)가 동사(是)를 통해 목적어(赠人玫瑰)를 설명합니다.
자막 #1913 | 01:20:02,333 → 01:20:03,541
一号口就位
🇰🇷 한글번역
1번 출구 준비 완료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号 yī hào 1번 HSK3 口 kǒu 입구, 출입구 HSK2 就位 jiù wèi 자리 잡다, 위치에 서다 HSK5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명령이나 지시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一号口就位"는 "1번 출입구에 위치하세요"라는 의미로, 특정 위치에 서거나 자리 잡으라는 지시를 전달합니다.
자막 #1914 | 01:20:11,125 → 01:20:12,000
倒车
📝 한어병음
dǎo chē
🇰🇷 한글번역
후진
🎯 AI 분석 결과
🔍 어휘
倒车 dǎo chē 후진하다, 차를 후진시키다 HSK4

📚 문법
동사 + 목적어: "倒车"는 동사와 목적어가 결합된 형태로, "차를 후진시키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중국어에서는 동사와 목적어가 결합하여 구체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막 #1915 | 01:20:20,125 → 01:20:21,791
哪来的这都是
📝 한어병음
nǎ lái de zhè dōu shì
🇰🇷 한글번역
이게 다 어디서 온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哪 nǎ 어느, 어떤 HSK1 来 lái 오다 HSK1 的 de ~의 (관형어를 만드는 구조조사) HSK1 这 zhè 이것 HSK1 都 dōu 모두 HSK1

📚 문법
의문문: "哪"는 의문대명사로, 출처나 기원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哪 + 명사 (어디에서 온 ~인가요?)
예문: 哪来的这都是? (이 모든 것이 어디에서 온 건가요?)
자막 #1916 | 01:20:22,708 → 01:20:24,250
给我分头走
📝 한어병음
gěi wǒ fēn tóu zǒu
🇰🇷 한글번역
각자 흩어져서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给 gěi 주다 HSK2 我 wǒ 나, 저 HSK1 分头 fēn tóu 따로따로, 각자 HSK4 走 zǒu 걷다, 가다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동사로 시작하는 문장을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나에게 따로따로 가라고 해)
자막 #1917 | 01:20:25,375 → 01:20:26,583
我是老刘 我是老刘
🇰🇷 한글번역
저는 노유입니다. 저는 노유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是 shì 이다 HSK1 老 lǎo 늙다, 오래된 HSK3 刘 Liú (성씨) 고유명사

📚 문법
명사구: "我是老刘"는 주어(我)와 서술어(是老刘)로 구성된 간단한 명사구입니다. "是"는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여 주어가 무엇인지 또는 누구인지를 설명합니다.
자막 #1918 | 01:20:26,583 → 01:20:27,833
二口就位了啊
🇰🇷 한글번역
두 명이 자리 잡았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二 èr 둘 HSK1 口 kǒu 입, 구 HSK1 就位 jiù wèi 자리에 앉다, 위치에 도달하다 (HSK에 없음)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조사 HSK1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를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 就位: '자리에 앉다' 또는 '위치에 도달하다'라는 의미로, 특정한 위치나 상태에 도달했음을 나타냅니다.
- 了: 동작이나 상태의 완료를 나타내는 조사로, 문장 끝에 위치하여 완료된 상황을 강조합니다.
- 啊: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자막 #1919 | 01:20:47,375 → 01:20:48,416
四号口
🇰🇷 한글번역
4번 출구
🎯 AI 분석 결과
🔍 어휘
四 sì 사, 넷 HSK1 号 hào 번호, 입구 HSK2 口 kǒu 입구, 출입구 HSK2

📚 문법
수사+명사: 중국어에서 숫자와 명사가 결합하여 특정한 위치나 순서를 나타냅니다.
예: 四号口 (4번 출입구)
자막 #1920 | 01:20:49,041 → 01:20:50,166
五号口
🇰🇷 한글번역
5번 출구
🎯 AI 분석 결과
🔍 어휘
五 wǔ 다섯 HSK1 号 hào 번호 HSK1 口 kǒu 입구, 출구 HSK3

📚 문법
수사 + 명사: 중국어에서 숫자와 명사가 결합하여 특정한 대상을 나타냅니다.
형태: 숫자 + 명사 (예: 五号口는 '5번 출구'를 의미합니다.)
자막 #1921 | 01:20:51,375 → 01:20:53,416
六号口 七号口 八号口
🇰🇷 한글번역
6번 출구 7번 출구 8번 출구
🎯 AI 분석 결과
🔍 어휘
六号口 liù hào kǒu 6번 출구 七号口 qī hào kǒu 7번 출구 八号口 bā hào kǒu 8번 출구

📚 문법
번호와 관련된 표현: 중국어에서 번호를 나타낼 때는 숫자 + 号(hào) + 명사 형태로 사용하여 특정 순서나 위치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출구를 의미하는 口(kǒu)와 결합하여 지하철역이나 건물의 출구 번호를 나타냅니다.
자막 #1922 | 01:20:54,416 → 01:20:55,708
九 十 十一
🇰🇷 한글번역
구, 십, 십일
🎯 AI 분석 결과
🔍 어휘
九 jiǔ 아홉 HSK1 十 shí 열 HSK1 十一 shí yī 열하나 HSK1

📚 문법
숫자 표현: 중국어에서 숫자는 기본적으로 한자 하나가 한 자리 수를 나타내며, 두 자리 수 이상은 각 자리에 해당하는 숫자를 나열하여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十一"는 "열 하나"를 의미하며, "十"는 10, "一"는 1을 나타냅니다.
자막 #1923 | 01:20:55,708 → 01:20:58,083
都给我守住了
🇰🇷 한글번역
모두 지켜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给 gěi 주다, ~에게 HSK2 我 wǒ 나 HSK1 守 shǒu 지키다 HSK5 住 zhù ~한 상태로 유지하다 HSK3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명령문으로, 듣는 사람에게 특정 행동을 하도록 지시합니다.
형태: 动词 + 住 (동사 + 상태 유지) - 여기서는 "지키다"라는 동작을 "유지하다"라는 의미로 사용하여 "지켜라"라는 명령을 강조합니다.
자막 #1924 | 01:21:05,958 → 01:21:06,416
海哥
🇰🇷 한글번역
해거
🎯 AI 분석 결과
🔍 어휘
海 hǎi 바다 HSK3 哥 gē 형, 오빠 HSK1

📚 문법
이 문장은 특정 문법 패턴을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海哥"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이름이나 별칭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海"는 바다를 의미하고, "哥"는 형이나 오빠를 의미하지만, 두 단어가 함께 사용될 때는 특정 인물을 지칭할 수 있습니다.
자막 #1925 | 01:21:06,416 → 01:21:08,416
海哥 我们把路口都堵上了
🇰🇷 한글번역
해거, 우리는 교차로를 모두 막았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把 bǎ 을/를 HSK3 路口 lùkǒu 교차로, 길목 HSK4 堵 dǔ 막다 HSK5 上 shàng 위로, ~에 HSK1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동작의 완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우리는 교차로를 모두 막았다)

이 문장은 "把"를 사용하여 "路口"라는 목적어가 "堵上了"라는 동작에 의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堵上了"는 "막았다"라는 의미로, 동작의 완료를 나타냅니다.
자막 #1926 | 01:21:08,416 → 01:21:09,708
我也堵好了
🇰🇷 한글번역
나도 막았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也 yě 또한, ~도 HSK1 堵 dǔ 막다, 메우다 HSK6 好 hǎo 잘 HSK1

📚 문법
동사 + 结果补语: 동사 뒤에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가 오는 구조입니다.
형태: 동사 + 好 (나는 잘 막았다)
자막 #1927 | 01:21:12,416 → 01:21:13,083
完了
🇰🇷 한글번역
완료
🎯 AI 분석 결과
🔍 어휘
完 wán 끝나다, 완료하다 HSK2

📚 문법
완료상: 동작이나 상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문법입니다. 주로 동사 뒤에 "了"를 붙여 사용합니다.
예: 我吃完了。(나는 다 먹었다.)
자막 #1928 | 01:21:13,083 → 01:21:14,083
少了一辆车
🇰🇷 한글번역
차 한 대가 없어졌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少 shǎo 적다, 부족하다 HSK2
一 yī 하나 HSK1
辆 liàng 대 (차량을 세는 단위) HSK3
车 chē 차 HSK1

📚 문법
수량사 구조: 중국어에서 수량을 표현할 때 명사 앞에 수량사(수사 + 양사)를 사용합니다.
형태: 数量词 + 名词 (하나의 차)
자막 #1929 | 01:21:14,083 → 01:21:15,625
有一个口没人堵
🇰🇷 한글번역
입이 하나 있는데 아무도 막지 않는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一个 yī gè 하나의 HSK1 口 kǒu 입, 구멍 HSK3 没人 méi rén 아무도 없다 HSK2 堵 dǔ 막다 HSK4

📚 문법
명사구: "一个口"는 "하나의 구멍"이라는 의미로, 특정한 구멍을 지칭합니다.
부정문: "没人"은 "아무도 없다"라는 의미로, 주어가 없는 부정문을 형성합니다.
형태: 주어 + 没人 + 동사 (구멍을 막는 사람이 없다)
자막 #1930 | 01:21:16,791 → 01:21:18,500
群里面还有人在吗
🇰🇷 한글번역
채팅방에 아직 누가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群 qún 무리, 그룹 HSK4 里 lǐ 안, 속 HSK1 面 miàn 면, 쪽 HSK2 还 hái 아직, 여전히 HSK2 有 yǒu 있다 HSK1 人 rén 사람 HSK1 吗 ma ~니?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의문문: "吗"는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 문장 끝에 붙여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그룹 안에 아직 사람이 있니?)

이 문장은 누군가가 그룹 채팅이나 모임에서 다른 사람들이 여전히 있는지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931 | 01:21:24,458 → 01:21:25,125
🇰🇷 한글번역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 문법
"有"는 존재나 소유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주어가 어떤 것을 가지고 있거나 어떤 것이 존재함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我有书"는 "나는 책이 있다"라는 뜻입니다.
자막 #1932 | 01:21:25,375 → 01:21:26,291
人在呢
🇰🇷 한글번역
사람 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人 rén 사람 HSK1 在 zài ~에 있다 HSK1 呢 ne ~하고 있다 HSK1

📚 문법
진행형 문장: 중국어에서 동작이나 상태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在 + 동사 + 呢 (사람이 있다)

이 문장은 "사람이 있다" 또는 "사람이 여기 있다"라는 의미로, 현재 상태나 동작의 진행을 나타냅니다.
자막 #1933 | 01:21:32,458 → 01:21:33,125
我爸
🇰🇷 한글번역
우리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爸 bà 아빠 HSK1

📚 문법
명사구: "我爸"는 "나의 아빠"라는 의미의 명사구입니다. 중국어에서는 소유격을 나타낼 때 "的"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我的爸爸" 대신 "我爸"라고 간단히 표현할 수 있습니다.
자막 #1934 | 01:21:33,458 → 01:21:35,333
梅子 这事跟你们没关系啊
🇰🇷 한글번역
매자, 이 일은 너희와 상관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梅子 Méizi 매이쯔 (이름) - 这 zhè 이것 HSK1 事 shì 일, 사건 HSK2 跟 gēn ~와/과 HSK2 关系 guānxi 관계 HSK2

📚 문법
부정문: 중국어에서 부정을 나타낼 때 "没"를 사용하여 "없다" 또는 "아니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형태: 주어 + 没 + 동사/형용사 (이 일은 너희와 관계가 없다)
자막 #1935 | 01:21:35,333 → 01:21:36,458
怎么没关系啊
🇰🇷 한글번역
어떻게 상관없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没 méi 없다 HSK1 关系 guānxi 관계 HSK2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이유를 묻는 의문사로 사용됩니다. "怎么没关系啊"는 "어떻게 상관이 없을 수 있지?"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에 대한 의문이나 놀라움을 표현합니다.
자막 #1936 | 01:21:36,666 → 01:21:37,625
我要是不去啊
🇰🇷 한글번역
내가 안 가면 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要 yào ~하려고 하다 HSK2 是 shì ~이다 HSK1 不 bù 아니 HSK1 去 qù 가다 HSK1

📚 문법
가정문: "如果"나 "要是"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여 가정이나 조건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형태: 要是 + 조건 + (的话), 결과 (내가 가지 않는다면)
자막 #1937 | 01:21:37,625 → 01:21:39,125
这缺口 谁也堵不上
🇰🇷 한글번역
이 틈은 누구도 메울 수 없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缺口 quē kǒu 틈, 결함 HSK5 谁 shéi 누구 HSK2 也 yě ~도, 또한 HSK1 堵 dǔ 막다 HSK5 不上 bù shàng ~할 수 없다 (가능의 부정)

📚 문법
- "谁也" 패턴: "누구도 ~하지 못하다"라는 의미로, 부정적인 상황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 가능보어: "动词 + 不 + 结果补语" 형태로, 어떤 동작을 완료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堵不上"이 "막을 수 없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938 | 01:21:39,125 → 01:21:41,583
别给我添乱 开大车太危险了
🇰🇷 한글번역
귀찮게 하지 마. 큰 차 운전은 너무 위험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给 gěi ~에게 HSK2 添乱 tiān luàn 혼란을 더하다, 방해하다 HSK4 开 kāi 운전하다 HSK1 大车 dà chē 대형차 HSK4 危险 wēi xiǎn 위험하다 HSK4

📚 문법
- "别 + 동사": 금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하지 마라"라는 뜻입니다. (예: 别给我添乱 - 나에게 방해하지 마라)
- "太 + 형용사 + 了": 형용사의 정도가 매우 높음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너무 ~하다"라는 뜻입니다. (예: 太危险了 - 너무 위험하다)
자막 #1939 | 01:21:41,583 → 01:21:43,166
我有A本驾照
🇰🇷 한글번역
저는 A급 운전면허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有 yǒu 있다, 소유하다 HSK1 本 běn 권 (책을 세는 단위) HSK2 驾照 jiàzhào 운전면허증 (HSK 범위 외)

📚 문법
수량사 구조: 중국어에서 명사를 수량으로 표현할 때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형태: 수량사 + 명사 (A本驾照: A개의 운전면허증)

이 문장에서 "本"은 책이나 증서 같은 것을 세는 단위로 사용됩니다. "A"는 특정한 수량을 나타내며, 문맥에 따라 실제 숫자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자막 #1940 | 01:21:43,166 → 01:21:45,333
再说了 那当年考试的时候
🇰🇷 한글번역
게다가 그때 시험 볼 때
🎯 AI 분석 결과
🔍 어휘
再说 zàishuō 게다가, 더구나 HSK4 当年 dāngnián 그 해, 당시 HSK5 考试 kǎoshì 시험 HSK3 时候 shíhou 때, 시기 HSK2

📚 문법
时间词: '当年'은 과거의 특정 시기를 나타내는 시간 표현으로, '그 해' 또는 '당시'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连词: '再说了'는 추가적인 이유나 설명을 덧붙일 때 사용하는 접속사로, '게다가', '더구나'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자막 #1941 | 01:21:45,333 → 01:21:47,041
我分数比你还高呢
🇰🇷 한글번역
내 점수가 너보다 더 높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分数 fēn shù 점수 HSK4 比 bǐ ~보다 HSK3 还 hái 더 HSK3 高 gāo 높다 HSK2

📚 문법
비교문: 중국어에서 비교를 할 때 "A 比 B + 형용사" 구조를 사용합니다. 여기서 "比"는 "~보다"라는 뜻으로, 두 대상을 비교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A 比 B + 형용사 (내 점수가 너보다 더 높다)
자막 #1942 | 01:21:47,041 → 01:21:48,958
行了 东海 我知道你担心我
🇰🇷 한글번역
됐어, 동해. 네가 나를 걱정하는 거 알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了 xíng le 됐다, 괜찮다 HSK3 东海 Dōnghǎi 동해 (이름) 고유명사 知道 zhīdào 알다 HSK2 担心 dānxīn 걱정하다 HSK3

📚 문법
- 了 (le):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여기서는 "行了"와 같이 사용되어 "됐어" 또는 "괜찮아"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 주어 + 동사 + 목적어: "我知道你担心我"는 "나는 네가 나를 걱정하는 것을 안다"라는 의미로, 주어(我) + 동사(知道) + 목적어(你担心我)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막 #1943 | 01:21:48,958 → 01:21:50,333
但是你别忘了啊
🇰🇷 한글번역
하지만 잊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但是 dàn shì 그러나 HSK3 你 nǐ 너 HSK1 别 bié ~하지 마라 HSK2 忘 wàng 잊다 HSK3 了 le 동작의 완료 HSK1

📚 문법
"别 + 동사": 금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하지 마라"라는 뜻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别忘了"로 "잊지 마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944 | 01:21:50,333 → 01:21:51,583
年轻的时候
🇰🇷 한글번역
젊었을 때
🎯 AI 분석 결과
🔍 어휘
年轻 niánqīng 젊다 HSK3 时候 shíhou 때, 시기 HSK2

📚 문법
时间 표현: "的时候"는 특정한 시간이나 시기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动词 + 的时候 (젊었을 때)

이 문장은 "젊었을 때"라는 시간적 배경을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자막 #1945 | 01:21:51,583 → 01:21:53,166
我也是个卡车司机
🇰🇷 한글번역
저도 트럭 운전사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也 yě 또한, 역시 HSK1 是 shì 이다 HSK1 个 gè 개, 명 (양사) HSK1 卡车 kǎ chē 트럭 HSK5 司机 sī jī 운전사 HSK4

📚 문법
주어 + 也是 + 명사: '나도 ~이다'라는 뜻으로, 주어가 다른 사람과 같은 직업이나 신분임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也 + 是 + 명사 (나도 트럭 운전사이다)
자막 #1946 | 01:21:59,333 → 01:22:00,833
你爸说的是这不
🇰🇷 한글번역
네 아버지가 이렇게 말씀하신 거 맞죠?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爸 bà 아빠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是 shì ~이다 HSK1 这 zhè 이것 HSK1 不 bù 아니다 HSK1

📚 문법
是...的 구조: 과거의 특정 사실이나 상황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是 + 주어 + 동사 + 的 (너의 아빠가 말한 것이 이것이 아니니?)

이 문장은 "너의 아빠가 말한 것이 이것이니 아니니?"라는 의미로, 특정한 사실을 확인하거나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947 | 01:22:01,333 → 01:22:01,875
谁啊
🇰🇷 한글번역
누구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谁 shéi 누구 HSK2 啊 a 어기조사 (문장 끝에 쓰여 감탄, 의문, 명령 등의 어기를 나타냄)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탄, 의문, 명령 등의 어기를 나타내며, 문장의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거나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형용사 + 啊 (누구야?)
자막 #1948 | 01:22:01,875 → 01:22:03,750
我前女友都不敢这么开车
🇰🇷 한글번역
내 전 여자친구도 이렇게 운전하지 못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前女友 qián nǚ yǒu 전 여자친구 HSK6 都 dōu 모두, 전혀 HSK1 敢 gǎn 감히 ~하다 HSK4 这么 zhème 이렇게 HSK3 开车 kāi chē 운전하다 HSK3

📚 문법
부정문에서의 강조: "都不敢"은 "전혀 감히 ~하지 못하다"라는 의미로, 부정적인 강조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 "我前女友都不敢这么开车"는 "내 전 여자친구도 이렇게 운전하지 못한다"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운전 방식이 매우 과감하거나 위험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자막 #1949 | 01:22:03,750 → 01:22:04,750
你是瞎啊
🇰🇷 한글번역
너 눈이 멀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是 shì ~이다 HSK1 瞎 xiā 눈이 멀다, 맹목적으로 HSK6 啊 a 어조사 HSK1

📚 문법
어조사 "啊":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탄, 의문, 명령 등의 어조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감정의 강조를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950 | 01:22:04,750 → 01:22:06,833
这是出口 把车停这啊
🇰🇷 한글번역
여기는 출구입니다. 차를 여기에 주차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出口 chūkǒu 출구 HSK3 把 bǎ 을/를 HSK3 车 chē 차 HSK1 停 tíng 멈추다, 세우다 HSK3

📚 문법
把字句: 중국어에서 특정 행동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차를 이곳에 세우다)
자막 #1951 | 01:22:06,833 → 01:22:08,666
怎么这么说话呢 这俩孩子
🇰🇷 한글번역
왜 이렇게 말하니, 이 두 아이는?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这么 zhème 이렇게 HSK3 说话 shuōhuà 말하다 HSK2 孩子 háizi 아이 HSK1

📚 문법
정도부사 "这么": '이렇게'라는 뜻으로, 형용사나 동사 앞에 놓여 정도를 강조합니다.
예문: 这么说话 (이렇게 말하다)
자막 #1952 | 01:22:08,666 → 01:22:09,708
这么没有礼貌吗
🇰🇷 한글번역
이렇게 무례한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么 zhème 이렇게 HSK3 没有 méiyǒu 없다 HSK1 礼貌 lǐmào 예의 HSK3 吗 ma ~니?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정도부사 "这么": "这么"는 형용사나 동사 앞에 위치하여 정도를 강조합니다. 여기서는 "이렇게"라는 뜻으로 사용되어 "이렇게 예의가 없다"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의문문: 문장의 끝에 "吗"를 붙여 의문을 나타냅니다. "这么没有礼貌吗"는 "이렇게 예의가 없니?"라는 뜻입니다.
자막 #1953 | 01:22:09,708 → 01:22:12,416
我都给你题词了 还不够礼貌啊
🇰🇷 한글번역
내가 이미 너에게 글귀를 써줬는데도 아직도 예의가 부족하다고?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都 dōu 모두, 전부 HSK2 给 gěi 주다 HSK2 题词 tí cí 글귀를 적다 HSK6 还 hái 아직, 여전히 HSK2 不够 bù gòu 충분하지 않다 HSK4 礼貌 lǐ mào 예의, 예절 HSK3

📚 문법
1. "都"의 사용: '모두' 또는 '전부'라는 의미로, 여기서는 '이미'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강조의 역할을 합니다.
2. "给"의 사용: 동작의 수혜자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너에게'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3. "还"의 사용: '아직' 또는 '여전히'라는 의미로, 문장에서 부정적인 의미를 강조합니다.
4. "不够 + 형용사": '충분히 ~하지 않다'라는 의미로, 여기서는 '충분히 예의 바르지 않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1954 | 01:22:12,416 → 01:22:13,333
啥意思啊
🇰🇷 한글번역
무슨 뜻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啥 shá 무엇, 무슨 HSK5 意思 yì si 뜻, 의미 HSK3

📚 문법
의문문: "啥意思啊"는 "무슨 뜻이야?"라는 의미로,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간단한 의문문입니다. "啥"는 "什么"의 구어체 표현으로, "무엇"이라는 뜻입니다.
자막 #1955 | 01:22:13,333 → 01:22:14,333
这字你写的
🇰🇷 한글번역
이 글씨 네가 쓴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字 zì 글자 HSK1 你 nǐ 너 HSK1 写 xiě 쓰다 HSK2 的 de ~의 (관형어를 만드는 구조조사) HSK1

📚 문법
관형어 구조: '的'는 관형어를 만들어 주어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的 + 명사 (네가 쓴 글자)
자막 #1956 | 01:22:14,333 → 01:22:16,625
你要觉得好看 我可以写你脸上
🇰🇷 한글번역
네가 예쁘다고 생각하면 네 얼굴에 써줄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要 yào 원하다 HSK1 觉得 jué de 생각하다 HSK3 好看 hǎo kàn 보기 좋다 HSK3 我 wǒ 나 HSK1

可以 kě yǐ ~할 수 있다 HSK2 写 xiě 쓰다 HSK1 脸 liǎn 얼굴 HSK4 上 shàng 위 HSK1

📚 문법
- 要 (yào): '원하다'라는 뜻으로, 의지를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 可以 (kě yǐ): '할 수 있다'라는 뜻으로,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 句형: 주어 + 要 + 동사 + 목적어 (너는 보기 좋다고 생각하면)
- 句형: 주어 + 可以 + 동사 + 목적어 (나는 너의 얼굴에 쓸 수 있다)
자막 #1957 | 01:22:16,625 → 01:22:17,958
赶紧走听见没
🇰🇷 한글번역
빨리 가, 들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赶紧 gǎn jǐn 서둘러 HSK4 走 zǒu 가다 HSK1 听见 tīng jiàn 듣다 HSK4 没 méi ~하지 마라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동사로 시작하는 문장을 사용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赶紧走"가 "서둘러 가라"는 명령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서둘러 가라)
자막 #1958 | 01:22:17,958 → 01:22:19,000
🇰🇷 한글번역
꺼져
🎯 AI 분석 결과
🔍 어휘
滚 gǔn 구르다, 굴리다 HSK5

📚 문법
명령문: "滚"은 "구르다"라는 기본 의미 외에도, 구어체에서 "꺼져"라는 강한 명령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상대방에게 강하게 나가라는 뜻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자막 #1959 | 01:22:19,416 → 01:22:19,916
小雨小雨
🇰🇷 한글번역
가랑비, 가랑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雨 yǔ 비 HSK1

📚 문법
중첩 형용사: 중국어에서 형용사를 중첩하여 사용하면 친근함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小雨小雨"는 "작은 비"를 강조하거나 친근하게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자막 #1960 | 01:22:19,916 → 01:22:21,708
你跟阿姨都没事吧
🇰🇷 한글번역
너랑 이모는 괜찮으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跟 gēn ~와 함께 HSK2 阿姨 ā yí 이모, 아주머니 HSK3 都 dōu 모두 HSK1 没事 méi shì 괜찮다, 문제없다 HSK2

📚 문법
의문문: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는 문장 끝에 '吧'를 붙여 상대방의 상태나 의견을 물어볼 수 있습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吧 (너와 아주머니는 괜찮으신가요?)
자막 #1961 | 01:22:21,708 → 01:22:23,250
你不用担心她俩
🇰🇷 한글번역
너는 그녀들 둘을 걱정할 필요 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不用 bù yòng 필요 없다 HSK2
担心 dān xīn 걱정하다 HSK3
她俩 tā liǎ 그녀들 둘 HSK4

📚 문법
不用: "필요 없다"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필요 없음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걱정할 필요 없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구조: 주어 + 不用 + 동사 (너는 걱정할 필요 없다)
자막 #1962 | 01:22:23,250 → 01:22:25,083
她们母女身上还是有些东西的
🇰🇷 한글번역
그녀들 모녀에게는 여전히 뭔가가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她们 tāmen 그녀들 HSK1 母女 mǔnǚ 모녀 HSK5 身上 shēnshang 몸에, 신체에 HSK4 还是 háishì 여전히, 아직도 HSK3 东西 dōngxi 물건, 것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还是 + 형용사/부사: 이 구조는 주어가 여전히 어떤 상태나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그녀들 모녀는 여전히 어떤 것들을 가지고 있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1963 | 01:22:25,083 → 01:22:27,500
小雨十四岁的时候就参加了市摔跤比赛
🇰🇷 한글번역
샤오위는 열네 살 때 시립 레슬링 대회에 참가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雨 Xiǎo Yǔ 샤오위 (이름)
十四岁 shísì suì 열네 살
参加 cānjiā 참가하다 HSK3
市 shì 시, 도시 HSK3
摔跤 shuāijiāo 레슬링
比赛 bǐsài 경기, 시합 HSK3

📚 문법
- 时间状语从句: "十四岁的时候"는 시간 부사절로, 주어가 특정 시점에 어떤 행동을 했는지를 설명합니다. 여기서는 "샤오위가 열네 살 때"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动词: "参加"는 동사로, 어떤 활동이나 행사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市摔跤比赛"는 '시 레슬링 경기'라는 명사구로, 참가의 대상이 됩니다.
자막 #1964 | 01:22:27,500 → 01:22:29,083
战胜了男子组冠军
🇰🇷 한글번역
남자부 챔피언을 이겼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战胜 zhàn shèng 이기다, 승리하다 HSK5 男子 nán zǐ 남자 HSK4 组 zǔ 조, 그룹 HSK5 冠军 guàn jūn 챔피언, 우승자 HSK4

📚 문법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입니다.
형태: 동사 + 了 (승리했다)

이 문장에서 "战胜了"는 "이겼다"라는 완료된 동작을 나타내며, "男子组冠军"은 "남자 그룹 챔피언"이라는 의미로, 전체 문장은 "남자 그룹 챔피언을 이겼다"는 뜻입니다.
자막 #1965 | 01:22:30,708 → 01:22:31,708
不是不是
🇰🇷 한글번역
아니야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HSK1 是 shì 이다 HSK1

📚 문법
부정문: 중국어에서 "不是"는 "아니다"라는 뜻으로, 명사나 형용사를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主语 + 不是 + 명사/형용사 (주어는 ~가 아니다)
자막 #1966 | 01:22:35,583 → 01:22:36,500
有警察吗
🇰🇷 한글번역
경찰이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 yǒu 있다 HSK1 警察 jǐng chá 경찰 HSK2 吗 ma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의문문: "吗"는 중국어에서 의문문을 만들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문장 끝에 붙여서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바꿉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경찰이 있습니까?)
자막 #1967 | 01:22:36,875 → 01:22:38,083
救命啊
🇰🇷 한글번역
살려주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救命 jiù mìng 살려줘 HSK4

📚 문법
감탄문: 감정이나 긴급한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감정을 강조합니다. (살려줘!)
자막 #1968 | 01:22:39,583 → 01:22:40,583
那阿姨呢
🇰🇷 한글번역
그 아주머니는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 그 HSK1 阿姨 ā yí 아주머니, 이모 HSK3

📚 문법
명사구: "那阿姨"는 "저 아주머니" 또는 "그 이모"라는 뜻으로, 특정 대상을 지칭하는 명사구입니다. "那"는 지시대명사로, 뒤에 오는 명사를 구체적으로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969 | 01:22:40,583 → 01:22:42,708
你阿姨就是一个普通的中年妇女
🇰🇷 한글번역
당신의 이모는 그냥 평범한 중년 여성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阿姨 ā yí 이모, 아주머니 HSK2 就是 jiù shì 바로 ~이다 HSK3 普通 pǔ tōng 보통의 HSK3 中年 zhōng nián 중년 HSK4 妇女 fù nǚ 여성 HSK5

📚 문법
명사구: "普通的中年妇女"는 "보통의 중년 여성"이라는 명사구로, 형용사 "普通"가 명사 "中年妇女"를 수식하는 구조입니다.
주어-서술어 구조: "你阿姨就是一个普通的中年妇女"에서 "你阿姨"는 주어, "就是"는 서술어로, 주어가 어떤 존재인지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자막 #1970 | 01:22:42,708 → 01:22:43,666
臭小子
🇰🇷 한글번역
이 녀석
🎯 AI 분석 결과
🔍 어휘
臭 chòu 냄새나다, 고약하다 HSK4 小 xiǎo 작다, 어린 HSK1 子 zǐ 아들, 아이 HSK1

📚 문법
명사구: "臭小子"는 "고약한 녀석" 또는 "말썽꾸러기"로 번역될 수 있는 명사구입니다. 이 표현은 주로 친근하거나 장난스러운 어조로 사용되며, 상대방을 가볍게 놀리거나 꾸짖을 때 사용됩니다.
자막 #1971 | 01:22:43,666 → 01:22:45,041
替你妈教育教育你
🇰🇷 한글번역
네 엄마 대신 너를 교육해줄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替 tì 대신하다 HSK4 你 nǐ 너 HSK1 妈 mā 엄마 HSK1 教育 jiàoyù 교육하다 HSK4

📚 문법
목적어 중첩: "替你妈教育教育你"에서 "教育教育"는 동사의 중첩을 통해 동작의 시도나 가벼운 반복을 나타냅니다. 이는 중국어에서 동작의 친근함이나 가벼움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동사 (나는 너를 가볍게 교육할 것이다)
자막 #1972 | 01:22:45,041 → 01:22:45,791
没家教
🇰🇷 한글번역
가정 교육을 받지 못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 méi 없다, 아닌 HSK2 家教 jiājiào 가정교육, 가정교사 HSK6

📚 문법
부정문: "没"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没家教"는 "가정교육이 없다"라는 의미로, 누군가의 행동이나 태도가 예의 없거나 무례하다는 것을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973 | 01:22:45,791 → 01:22:46,583
服不服
🇰🇷 한글번역
납득하겠어, 안 하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服 fú 복종하다, 따르다 HSK3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 문법
A-not-A 질문 패턴: 중국어에서 긍정과 부정을 함께 사용하여 상대방의 의견이나 상태를 물어보는 형식입니다.
형태: 동사 + 不 + 동사 (복종하니 안 하니?)

"服不服"은 상대방에게 어떤 상황이나 결정에 대해 동의하는지 여부를 묻는 표현입니다.
자막 #1974 | 01:22:46,750 → 01:22:47,625
服不服
📝 한어병음
fú bù fú
🇰🇷 한글번역
인정하겠어, 안 하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服 fú 복종하다, 따르다 HSK4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 문법
중국어에서 "服不服"은 "복종하느냐 아니냐"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의견이나 태도에 대한 도전적인 질문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간단한 의문문 형태로, "동사 + 不 + 동사" 구조를 사용하여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묻는 형식입니다.
자막 #1975 | 01:22:47,875 → 01:22:50,250
就是下手有点不知道轻重
🇰🇷 한글번역
손이 좀 과하게 나갔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是 jiù shì 바로, 즉 HSK3
下手 xià shǒu 착수하다, 시작하다 HSK5
有点 yǒu diǎn 조금, 약간 HSK3
不知道 bù zhī dào 모르다 HSK2
轻重 qīng zhòng 경중, 무게 HSK5

📚 문법
정도부사: "有点"은 주로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진 형용사 앞에 사용되어 '조금'이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有点不知道轻重"으로 '경중을 조금 모른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就是"는 문장 전체를 강조하거나, 앞 문장을 받아 설명을 덧붙일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바로'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바로 경중을 모른다'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자막 #1976 | 01:22:50,708 → 01:22:51,708
臭小子
🇰🇷 한글번역
이 녀석
🎯 AI 분석 결과
🔍 어휘
臭 chòu 냄새나다, 나쁜 HSK4 小 xiǎo 작다, 어린 HSK1 子 zǐ 아들, 아이 HSK1

📚 문법
"臭小子"는 주로 친근하게 누군가를 부를 때 사용되는 표현으로, "말썽꾸러기"나 "장난꾸러기"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여기서 "臭"는 부정적인 의미를 강조하기보다는 장난스럽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막 #1977 | 01:22:53,083 → 01:22:54,375
这些年
🇰🇷 한글번역
이 몇 년 동안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些 xiē 몇몇, 약간 HSK2 年 nián 년, 해 HSK1

📚 문법
时间 표현: "这些年"은 "이 몇 년간"이라는 뜻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을 나타냅니다. 중국어에서는 시간 표현이 문장의 맨 앞이나 주어 뒤에 위치하여 시간의 범위를 명확히 합니다.
자막 #1978 | 01:22:54,791 → 01:22:56,333
您受苦了
🇰🇷 한글번역
당신은 고생하셨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您 nín 당신 HSK2 受 shòu 받다, 당하다 HSK4 苦 kǔ 고통 HSK4 了 le 완료, 변화 HSK1

📚 문법
완료상: '了'는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受苦'라는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了 (당신은 고생하셨습니다)
자막 #1979 | 01:22:58,333 → 01:22:59,333
不提了
🇰🇷 한글번역
말하지 말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HSK1 提 tí 언급하다 HSK4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형태: 不 + 동사 (언급하지 않다)
자막 #1980 | 01:23:00,333 → 01:23:01,333
不提了
🇰🇷 한글번역
말하지 말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提 tí 언급하다, 말하다 HSK4 了 le 완료, 변화의 표시 HSK1

📚 문법
"不提了"는 "언급하지 않겠다" 또는 "말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어떤 주제나 상황에 대해 더 이상 이야기하지 않겠다는 결심이나 결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了"는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며, 더 이상 그 주제를 언급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강조합니다.
자막 #1981 | 01:23:04,583 → 01:23:05,583
这哪儿呀这是
🇰🇷 한글번역
여기가 어디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哪儿 nǎr 어디 HSK2

📚 문법
反问句: 이 문장은 반문(反问) 형식으로, 상대방의 말이나 상황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거나 부정하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这哪儿呀这是"는 "이게 어디야, 이게?"라는 뜻으로, 상황이나 장소에 대한 불만이나 놀라움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982 | 01:23:06,666 → 01:23:07,666
家呢
🇰🇷 한글번역
집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家 jiā 집 HSK1 呢 ne ~는요? (문장 끝에 쓰여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呢 (ne): 문장 끝에 쓰여 의문이나 진행 중인 상황을 나타냅니다. 주로 "어디에 있나요?" 또는 "어떻게 되었나요?"와 같은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예: 你家呢?(너의 집은 어디에 있나요?)
자막 #1983 | 01:23:07,916 → 01:23:08,958
今日凌晨
🇰🇷 한글번역
오늘 새벽
🎯 AI 분석 결과
🔍 어휘
今 jīn 오늘 HSK1 日 rì 날, 일 HSK1 凌晨 líng chén 새벽 HSK6

📚 문법
시간 표현: 중국어에서 시간을 나타낼 때 일반적으로 큰 단위에서 작은 단위로 나열합니다.
형태: [시간] + [동사/행위] (오늘 새벽)

"今日凌晨"은 "오늘 새벽"이라는 의미로, 시간 표현에서 날짜와 시간을 함께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자막 #1984 | 01:23:08,958 → 01:23:11,291
我市警方成功捣毁一个偷油窝点
🇰🇷 한글번역
우리 시 경찰은 기름 도둑 소굴을 성공적으로 소탕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우리 HSK1 市 shì 도시 HSK3 警方 jǐngfāng 경찰 成功 chénggōng 성공하다 HSK4

捣毁 dǎohuǐ 파괴하다 一个 yīgè 한 개 HSK1 偷油 tōu yóu 기름을 훔치다 窝点 wōdiǎn 소굴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중국어의 기본 문장 구조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입니다.
예문: 我市警方成功捣毁一个偷油窝点 (우리 시의 경찰이 기름을 훔치는 소굴을 성공적으로 파괴했다)
자막 #1985 | 01:23:11,291 → 01:23:13,375
抓获涉案人员数名
🇰🇷 한글번역
관련자 여러 명을 체포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抓获 zhuā huò 체포하다 HSK6 涉案 shè àn 사건에 관련된 HSK6 人员 rén yuán 인원, 사람 HSK5 数名 shù míng 몇 명 HSK5

📚 문법
수량 표현: 중국어에서 수량을 나타낼 때, '数名'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여 대략적인 수량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数'는 '몇'이라는 뜻으로, 명확한 숫자를 제시하지 않고 대략적인 수량을 나타냅니다.
자막 #1986 | 01:23:13,375 → 01:23:16,458
记者随后采访了一位目睹全过程的热心市民
🇰🇷 한글번역
기자는 이후 전 과정을 목격한 열성적인 시민을 인터뷰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记者 jì zhě 기자 HSK4 随后 suí hòu 뒤이어, 곧이어 HSK5 采访 cǎi fǎng 인터뷰하다, 취재하다 HSK5 目睹 mù dǔ 목격하다 HSK6 全过程 quán guò chéng 전 과정 HSK6 热心 rè xīn 열심인, 열정적인 HSK5 市民 shì mín 시민 HSK5

📚 문법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며, 이미 발생한 일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例: 采访了一位市民 - 한 시민을 인터뷰했다)
定语: 명사를 수식하는 부분으로, 주로 명사 앞에 위치하여 그 명사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例: 目睹全过程的市民 - 전 과정을 목격한 시민)
자막 #1987 | 01:23:16,458 → 01:23:17,416
我呢
🇰🇷 한글번역
나는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呢"는 중국어에서 문장 끝에 사용되어, 말하는 사람의 호기심이나 기대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주로 질문이나 상대방의 반응을 기다릴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我呢"는 "나는?" 또는 "나는 어떻게?"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의견이나 반응을 기다리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자막 #1988 | 01:23:17,416 → 01:23:19,916
这个只是微不足道的
🇰🇷 한글번역
이것은 그저 사소한 것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个 gè 개, 명 (양사) HSK1 只是 zhǐ shì 단지, 다만 HSK4 微不足道 wēi bù zú dào 하찮다, 보잘것없다 HSK6

📚 문법
"只是"는 "단지, 다만"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실이나 상황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 "微不足道的"는 "하찮은"이라는 뜻으로, 어떤 것이 중요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전체 문장은 "이것은 단지 하찮은 것이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1989 | 01:23:20,125 → 01:23:21,083
起到了这个
🇰🇷 한글번역
이 역할을 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起到 qǐ dào 이루다, 달성하다 HSK4 这个 zhè ge 이것 HSK1

📚 문법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입니다. 여기서는 "起到了"가 "이루었다" 또는 "달성하였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1990 | 01:23:21,083 → 01:23:22,375
领头羊的作用
🇰🇷 한글번역
선도자의 역할
🎯 AI 분석 결과
🔍 어휘
领头羊 lǐng tóu yáng 선두자, 리더 HSK6 作用 zuò yòng 역할, 작용 HSK4

📚 문법
명사구: "领头羊的作用"은 명사구로, "리더의 역할"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的"는 소유를 나타내며, "领头羊"과 "作用"을 연결하여 "리더의 역할"이라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자막 #1991 | 01:23:22,375 → 01:23:23,416
我在关键时刻
🇰🇷 한글번역
나는 중요한 순간에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在 zài ~에, ~에서 HSK1 关键 guān jiàn 관건, 중요한 HSK4 时刻 shí kè 순간, 시각 HSK5

📚 문법
介词短语: "在"는 전치사로,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在 + 명사 (나는 중요한 순간에)

이 문장은 "나는 중요한 순간에"라는 의미로, 어떤 중요한 시점이나 상황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992 | 01:23:23,416 → 01:23:24,958
我用我这台大车
🇰🇷 한글번역
내 이 큰 차를 사용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用 yòng 사용하다 HSK2 这 zhè 이 HSK1 台 tái 대 (양사) HSK3 大 dà 큰 HSK1 车 chē 차 HSK1

📚 문법
명사구: "我用我这台大车"는 명사구로, "내가 이 큰 차를 사용한다"라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用"은 동사로 사용되어 "사용하다"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这台大车"는 "이 큰 차"라는 의미로, "这"는 지시대명사, "台"는 양사, "大车"는 명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막 #1993 | 01:23:24,958 → 01:23:26,875
我挡住了歹徒的去路
🇰🇷 한글번역
나는 악당의 길을 막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挡住 dǎng zhù 막다, 가로막다 HSK4 歹徒 dǎi tú 악당, 범인 HSK6 去路 qù lù 길, 진로 HSK6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입니다.
이 문장에서 "我"는 주어, "挡住"는 동사, "歹徒的去路"는 목적어로 사용되었습니다. "挡住"는 동사로서 "막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뒤에 오는 목적어 "歹徒的去路"를 가로막는다는 뜻을 전달합니다.
자막 #1994 | 01:23:26,875 → 01:23:28,041
一锤定音
🇰🇷 한글번역
일확천금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 yī 하나 HSK1 锤 chuí 망치 HSK6 定 dìng 정하다, 결정하다 HSK4 音 yīn 소리 HSK3

📚 문법
성어: "一锤定音"은 비유적으로 어떤 문제나 논쟁을 최종적으로 결정짓거나 결론을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직역하면 "한 번의 망치질로 소리를 결정하다"라는 뜻으로, 한 번의 결정적인 행동이나 발언으로 상황을 확정짓는 것을 나타냅니다.
자막 #1995 | 01:23:31,500 → 01:23:33,916
你们怎么才来啊
🇰🇷 한글번역
너희는 왜 이제야 왔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们 nǐmen 너희들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才 cái 겨우, 이제야 HSK3 来 lái 오다 HSK1 啊 a 어기조사 HSK1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 의문, 명령 등의 어감을 더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놀람이나 약간의 불만을 나타냅니다.
문장 구조: 주어 + 怎么 + 동사 + 啊 (너희들 어떻게 이제야 왔니?)
자막 #1996 | 01:23:33,916 → 01:23:35,375
她俩打人
🇰🇷 한글번역
그녀들이 사람을 때렸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她俩 tā liǎ 그녀들 둘 打 dǎ 때리다 HSK3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입니다. 여기서 "她俩"는 주어, "打"는 동사, "人"은 목적어입니다. 이 문장은 "그녀들 둘이 사람을 때린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1997 | 01:23:35,375 → 01:23:37,125
下死手啊
🇰🇷 한글번역
죽기 살기로 하네.
🎯 AI 분석 결과
🔍 어휘
下 xià 아래로, 내리다 HSK1 死 sǐ 죽다, 매우 HSK3 手 shǒu 손 HSK1

📚 문법
관용 표현: "下死手"는 매우 강력하고 단호한 행동을 취하다라는 의미의 관용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보통 어떤 일을 매우 결단력 있게 처리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1998 | 01:23:37,125 → 01:23:38,791
这不瞎扯呢嘛
🇰🇷 한글번역
이거 말도 안 되는 소리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不 bù 아니다 HSK1 瞎 xiā 함부로, 멋대로 HSK6 扯 chě 잡아당기다, 헛소리하다 HSK6 呢 ne ~는가?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 呢 (ne): 문장 끝에 사용되어 의문이나 강조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瞎扯"라는 행위에 대한 의문이나 강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这 (zhè): 주어로 사용되어 "이것"을 가리킵니다. 문맥에 따라 상황이나 발언을 지칭할 수 있습니다.
자막 #1999 | 01:23:38,791 → 01:23:40,875
你说我这么大岁数了
🇰🇷 한글번역
너는 내가 이렇게 나이가 많다고 말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我 wǒ 나 HSK1 这么 zhème 이렇게 HSK3 大 dà 크다, 나이가 많다 HSK1

📚 문법
정도보어: '这么'는 정도를 나타내며, 뒤에 형용사가 와서 그 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这么 + 형용사 (이렇게 크다/많다)

이 문장에서 "这么大岁数了"는 나이가 많음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2000 | 01:23:40,875 → 01:23:43,291
一点劲都没有 你说我这
🇰🇷 한글번역
힘이 하나도 없어, 내가 이래서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点 yī diǎn 조금 HSK2 劲 jìn 힘, 기운 HSK4 都 dōu 모두, 전혀 HSK1 没有 méi yǒu 없다 HSK1 你 nǐ 너 HSK1

📚 문법
부정문: "没有"는 '없다'라는 뜻으로, 상태나 소유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没有 + 명사/동사 (나는 힘이 전혀 없다)

강조 표현: "一点都没有"는 '조금도 없다'라는 뜻으로, 부정의 정도를 강조합니다.
형태: 一点 + 명사 + 都没有 (조금의 힘도 없다)
자막 #2001 | 01:23:43,291 → 01:23:44,458
能打谁啊
🇰🇷 한글번역
누구를 때릴 수 있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打 dǎ 때리다, 치다 HSK2 谁 shéi 누구 HSK1 啊 a 어기조사 HSK1

📚 문법
의문문: "谁"는 의문대명사로, "누구"를 의미하며, 질문을 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能 + 동사 + 谁 + 啊? (누구를 때릴 수 있나요?)

이 문장은 "누구를 때릴 수 있나요?"라는 의미로, "能"은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며, "啊"는 문장의 끝에 사용되어 어감을 부드럽게 합니다.
자막 #2002 | 01:23:44,458 → 01:23:46,083
站都站不住
🇰🇷 한글번역
서 있을 수조차 없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站 zhàn 서다 HSK2 都 dōu 모두, 전부 HSK1 不 bù 아니다 HSK1 住 zhù 살다, 머무르다 HSK1

📚 문법
결과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의 결과나 상태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결과보어 (서다 + 不住)
설명: "站都站不住"는 "서 있을 수조차 없다"라는 의미로, 동작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不住"는 '서 있을 수 없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2003 | 01:23:46,083 → 01:23:49,250
这俩人是真可怕呀
🇰🇷 한글번역
이 두 사람은 정말 무섭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人 rén 사람 HSK1 真 zhēn 정말, 진짜로 HSK2 可怕 kěpà 무섭다, 두렵다 HSK5

📚 문법
感叹句: 감탄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중국어에서 감탄을 표현할 때는 주로 "真"이나 "太" 같은 부사를 사용하여 감정을 강조합니다.
형태: 주어 + 真/太 + 형용사 + 呀/啊 (이 두 사람은 정말 무섭다)
자막 #2004 | 01:23:52,250 → 01:23:54,583
她俩没说实话呀
🇰🇷 한글번역
그녀들은 진실을 말하지 않았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她俩 tā liǎ 그녀들 둘 HSK5 没 méi ~않다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实话 shí huà 진실한 말, 사실 HSK5

📚 문법
부정문: 중국어에서 '没'는 과거의 경험이나 사실의 부정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没 + 동사 (그녀들 둘은 사실을 말하지 않았다)
자막 #2005 | 01:24:14,250 → 01:24:15,250
叔叔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 shu 삼촌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들은 매우 구체적이며, '叔叔'는 그 중 하나입니다.
자막 #2006 | 01:24:16,250 → 01:24:17,041
要不
🇰🇷 한글번역
아니면
🎯 AI 분석 결과
🔍 어휘
要不 yào bù 그렇지 않으면, 아니면 HSK5

📚 문법
연결사: "要不"는 대안이나 제안을 제시할 때 사용되는 연결사입니다. 두 가지 선택지 중 하나를 제안하거나, 앞의 상황이 만족스럽지 않을 때 다른 대안을 제시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문장 A + 要不 + 문장 B (문장 A가 만족스럽지 않거나 불가능할 때 문장 B를 제안)
자막 #2007 | 01:24:17,458 → 01:24:19,625
回去的路我开吧
🇰🇷 한글번역
돌아가는 길은 내가 운전할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回去 huí qù 돌아가다 HSK2 路 lù 길 HSK2 我 wǒ 나 HSK1 开 kāi 운전하다 HSK1

📚 문법
吧 (ba): 제안이나 권유를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제안하거나 권유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吧 (내가 돌아가는 길을 운전할게)
자막 #2008 | 01:25:03,291 → 01:25:04,666
手机
🇰🇷 한글번역
휴대폰
🎯 AI 분석 결과
🔍 어휘
手机 shǒujī 휴대폰 HSK3

📚 문법
명사: '手机'는 '휴대폰'이라는 뜻의 명사로,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2009 | 01:25:04,666 → 01:25:05,666
拿出来
🇰🇷 한글번역
꺼내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拿 ná 잡다, 쥐다 HSK2 出来 chū lái 나오다, 나타나다 HSK2

📚 문법
결과보어: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입니다.
형태: 동사 + 결과보어 (拿出来는 "꺼내다"라는 의미로, 어떤 것을 잡아서 밖으로 나오게 하는 동작을 표현합니다.)
자막 #2010 | 01:25:05,666 → 01:25:07,583
要不我死也拉个垫背的
🇰🇷 한글번역
그럼 나 죽을 때 누군가를 끌어내릴까?
🎯 AI 분석 결과
🔍 어휘
要不 yào bù 그렇지 않으면, 아니면 HSK4 我 wǒ 나, 저 HSK1 死 sǐ 죽다 HSK3 也 yě 또한, ~도 HSK1 拉 lā 끌다, 당기다 HSK4

📚 문법
- 要不 (yào bù): 제안이나 대안을 제시할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그렇지 않으면", "아니면"의 의미를 가집니다. 문맥에 따라 선택의 여지를 제공하거나 다른 방법을 제안할 때 사용됩니다.
- 也 (yě): 부사로, "또한", "~도"의 의미를 가지며, 앞 문장의 내용을 이어받아 비슷한 내용을 추가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2011 | 01:25:11,875 → 01:25:12,833
小万
🇰🇷 한글번역
소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万 wàn 만 HSK3

📚 문법
명사: "小万"은 이름이나 별명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小"는 종종 친근함이나 어린 나이를 나타내기 위해 이름 앞에 붙이는 접두사로 사용됩니다.
자막 #2012 | 01:25:13,791 → 01:25:14,958
就这一条路
🇰🇷 한글번역
이 길만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단지 HSK2 这 zhè 이 HSK1 一 yī 하나의 HSK1 条 tiáo (길을 세는 단위) HSK4 路 lù 길 HSK2

📚 문법
단순한 명사구: "就这一条路"는 "바로 이 길"이라는 의미로, 특정한 길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就"은 강조의 의미를 더해 주며, "这", "一", "条", "路"는 각각 이, 하나의, (길을 세는 단위), 길을 의미합니다.
자막 #2013 | 01:25:14,958 → 01:25:16,625
你来决定怎么开
🇰🇷 한글번역
당신이 어떻게 시작할지 결정하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来 lái 오다 HSK1 决定 juédìng 결정하다 HSK3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开 kāi 열다, 운전하다 HSK1

📚 문법
- 祈使句: 명령이나 요청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여기에서는 "你来决定"이 "네가 결정해"라는 요청의 의미를 가집니다.
- 疑问词 "怎么": "어떻게"라는 뜻으로, 방법이나 수단을 묻는 질문에 사용됩니다. "怎么开"는 "어떻게 열다/운전하다"라는 의미로, 방법에 대한 결정을 상대방에게 맡기는 뉘앙스를 줍니다.
자막 #2014 | 01:25:25,500 → 01:25:28,000
没有什么克服不了的困难
🇰🇷 한글번역
극복할 수 없는 어려움은 없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没有 méiyǒu 없다 HSK1 什么 shénme 무엇, 어떤 HSK1 克服 kèfú 극복하다 HSK5 不了 bùliǎo ~할 수 없다 HSK4 困难 kùnnan 어려움 HSK4

📚 문법
이중부정: "没有什么...不了"는 "어떤 ...도 ~할 수 없는 것이 없다"라는 의미로, 모든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의미를 전달합니다.
형태: 没有 + 什么 + 동사 + 不了 + 명사 (극복할 수 없는 어려움은 없다)
자막 #2015 | 01:25:28,000 → 01:25:29,500
希望收听的每一位朋友
🇰🇷 한글번역
청취하시는 모든 친구들께
🎯 AI 분석 결과
🔍 어휘
希望 xī wàng 희망하다, 바라다 HSK3 收听 shōu tīng 청취하다 HSK6 每 měi 매, 각 HSK2 一位 yí wèi 한 명의 HSK4 朋友 péng yǒu 친구 HSK1

📚 문법
定语: "的"는 명사 앞에서 형용사나 기타 수식어가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는 "希望收听的"가 "朋友"를 수식하여 "청취를 희망하는 친구"라는 의미를 만듭니다.
자막 #2016 | 01:25:29,500 → 01:25:31,291
都能掌握自己的航舵
🇰🇷 한글번역
모두 자신의 항해를 조종할 수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掌握 zhǎngwò 파악하다, 장악하다 HSK4 自己 zìjǐ 자기 자신 HSK3 航舵 hángduò 배의 키, 조타 장치 (HSK 비급수)

📚 문법
주어 + 能 + 동사: 주어가 어떤 능력이나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문장 구조입니다. 여기서는 "모두가 자신의 배의 키를 장악할 수 있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2017 | 01:25:31,291 → 01:25:33,625
走出属于自己的路
🇰🇷 한글번역
자신만의 길을 걷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걷다, 나아가다 HSK1
出 chū 나가다, 나오다 HSK1
属于 shǔ yú ~에 속하다 HSK4
自己 zì jǐ 자기, 자신 HSK2
路 lù 길 HSK1

📚 문법
"属于" 구문: "~에 속하다"라는 의미로, 어떤 것이 특정한 범주나 소유에 속함을 나타냅니다.
예문에서 "属于自己的路"는 "자신에게 속하는 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독자적인 길이나 방향을 의미합니다.
자막 #2018 | 01:25:33,625 → 01:25:35,500
一首经典的英文金曲
🇰🇷 한글번역
한 곡의 클래식한 영어 명곡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首 yī shǒu 한 곡의 (노래를 세는 단위) HSK4 经典 jīng diǎn 클래식, 전형적인 HSK5 英文 yīng wén 영어 HSK3 金曲 jīn qǔ 히트곡 (비표준)

📚 문법
수량사 구조: 중국어에서 특정 명사를 세기 위해 사용하는 단위입니다.
형태: 数字 + 量词 + 名词 (한 곡의 클래식한 영어 히트곡)

이 문장에서 "一首"는 노래를 세는 단위로 사용되며, "经典的英文金曲"은 '클래식한 영어 히트곡'을 의미합니다.
자막 #2019 | 01:25:35,500 → 01:25:37,625
《My Way》带给大家
🇰🇷 한글번역
《My Way》를 여러분께 드립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带 dài 가져오다, 전하다 HSK2 给 gěi ~에게, ~을 위해 HSK2 大家 dà jiā 모두, 여러분 HSK1

📚 문법
주어 + 동사 + 给 + 대상: '대상에게 ~을 하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예문: 《My Way》带给大家 (《My Way》를 여러분에게 전합니다)
자막 #2020 | 01:25:38,291 → 01:25:39,458
叔叔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叔 shūshu 삼촌, 아저씨 HSK2

📚 문법
명사: '叔叔'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이나 친근한 어른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2021 | 01:25:39,458 → 01:25:41,083
并不是只有一条路
🇰🇷 한글번역
길은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并 bìng 결코 HSK4 是 shì ~이다 HSK1 只有 zhǐ yǒu 오직 ~만 HSK3 一 yī 하나 HSK1 条 tiáo 조각, 길 HSK3 路 lù 길 HSK2

📚 문법
부정 강조: "并不是"는 단순한 부정이 아니라 강한 부정을 나타내며, "결코 ~이 아니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는 어떤 사실이나 의견에 대해 강하게 반박하거나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并不是只有一条路 (결코 하나의 길만 있는 것이 아니다)
자막 #2022 | 01:27:59,708 → 01:28:02,083
车辆损毁百分之九十五
🇰🇷 한글번역
차량 손상 95%
🎯 AI 분석 결과
🔍 어휘
车辆 chē liàng 차량 HSK4 损毁 sǔn huǐ 손상되다, 파손되다 HSK6 百分之 bǎi fēn zhī 퍼센트 HSK5 九十五 jiǔ shí wǔ 95

📚 문법
수사와 백분율: 중국어에서 백분율을 나타낼 때 "百分之"를 사용하여 수사와 결합합니다.
형태: 百分之 + 숫자 (95%를 나타낼 때는 百分之九十五)
자막 #2023 | 01:28:02,916 → 01:28:04,250
废了
🇰🇷 한글번역
폐기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废 fèi 버리다, 폐기하다 HSK6

📚 문법
단어 "废了"는 "废"에 완료를 나타내는 "了"가 붙은 형태로, 어떤 것이 쓸모없게 되거나 기능을 상실했음을 나타냅니다. 이 문맥에서 "废了"는 "버려졌다" 또는 "쓸모없게 되었다"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2024 | 01:28:12,958 → 01:28:13,791
哥们
🇰🇷 한글번역
친구
🎯 AI 분석 결과
🔍 어휘
哥们 gē men 친구, 형제 HSK 비공식 (구어체 표현)

📚 문법
구어체 표현: "哥们"은 주로 남성들 사이에서 친근하게 친구나 형제를 부를 때 사용되는 비공식적인 표현입니다. 공식적인 자리보다는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2025 | 01:28:14,208 → 01:28:15,208
我头晕
🇰🇷 한글번역
어지러워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头 tóu 머리 HSK2 晕 yūn 어지럽다 HSK4

📚 문법
주어 + 상태동사: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상태동사 (나는 어지럽다)
자막 #2026 | 01:28:15,791 → 01:28:16,208
帮我
🇰🇷 한글번역
도와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帮 bāng 돕다 HSK2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상대방에게 도움을 요청할 때 간단하게 "帮我"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나를 도와줘"라는 뜻으로, 주어와 목적어가 명확한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2027 | 01:28:16,208 → 01:28:17,041
叫个
🇰🇷 한글번역
불러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叫 jiào 부르다, 요청하다 HSK1 个 gè 개, 명 (양사) HSK1

📚 문법
"叫"는 동사로 "부르다" 또는 "요청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叫个"는 "하나를 부르다" 또는 "하나를 요청하다"라는 의미로, 뒤에 구체적인 명사나 행동이 따라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叫个出租车"는 "택시를 부르다"라는 뜻입니다. 이 구조는 일상적인 요청이나 명령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2028 | 01:28:17,041 → 01:28:18,125
120
🇰🇷 한글번역
120
🎯 AI 분석 결과
죄송하지만, 제공된 정보만으로는 분석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중국어 자막이나 문장을 제공해 주시면 분석을 도와드리겠습니다.
자막 #2029 | 01:28:24,958 → 01:28:26,208
我不是大舌头 我是刚拔了牙
🇰🇷 한글번역
저는 혀가 꼬인 게 아니에요. 방금 이를 뽑았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不是 bú shì 아니다 HSK1 大舌头 dà shé tóu 혀가 큰 사람 (발음이 부정확한 사람) 刚 gāng 방금, 막 HSK3 拔 bá 뽑다 HSK4 牙 yá 이, 치아 HSK3

📚 문법
부정문: "不是"는 "아니다"라는 의미로, 주어가 어떤 상태나 속성을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명사/형용사 (나는 대설두가 아니다)

시간 부사어: "刚"은 동작이 막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부사로, 동사 앞에 위치하여 최근에 발생한 일을 강조합니다.
형태: 刚 + 동사 (막 ~했다)
자막 #2030 | 01:28:26,208 → 01:28:27,458
我还是自己叫吧
🇰🇷 한글번역
내가 직접 부를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还是 hái shì 여전히, 그래도 HSK3 自己 zì jǐ 스스로, 자기 자신 HSK2 叫 jiào 부르다, 호출하다 HSK1

📚 문법
还是: 선택이나 비교 상황에서 '여전히', '그래도'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그래도 내가 직접 부르겠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형태: 주어 + 还是 + 동사 (나는 그래도 직접 부르겠다)
자막 #2031 | 01:28:27,458 → 01:28:28,833
你别乱动 多危险啊
🇰🇷 한글번역
움직이지 마, 위험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别 bié ~하지 마라 HSK2 乱 luàn 함부로 HSK4 动 dòng 움직이다 HSK3 多 duō 얼마나 HSK2 危险 wēi xiǎn 위험하다 HSK4

📚 문법
부정 명령문: "别"는 금지나 충고를 나타내며 "~하지 마라"로 번역됩니다.
형태: 别 + 동사 (너는 함부로 움직이지 마라)

감탄문: "多"는 감탄을 나타내며 "얼마나"로 번역됩니다.
형태: 多 + 형용사 (얼마나 위험한가)
자막 #2032 | 01:28:41,875 → 01:28:43,958
你是怎么做到的呀
🇰🇷 한글번역
어떻게 한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是 shì ~이다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做到 zuòdào 해내다, 이루다 HSK4 呀 ya 어기조사 (놀람, 감탄) HSK3

📚 문법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원인을 물을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怎么 + 동사 + (목적어) (너는 어떻게 해낸 거야?)

"呀"는 문장 끝에 붙여 감탄이나 놀람의 느낌을 더합니다.
자막 #2033 | 01:28:43,958 → 01:28:46,250
我就是根据车速风速还有角度
🇰🇷 한글번역
저는 차량 속도, 풍속, 그리고 각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就是 jiù shì 바로 ~이다 HSK2 根据 gēn jù ~에 따라 HSK4 车速 chē sù 차의 속도 비HSK 风速 fēng sù 바람의 속도 비HSK 还有 hái yǒu 그리고 HSK3 角度 jiǎo dù 각도 HSK5

📚 문법
- 就是 (jiù shì): 강조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바로 ~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문장에서 특정 사실이나 상황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 根据 (gēn jù): '~에 따라'라는 의미로, 어떤 기준이나 근거에 따라 행동하거나 판단할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는 '차의 속도, 바람의 속도, 그리고 각도에 따라'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2034 | 01:28:46,250 → 01:28:48,875
计算了一下游戏模型的物理碰撞
📝 한어병음
jì suàn liǎo yī xià yóu xì mó xíng de wù lǐ pèng zhuàng
🇰🇷 한글번역
게임 모델의 물리적 충돌을 계산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计算 jìsuàn 계산하다 HSK4 游戏 yóuxì 게임 HSK3 模型 móxíng 모델, 모형 HSK5 物理 wùlǐ 물리 HSK5 碰撞 pèngzhuàng 충돌 HSK6

📚 문법
명사구: "游戏模型的物理碰撞"은 명사구로, '게임 모델의 물리적 충돌'이라는 의미입니다. '的'는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구조조사로 사용됩니다.
형태: 명사 + 的 + 명사 (게임 모델의 물리적 충돌)
자막 #2035 | 01:28:49,875 → 01:28:52,458
你就没算算我血压有多高啊
🇰🇷 한글번역
너는 내 혈압이 얼마나 높은지 계산해 본 적이 없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算 suàn 계산하다 HSK4 血压 xuèyā 혈압 HSK5 高 gāo 높다 HSK2

📚 문법
정도보어: 중국어에서 동작이나 상태의 정도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得 + 정도보어 (예: 有多高 - 얼마나 높은지)

이 문장에서 "有多高"는 혈압이 얼마나 높은지를 묻는 표현으로, '정도'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2036 | 01:28:53,458 → 01:28:54,625
对不起啊叔叔
🇰🇷 한글번역
죄송해요, 아저씨.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不起 duì bu qǐ 미안합니다 HSK2 叔叔 shū shu 아저씨, 삼촌 HSK2

📚 문법
- "对不起"는 사과할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상대방에게 미안함을 전할 때 사용합니다.
- "叔叔"는 나이 많은 남성을 친근하게 부르는 호칭으로, 보통 아버지의 남자 형제를 지칭하거나 아버지 친구를 부를 때 사용합니다.
자막 #2037 | 01:28:57,875 → 01:28:58,833
走吧
🇰🇷 한글번역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걷다, 가다 HSK1 吧 ba ~하자 (제안) HSK2

📚 문법
제안의 "吧": 중국어에서 "吧"는 제안이나 권유의 의미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문장 끝에 위치하여 상대방에게 함께 어떤 행동을 하자고 제안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동사 + 吧 (가자)
자막 #2038 | 01:28:59,291 → 01:29:00,458
去哪啊
🇰🇷 한글번역
어디 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去 qù 가다 HSK1 哪 nǎ 어디 HSK1

📚 문법
의문문: "去哪啊"는 "어디 가?"라는 뜻의 간단한 의문문입니다. 여기서 "啊"는 문장의 끝에 붙어 말투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2039 | 01:29:02,083 → 01:29:03,416
去给你外公祝寿去
🇰🇷 한글번역
할아버지께 장수 축하 인사를 드리러 가.
🎯 AI 분석 결과
🔍 어휘
去 qù 가다 HSK1
给 gěi ~에게 HSK2
你 nǐ 너 HSK1
外公 wàigōng 외할아버지 HSK4
祝寿 zhùshòu 생신 축하하다 (비HSK)

📚 문법
동사 중첩: '去'는 동작의 방향이나 목적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가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给'는 수혜자를 나타내며 '~에게'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문장은 외할아버지에게 생신을 축하하러 간다는 의미입니다.
자막 #2040 | 01:29:03,416 → 01:29:05,458
现在天还来得及
🇰🇷 한글번역
지금 아직 늦지 않았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现在 xiàn zài 지금 HSK1 天 tiān 날, 하늘 HSK1 还 hái 아직 HSK2 来得及 lái de jí 늦지 않다, 시간에 맞출 수 있다 HSK4

📚 문법
부정형: "还"는 "아직"이라는 뜻으로, 어떤 상태나 행동이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구문: "现在"는 시간 부사로, 문장 맨 앞에 위치하여 현재 시점을 강조합니다. "来得及"는 어떤 일이 아직 늦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자막 #2041 | 01:29:05,833 → 01:29:07,666
这不是小雨的外公
🇰🇷 한글번역
이 사람은 소유의 외할아버지가 아닙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不是 bú shì 아니다 HSK1
小雨 Xiǎo Yǔ 샤오위 (사람 이름)
外公 wàigōng 외할아버지 HSK4

📚 문법
부정문: "不是"는 '아니다'라는 뜻으로, 주어가 특정한 대상이나 상태가 아님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不是 + 명사 (이 사람은 샤오위의 외할아버지가 아니다)
자막 #2042 | 01:29:09,416 → 01:29:10,291
来了
🇰🇷 한글번역
왔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来 lái 오다 HSK1

📚 문법
동사: "来"는 기본적으로 '오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로, 주로 장소의 이동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来 + 목적지 (그는 여기에 왔다)
자막 #2043 | 01:29:46,208 → 01:29:47,958
我说你就不能先把这打扫干净了
🇰🇷 한글번역
내가 말했잖아, 먼저 이걸 깨끗이 청소할 수 없냐고.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先 xiān 먼저 HSK2 把 bǎ 을/를 HSK3 打扫 dǎ sǎo 청소하다 HSK3

干净 gān jìng 깨끗하다 HSK3 了 le 동작의 완료를 나타냄 HSK1 这 zhè 이것 HSK1 不能 bù néng ~할 수 없다 HSK2

📚 문법
1. 把字句: '把'를 사용하여 동작의 대상을 강조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 형태: 把 + 목적어 + 동사 + 결과보어 (예: 把这打扫干净了 - 이것을 깨끗하게 청소했다)

2. 완료의 '了': 동작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며, 문장 끝에 위치하여 완료된 상태를 강조합니다.
- 예: 打扫干净了 (깨끗하게 청소했다)
자막 #2044 | 01:29:47,958 → 01:29:49,458
之后你再挂那个照片
📝 한어병음
zhī hòu nǐ zài guà nà gè zhào piàn
🇰🇷 한글번역
나중에 그 사진을 다시 걸어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之后 zhī hòu 이후, 나중에 HSK3 再 zài 다시, 나중에 HSK2 挂 guà 걸다, 매달다 HSK4 照片 zhào piàn 사진 HSK2

📚 문법
时间 부사: "之后"와 "再"는 시간의 순서를 나타내며, 어떤 일이 끝난 후에 다른 일이 일어날 것을 나타냅니다.
형태: 之后 + 주어 + 再 + 동사 (나중에 네가 그 사진을 다시 걸어라)

이 문장은 "나중에 그 사진을 다시 걸어라"는 의미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행동을 제안하는 문장입니다.
자막 #2045 | 01:29:49,458 → 01:29:50,166
照片啊
🇰🇷 한글번역
사진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照片 zhàopiàn 사진 HSK3

📚 문법
명사: '照片'은 명사로, '사진'이라는 뜻입니다. 중국어에서 명사는 주로 주어, 목적어, 또는 보어로 사용됩니다.
자막 #2046 | 01:29:50,708 → 01:29:52,166
再说你这找的什么破地
🇰🇷 한글번역
또 무슨 엉망인 곳을 찾았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再说 zài shuō 게다가, 다시 말해서 HSK4 找 zhǎo 찾다 HSK2 什么 shén me 무엇 HSK1 破 pò 낡은, 허름한 HSK5 地 dì 곳, 장소 HSK3

📚 문법
- 再说: 문장 시작에 사용되어 앞서 언급된 내용을 보충하거나 추가적인 이유를 제시할 때 사용됩니다. "게다가" 또는 "다시 말해서"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 什么: 의문사로 "무엇"을 뜻하며, 여기서는 경멸적인 뉘앙스를 더해 "어떤"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破: 형용사로 "낡은" 또는 "허름한"의 의미를 가지며, 부정적인 평가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자막 #2047 | 01:29:52,166 → 01:29:54,000
行了 我知道 我知道
🇰🇷 한글번역
알겠어, 알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되다, 좋다 HSK1 我 wǒ 나, 저 HSK1 知道 zhī dào 알다 HSK2

📚 문법
중국어에서 "行了"는 "됐어", "알았어"와 같은 의미로, 상대방의 말을 받아들이거나 상황을 마무리할 때 사용됩니다.
"我知道"는 "나는 안다"라는 뜻으로, 주어(我)와 동사(知道)가 결합된 간단한 문장 구조입니다. 이 문장은 상대방의 말을 이해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2048 | 01:29:54,000 → 01:29:55,125
但这已经是咱们
🇰🇷 한글번역
하지만 이건 이미 우리
🎯 AI 분석 결과
이 문장은 완전한 문장이 아니며, 문맥이 부족하여 분석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주어진 부분을 기반으로 가능한 분석을 제공하겠습니다.

🔍 어휘
但 dàn 그러나, 하지만 HSK3 已经 yǐ jīng 이미, 벌써 HSK2 咱们 zán men 우리(들) HSK2

📚 문법
- "但"은 접속사로 사용되어 앞뒤 문장을 연결하며 대조적인 의미를 나타냅니다.
- "已经"은 부사로, 동작이나 상태가 이미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咱们"은 화자와 청자를 포함한 '우리'를 의미하며, 친근한 관계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이 문장은 문맥이 부족하여 완전한 해석이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하지만 이것은 이미 우리..."라는 형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막 #2049 | 01:29:55,125 → 01:29:57,916
现阶段能找到最好的地了
🇰🇷 한글번역
현재 단계에서 찾을 수 있는 최고의 땅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现阶段 xiàn jiēduàn 현재 단계 HSK5 能 néng ~할 수 있다 HSK3 找到 zhǎo dào 찾아내다 HSK3 最好 zuì hǎo 가장 좋다 HSK3 地 dì 장소 HSK1

📚 문법
能: 능력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할 수 있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能 + 동사 (현재 단계에서 가장 좋은 장소를 찾을 수 있다)
자막 #2050 | 01:29:59,291 → 01:29:59,958
行吧
🇰🇷 한글번역
알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괜찮다, 좋다 HSK1 吧 ba ~하자, ~이지? HSK1

📚 문법
"吧"는 문장 끝에 사용되어 제안이나 추측, 동의를 구하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예: 行吧 (괜찮아, 그렇게 하자)
자막 #2051 | 01:30:00,458 → 01:30:01,583
乔布斯创业的时候
🇰🇷 한글번역
스티브 잡스가 창업할 때
🎯 AI 분석 결과
🔍 어휘
乔布斯 Qiáobùsī 스티브 잡스 고유명사 创业 chuàngyè 창업하다 HSK5 的时候 de shíhòu ~할 때 HSK3

📚 문법
的时候: 중국어에서 특정 시점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的时候 (스티브 잡스가 창업할 때)
자막 #2052 | 01:30:01,583 → 01:30:02,583
只有一车库
🇰🇷 한글번역
차고가 하나뿐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只 yǒu 오직, 단지 HSK2 一 yī 하나 HSK1 车库 chē kù 차고 HSK5

📚 문법
数量词: 중국어에서 수량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형태: 数量词 + 명사 (하나의 차고만 있다)

이 문장은 "오직 하나의 차고만 있다"라는 의미로, 수량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2053 | 01:30:02,875 → 01:30:04,708
咱现在最起码还有个窗户呢
🇰🇷 한글번역
우린 지금 최소한 창문이라도 있잖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 zán 우리 HSK5 现在 xiàn zài 지금 HSK1 最起码 zuì qǐ mǎ 최소한 HSK5 还有 hái yǒu 아직도 있다 HSK3 窗户 chuāng hu 창문 HSK3

📚 문법
- "最起码"는 최소한, 적어도라는 의미로, 최소한의 조건이나 기준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 "还有"는 '아직도 있다' 또는 '더 있다'라는 의미로, 어떤 것이 여전히 존재하거나 추가로 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2054 | 01:30:09,291 → 01:30:10,458
在那天之后
🇰🇷 한글번역
그날 이후에
🎯 AI 분석 결과
🔍 어휘
在 zài ~에, ~에서 HSK1 那 nà 그, 저 HSK1 天 tiān 날, 하늘 HSK1 之后 zhī hòu 이후 HSK3

📚 문법
时间 표현: "在 + 시간 + 之后"는 "어떤 시간 이후에"라는 뜻으로, 시간의 흐름을 나타냅니다.
형태: 在 + 시간 + 之后 (그 날 이후에)
자막 #2055 | 01:30:10,791 → 01:30:11,875
我才发现
🇰🇷 한글번역
나는 이제야 깨달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才 cái 방금, 이제야 HSK3 发现 fā xiàn 발견하다 HSK4

📚 문법
부사 "才": 동작이나 상태가 방금 일어났음을 나타내며, '이제야', '방금'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才 + 동사 (나는 이제야 발견했다)
자막 #2056 | 01:30:12,416 → 01:30:14,750
即使是一只不懂事的兔子
🇰🇷 한글번역
비록 철없는 토끼일지라도
🎯 AI 분석 결과
🔍 어휘
即使 jí shǐ 설령 ~하더라도 HSK4 是 shì ~이다 HSK1 一只 yī zhī 한 마리 HSK3 不懂事 bù dǒng shì 철이 없다 (직역: 일을 이해하지 못하다) 兔子 tù zi 토끼 HSK4

📚 문법
即使: 가정이나 조건을 나타내며, '설령 ~하더라도'라는 뜻으로 양보절을 이끕니다. 뒤에 오는 절에서 그 조건에 상관없이 결과가 변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即使 + 조건절, 주절 (설령 ~하더라도, ...하다)
자막 #2057 | 01:30:14,750 → 01:30:16,500
也可以获得勇气
📝 한어병음
yě kě yǐ huò dé yǒng qì
🇰🇷 한글번역
용기도 얻을 수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也 yě 또한, 역시 HSK1 可以 kě yǐ ~할 수 있다 HSK2 获得 huò dé 얻다, 획득하다 HSK4 勇气 yǒng qì 용기 HSK5

📚 문법
병렬 구조: "也"는 문장에서 앞의 내용과 병렬적으로 연결하여 "또한"이나 "역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勇气"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자막 #2058 | 01:30:16,500 → 01:30:17,875
走出森林
🇰🇷 한글번역
숲을 나가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걷다, 떠나다 HSK1 出 chū 나가다 HSK1 森林 sēn lín 숲, 삼림 HSK4

📚 문법
동사구: "走出"는 '걸어서 나가다'라는 의미로, 동사 "走"와 방향을 나타내는 보어 "出"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이는 어떤 장소에서 벗어나거나 떠나는 동작을 표현합니다.
형태: 동사 + 방향보어 (나는 숲을 걸어서 나갔다)
자막 #2059 | 01:30:17,875 → 01:30:20,291
开启自己的旅程
📝 한어병음
kāi qǐ zì jǐ de lǚ chéng
🇰🇷 한글번역
자신의 여정을 시작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开 kāi 열다, 시작하다 HSK1 自己 zì jǐ 자기 자신 HSK2 旅程 lǚ chéng 여행, 여정 HSK5

📚 문법
동사 + 목적어: 중국어에서 동사와 목적어의 결합은 기본적인 문장 구조입니다.
예: 开启 + 旅程 (여행을 시작하다)
자막 #2060 | 01:30:41,833 → 01:30:42,791
那么接下来
🇰🇷 한글번역
그러면 다음으로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么 nàme 그러면 HSK3 接下来 jiē xiàlái 다음으로, 이어서 HSK4

📚 문법
접속사: "那么"는 앞 문장의 결과나 상황을 이어서 설명할 때 사용하는 접속사입니다. "그러면, 그렇다면"의 의미로, 앞 문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행동이나 상황을 제시할 때 사용합니다.

예시: "那么接下来我们该怎么办?" (그러면 다음으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나요?)
자막 #2061 | 01:30:42,791 → 01:30:44,458
让我们用最热烈的掌声
📝 한어병음
ràng wǒ men yòng zuì rè liè de zhǎng shēng
🇰🇷 한글번역
뜨거운 박수로 맞이합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让 ràng ~하게 하다 HSK2 我们 wǒ men 우리 HSK1 用 yòng 사용하다 HSK2 最 zuì 가장 HSK2 热烈 rè liè 열렬하다 HSK4 掌声 zhǎng shēng 박수 소리 HSK5

📚 문법
사역문: "让"은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거나 허락할 때 사용하는 동사입니다.
형태: 让 + 주어 + 동사 (우리가 ~하게 하다)

이 문장에서 "让我们用最热烈的掌声"는 "우리가 가장 열렬한 박수로"라는 의미로, 뒤에 이어질 행동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2062 | 01:30:44,458 → 01:30:46,291
有请新娘的父亲
🇰🇷 한글번역
신부의 아버지를 모시겠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有请 yǒu qǐng 모시다, 초대하다 (일반적으로 HSK에 포함되지 않음)
新娘 xīn niáng 신부 HSK5
父亲 fù qīn 아버지 HSK3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누군가를 초대하거나 무대에 모실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有请"은 공손하게 초대할 때 사용되며, 뒤에 초대받는 사람을 명시합니다. 예를 들어, "有请新娘的父亲"은 "신부의 아버지를 모시겠습니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2063 | 01:30:46,291 → 01:30:47,708
为我们致辞
🇰🇷 한글번역
우리에게 연설해 주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为 wèi ~을 위하여 HSK2 我们 wǒmen 우리 HSK1 致辞 zhì cí 축사를 하다, 인사말을 하다 HSK6

📚 문법
목적어 앞에 위치한 为: "为"는 전치사로 사용되어 "~을 위하여"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우리를 위하여"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문장 구조: 为 + 명사 + 동사 (우리를 위하여 축사를 하다)
자막 #2064 | 01:31:06,125 → 01:31:07,125
说呀
🇰🇷 한글번역
말해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说 shuō 말하다 HSK1 呀 ya 어조사, 감탄사 HSK3

📚 문법
어조사 呀: 중국어에서 문장의 끝에 사용되어 감탄, 의문, 명령 등을 부드럽게 표현합니다.
예문: 说呀 (말해봐) - 상대방에게 부드럽게 말하도록 권유하는 표현입니다.
자막 #2065 | 01:31:13,625 → 01:31:14,625
周东海
🇰🇷 한글번역
주동해
🎯 AI 분석 결과
죄송합니다. "周东海"라는 단어는 특정한 문맥이나 문장 없이 단독으로 제공되어 분석하기 어렵습니다. "周东海"가 특정한 인물의 이름일 가능성이 있으며, 이름은 일반적으로 HSK 급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추가적인 문맥이나 문장이 제공되면 더 자세한 분석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자막 #2066 | 01:31:18,125 → 01:31:19,291
周东海
🇰🇷 한글번역
주동해
🎯 AI 분석 결과
죄송하지만, 주어진 텍스트 "周东海"는 분석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周东海"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이름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문맥이나 문장이 제공된다면 더 자세한 분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막 #2067 | 01:31:26,333 → 01:31:27,333
周东海
🇰🇷 한글번역
주동해
🎯 AI 분석 결과
죄송합니다. "周东海"는 특정 이름이나 고유명사로 보입니다. 추가적인 문맥이나 문장이 필요합니다. 중국어 문장이나 대화를 제공해 주시면 어휘와 문법 분석을 도와드리겠습니다.
자막 #2068 | 01:31:27,958 → 01:31:29,333
你说话呀
🇰🇷 한글번역
말해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话 huà 말, 이야기 HSK1 呀 ya ~아, ~야 (어기조사) HSK3

📚 문법
어기조사 "呀":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 의문, 명령 등의 어감을 더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상대방에게 말을 하도록 촉구하는 느낌을 줍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呀 (너 말해봐)
자막 #2069 | 01:31:29,333 → 01:31:31,041
这是你家闺女吗
🇰🇷 한글번역
이 아이가 당신 딸인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你 nǐ 너 HSK1 家 jiā 집, 가족 HSK1 闺女 guīnǚ 딸 HSK6

📚 문법
这是...吗?: 중국어에서 '이것은 ...입니까?'라는 질문을 할 때 사용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这是 + 명사 + 吗? (이것은 너의 딸입니까?)
자막 #2070 | 01:31:32,416 → 01:31:33,416
爸爸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爸 bà ba 아빠 HSK1

📚 문법
이 단어는 명사로, 가족 구성원 중 '아버지'를 의미합니다. 기본적인 가족 호칭으로,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2071 | 01:31:35,875 → 01:31:36,875
你上哪去了
🇰🇷 한글번역
어디 갔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上 shàng 가다, 올라가다 HSK1 哪 nǎ 어디 HSK2 去 qù 가다 HSK1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 의문문: "你上哪去了"는 "너 어디 갔었니?"라는 의미의 의문문입니다. "哪"는 의문사로, 장소를 묻는 데 사용됩니다.
- 완료의 의미: "了"는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어기조사로, 문장 끝에 위치하여 과거의 경험이나 완료된 행동을 강조합니다.
자막 #2072 | 01:31:37,458 → 01:31:38,875
我追油耗子
🇰🇷 한글번역
나는 기름 쥐를 쫓는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追 zhuī 쫓다, 추적하다 HSK4 油耗子 yóu hào zi 기름 도둑 (비표준어, 속어)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로, 주어가 동사를 통해 목적어에 영향을 미치는 형태입니다. (나는 기름 도둑을 쫓는다)
자막 #2073 | 01:31:39,583 → 01:31:40,750
迷路了
🇰🇷 한글번역
길을 잃었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迷路 mí lù 길을 잃다 HSK4

📚 문법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了"가 사용되었습니다.
형태: 동사 + 了 (길을 잃었다)
자막 #2074 | 01:31:48,791 → 01:31:50,916
我让你别跟车你非得跟车
🇰🇷 한글번역
내가 너에게 따라오지 말라고 했는데도 굳이 따라오더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让 ràng ~하게 하다 HSK3 你 nǐ 너 HSK1 别 bié ~하지 마라 HSK2 跟 gēn 따르다 HSK2

📚 문법
1. 使役문: "让"은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거나 허락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我让你别跟车"로 "내가 너에게 차를 따르지 말라고 했다"는 의미입니다.
2. 非得: "非得"는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반드시 필요하거나 피할 수 없음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你非得跟车"는 "너는 꼭 차를 따라야만 한다"는 의미로,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불만이나 강조를 나타냅니다.
자막 #2075 | 01:31:50,916 → 01:31:52,958
你万一出点什么事怎么办
🇰🇷 한글번역
만약 무슨 일이 생기면 어떻게 할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万一 wàn yī 만일, 만약에 HSK4 出 chū 발생하다, 생기다 HSK1 点 diǎn 조금, 약간 HSK3 事 shì 일, 사건 HSK2 怎么办 zěn me bàn 어떻게 하다 HSK3

📚 문법
"万一" 문형: "만일 ~라면"이라는 가정의 의미를 나타내며, 주로 좋지 않은 상황을 가정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万一 + 상황 + 怎么办 (만일 어떤 일이 생기면 어떻게 할 것인가)
자막 #2076 | 01:31:54,666 → 01:31:57,458
我就想在你身边待到今天
🇰🇷 한글번역
오늘까지 너의 곁에 있고 싶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想 xiǎng 생각하다 HSK2 身边 shēn biān 곁, 옆 HSK4 待 dāi 머무르다 HSK5 今天 jīn tiān 오늘 HSK1

📚 문법
시간 표현: "到"는 동작이나 상태가 특정 시간까지 지속됨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到 + 시간 (나는 오늘까지 너의 곁에 머무르고 싶다)
자막 #2077 | 01:31:57,458 → 01:31:57,916
今天
🇰🇷 한글번역
오늘
🎯 AI 분석 결과
🔍 어휘
今天 jīntiān 오늘 HSK1

📚 문법
시간 부사어: 중국어 문장에서 시간 부사어는 주로 문장의 앞부분에 위치하여 시간을 나타냅니다. "今天"은 "오늘"이라는 의미로, 문장의 시작 부분에 사용되어 오늘의 시간을 나타냅니다.
자막 #2078 | 01:31:57,916 → 01:31:59,083
今天什么日子
🇰🇷 한글번역
오늘 무슨 날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今天 jīntiān 오늘 HSK1 什么 shénme 무엇 HSK1 日子 rìzi 날, 일 HSK3

📚 문법
의문문: "什么"는 의문대명사로, '무엇', '어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문장에서 질문의 대상을 명확히 하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 주어 + 什么 + 명사 (오늘은 무슨 날인가요?)
자막 #2079 | 01:31:59,500 → 01:32:00,708
就胡闹
🇰🇷 한글번역
장난치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胡闹 hú nào 장난치다, 말썽부리다 HSK6

📚 문법
"就"의 사용: "就"는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즉시 일어남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就胡闹"는 "곧바로 장난치다"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 즉각적으로 발생함을 강조합니다.
자막 #2080 | 01:32:00,708 → 01:32:03,000
今天是你的生日
🇰🇷 한글번역
오늘은 너의 생일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今天 jīntiān 오늘 HSK1 是 shì ~이다 HSK1 你 nǐ 너, 당신 HSK1 的 de ~의 HSK1 生日 shēngrì 생일 HSK2

📚 문법
주어 + 是 + 명사: 중국어에서 주어가 무엇인지 설명할 때 사용되는 기본 문장 구조입니다.
예문: 今天是你的生日 (오늘은 너의 생일이다)
자막 #2081 | 01:32:03,000 → 01:32:05,791
我想陪你一起过
🇰🇷 한글번역
너와 함께 보내고 싶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想 xiǎng ~하고 싶다 HSK2 陪 péi 동반하다, 함께하다 HSK4 你 nǐ 너 HSK1 一起 yīqǐ 함께 HSK2 过 guò 지내다, 보내다 HSK2

📚 문법
동사 중첩: "陪"와 "一起"가 함께 사용되어 '함께 동반하다'라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이는 동작을 함께 수행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一起 (나는 너와 함께 시간을 보내고 싶다)
자막 #2082 | 01:32:12,583 → 01:32:13,541
爸爸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爸 bà ba 아빠 HSK1

📚 문법
- "爸爸"는 가족을 지칭하는 명사로, 주로 아버지를 가리킵니다. 중국어에서는 가족 호칭이 매우 중요하며,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2083 | 01:32:13,750 → 01:32:15,416
生日快乐
🇰🇷 한글번역
생일 축하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生日 shēngrì 생일 HSK2 快乐 kuàilè 즐겁다, 행복하다 HSK1

📚 문법
축하 인사: "生日快乐"는 중국어에서 생일을 축하할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인사말입니다. 한국어의 "생일 축하합니다"와 같은 표현입니다.
자막 #2084 | 01:32:30,250 → 01:32:31,541
爸爸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爸 bà ba 아빠 HSK1

📚 문법
명사: '爸爸'는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빠' 또는 '아버지'를 의미합니다. 중국어에서 가족 구성원을 나타내는 단어는 주로 간단하고 일상적인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2085 | 01:32:36,208 → 01:32:38,000
对不起啊 对不起
🇰🇷 한글번역
미안해요 미안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不起 duìbuqǐ 미안하다 HSK2 啊 a 어조사, 감탄사 HSK1

📚 문법
어조사 "啊":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정을 강조하거나 어조를 부드럽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는 "对不起"에 붙어 미안함의 감정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2086 | 01:32:39,166 → 01:32:40,666
爸爸错了
🇰🇷 한글번역
아빠가 잘못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爸 bàba 아빠 HSK1 错 cuò 틀리다, 잘못되다 HSK3

📚 문법
주어 +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나타내는 문법 패턴입니다.
예문: 爸爸错了 (아빠가 틀렸다) - 여기서 "了"는 동작의 완료를 나타냅니다.
자막 #2087 | 01:32:42,208 → 01:32:44,166
爸爸以后再也不放开你的手了
🇰🇷 한글번역
아빠는 앞으로 다시는 너의 손을 놓지 않을 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爸 bà ba 아빠 HSK1 以后 yǐ hòu 이후, 나중에 HSK3 再也不 zài yě bù 다시는 ~하지 않다 HSK4 放开 fàng kāi 놓다, 풀다 HSK4 手 shǒu 손 HSK1

📚 문법
부정형: 再也不는 '다시는 ~하지 않다'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음을 강조합니다.
형태: 再也不 + 동사 (다시는 너의 손을 놓지 않을 것이다)
자막 #2088 | 01:33:00,541 → 01:33:01,708
小雨
🇰🇷 한글번역
가랑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다, 작은 HSK1 雨 yǔ 비 HSK2

📚 문법
형용사 + 명사: 중국어에서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형용사가 명사 앞에 위치합니다.
예: 小雨 (작은 비)
자막 #2089 | 01:33:02,500 → 01:33:03,875
爸爸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爸 bà ba 아빠, 아버지 HSK1

📚 문법
명사: '爸爸'는 가족 구성원을 나타내는 명사로,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HSK1 수준의 기본 어휘로, 가족 관계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2090 | 01:33:04,083 → 01:33:05,416
应该
🇰🇷 한글번역
해야 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应 yīng 응하다, 마땅히 HSK3 该 gāi ~해야 한다 HSK3

📚 문법
조동사: "应该"는 조동사로,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필요하거나 적절함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应该 + 동사 (주어는 ~해야 한다)
자막 #2091 | 01:33:05,708 → 01:33:07,583
学会放开你的手了
🇰🇷 한글번역
당신의 손을 놓는 법을 배웠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学会 xué huì 배우다, 익히다 HSK3 放开 fàng kāi 놓다, 풀다 HSK4 你的 nǐ de 너의 HSK1 手 shǒu 손 HSK1

📚 문법
결과보어: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보어로, 동사 뒤에 위치하여 동작의 완성이나 변화를 설명합니다.
형태: 동사 + 结果보어 (放开: 놓다, 풀다)
자막 #2092 | 01:33:10,583 → 01:33:11,458
小万
🇰🇷 한글번역
소완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 xiǎo 작은, 어린 HSK1 万 wàn 만, 10,000 HSK3

📚 문법
이 문장은 특정 문법 패턴을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小"는 형용사로서 명사 앞에 위치하여 명사의 성질을 설명합니다. "小万"은 이름이나 별명처럼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2093 | 01:33:13,166 → 01:33:14,583
如果有一天
🇰🇷 한글번역
만약 어느 날
🎯 AI 분석 결과
🔍 어휘
如果 rúguǒ 만약에 HSK3 有 yǒu 있다 HSK1 一 yī 하나 HSK1 天 tiān 날, 하루 HSK1

📚 문법
조건문: "如果"는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만약 ~라면"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건절을 이끌 때 사용되며, 주로 결과절과 함께 사용됩니다.
형태: 如果 + 조건절, (那么) + 결과절 (만약 ~라면, (그러면) ~할 것이다)
자막 #2094 | 01:33:16,500 → 01:33:17,666
你不爱她了
🇰🇷 한글번역
너는 그녀를 더 이상 사랑하지 않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不 bù 아니다 HSK1 爱 ài 사랑하다 HSK1 她 tā 그녀 HSK1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부정문: "不"는 현재나 미래의 부정을 나타내며, "了"는 동작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 "不爱了"는 "더 이상 사랑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감정의 변화를 강조합니다.
자막 #2095 | 01:33:18,875 → 01:33:20,000
不喜欢她了
🇰🇷 한글번역
그녀를 더 이상 좋아하지 않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하지 않다 HSK1 喜欢 xǐ huān 좋아하다 HSK1 她 tā 그녀 HSK1 了 le ~했다 (상태의 변화) HSK1

📚 문법
상태 변화의 '了': 문장 끝에 위치하여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더 이상 그녀를 좋아하지 않게 되었다'는 의미로, 감정의 변화가 있었음을 나타냅니다.
자막 #2096 | 01:33:21,000 → 01:33:22,000
答应我
🇰🇷 한글번역
약속해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答应 dā yìng 대답하다, 약속하다 HSK4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동사 + 목적어: 중국어에서 동사가 목적어를 직접적으로 취하는 구조입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答应我: 나에게 대답하다/약속하다)
자막 #2097 | 01:33:24,458 → 01:33:25,541
别伤害她
🇰🇷 한글번역
그녀를 다치게 하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伤害 shāng hài 상처를 주다, 해치다 HSK4 她 tā 그녀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别"는 부정 명령문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그녀를 해치지 마라)
자막 #2098 | 01:33:31,166 → 01:33:32,083
爸爸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爸 bà ba 아빠 HSK1

📚 문법
이 단어는 명사로,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단어입니다. 특별한 문법 패턴 없이 주어, 목적어 등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2099 | 01:33:35,875 → 01:33:37,541
今天我要嫁人了
🇰🇷 한글번역
오늘 나는 결혼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今天 jīn tiān 오늘 HSK1 我要 wǒ yào 나는 ~할 것이다 HSK1 嫁 jià 시집가다 HSK5 人 rén 사람 HSK1

📚 문법
오늘의 문장은 간단한 주어-동사-목적어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我要"는 "나는 ~할 것이다"라는 미래의 의지를 나타내며, "嫁人"은 "시집가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 "今天"은 시간 부사로, 오늘이라는 시점을 강조합니다.
자막 #2100 | 01:33:42,416 → 01:33:42,958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 bà 아빠 HSK1

📚 문법
단일 단어: "爸"는 '아빠'를 의미하며, 가족을 지칭하는 기본적인 명사입니다. 문맥에 따라 '아버지'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자막 #2101 | 01:34:06,416 → 01:34:07,250
哭了
🇰🇷 한글번역
울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哭 kū 울다 HSK2

📚 문법
동사: "哭"는 감정을 표현하는 동사로, 주어가 감정적으로 반응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她哭了"는 "그녀가 울었다"라는 의미로, 감정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了"는 동작의 완료 또는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자막 #2102 | 01:34:08,791 → 01:34:10,458
打了个哈欠刚才
🇰🇷 한글번역
방금 하품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打 dǎ 치다, 하다 HSK2 个 gè 개, 명 (양사) HSK1 哈欠 hā qiàn 하품 HSK6 刚才 gāng cái 방금, 막 HSK3

📚 문법
동사 + 了: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문법입니다. 여기서는 "打了个哈欠"에서 '하품을 했다'라는 완료된 동작을 나타냅니다.
자막 #2103 | 01:34:10,458 → 01:34:11,166
困了
🇰🇷 한글번역
졸려.
🎯 AI 분석 결과
🔍 어휘
困 kùn 졸리다, 피곤하다 HSK3 了 le 완료, 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상태 변화: "了"는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며, "困了"는 "졸리게 되었다" 또는 "피곤해졌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了"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 위치하여 변화나 완료를 나타냅니다.
자막 #2104 | 01:34:11,625 → 01:34:12,333
接下来
🇰🇷 한글번역
다음으로
🎯 AI 분석 결과
🔍 어휘
接 jiē 받다, 잇다 HSK2 下来 xià lái 내려오다, 이어지다 HSK3

📚 문법
동사 + 起来/下来: 동작의 시작이나 계속됨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형태: 동사 + 起来/下来 (이어지다, 계속하다)
자막 #2105 | 01:34:12,333 → 01:34:13,916
请新郎新娘
🇰🇷 한글번역
신랑 신부님께 부탁드립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请 qǐng 청하다, 요청하다 HSK1 新郎 xīnláng 신랑 HSK5 新娘 xīnniáng 신부 HSK5

📚 문법
명사구: "新郎新娘"은 각각 '신랑'과 '신부'를 의미하며, 결혼식이나 관련 행사에서 자주 사용되는 명사입니다.
형태: 请 + 명사 (신랑과 신부를 청하다)
자막 #2106 | 01:34:13,916 → 01:34:15,708
交换戒指
🇰🇷 한글번역
반지를 교환하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交换 jiāohuàn 교환하다 HSK4 戒指 jièzhǐ 반지 HSK5

📚 문법
명사 + 명사: "교환하다"라는 동사와 "반지"라는 명사가 결합하여 "반지를 교환하다"라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이는 결혼식이나 약혼식 등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자막 #2107 | 01:34:25,250 → 01:34:26,791
你说你这都结婚的人了
🇰🇷 한글번역
너 결혼한 사람이라면서.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这 zhè 이, 이것 HSK1 都 dōu 모두 HSK1 结婚 jiéhūn 결혼하다 HSK3 人 rén 사람 HSK1 了 le 완료, 변화 HSK1

📚 문법
- 了 (le): 동작의 완료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문장 끝에 위치하여 "이미 결혼한 상태"를 강조합니다.
- "你说" 구조: 여기서 "你说"는 상대방의 주의를 끌거나 의견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너는 말해봐"라는 의미로, 대화의 시작이나 강조를 위해 사용됩니다.
자막 #2108 | 01:34:26,791 → 01:34:28,625
怎么还这么不立整呢
🇰🇷 한글번역
왜 아직도 이렇게 정리가 안 되어 있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 me 어떻게 HSK2 还 hái 아직도 HSK2 这么 zhè me 이렇게 HSK3 不 bù 아니다 HSK1 立整 lì zhěng 정리하다, 깔끔하다 (HSK 비급수)

📚 문법
정도부사: "这么"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로, 뒤에 형용사를 수식하여 '이렇게 ~하다'라는 의미를 줍니다.
문장 구조: 怎么 + 형용사 + 呢? (어떻게 이렇게 ~할 수 있니?)
이 문장은 놀람이나 불만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자막 #2109 | 01:34:31,333 → 01:34:31,875
🇰🇷 한글번역
삼촌
🎯 AI 분석 결과
🔍 어휘
叔 shū 삼촌 HSK5

📚 문법
단일 단어로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삼촌'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叔'은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버지의 남동생을 지칭합니다.
자막 #2110 | 01:34:31,875 → 01:34:32,583
不对
🇰🇷 한글번역
아니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不 bù 아니다, 아니 HSK1 对 duì 맞다, 옳다 HSK2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不对"는 "맞지 않다" 또는 "틀리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2111 | 01:34:32,583 → 01:34:33,500
🇰🇷 한글번역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 bà 아빠 HSK1

📚 문법
단일 단어로, 특별한 문법 패턴 없이 가족 구성원을 지칭하는 명사입니다.
자막 #2112 | 01:34:33,500 → 01:34:34,541
已经到顶了
🇰🇷 한글번역
이미 정점에 도달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已经 yǐ jīng 이미 HSK3 到 dào 도달하다 HSK2 顶 dǐng 정상, 꼭대기 HSK5

📚 문법
완료의 의미: "已经"은 이미 어떤 일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이 문장에서는 "이미 정상에 도달했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2113 | 01:34:35,125 → 01:34:36,875
我听说 你创业了
🇰🇷 한글번역
네가 창업했다는 소식을 들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听说 tīng shuō 듣자 하니 HSK4 你 nǐ 너 HSK1 创业 chuàng yè 창업하다 HSK5 了 le ~했다 (완료) HSK1

📚 문법
- 了 (le):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문장 끝에 위치하여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주어 + 听说 + 문장: "주어가 듣자 하니 ~하다"라는 뜻으로, 어떤 정보를 들었음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我听说你创业了"는 "내가 듣자 하니 너는 창업했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2114 | 01:34:37,083 → 01:34:39,416
对 最近干了个游戏公司
🇰🇷 한글번역
최근에 게임 회사에서 일하게 되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에 대해, ~에 대해 맞다 HSK2 最近 zuì jìn 최근 HSK3 干 gàn 하다, 일하다 HSK4 游戏 yóu xì 게임 HSK3 公司 gōng sī 회사 HSK3

📚 문법
명사구: "最近干了个游戏公司"는 최근에 게임 회사에서 일하게 되었다는 의미로, "干"은 여기서 '일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了"는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입니다.
자막 #2115 | 01:34:39,416 → 01:34:40,791
也正在起步中
🇰🇷 한글번역
또한 시작 단계에 있습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也 yě 또한, 역시 HSK1
正 zhèng 지금, 바로 HSK3
在 zài ~에 있다, ~하고 있다 HSK1
起步 qǐ bù 시작하다, 출발하다 HSK5
中 zhōng 중, 가운데 HSK1

📚 문법
진행형: "正在"는 동작이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형태: 主语 + 正在 + 동사 + 其他 (주어가 지금 ~하고 있다)

문장 분석: "也正在起步中"는 "또한 지금 시작하는 중이다"라는 의미로, 어떤 일이 진행 중임을 강조합니다.
자막 #2116 | 01:34:40,791 → 01:34:42,625
你怎么老研究小孩玩的玩意
🇰🇷 한글번역
너는 왜 항상 아이들이 노는 것만 연구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怎么 zěnme 어떻게 HSK2 老 lǎo 항상, 자주 HSK4 研究 yánjiū 연구하다 HSK5 小孩 xiǎohái 어린이, 아이 HSK3

📚 문법
"怎么"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원인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怎么 + 동사 + 목적어 (너는 어떻게 항상 아이들이 노는 것을 연구하니?)

"老"의 사용: "老"는 '항상', '자주'의 의미로, 어떤 행동이 반복적으로 일어남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老 + 동사 (너는 왜 항상 연구하니?)
자막 #2117 | 01:34:42,625 → 01:34:43,750
那能挣钱吗
🇰🇷 한글번역
그게 돈이 되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그렇다면 HSK1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挣钱 zhèng qián 돈을 벌다 HSK4
吗 ma ~입니까?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 HSK1

📚 문법
의문문: "吗"를 문장 끝에 붙여서 의문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吗? (그것은 돈을 벌 수 있습니까?)
자막 #2118 | 01:34:44,208 → 01:34:45,083
爸您放心
🇰🇷 한글번역
아버지 걱정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 bà 아빠 HSK1 您 nín 당신(높임말) HSK2 放心 fàng xīn 안심하다 HSK3

📚 문법
문장 구조: 주어 + 동사 + 목적어
이 문장은 주어(아빠)에게 안심하라는 의미로, "您"은 높임말로 사용되어 존중의 의미를 더합니다. "放心"은 '마음을 놓다'라는 뜻으로, 상대방에게 안심하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2119 | 01:34:45,250 → 01:34:46,875
我绝对不会亏待小雨的
🇰🇷 한글번역
나는 절대로 샤오위를 실망시키지 않을 것이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绝对 juéduì 절대적으로 HSK4 不会 bù huì ~하지 않을 것이다 HSK2 亏待 kuīdài 푸대접하다, 홀대하다 HSK6 小雨 Xiǎoyǔ 샤오위 (이름)

📚 문법
부정문: "不会"는 미래에 대한 부정을 나타내며, "~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不会 + 동사 (나는 샤오위를 절대 푸대접하지 않을 것이다)
자막 #2120 | 01:34:47,750 → 01:34:48,500
研究游戏
📝 한어병음
yán jiū yóu xì
🇰🇷 한글번역
게임 연구
🎯 AI 분석 결과
🔍 어휘
研究 yán jiū 연구하다 HSK4 游戏 yóu xì 게임 HSK3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입니다.
예시: 我研究游戏 (나는 게임을 연구한다)
자막 #2121 | 01:34:48,500 → 01:34:50,625
也要研究那种正能量 积极的
🇰🇷 한글번역
또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에너지를 연구해야 한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也 yě 또한, 역시 HSK1 要 yào 필요하다, ~해야 한다 HSK1 研究 yán jiū 연구하다 HSK4 正能量 zhèng néng liàng 긍정 에너지 积极 jī jí 적극적이다, 긍정적이다 HSK4

📚 문법
병렬구조: "也要"는 "또한 ~해야 한다"라는 의미로, 앞 문장이나 상황에 대한 추가적인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也要 + 동사 + 목적어 (또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것을 연구해야 한다)
자막 #2122 | 01:34:51,208 → 01:34:52,166
别整那些烂七八糟
🇰🇷 한글번역
그런 쓸데없는 짓 하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整 zhěng 정리하다, 다루다 HSK4 那些 nàxiē 그것들 HSK2 烂七八糟 lànqībāzāo 엉망진창, 뒤죽박죽

📚 문법
명령문: "别"는 부정 명령문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하지 마라"라는 의미로, 뒤에 동사나 동사구가 옵니다.
형태: 别 + 동사/동사구 (엉망진창으로 만들지 마라)
자막 #2123 | 01:34:52,166 → 01:34:53,541
歪门邪道的东西
🇰🇷 한글번역
비정상적이고 부정한 것들
🎯 AI 분석 결과
🔍 어휘
歪门邪道 wāi mén xié dào 편법, 부정한 방법 HSK6 东西 dōng xi 물건, 것 HSK1

📚 문법
명사구: "歪门邪道的东西"는 부정적 의미를 가진 명사구로, '편법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의미합니다. "的"는 명사 앞에서 형용사나 다른 명사구가 수식어로 사용될 때 사용됩니다.
자막 #2124 | 01:34:53,541 → 01:34:55,125
爸 我觉得还是那句话
🇰🇷 한글번역
아빠, 저는 여전히 그 말이 맞다고 생각해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 bà 아빠 HSK1 觉得 jué de 생각하다, 느끼다 HSK2 还是 hái shì 여전히, 그래도 HSK2 那 nà 그, 저 HSK1 句话 jù huà 문장, 말 HSK4

📚 문법
还是: 선택이나 비교에서 "여전히" 또는 "그래도"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그래도"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이전에 언급된 말을 다시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那句话: "그 말"이라는 뜻으로, 앞에서 언급된 특정 문장이나 말을 지칭합니다.
자막 #2125 | 01:34:55,958 → 01:34:57,000
对的呢
🇰🇷 한글번역
맞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맞다, 옳다 HSK1 的 de ~의 (관형어 뒤에 쓰여 수식 관계를 나타냄) HSK1 呢 ne ~는요? (문장 끝에 쓰여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어기조사 呢: 문장 끝에 쓰여 의문, 강조, 지속을 나타냅니다. 이 문맥에서는 상대방의 말에 대한 확인이나 동의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2126 | 01:34:57,000 → 01:34:58,333
永远就是对的
🇰🇷 한글번역
영원히 옳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永远 yǒngyuǎn 영원히 HSK4 就是 jiùshì 바로 ~이다 HSK3 对的 duì de 맞다, 옳다 HSK2

📚 문법
명사구: "永远就是对的"는 명사구로, "영원히 옳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여기서 "就是"는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어 "바로 ~이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자막 #2127 | 01:34:58,708 → 01:35:00,416
你怎么老说这句话
🇰🇷 한글번역
너는 왜 자꾸 이 말을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怎么 zěn me 어떻게 HSK2 老 lǎo 항상, 자주 HSK4 说 shuō 말하다 HSK1 这 zhè 이 HSK1 句话 jù huà 문장, 말 HSK3

📚 문법
- 疑问句 (의문문): "怎么"는 방법이나 이유를 물을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왜"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상대방의 행동이나 말을 반복적으로 하는 이유를 묻고 있습니다.
- "老"는 "항상, 자주"라는 뜻으로, 어떤 행동이 반복적으로 일어남을 강조합니다.
자막 #2128 | 01:35:00,416 → 01:35:01,666
你从哪学的啊
🇰🇷 한글번역
어디서 배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从 cóng ~에서 HSK2 哪 nǎ 어느, 어떤 HSK2 学 xué 배우다 HSK1 的 de ~의 (관형어를 만드는 구조조사) HSK1 啊 a 어기조사 (놀람이나 감탄을 나타냄) HSK1

📚 문법
의문문: "你从哪学的啊"는 의문문으로, 상대방이 어디서 배웠는지를 물어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从 + 의문사 + 동사 + 的 + 어기조사
설명: "从"은 출발점이나 기원을 나타내며, "哪"는 의문사로 장소를 묻습니다. "的"는 동작의 결과나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조사로 사용됩니다. "啊"는 문장의 끝에 붙어 감탄이나 놀람을 표현합니다.
자막 #2129 | 01:35:02,500 → 01:35:03,791
我也有点记不得了
🇰🇷 한글번역
저도 좀 기억이 안 나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也 yě 또한 HSK1 有点 yǒudiǎn 조금, 약간 HSK3 记得 jìde 기억하다 HSK3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부정형: "记不得"는 "기억할 수 없다"라는 의미로, "记得"의 부정형입니다.
형태: 주어 + 有点 + 동사 + 不得 (나는 약간 기억할 수 없다)

"有点"은 주로 부정적인 상황에서 '조금, 약간'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막 #2130 | 01:35:04,166 → 01:35:05,750
好像是从哪本书上看见的
🇰🇷 한글번역
어디선가 책에서 본 것 같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像 hǎoxiàng 마치 ~인 것 같다 HSK3 是 shì ~이다 HSK1 从 cóng ~에서 HSK2 哪 nǎ 어느 HSK2 本 běn 권 (책을 세는 단위) HSK2 书 shū 책 HSK1 上 shàng 위, ~에서 HSK1 看见 kànjiàn 보다, 보이다 HSK2

📚 문법
- 似乎/好像: 추측이나 불확실한 정보를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마치 ~인 것 같다"로 해석됩니다.
- 从: 출발점이나 근거를 나타내며 "~에서"로 해석됩니다.
- 看见: 동사 "보다"에 결과보어 "见"이 붙어 "보이다"라는 의미로, 동작의 결과를 강조합니다.
자막 #2131 | 01:35:05,750 → 01:35:06,833
那这书不靠谱
🇰🇷 한글번역
그럼 이 책은 믿을 수 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HSK1 这 zhè 이 HSK1 书 shū 책 HSK1 不 bù 아니다 HSK1 靠谱 kào pǔ 믿을 만하다, 신뢰할 수 있다 HSK6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형태: 不 + 동사/형용사 (이 책은 믿을 만하지 않다)

'那'는 앞 문장의 상황을 받아들이고 그에 따른 결과나 결론을 제시할 때 사용됩니다. (그러면)
자막 #2132 | 01:35:07,625 → 01:35:08,500
你呀
🇰🇷 한글번역
너는 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呀 ya 어기조사 (놀람, 감탄) HSK4

📚 문법
어기조사 "呀":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탄, 놀람, 혹은 부드러운 어조를 나타냅니다. "你呀"는 상대방에 대한 친근한 부름이나 가벼운 놀람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2133 | 01:35:08,875 → 01:35:11,125
还是太年轻了
🇰🇷 한글번역
아직 너무 젊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还是 hái shì 여전히, 아직도 HSK3
太 tài 너무, 매우 HSK2
年轻 nián qīng 젊다 HSK3
了 le ~했다, ~되었다 (상황의 변화) HSK1

📚 문법
정도부사 太: '너무, 매우'의 의미로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정도를 강조합니다.
예문: 太年轻了 (너무 젊다)

상황 변화의 了: 문장 끝에 위치하여 상황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예문: 还是太年轻了 (여전히 너무 젊다)
자막 #2134 | 01:35:18,166 → 01:35:19,625
干什么呢
🇰🇷 한글번역
뭐 하고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干 gàn 하다 HSK2 什么 shénme 무엇 HSK1 呢 ne ~하고 있는 중이다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의문문: "呢"는 문장 끝에 위치하여 현재 진행 중인 행동이나 상태에 대해 질문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什么 + 呢? (무엇을 하고 있니?)
자막 #2135 | 01:35:22,875 → 01:35:23,958
🇰🇷 한글번역
가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걷다, 떠나다 HSK1

📚 문법
동사 "走"는 기본적으로 '걷다' 또는 '떠나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확장될 수 있으며, 주로 이동이나 변화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자막 #2136 | 01:35:30,583 → 01:35:31,583
怎么回事啊
🇰🇷 한글번역
무슨 일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怎么 zěn me 어떻게, 왜 HSK2 回事 huí shì 일, 사건 (비표준어, 구어체 표현)

📚 문법
의문문: "怎么回事"는 "무슨 일이야?" 또는 "어떻게 된 거야?"라는 의미로, 상황이나 사건에 대한 원인이나 이유를 묻는 질문입니다. "怎么"는 방법이나 이유를 묻는 의문사로 사용됩니다.
자막 #2137 | 01:35:31,875 → 01:35:33,625
学校运动会有人犯规
🇰🇷 한글번역
학교 운동회에서 누군가 반칙을 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学校 xué xiào 학교 HSK1 运动会 yùn dòng huì 운동회 HSK4 有人 yǒu rén 누군가 HSK3 犯规 fàn guī 반칙하다 HSK6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기본적인 중국어 문장 구조로,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형태입니다.
예문: 学校运动会有人犯规 (학교 운동회에서 누군가가 반칙을 했다)
자막 #2138 | 01:35:34,083 → 01:35:34,875
我不服
🇰🇷 한글번역
나는 인정하지 않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不 bù 아니다, 않다 HSK1 服 fú 복종하다, 따르다 HSK5

📚 문법
부정문: "不"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하여 부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服" 앞에 사용되어 "복종하지 않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막 #2139 | 01:35:35,208 → 01:35:36,208
就被打了
🇰🇷 한글번역
맞았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就 jiù 바로, 곧 HSK2 被 bèi 피동을 나타냄 HSK3 打 dǎ 때리다 HSK1

📚 문법
피동문(被字句): 중국어에서 피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문장 구조입니다.
형태: 주어 + 被 + 동사 + 기타 (그는 맞았다)

이 문장에서 "就被打了"는 "바로 맞았다"라는 의미로, 피동의 의미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2140 | 01:35:43,250 → 01:35:44,291
别哭
🇰🇷 한글번역
울지 마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别 bié 하지 마라 HSK2 哭 kū 울다 HSK3

📚 문법
명령문: "别"는 부정 명령을 나타내며, "~하지 마라"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형태: 别 + 동사 (울지 마라)
자막 #2141 | 01:35:47,708 → 01:35:49,125
小伙子没毛病
🇰🇷 한글번역
청년은 아무 문제 없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小伙子 xiǎo huǒ zi 젊은이, 청년 HSK4 没 méi 없다, 아니다 HSK1 毛病 máo bìng 문제, 결함 HSK4

📚 문법
부정문: 没은 '없다' 또는 '아니다'의 의미로 사용되며, 주로 과거의 경험이나 상태를 부정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没 + 명사/동사 (청년에게는 문제가 없다)
자막 #2142 | 01:35:49,625 → 01:35:50,458
对的
🇰🇷 한글번역
맞아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맞다, 옳다 HSK2

📚 문법
"对"는 동사로 사용되어 '맞다' 또는 '옳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간단한 긍정 대답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막 #2143 | 01:35:51,208 → 01:35:52,583
永远都是对的
🇰🇷 한글번역
항상 옳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永远 yǒng yuǎn 영원히 HSK4 都是 dōu shì 모두 ~이다 HSK2 对的 duì de 맞다, 옳다 HSK3

📚 문법
형용사 술어문: 중국어에서 형용사가 술어로 사용될 때는 주어 + 형용사 + 的 형태로 사용됩니다.
예시: 永远都是对的 (영원히 옳다) - 여기서 "对的"는 형용사 "对"에 "的"를 붙여 술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2144 | 01:35:52,958 → 01:35:55,541
这玩意老爷们儿得坚持
🇰🇷 한글번역
이건 남자들이 꼭 버텨야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이것 HSK1 玩意 wán yì 물건, 것 (구어체) 老爷们儿 lǎo yé men ér 남자들 (구어체) 得 děi 해야 한다 HSK4 坚持 jiān chí 견디다, 지속하다 HSK4

📚 문법
구어체 표현: "这玩意"는 "이 물건" 또는 "이것"이라는 뜻으로,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필수 동사: "得"는 "해야 한다"는 의미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필요함을 나타냅니다.
문장 구조: 주어 + 得 + 동사 (남자들은 견뎌야 한다)
자막 #2145 | 01:36:04,208 → 01:36:05,458
改地址
🇰🇷 한글번역
주소 변경
🎯 AI 분석 결과
🔍 어휘
改 gǎi 고치다, 변경하다 HSK3 地址 dì zhǐ 주소 HSK3

📚 문법
동사 + 목적어: "改地址"는 "주소를 변경하다"라는 의미로, 동사 "改"와 목적어 "地址"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이는 일반적인 주술 구조로, 동사가 목적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냅니다.
자막 #2146 | 01:36:05,458 → 01:36:07,625
你跟那个客户你说一说嘛
🇰🇷 한글번역
그 고객에게 한번 이야기해 봐.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跟 gēn ~와/과 HSK2 客户 kèhù 고객 HSK5 说 shuō 말하다 HSK1

📚 문법
"跟"字句: "跟"은 "~와/과"라는 뜻으로, 동작의 대상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跟 + 대상 + 동사 (너는 그 고객과 이야기해봐)

"一"字句: "一"는 동사의 뒤에 붙어 가벼운 시도나 잠깐의 동작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一 + 동사 (말해봐)
자막 #2147 | 01:36:08,083 → 01:36:08,791
能 能
🇰🇷 한글번역
능력 능력
🎯 AI 분석 결과
🔍 어휘
能 néng 할 수 있다 HSK2

📚 문법
조동사: "能"은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주어의 능력이나 어떤 일이 가능함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能 + 동사 (나는 할 수 있다)
자막 #2148 | 01:36:08,791 → 01:36:10,208
能干 能干
🇰🇷 한글번역
능력 있다, 능력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能干 néng gàn 유능하다, 능력이 있다 HSK4

📚 문법
중복 형용사: 중국어에서 형용사를 중복하여 사용하면 그 의미를 강조하거나 감정을 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能干 能干"은 "정말 유능하다"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2149 | 01:36:11,875 → 01:36:12,958
他们张张嘴
🇰🇷 한글번역
그들은 입을 벌렸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他们 tā men 그들 HSK1 张 zhāng 열다, 벌리다 HSK3 嘴 zuǐ 입 HSK3

📚 문법
동사 중첩: 중국어에서 동사의 중첩은 동작의 짧은 시간 지속이나 시도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동사 (张张) (그들이 입을 벌렸다)

이 문장에서 "张张嘴"는 "입을 벌리다"라는 동작을 짧게 하거나 시도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2150 | 01:36:13,250 → 01:36:14,791
咱们跑断腿
🇰🇷 한글번역
우리가 다리가 부러질 때까지 뛰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们 zánmen 우리 HSK2 跑 pǎo 달리다 HSK2 断 duàn 끊어지다, 부러지다 HSK4 腿 tuǐ 다리 HSK3

📚 문법
이 문장은 비유적인 표현으로, "咱们跑断腿"는 "우리가 다리가 부러질 정도로 뛰었다"라는 뜻입니다. 이는 매우 열심히 노력하거나 바쁘게 움직였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여기서 "跑断腿"는 과장된 표현으로, 실제로 다리가 부러지는 것이 아니라 그만큼 열심히 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자막 #2151 | 01:36:15,041 → 01:36:16,000
胡闹嘛
🇰🇷 한글번역
장난치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胡闹 hú nào 말썽을 피우다, 장난치다 HSK6

📚 문법
감탄문: 감정을 표현하거나 상대방의 행동을 비난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주어 + 胡闹 + 语气조사 (너 왜 이렇게 장난을 치니?)
자막 #2152 | 01:36:16,666 → 01:36:17,791
走了啊
🇰🇷 한글번역
갔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가다 HSK1 了 le 완료를 나타내는 조사 HSK1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 부드러움을 나타냄 HSK2

📚 문법
了字句: '了'는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走了啊'가 '이제 간다'라는 의미로, 동작의 완료를 강조합니다.
형태: 동사 + 了 + (啊) (이제 간다)
자막 #2153 | 01:38:02,541 → 01:38:03,458
慢走慢走
🇰🇷 한글번역
안녕히 가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慢 màn 느리다 HSK2 走 zǒu 걷다, 가다 HSK1

📚 문법
중국어에서 "慢走"는 작별 인사로 사용되며, 상대방에게 천천히 가라는 의미로 안전하게 가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두 번 반복하여 "慢走慢走"라고 하면 더욱 공손하고 친절한 느낌을 줍니다.
자막 #2154 | 01:38:03,708 → 01:38:05,166
谢谢 谢谢 谢谢
🇰🇷 한글번역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谢谢 xièxie 감사합니다 HSK1

📚 문법
중복 사용: "谢谢"는 "감사합니다"라는 뜻으로, 반복해서 사용하면 감사를 강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谢谢 谢谢 谢谢"는 "정말 감사합니다"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2155 | 01:38:06,041 → 01:38:07,291
这是度蜜月的车吗
🇰🇷 한글번역
이것은 신혼여행 차량인가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是 shì 이다 HSK1 度蜜月 dù mìyuè 신혼여행을 가다 HSK4 车 chē 차 HSK1 吗 ma ~입니까? HSK1

📚 문법
这是...吗?: 중국어에서 "这是...吗?"는 "이것은 ...입니까?"라는 의문문을 만드는 구조입니다. "吗"는 문장의 끝에 위치하여 의문을 나타냅니다.
형태: 这是 + 명사 + 吗? (이것은 신혼여행의 차입니까?)
자막 #2156 | 01:38:07,625 → 01:38:08,500
对啊
🇰🇷 한글번역
맞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 duì 맞다, 그렇다 HSK1 啊 a 문장 끝에 쓰여 어기를 나타냄 HSK2

📚 문법
어기조사 "啊": 문장 끝에 위치하여 감탄, 동의, 강조 등의 어기를 나타냅니다. "对啊"는 "맞아" 또는 "그래"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말에 동의하거나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2157 | 01:38:08,916 → 01:38:10,166
这上边的易拉罐
🇰🇷 한글번역
위에 있는 이 캔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것 HSK1 上边 shàng bian 위쪽, 위 HSK4 易拉罐 yì lā guàn 캔 (음료수 캔) HSK6

📚 문법
명사구: "这上边的易拉罐"은 명사구로, "이 위쪽의 캔"이라는 의미입니다. '这'는 지시대명사로, 특정한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上边'은 위치를 나타내며, '的'는 수식어와 명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2158 | 01:38:10,166 → 01:38:12,000
都是我老丈人亲口喝完的
🇰🇷 한글번역
전부 제 장인어른이 직접 마신 것입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都 dōu 모두 HSK1 是 shì 이다 HSK1 我 wǒ 나 HSK1 老丈人 lǎo zhàng rén 장인 HSK6 亲口 qīn kǒu 직접, 친히 HSK6 喝 hē 마시다 HSK1 完 wán 끝나다, 완료하다 HSK2

📚 문법
- 强调句 (강조문): "都是"는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어,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모두 동일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 亲口: '직접, 친히'라는 의미로, 말하는 사람이 직접 행동을 했음을 나타냅니다.
- 动词+完: 동사 뒤에 '完'을 붙여서 동작의 완료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喝完"은 '다 마시다'라는 의미입니다.
자막 #2159 | 01:38:12,708 → 01:38:13,833
你打算去哪啊
🇰🇷 한글번역
너 어디 갈 계획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打算 dǎ suàn 계획하다, ~할 생각이다 HSK3 去 qù 가다 HSK1 哪 nǎ 어디 HSK2 啊 a 문장 끝에 쓰여 어기를 나타냄 HSK2

📚 문법
의문문: "去哪"는 "어디에 가다"라는 의미로, 의문사 "哪"를 사용하여 목적지를 묻는 질문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의문사 (너는 어디에 갈 계획이니?)
자막 #2160 | 01:38:14,458 → 01:38:15,291
我们俩啊
🇰🇷 한글번역
우리 둘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啊 a 어기조사 HSK2

📚 문법
주어 + 俩: "我们俩"는 "우리 둘"이라는 뜻으로, 두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俩"는 명사 뒤에 붙어 두 사람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자막 #2161 | 01:38:15,291 → 01:38:16,208
想去哪去哪
🇰🇷 한글번역
가고 싶은 곳 어디든지 가세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想 xiǎng 생각하다, 원하다 HSK2 去 qù 가다 HSK1 哪 nǎ 어디 HSK2

📚 문법
중국어에서 "想去哪去哪"는 간결한 표현으로, "가고 싶은 곳 어디든 가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문장은 명령이나 권유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반복되는 "去哪"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자막 #2162 | 01:38:16,208 → 01:38:17,291
可劲走
🇰🇷 한글번역
마음껏 걸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可劲 kě jìn 힘껏, 최대한 (비표준어) 走 zǒu 걷다 HSK1

📚 문법
비표준어 표현: "可劲"은 구어체에서 "힘껏" 또는 "최대한"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주로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작을 최대한으로 수행함을 나타냅니다. "可劲走"는 "힘껏 걸어라" 또는 "최대한 걸어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막 #2163 | 01:38:17,875 → 01:38:19,583
这个 半个月逛八个城市
🇰🇷 한글번역
이 보름 동안 여덟 개 도시를 돌아다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这 zhè 이 HSK1 个 gè 개 HSK1 半 bàn 반 HSK3 月 yuè 달 HSK1 逛 guàng 돌아다니다, 구경하다 HSK4 城市 chéng shì 도시 HSK3

📚 문법
수량 표현: 중국어에서 특정 기간이나 수량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형태: 时间/기간 + 动词 + 数量 + 名词 (이 반달 동안 8개의 도시를 돌아다니다)

이 문장은 "이 반달 동안 8개의 도시를 돌아다니다"라는 의미로, 특정 기간 내에 많은 도시를 방문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자막 #2164 | 01:38:19,583 → 01:38:21,291
一口气开到大草原
🇰🇷 한글번역
한숨에 대초원까지 달리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口气 yī kǒu qì 단숨에, 한숨에 HSK5 开 kāi 운전하다, 열다 HSK1 大 dà 큰, 넓은 HSK1 草原 cǎo yuán 초원 HSK5

📚 문법
동사구: "一口气"는 "단숨에"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을 중단 없이 한 번에 끝내는 것을 강조합니다.
형태: 一口气 + 동사 (단숨에 운전해서 초원까지 갔다)
자막 #2165 | 01:38:21,958 → 01:38:23,041
咱这身体受得了
🇰🇷 한글번역
우리 몸이 견딜 수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咱 zán 우리(들) HSK5 这 zhè 이, 이것 HSK1 身体 shēn tǐ 몸, 건강 HSK3 受得了 shòu de liǎo 견딜 수 있다 (HSK 범위 외)

📚 문법
가능보어: 동사 뒤에 '得了'를 붙여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가능함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得了 (몸이 견딜 수 있다)
자막 #2166 | 01:38:23,041 → 01:38:24,500
我那狗受不了啊
🇰🇷 한글번역
내 그 강아지 못 참겠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HSK1 那 nà 그, 저 HSK1 狗 gǒu 개 HSK1 受不了 shòu bù liǎo 견딜 수 없다 HSK4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 강조를 나타냄 HSK2

📚 문법
- "受不了"는 "견딜 수 없다"라는 뜻으로, 어떤 상황이나 상태를 더 이상 참을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 "啊"는 문장 끝에 사용되어 감탄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화자의 감정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막 #2167 | 01:38:24,500 → 01:38:25,208
爸 妈
🇰🇷 한글번역
아빠 엄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爸 bà 아빠 HSK1 妈 mā 엄마 HSK1

📚 문법
호칭어: 중국어에서 가족을 부를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호칭어입니다. "爸"와 "妈"는 각각 "아빠"와 "엄마"를 뜻하며, 일상적인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2168 | 01:38:25,333 → 01:38:27,125
得有一段时间见不着面了
🇰🇷 한글번역
한동안 만나지 못했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得 děi 해야 한다 HSK3 有 yǒu 있다 HSK1 一段时间 yí duàn shíjiān 한동안 HSK4 见 jiàn 보다 HSK1 面 miàn 얼굴 HSK3

📚 문법
시간 표현: "一段时间"는 '한동안'이라는 의미로, 시간의 길이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부정 표현: "见不着面"에서 "不着"는 '할 수 없다'는 의미로, 동사 뒤에 붙어 부정의 의미를 강조합니다. (만날 수 없다)
자막 #2169 | 01:38:27,125 → 01:38:28,416
那多好啊
🇰🇷 한글번역
그거 참 좋네요.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저것, 그것 HSK1 多 duō 얼마나, 많이 HSK1 好 hǎo 좋다 HSK1 啊 a 문장 끝에 쓰여 감탄이나 강조를 나타냄 HSK2

📚 문법
感叹句: 감탄문으로, 감정이나 느낌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多 + 형용사 + 啊 (얼마나 좋니!)
자막 #2170 | 01:38:28,416 → 01:38:29,875
那你们记得给我打视频啊
🇰🇷 한글번역
그럼 나한테 영상 통화하는 거 잊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그렇다면 HSK2
你们 nǐ men 너희들 HSK1
记得 jì de 기억하다 HSK3
给 gěi ~에게 HSK2
打 dǎ 걸다, 전화를 하다 HSK2
视频 shì pín 영상, 비디오 HSK4
啊 a 문장 끝에 쓰여 어기를 나타냄 HSK1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나타낼 때 주로 동사 앞에 주어를 사용하여 명령의 대상을 명확히 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너희들은 나에게 영상 전화를 걸어라)
자막 #2171 | 01:38:30,041 → 01:38:32,083
打什么视频 你别打扰我俩啊
🇰🇷 한글번역
무슨 영상 찍는 거야? 우리 둘 방해하지 마.
🎯 AI 분석 결과
🔍 어휘
打 dǎ 치다, (여기서는) 녹화하다 HSK1 什么 shén me 무엇 HSK1 视频 shì pín 동영상 HSK4 别 bié ~하지 마라 HSK2 打扰 dǎ rǎo 방해하다 HSK4

📚 문법
- 祈使句: 명령이나 요청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여기서는 "别"를 사용하여 "~하지 마라"라는 부정 명령문을 형성합니다.
- 형태: 别 + 동사 + 목적어 (너는 우리 둘을 방해하지 마라)
자막 #2172 | 01:38:32,500 → 01:38:33,250
可不是吗
🇰🇷 한글번역
그러게 말이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可 kě 가능하다, ~할 수 있다 HSK2 不是 bù shì 아니다 HSK1 吗 ma ~니? (의문을 나타냄) HSK1

📚 문법
反问句: '可不是吗'는 반문형 문장으로, 상대방의 말에 동의하거나 사실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한국어로는 "그렇지 않니?" 또는 "맞지?"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2173 | 01:38:33,250 → 01:38:34,625
你知道我俩干啥呢
🇰🇷 한글번역
너 우리 둘이 뭐 하는지 알아?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知道 zhī dào 알다 HSK2 我 wǒ 나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干啥 gàn shá 무엇을 하다 (구어체)

📚 문법
반문문: 중국어에서 상대방의 의견이나 생각을 물을 때 사용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 呢 (너는 우리가 무엇을 하는지 아니?)

이 문장은 상대방에게 현재 상황에 대한 이해를 묻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干啥"는 "무엇을 하다"라는 뜻으로,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자막 #2174 | 01:38:34,625 → 01:38:35,416
车钥匙给我
🇰🇷 한글번역
차 키 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车 chē 차, 자동차 HSK1
钥匙 yàoshi 열쇠 HSK4
给 gěi 주다 HSK2
我 wǒ 나, 저 HSK1

📚 문법
명령문: 이 문장은 명령이나 요청을 나타내는 간단한 형태입니다. 주어 없이 바로 동사와 목적어를 사용하여 상대방에게 행동을 요구합니다.
형태: 동사 + 목적어 (차 열쇠 줘)
자막 #2175 | 01:38:35,666 → 01:38:36,083
走吧咱俩
🇰🇷 한글번역
가자, 우리 둘이서.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가다 HSK1 吧 ba ~하자 (제안) HSK2 咱俩 zán liǎ 우리 둘 HSK6

📚 문법
제안문: "吧"는 제안이나 권유를 나타내는 조사로, 문장 끝에 위치하여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함께 하자고 제안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吧 (우리 둘이 가자)
자막 #2176 | 01:38:36,083 → 01:38:36,666
你开啊
🇰🇷 한글번역
네가 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开 kāi 열다, 운전하다 HSK1 啊 a 어기조사 (문장 끝에 쓰여 감탄, 명령, 요청 등의 어감을 나타냄) HSK2

📚 문법
명령문: "你开啊"는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청하거나 명령하는 문장입니다. 여기서는 "너가 (문을) 열어" 또는 "너가 운전해"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啊'는 문장 끝에 붙어 명령이나 요청의 어감을 부드럽게 하거나 강조합니다.
자막 #2177 | 01:38:36,666 → 01:38:37,250
我开
🇰🇷 한글번역
나는 시작해.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 wǒ 나, 저 HSK1 开 kāi 열다, 시작하다 HSK1

📚 문법
주어 + 동사: 중국어에서 주어와 동사가 결합하여 기본적인 문장을 구성합니다. 여기서는 "我"가 주어이고 "开"가 동사로 사용되었습니다. "나는 연다" 또는 "나는 시작한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자막 #2178 | 01:38:37,250 → 01:38:37,875
🇰🇷 한글번역
🎯 AI 분석 결과
🔍 어휘
行 xíng 가다, 걷다 HSK1 行 háng 줄, 행 HSK2 行为 xíngwéi 행동 HSK4 行动 xíngdòng 행동하다 HSK5

📚 문법
"行"은 다의어로, 문맥에 따라 "가다" 또는 "줄" 등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기본적으로 동사로 사용될 때는 "가다"라는 의미로, 명사로 사용될 때는 "줄"이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막 #2179 | 01:38:38,875 → 01:38:39,916
对了 小雨啊
📝 한어병음
duì liǎo xiǎo yǔ a
🇰🇷 한글번역
맞다, 소우야.
🎯 AI 분석 결과
🔍 어휘
对了 duì le 맞다, 그래 HSK3 小雨 Xiǎo Yǔ 샤오위 (이름) 고유명사

📚 문법
호칭 사용: "小雨"는 사람의 이름으로, 친근하게 부를 때 사용됩니다. 중국어에서는 이름 앞에 "小"를 붙여 친근함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자막 #2180 | 01:38:40,125 → 01:38:41,625
你和那个一帆在外面
🇰🇷 한글번역
너와 그 이판이 밖에 있어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和 hé 와, 그리고 HSK1 那个 nà gè 그, 저 HSK2 一帆 Yīfān (사람 이름) 外面 wài miàn 밖, 외부 HSK2

📚 문법
명사구: "你和那个一帆"은 주어로 사용된 명사구입니다. "너와 그 이판"이라는 의미로, 두 사람을 함께 언급할 때 사용됩니다.
위치 명사: "外面"은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로, "밖" 또는 "외부"라는 뜻입니다. 문장에서 장소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자막 #2181 | 01:38:41,625 → 01:38:42,833
一定要注意安全 听见没有
🇰🇷 한글번역
꼭 안전에 주의해. 들었지?
🎯 AI 분석 결과
🔍 어휘
一定 yídìng 반드시 HSK3 注意 zhùyì 주의하다 HSK3 安全 ānquán 안전 HSK3 听见 tīngjiàn 듣다 HSK4 没有 méiyǒu 없다 HSK2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할 때 주로 동사 앞에 "一定"을 사용하여 강조합니다.
형태: 一定 + 동사 + 목적어 (반드시 안전에 주의해라)

부정 의문문: "听见没有"는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형태: 동사 + 没有 (들었니?)
자막 #2182 | 01:38:42,833 → 01:38:43,583
-知道啦 -好嘞爸
🇰🇷 한글번역
- 알겠어요 - 네, 아빠
🎯 AI 분석 결과
🔍 어휘
知道 zhīdào 알다 HSK2 好嘞 hǎo le 네, 알겠습니다 (구어체) 爸 bà 아빠 HSK1

📚 문법
- 语气助词 "啦": 문장 끝에 사용되어 말하는 사람의 결심이나 결론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알다"라는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강조합니다.
- 语气助词 "嘞": 구어체에서 사용되며, "네, 알겠습니다"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말을 받아들이고 동의함을 나타냅니다.
자막 #2183 | 01:38:43,583 → 01:38:44,916
那我俩先撤了啊
🇰🇷 한글번역
그럼 우리 둘 먼저 갈게.
🎯 AI 분석 결과
🔍 어휘
那 nà 그러면 HSK2 我 wǒ 나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先 xiān 먼저 HSK2 撤 chè 철수하다, 물러나다 HSK6

📚 문법
구조: 주어 + 先 + 동사 + 了
설명: "先"은 먼저 어떤 행동을 취함을 나타내며, "了"는 동작의 완료나 변화를 나타냅니다. 이 문장은 "그러면 우리 둘은 먼저 물러날게"라는 의미로, 화자가 먼저 떠나겠다는 의사를 표현합니다.
자막 #2184 | 01:38:45,041 → 01:38:46,000
走啦
🇰🇷 한글번역
가자!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가다 HSK1 啦 la 어기조사 (명령이나 제안의 어조를 나타냄) HSK3

📚 문법
어기조사 "啦": 중국어에서 문장의 끝에 사용되어 명령, 제안, 감탄 등의 어조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가자!"라는 제안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막 #2185 | 01:38:47,708 → 01:38:49,208
好潇洒啊
🇰🇷 한글번역
정말 멋지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매우, 정말 HSK1
潇洒 xiāo sǎ 자연스럽고 멋지다 HSK6
啊 a 감탄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HSK1

📚 문법
감탄문: 중국어에서 감탄을 나타낼 때 주로 "好 + 형용사 + 啊" 형태를 사용합니다. 이 문장은 "정말 멋지다!"라는 감탄을 표현합니다.
자막 #2186 | 01:38:50,666 → 01:38:52,041
好吵啊
🇰🇷 한글번역
너무 시끄러워.
🎯 AI 분석 결과
🔍 어휘
好 hǎo 매우, 정말 HSK1 吵 chǎo 시끄럽다 HSK4 啊 a 감탄사, 놀람이나 감정을 나타냄 HSK2

📚 문법
감탄문: 중국어에서 감탄이나 놀람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형태: 형용사 + 啊 (정말 시끄럽다)
자막 #2187 | 01:38:52,791 → 01:38:53,791
你们俩结婚
🇰🇷 한글번역
너희 둘 결혼해라.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们 nǐ men 너희들 HSK1 俩 liǎ 둘, 두 사람 HSK4 结婚 jié hūn 결혼하다 HSK3

📚 문법
주어 + 동사: 이 문장은 주어와 동사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입니다. "你们俩"는 주어로, "结婚"은 동사로 사용되어 "너희 둘이 결혼하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문장은 명령문이나 제안의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막 #2188 | 01:38:53,791 → 01:38:55,166
你爸妈去度蜜月了
🇰🇷 한글번역
너희 부모님이 신혼여행 가셨구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爸妈 bà mā 부모님 HSK3 去 qù 가다 HSK1 度蜜月 dù mìyuè 신혼여행을 가다 HSK5

📚 문법
주어 + 동사 + 목적어: 중국어의 기본 문장 구조입니다.
예문: 你爸妈去度蜜月了 (너의 부모님은 신혼여행을 갔다)
자막 #2189 | 01:38:56,166 → 01:38:57,708
我们各自有各自的蜜月
🇰🇷 한글번역
우리는 각자 자신의 허니문이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我们 wǒmen 우리 HSK1 各自 gèzì 각각 HSK4 蜜月 mìyuè 신혼여행 HSK6

📚 문법
각자(各自): '각자'는 각각의 사람이나 사물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 '각자'는 '각자의 신혼여행'을 의미하며, 서로 다른 신혼여행을 가짐을 나타냅니다.
자막 #2190 | 01:38:59,791 → 01:39:02,875
你说咱们这一路不会遇到油耗子吧
🇰🇷 한글번역
너는 우리가 가는 길에 기름 도둑을 만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니?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说 shuō 말하다 HSK1 咱们 zánmen 우리 HSK2 一路 yílù 길, 여정 HSK4 遇到 yùdào 만나다, 마주치다 HSK3

📚 문법
정반의문문: 중국어에서 "A不A" 형태로, 어떤 사실이나 상황에 대한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물어보는 문장입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不 + 동사 + 목적어 (너는 우리가 이 여정에서 기름 도둑을 만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니?)

이 문장은 "不会"라는 부정형을 사용하여 어떤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추측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막 #2191 | 01:39:02,875 → 01:39:04,416
早就被逮完了
🇰🇷 한글번역
이미 다 잡혔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早就 zǎo jiù 이미, 벌써 HSK4 被 bèi ~에 의해, 피동을 나타냄 HSK3 逮 dǎi 잡다, 체포하다 HSK6 完 wán 끝나다, 완료하다 HSK2

📚 문법
피동문 (被字句): 중국어에서 피동문은 주어가 동작을 당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형태: 주어 + 被 + 동사 + 기타 성분 (이미 체포되었다)

이 문장에서 "早就被逮完了"는 "이미 체포되었다"는 의미로, 피동의 의미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2192 | 01:39:04,416 → 01:39:06,750
你就踏踏实实给我拍照吧
🇰🇷 한글번역
너는 그냥 착실하게 내 사진이나 찍어줘.
🎯 AI 분석 결과
🔍 어휘
你 nǐ 너 HSK1 就 jiù 바로, 곧 HSK2 踏实 tā shi 착실하다, 성실하다 HSK5 给 gěi ~에게 HSK2 拍照 pāi zhào 사진을 찍다 HSK3

📚 문법
명령문: 중국어에서 명령이나 요청을 표현할 때 주로 동사 앞에 주어를 두어 상대방에게 행동을 요구합니다.
형태: 주어 + 동사 + 목적어 (너는 착실하게 나에게 사진을 찍어줘)

이 문장에서 "踏踏实实"는 부사로 사용되어 동작의 방식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막 #2193 | 01:39:06,750 → 01:39:07,875
走着
📝 한어병음
zǒu zhe
🇰🇷 한글번역
걷고 있다.
🎯 AI 분석 결과
🔍 어휘
走 zǒu 걷다 HSK1 着 zhe ~하고 있다 (진행형) HSK2

📚 문법
진행형: '着'는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이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형태: 동사 + 着 (걷고 있다)
AI 기반 중국어 영상 학습 플랫폼에서 생성됨